한국 명작소설 세트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이 책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인들의 작품을 수록하여 수능시험과 논술 대비 참고서 역할도 하고 있다. 이인직부터 이광수, 현진건, 채만식 등으로 이러지는 한국문학의 기둥들 작품을 시대별로 모았으며 작가의 최초 발표본을 기준으로 지금까지 축적된 여러 판본과의 비교 대조를 통해 오류를 수정하였다. 작가 소개와 연보, 작품과 그 시대를 읽는 핵심내용도 소개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을 통해 교양을 쌓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의 상품구성
자세한 상품구성정보에 대한 문의사항은 도서·정보 1:1상담을 이용해 주세요.
상품명 | 저자 | 출시일 | 쪽수 | 크기/중량 (mm/g) |
---|---|---|---|---|
1931-1940 한국 명작소설 2: 모던보이, 문학을 만나다 | 이인직 | 2017.04.20 | 360 | 141 * 211 * 26 mm / 547g |
1900-1930 한국 명작소설 1: 근대의 고독한 목소리 | 이인직 | 2017.04.20 | 384 | 141 * 210 * 28 mm / 580g |
작가정보
李人稙, 1862~1916 개화기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정치가다. 신소설이라는 새로운 문학 장르를 개척하였으며, 《혈의 누》 《귀의 성》 《은세계》 《치악산》 《모란봉》 등의 작품이 있다.
安國善, 1878~1926 도쿄 전문학교에서 정치학을 수학한 개화기의 대표적 지식인 중 한 사람이다. 《금수회의록》과 《공진회》 등의 작품이 있다.

李光洙, 1892~1950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소설인 《무정》을 발표하여 우리나라 소설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소년의 비애〉 외에 《단종애사》 《흙》 《유정》 《사랑》 등의 작품이 있다.

金東仁, 1900~1951 예술지상주의를 표방하고 순수문학 운동을 벌인 작가다. 〈약한 자의 슬픔〉 〈배따라기〉 〈감자〉 〈광염 소나타〉 〈발가락이 닮았다〉 〈광화사〉 등의 작품이 있다.

玄鎭健, 1900~1943 당대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우리나라 자연주의문학을 개척한 작가다. 〈빈처〉 〈운수 좋은 날〉 〈 B 사감과 러브레터〉 〈고향〉 등의 작품이 있다.

田榮澤, 1894∼1968 아오야마 학원 문학부와 신학부를 졸업했으며 목사이자 소설가다. 〈창조〉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단편소설 〈혜선의 사〉 〈천치? 천재?〉 〈화수분〉 〈소〉 등의 작품이 있다.

崔曙海, 1901~1932 자신의 비참한 삶의 체험을 바탕으로 처참한 민족 현실을 형상화한 작가다. 〈토혈〉 〈고국〉 〈탈출기〉 〈기아와 살육〉 〈홍염〉 〈박돌의 죽음〉 등의 작품이 있다

宋影, 1903~1979 '동양극장' 문예부장으로 극작 활동을 하였다. 단편소설 〈늘어가는 무리〉 〈용광로〉 〈교대시간〉 〈월파선생〉 등과 희곡집 《불사조》 등의 작품이 있다.

羅稻香, 1902~1926 비애와 비극을 그린 낭만주의자로 〈백조〉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행랑 자식〉 〈벙어리 삼룡이〉 〈물레방아〉 〈뽕〉 〈지형근〉 등의 작품이 있다.
趙明熙, 1894~1938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목적의식적 단계로 발전시킨 한국 민중문학의 선구자다. 《그 전날 밤》 《낙동강》 등의 작품이 있다.
韓雪野, 1901~미상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을 조직하는 등 북한 공산당 문화예술계의 주동적 역할을 하였다. 〈과도기〉 외에 《청춘기》 《귀향》 《초향》 《탑》 《이령》 등의 작품이 있다.
李泰俊, 1904~? 감각적이고도 세련된 문체와 치밀한 구성이 돋보이는 단편을 통해 근대 단편소설을 완성한 작가다. 《달밤》 《까마귀》 《해방 전후》 《사상의 월야》 등의 작품이 있다.

金裕貞, 1908~1937 순수문예 단체인 구인회에서 활동하며 스물아홉 짧은 생애 동안 30여 편의 단편을 남겼다. 〈금 따는 콩밭〉 〈봄봄〉 〈따라지〉 〈두꺼비〉 〈동백꽃〉 〈땡볕〉 등의 작품이 있다.

蔡萬植, 1902~1950 일제강점기의 불안한 사회를 배경으로 지식인의 불우한 삶을 풍자한 작품을 썼다. 단편소설 〈레디메이드 인생〉 〈치숙〉 등과 장편소설 《탁류》 《태평천하》 등의 작품이 있다.
朴榮濬, 1911~1976 농촌 사회의 참담한 현실을 풍자적으로 그리며 농민문학을 완성한 작가다. 〈모범 경작생〉 외에 《목화씨 뿌릴 때》 《풍설》 《그늘진 꽃밭》 《방관자》 《고호》 등의 작품이 있다.

朱耀燮, 1902∼1972 휴머니즘적 요소를 보탠 독특한 신경향파 소설을 발표하였으며, 〈인력거꾼〉 〈사랑손님과 어머니〉 〈아네모네의 마담〉 〈대학교수와 모리배〉 등의 작품이 있다.

桂鎔默, 1904~1961 사실성과 낭만성을 아우른 예술지상주의적 작품을 썼다. 《병풍에 그린 닭이》 《백치 아다다》 《별을 헨다》 등의 작품이 있다.
兪鎭午, 1906~1987 소설가이자 헌법기초위원, 법제처장, 고려대학교 총장, 신민당 총재 등으로 활동하였다. 〈사랑손님과 어머니〉 외에 《창랑정기》 《구름 위의 만상》 《젊은 날의 자화상》 《다시 창랑정에서》 등의 작품이 있다.

李孝石, 1907~1942 순수문학을 지향한 구인회의 창립회원으로 한국 서정소설의 대표 작가다. 〈깨뜨려진 홍등〉 〈돈〉 〈수탉〉 〈산〉 〈분녀〉 〈들〉 〈메밀꽃 필 무렵〉 등의 작품이 있다.
金廷漢, 1908∼1996 가난한 농민들의 삶을 통해 민족적 현실의 모순을 신랄하게 파헤쳐 민중문학의 새로운 차원을 개척하였다. 〈사하촌〉 〈모래톱 이야기〉 〈인간 단지〉 〈수라도〉 등의 작품이 있다.
목차
- 1권
시대를 읽는 한국문학, 《한국 명작소설》을 펴내며
시대를 단칼에 잘라보자-단편소설 읽기의 즐거움_고정욱
혈의 누_이인직
금수회의록_안국선
소년의 비애_이광수
배따라기_김동인
운수 좋은 날_현진건
화수분_전영택
탈출기_최서해
늘어가는 무리_송영
벙어리 삼룡이_나도향
낙동강_조명희
과도기_한설야
2권
시대를 읽는 한국문학, 《한국 명작소설》을 펴내며
시대를 단칼에 잘라보자-단편소설 읽기의 즐거움_고정욱
달밤_이태준
동백꽃_김유정
레디메이드 인생_채만식
모범 경작생_박영준
사랑손님과 어머니_주요섭
백치 아다다_계용묵
김 강사와 T 교수_유진오
메밀꽃 필 무렵_이효석
사하촌_김정한
날개_이상
출판사 서평
문학사를 이해하는 관점, ‘시대를 읽는 한국문학’
로맨스, 풍자, 계몽 등 작가별 대표작품을 만나다!
시대와 삶을 돌아볼 수 있게 해주며 문학적 상상력과 즐거움을 주는
소설 중에서 정수만을 가려 뽑은 '한국문학을 권하다 단편 모음집'
우리 문학 읽기를 좀 더 쉽고 좀 더 친절하게 전하고자 하는 것이 《한국 명작소설》의 목적이자 목표다. 문학의 참된 즐거움을 되살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제목 정도는 누구나 알고 있으나 대개는 읽지 않은 한국문학을 다시 읽어보는 일일 것이다. 애플북스는 이 권유를 좀 더 적극적으로 하기 위해 시대별 대표작품으로 한국문학 단편 모음집을 꾸렸다.
‘시대를 읽는 한국문학’이란 콘셉트로 근대소설의 포문을 연 이인직의 〈혈의 누〉, 계몽소설을 대표하는 이광수의 〈소년의 비애〉, 풍자와 해학, 골계미를 추구한 김유정의 〈동백꽃〉, 모더니즘의 절정을 보여준 이상의 〈날개〉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의 큰 기둥이 되었던 대표 작품을 각각 1900~1930년대와 1940년대로 시대별로 모아 나눠, 총 21명의 작가와 작품을 최대한 원문 그대로 읽을 수 있게 구성했다. 문학 독자가 사랑했던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로맨스, 풍자와 해학, 계몽 등 다양한 장르를 한꺼번에 만날 수 있으며 독자의 독자들의 가슴을 쥐락펴락했던 인기 작품을 문학사의 이해를 돕는 설명과 함께 만날 수 있다.
고전 중에 명작을 가려서 읽는 것은 오늘의 세계와 그 세계를 살고 있는 우리의 삶을 이해하고 통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길 중 하나다. 모쪼록 이 선집을 통해 독자들이 문학 읽기의 즐거움을 다시금 느낄 수 있는 것은 물론, 문학과 시대를 동시에 만끽할 수 있기를 바란다.
출간 의의 및 특징
《한국 명작소설 1, 2 세트》는 한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의 대표 작품을 읽으며 문학사와 작품을 이해하는 또 다른 문학 읽기 방법을 제시하고 권하고자 한다. 최근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인들의 작품이 실려 있어서 수능시험은 물론 논술을 대비한 참고도서 역할 또한 톡톡히 할 것이다. 전자책으로도 함께 출간되어 각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 대학교의 도서관은 물론 기업 자료실에도 꼭 필요한 책이라 하겠다.
1.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을 읽으며 문학과 시대를 동시에 만끽할 수 있다.
‘시대를 읽는 한국문학’이란 콘셉트로 이인직으로부터 시작해 이광수, 현진건, 채만식, 이상, 이효석 등으로 이어지는 한국문학의 큰 기둥들의 대표 작품을 시대별로 모아 문학과 시대를 동시에 만끽할 수 있도록 했다.
2. 여러 판본과의 비교·대조를 통해 오류를 수정하였다.
작가의 최초 발표본을 기준으로 하되 지금까지 축적된 여러 판본과의 비교?대조를 통해 오류를 수정하였다.
3. 최근 표기법을 적용하여 더 쉽고 더 자연스럽게 읽힌다.
작가와 작품 고유의 표현은 최대한 살리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작품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좀 더 최근의 표기법을 적용함으로써 현시대를 살고 있는 독자들이 더 쉽고 더 자연스럽게 작품과 만날 수 있도록 하였다.
4. 작가 소개, 연보, 작품과 그 시대를 읽는 핵심 내용을 소개하였다.
독자들이 작품을 더 쉽고, 더 즐겁고, 더 풍성하게 읽을 수 있도록 작품 자체는 물론 작가 소개, 연보, 그 작품이 발표된 시대와 그 작품을 쓴 작가에 대한 핵심적인 소개를 더해 독자들이 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을 통해 교양을 쌓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했다.
작품 내용 소개
근대소설적 특성을 지닌 우리나라 최초의 신소설 〈혈의 누〉는 구한말을 배경으로 조선의 봉건제도를 비판하고, 신문명과 신교육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고 있으며, 이에 더해 자주독립과 자유 연애사상이라는 근대적 계몽 이념을 강조함으로써 조선말 독자들을 계몽하고자 한 계몽주의적 특성이 있다. 형식에 있어서는 문어체가 아닌 구어체를 사용한 점, 사건의 우연성을 탈피하고 소설적 개연성을 확보하려는 시도를 보인다는 점 등 근대소설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동물을 의인화하여 현실을 풍자한 우화소설 〈금수회의록〉은 인간의 도덕적 타락과 혼란을 비판하는 동물들의 연설을 통해 충효, 화친, 우애 등 전통적인 윤리적 규범과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불효·부정부패·탐관오리의 횡포·부부 윤리 등 풍속의 문란 같은 전통 윤리 및 사회와 가정의 타락에 대한 비판 외에도 ‘외국 사람에게 아첨하는 역적놈’이나 ‘무기로써 남의 나라를 위협해 빼앗는 불한당’ 등도 규탄함으로써 당시 일본 침략의 위기에 대항하는 민족의식 또한 강하게 표출하였다.
계몽주의 정신이 반영된 우리나라 근대소설의 출발 〈소년의 비애〉는 유교적 인습에 따른 결혼 제도의 허구성과 이러한 제도로 인해 희생되는 여성 및 신교육의 필요성 등을 주제로 삼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은 서구사회의 자유연애에 기초한 남녀 간의 자유로운 사랑을 강조함으로써 조선 사회의 모든 제도가 가진 봉건성을 역으로 비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서구의 새로운 문명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작가의 사상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운명적 비극을 예술로 승화시킨 우리나라 근대문학의 전형 〈배따라기〉는 열등의식에서 비롯된 오해와 질투로 인해 사랑하는 아내를 잃고 형제지간마저 파멸된 한 남자가 삶의 가치를 다시 회복하기 위해 방황하는 이야기를 통해 삶의 비극적 단면과 그것의 예술적 승화라는 ‘예술 지상주의’의 전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현실적 삶에서의 패배와 그 삶의 비극의 예술적 승화라는 주제가 두 개의 만남과 헤어짐이라는 액자 구조 속에서 중층적으로 구현됨으로써 삶의 입체성과 예술의 입체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한편, 예술과 삶의 입체적 일체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단편소설의 모형을 확립한 사실주의 소설의 백미 〈운수 좋은 날〉은 인력거꾼 김 첨지가 하루 동안 겪게 되는 일을 통해 가난에 허덕이던 하층 노동자의 절박한 삶과 비극적인 운명을 집약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식민지 시대의 절대적 빈곤 상황에서 일시적 운은 삶의 조건을 바꿔놓을 수 없다는 내용과 그에 대비되는 역설적 제목이나 아내가 그토록 먹고 싶어 했던 설렁탕을 며칠간의 허탕 끝에 겨우 사 들고 돌아왔으나 아픈 아내는 이미 죽고 난 뒤였다는 내용의 강렬성 그리고 반어적 기법 등은 기교와 형식의 완성도 높은 결합을 보여주는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비참한 삶 속에서도 따뜻한 인간애가 돋보이는 수작 〈화수분〉은 주인공인 ‘화수분’과 그 일가의 가난과 고통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비극을 ‘나’라는 화자를 통해 일제의 수탈이 가속화된 상황 속에서 굶주림에 고통당할 수밖에 없었던 가난한 부부의 처절한 삶과 비극적 죽음을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작품이 갖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은 궁핍한 삶과 죽음이라는 비극을 다루고 있음에도 아기라는 생명을 살림으로써 절망이 아닌 희망, 차가운 죽음이 아닌 따뜻한 생명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자전적 요소가 강한 식민지 시대 체험문학의 걸작 〈탈출기〉는 1920년대 우리 민족의 비참한 삶을 묘사한 소위, 빈궁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히기도 한다. 하지만 다른 빈궁문학 작품들이 빈궁한 삶 자체를 묘사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는 데 반해, 이 작품은 빈궁에 대항하는 반항적 인물을 통해 개인의 빈궁을 개인의 사정이 아닌 사회 구조적 차원에서 해명해 보여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자전적 체험을 형상화한 노동자 문학의 초석 〈늘어가는 무리〉는 노동 현장과 노동자의 삶을 생생하게 그려내 한국 노동자 문학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 작품이다. 이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작품 속에 형상화되어 있는 노동 현장과 노동자들의 삶이 관념적이거나 피상적이지 않고 매우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라는 점이다. 〈늘어가는 무리〉가 이처럼 현실적이고 구체적일 수 있었던 것은 작가 자신의 노동자로서의 체험, 즉 자전적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에 있다.
운명을 거스른 사랑과 인간구원의 염원을 보여준 수작 〈벙어리 삼룡이〉는 사실주의가 주를 이루었던 당대 소설들과 달리 낭만주의적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벙어리이자 하인인 삼룡이와 아름다운 여주인인 아가씨와의 사랑은 주인아들의 질투처럼 애초에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자 운명을 거스르는 것이다. 낭만주의는 이러한 상황을 초월적, 이상적으로 해소하는데, 이 작품 또한 화재라는 사건을 통해 둘의 초월적 사랑을 성취하게 하는 한편, 이 사랑이 갖는 인간구원이라는 또 다른 이상을 제시하고 있다.
프로문학을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자산 〈낙동강〉은 일제강점기 조선 사회의 두 가지 근본적 문제인 일제 및 자본주의와 결탁한 봉건의 잔재 타파와 이를 통한 노동자 농민이 주인이 되는 사회주의 건설이라는 목표를 위해 좀 더 의도적인 차원에서 계급의식과 정치 투쟁의 관점에 입각해 쓰인 작품이다. 동시에 이 작품은 민족 해방이라는 최우선 과제를 위한 사회주의 계열과 민족주의 계열의 ‘암묵적 합의’라는 사상적 현실까지 반영, 제국주의 일본과 식민지 조선 사이의 민족적 대립까지 강하게 부각시킴으로써 폭넓은 세계 인식과 현실 인식을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농민의 노동자화 과정을 그린 카프문학의 결정판 〈과도기〉는 작가 자신의 체험담이기도 한 이 작품에서 농촌이 공장이 되어가고, 농민이 노동가가 되어가는 과정을 ‘과도기’로 그리고 있다. 이 과도기의 문제가 조선 사회의 전반적인 현실이 될 것이라는 경고와 노동자들이 이런 부당한 상황에 대해 저항하지 않는다면 일제 자본의 노예로 전락하고 말 것이라는 경고를 함께 전해주고 있다.
세상에 적응하지 못한 소외된 약자에 대한 연민 〈달밤〉은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며 아픔을 겪는 황수건의 삶을 일제 강점기 우리 민중의 삶에 비유적으로 보여준 작품이다. 그러나 이 소설은 그 삶의 비극성에 함몰되거나 절망적 상황으로만 치닫지는 않는데, 이는 황수건을 바라보는 서술자의 시선이 그의 순박하고 우스꽝스러운 행동과 천진하고 낙천적인 성격에 동시에 집중하는 한편, 이를 애정과 연민이라는 감정을 통해 부각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사춘기 남녀의 사랑을 토속적이고 해학적으로 그린 작품 〈동백꽃〉의 ‘나’는 감자를 건네주는 것으로 애정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닭싸움을 통해 그 애정을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점순’의 마음을 알아채지 못하는 순박한 소년이다. 자칫 단순할 수도 있는 사춘기 소년, 소녀의 이러한 로맨스는 농촌이라는 배경이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는 토속어와 비속어 및 육담이나 감자, 닭싸움 등의 소재를 통해 토속적, 향토적 세계를 보여줌으로써 실제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사실주의 문학으로서의 위상을 얻는다.
일제강점기 지식인의 모순을 풍자적으로 그린 대표작 〈레디메이드 인생〉은 1930년대 도시 공간을 배경으로 지식인의 모순을 풍자적으로 보여준 작가의 출세작이자 대표작이다. 일제강점기 초기 교육 계몽 세대를 상징하는 인물인 주인공 P는 일본 유학까지 다녀온 인텔리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채 극도의 궁핍에 시달린다. 신문사를 찾아가 채용을 부탁해보기도 하지만 농촌 봉사활동을 하라는 사장의 ‘엉터리없는 수작’에 역사와 사회를 원망하고, 결국 P는 자기 아들을 인쇄소에 견습공으로 취직시킴으로써 희망 없는 인텔리의 삶에 저항한다.
농촌 사회의 참담한 현실을 그린 본격 농민소설 〈모범 경작생〉은 박영준의 데뷔 작품이자 일제의 농업진흥정책의 허구성을 풍자적으로 비판한 농촌소설 계열의 대표작이다. 박영준은 농촌의 참담한 현실과 일제의 수탈 그리고 그것에 부역하는 타락한 인간 군상을 사실적이고 풍자적으로 그린 작가이자 그에 대항하는 농민에 대한 인간애를 잃지 않았던 농민문학의 완성자이며 농촌소설의 대표적 작가라 평가할 수 있다.
어린 소녀의 눈으로 묘사한 서정적이고 낭만적인 사랑 이야기 〈사랑손님과 어머니〉는 봉건 질서에 억압되어 소극적인 순응의 삶에 길들여진 젊은 과부와 사랑손님인 남성과의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을 그리고 있다. 대상에 대한 인식이나 해석이 미숙한 화자인 옥희가 주인공이 되어 두 사람의 사랑을 관찰하게 함으로써 작가는 그 사랑의 서정성과 낭만성을 자연스럽게 확보함과 동시에 그 사랑을 불가능하게 하는 봉건 질서의 억압을 객관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황금만능주의의 세상 속에서 순수에의 가치를 지향한 작품 〈백치 아다다〉는 일제강점기 식민 자본주의가 뿌리를 내린 1930년대, 돈의 물신화로 인한 인간의 타락과 파멸 그리고 승화를 그린 작가의 대표작이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상징이자 그 자체인 돈과 시장경제 이전 인간의 극단적인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백치의 대립을 통해 돈, 곧 자본이 인간의 윤리와 사랑 그리고 삶을 어떻게 파괴하는지 명확하게 보여준 작품이다.
지식인의 이중성을 냉정하게 비판한 지식인 소설의 전형 〈김 강사와 T 교수〉는 사실주의에 바탕을 둔 심리소설로 1930년대 지식인의 속물성과 이중성, 그리고 참담한 현실을 보여준 작품이자 그것들 모두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못하는 나약한 지식인상을 보여준 소설이다. 일제강점기 현실에 대한 비판과 개혁에 대한 열망을 보여준 작가인 유진오는 소시민적 인식이라는 한계를 가진 지식인 작가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지식인 문학을 정초한 작가라는 평가에 여전히 값하는 작가다.
소설과 시적 서정이 조화를 이룬 한국 단편소설의 백미 〈메밀꽃 필 무렵〉은 과거와 현재의 이중적 구성과 달밤, 메밀꽃, 나귀 등의 소재들이 아주 긴밀하게 연결된 세련된 구조와 완성도를 통해 전달된 작품이다. 바로 이 점을 통해 소설이 단순한 이야기의 그릇이 아니라 시적 경험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충돌할 수밖에 없는 소설과 시, 서사와 서정이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소설의 또 다른 세계와 시의 또 다른 모습을 경험하게 해주는 단 하나의 작품이기도 하다.
소작농들의 현실과 저항을 사실적으로 그린 농민소설 〈사하촌〉은 일제강점기 사하촌 소작농들이 겪는 가혹한 수탈과 그에 대한 저항을 사실적으로 그린 김정한의 초기 대표작이다. 이 작품에는 가뭄이라는 자연적 재해와 도시민들을 위해 만든 수도용 저수지라는 제도적, 인공적 재해로 인해 극심한 흉년을 맞은 보광사 아래 소작농들의 고통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한국 최초의 심리소설이자 20세기 한국 모더니즘의 결정체 〈날개〉는 이상의 대표작으로 한 지식인의 소모적이고 자학적이며, 해체적이기까지 한 삶을 의식의 흐름에 따라 서술한 소설이다. 근대의 도래는 한 인간을 자유롭고 합리적인 존재로 만들어주었지만, 반면 계급적?성적으로 확고했던 정체성의 뿌리를 흔들고, 그 자리를 자본이 대신하게 만들기도 했다. 〈날개〉는 바로 이 변화의 당대적 결과, 곧 정체성의 상실과 그로 인한 혼란, 그 혼란이 야기하는 더 큰 자의식의 분열을 보여준 소설이다.
기본정보
ISBN | 9791186639511 | ||
---|---|---|---|
발행(출시)일자 | 2017년 04월 20일 | ||
쪽수 | 744쪽 | ||
크기 |
143 * 210
* 45
mm
/ 1134 g
|
||
총권수 | 2권 | ||
시리즈명 |
한국문학을 권하다 단편 모음집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