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수상내역/미디어추천
이 책의 총서 (6)
작가정보
김상환은 프랑스 파리4대학(소르본)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현대 프랑스 철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은 구조주의 전후의 현대 철학 사조를 동아시아의 문맥에서 재해석하는 데 있다. 2012년부터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 프로그램의 패러다임-독립연구재단에서 과학과 인문 예술 융합의 기초가 될 새로운 지식 패러다임과 방법론을 모색하는 3년간의 연구를 이끌고 있다. 저서로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2012),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2002),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1999) 등이, 편저로 『라캉의 재탄생』(2002) 등이 있으며, 역서로 『차이와 반복』(2002), 『헤겔의 정신현상학』(공역, 1986) 등이, 논문으로 「데리다의 글쓰기와 들뢰즈의 사건」(2011), 「데리다의 텍스트」(2008), 「헤겔과 구조주의」(2008) 등이 있다.
엮음 박영선
연세대에서 철학, 홍익대와 숭실대 대학원에서 사진과 미디어아트를 공부했고, 「디지털사진과 기억예술: 디지털사진 기반 시각예술에 나타나는 기억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사진을 주 매체로 작업 중이며, 3회의 개인전과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했다. 현재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현대 이론과학과 예술의 방법론적 교차 가능성에 대해 연구 중이다. 『지역 아카이브, 민중 스스로의 기억과 삶을 말한다』(공저, 2010), 『한국 사진이론의 지형』(공저, 2000),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디지털 아카이빙과 사진의 상호관계」(2015), 「사진아카이브, 이상한 다양체 되기」(2013), 「디지털사진과 개인적 기억」(2012) 등을 썼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철학과에서 「데카르트 형이상학에서의 명증성의 함의에 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파리 8대학(생드니) 철학과에서 「1990년대 이후 영화에 나타난 여러 시간의 모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구조주의 이후의 프랑스 현대 철학과 예술철학을 주로 공부하고 있으며, 자연과학의 형이상학적 의미를 밝히는 일과 예술 작품에서 개념적 사유를 끌어내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14년부터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단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인문학과 자연과학, 동양과 서양의 사유가 만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공저, 2010)이 있고, 옮긴 책으로 『비미학』(2010)이 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칸트의 미감적 합리성에 대한 연구」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강의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학부대학 전임대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근현대 미학과 인식론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정치와 미학의 관계,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 철학과 예술의 관계 등과 관련된 주제들이다. 저서로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2014), 『이성의 운명에 대한 고백』(2010) 등이, 논문으로 「숭고의 존재론: 칸트 미학에 대한 탈(반)칸트적 해석」(2011), 「칸트 미학에 있어서 감정과 상상력의 관계」(2006) 등이, 역서로는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이 있다.
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빌레펠트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취득 후 지금까지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현재 문과대 학장을 맡고 있다. 독일 낭만주의를 포함하여 독일 비평 이론, 아방가르드 미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미학과 문예학, 비판 이론, 미학 이론, 문화 이론 등에 관해 강의하며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파편과 형세 ─ 발터 벤야민의 미학』(서강대학교 출판부, 2012), 『자율적 문학의 단말마』(글누림, 2006), 『독일낭만주의』(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문학이론과 현실인식』(문학동네, 2000), 『탈현대성과 문학의 이해』(민음사, 1996) 등이 있다.
프랑스 파리 10대학에서 프랑스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20세기 프랑스 문학과 문학 이론에 대한 강의 및 저술 활동을 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초현실주의와 푸코의 사상 등이다. 1970년 1월 동아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 당선을 시작으로 문학비평가로서 한국문학 비평 작업도 이어오고 있다. 저서로는 『미셸 푸코와 현대성』(2013), 『위기와 희망』(2011), 『초현실주의 시와 문학의 혁명』(2010) 등이, 역서로는 앙드레 브르통의 『나자』(2008), 푸코의 『감시와 처벌』(1994) 등이 있다.
프랑스 파리1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고, 다시 같은 대학교에서 미학 박사과정을 마쳤다. 현재 통섭적 연구소 필로아트랩 대표로 있으며, 다양한 인문?예술 활동과 문화 정책?기획에 참여하고 있다. 과학, 예술, 문화를 가로지르는 인식?존재론에 관심이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 대중화위원장 및 국립현대미술관 웹진 아트뮤(Art:mu)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존재의 미학』(2008), 『예술과 연금술』(2004) 등이 있고, 『과학기술과 문화예술』(2010), 『욕망하는 테크놀로지』(2009), 『필로테크놀로지를 말한다』(2008), 『철학, 예술을 읽다』(2006) 등의 공저가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도가 철학과 동양 미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미학과 철학의 상관관계, 예술 작품 속에 담겨 있는 동양철학,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 철학이다. 저서로 『노장철학으로 동아시아문화를 읽는다』(2002), 『중국철학과 예술정신』(1997), 『유학자들이 보는 노장철학』(1996) 등이, 논문으로 「韓國 傳統美 特質에 대한 諸說의 儒家?道家美學的 고찰」(2012), 「東洋藝術의 臨摹傳統과 硏究倫理」(2011), 「明淸 書畵家의 老莊美學的 要素에 관한 연구」(2010)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동양 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조선대학교 미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한국미술사와 동아시아 미술사, 동아시아 미학과 예술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동아시아 예술론, 특히 화론(畵論)에 나타난 자유정신의 조형적 실천에 관한 문제이다. 저서로 『중국 옛 그림 산책』(2011) 등이, 역서로 『표암유고』(공역, 2010), 『역대명화기(상, 하)』(2008), 『화안(畵眼)』(공역, 2003) 등이, 논문으로 「도(道)의 체득과 회화적 실천, 그리고 자득 ─ 석도 『화어록』에 대한 해석」(2013), 「『지두화설(指頭畵說)』에 나타난 고병(高秉)의 예술론 ─ 고기패(高其佩, 1660-1736)의 지두화와 관련하여」(2012), 「리쩌허우(李澤厚)의 주체성 실천미학과 중국고대미학」(2009) 등이 있다.
한양대학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강사이다. 주로 일본 근대기 번역어와 문화, 한일 근대 어휘 비교를 연구하고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메이지기에 만들어진 근대 한자 어휘의 한중일 어휘 교류 관련 문제들이다. 저서로 『세계의 학교 평가』(공저, 2012) 『번역과 일본의 근대』(2005), 『한국 개화기 외래한자어 수용 연구』(2003) 등이, 논문으로 「메이지의 번역과 한국 수용 ─ [-ism]이 [주의]로 번역되기까지」(2013), 「메이지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 ─ obligation을 중심으로」(2009) 등이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버클리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전에는 포항공대와 서울대학교에 재직하였다. 전공은 미분기하학이고 특히 극소곡면 같은 최적화 공간의 성질에 관하여 연구하고 있다. 학위논문 이후 20여 편의 논문을 썼다.
프랑스 부르고뉴대학교(Univ. de Bourgogne)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비주얼 컬처, 글로컬 문화, 문화 콘텐츠, 프랑스 현대철학, 상상력 관련 강의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 유전자』(2014), 『키워드 100으로 읽는 문화콘텐츠 입문 사전』(2013), 『상상력과 문화콘텐츠』(2013)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글로컬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의 새로운 지형도」(2014), 「글로컬 시대의 지역 서사」(2013) 등이 있다.
KAIST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을 전공해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경상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며 물리학을 강의하고 있다. 관심 분야는 물질의 근본 구조와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과, 이를 가속기 및 여러 실험에서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며, 특히 힉스 입자, 암흑 물질, 중성미자에 관련된 현상과 대칭성의 양자역학적 근본 구조 및 확장을 이론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파이온에서 힉스입자까지』(2013), 『보이지 않는 세계』(2012),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2011) 등이, 논문으로 “Direct search for heavy gauge bosons at the LHC in the nonuniversal SU(2) model”(2014), “The second Kaluza-Klein mode of CP-odd neutral Higgs boson in the minimal universal extra dimension model”(2012), “Partially Composite Two Higgs Doublet Model”(2006) 등이 있으며, 역서로 『이것이 힉스다』(2013)가 있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에서 초전도 배열에 대한 이론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스웨덴의 우메오대학교와 아주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통계물리학, 비선형 동역학, 고체물리학, 수리신경과학을 강의하고 있다. 통계물리학 분야의 상전이, 임계현상, 비선형 동역학, 때맞음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복잡계 물리학의 이론 틀 안에서 사회/경제/생명 현상을 설명하려는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저서로는 『복잡계 워크샵』(공저, 2006)이 있으며, 『주간동아』에 「물리학자 김범준의 이색 연구」 시리즈(2013-2014)를 연재했다. 논문으로는 “Finite Time and Finite Size Scaling of Kuramoto Oscillators”(2014), “Scaling laws between population and facility densities”(2009) 외 160여 편이 있다.

카이스트에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양자역학과 관련한 여러 이론물리학 문제들이다. 저서로 『책대책』(공저, 2014), 『헬로 사이언스』(공저, 2014), 『고전의 힘』(공저, 2013), 『EBS 탐스런 물리2』(공저, 2012), 『영화는 좋은데 과학은 싫다고?』(2009) 등이 있으며, 약 60여 편의 SCI 논문을 게재하였다. 특히 논문 “Quantum Szilard engine”(2011)은 APS Physics의 Viewpoint로 선정되었고, “Heat engine driven by purely quantum information”(2013)는 Phys.org에 뉴스로 소개되었다. 아태이론물리연구소 과학문화위원이며, 『과학동아』, 『국제신문』, 『국민일보』, 『무비위크』 등에 칼럼을 연재하고, 국과위 톡톡과학콘서트, TEDxBusan, 팟캐스트 〈과학같은 소리하네〉, YTN 사이언스 인물 포커스, 방송통신대 특강 등을 통해 대중과 활발히 소통하는 과학자다.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의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희사이버대학교 모바일융합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IT융합과 미래학,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등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SF영화의 현실화, 미래 사회, 로봇과 인공지능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이다. 저서로 『거의 모든 인터넷의 역사』(2014), 『내 아이가 만날 미래』(2013), 『거의 모든 IT의 역사』(2010) 등이, 논문으로 「의과대학생이 만날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2014), “Projected AR-Based Interactive CPR Simulator”(2013) 등이, 역서로 『기계와의 경쟁』(2013)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현재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이다. 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에서 만화스토리로 가작을 수상하며 활동을 시작한 이래 과학소설을 쓰고 옮겨왔다. 주요 관심 분야는 청소년, 장애, 성 정체성 등으로 관련 양서 소개에 주력하고 있다. 공저서로 『독재자』(2011), 『유, 로봇』(2009), 『잃어버린 개념을 찾아서』(2005) 등이, 역서로 『플랫랜더』(2013), 『어둠의 속도』(2007),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2005) 등이 있다.
독일 베를린훔볼트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학교 ‘이미지행위 및 체현 연구소’에서 일했다. 현재 강릉원주대학교 미술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미지 이론과 현대 미술사를 강의하고 있으며, 바이오 아트와 신경미학, 그리고 이미지학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Vom Simulacrum zum Bildwesen: Ikonoklasmus der virtuellen Kunst(Springer: 2012)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두뇌의 재현: 유형학과 골상학을 위한 이미지」(2014), 「생명윤리의 저편? 바이오 아트의 비판적 실천」(2013), 「제2의 창조자로서의 예술가: 바이오테크와 예술적 자유」(2012)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신경제어공학을 연구하였다. 건국대학교 전기공학과에서 전기회로와 신호처리, 제어 및 생체공학을 강의하였으며, 인간의 사지 운동 제어와 과학사 연구에 종사, 현재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기술사연구소, 한국산업기술사학회, 자격루연구회의 설립을 주도하여 과학기술 문화유산의 연구와 복원에 종사하고 있으며, 최근에 자격루와 천문의기를 재현하여 국내외에 널리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저서로 『전통 속의 첨단 공학기술』(2002), 『한국의 물시계-자격루와 제어계측공학의 역사』(1995), 『전기회로와 신호』(1987) 등이, 논문으로 “Yeong-sil Jang (Unknown)”(2014), “Effect of External Viscous Load on Head Movement”(1984), “Saccadic Eye Movement Characteristics to Double-Step Stimuli”(1975) 등이, 특허로 “시간 측정 및 경보 시스템”(1999, 2012) 등이 있다.
목차
-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총서를 발간하며
머리말
제1부 동서의 상상력 이론과 실제
창의적 사고의 논리 | 김상환
칸트에 있어서 상상력의 두 측면 | 김상현
낭만주의와 상상(력)의 해방|최문규
초현실주의에 있어서 상상과 현실 | 오생근
물질적 상상, 형상적 상상 | 이지훈
유가와 도가에서 미, 예술, 상상 | 조민환
동아시아에 상상은 있는가: '상상(想像)', 신사(神思), 본체적 소요(逍遙) | 조송식
메이지의 상상, 번역: 'society'가 '사회'로 번역되기까지 | 최경옥
제2부 과학적 상상력과 예술적 상상력
수학적 상상력 | 최재경
과학적 상상력과 시적 상상력의 구분, 정당한가? | 박치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 이강영
통계물리학으로 상상해본 사회 복잡계 | 김범준
상상력을 상상하며: 융합에서 소통으로 | 김상욱
과학기술 패러다임 변화와 융합적 상상력 | 정지훈
SF, 과학적 상상과 상상적 과학의 교차 | 정소연
상상의 예술을 위한 '손 없는' 창조 | 신승철
세종의 자격루 창제에서 발현된 장영실의 상상력과 창의성 | 남문현
엮은이 및 글쓴이 소개
출판사 서평
분화와 전문화의 논리에 갇힌 근대적 학문에 대한 반성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아우르는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나눈 초학제적 대화의 기록
전문성을 얻는 대신 전인성을 상실한다는 것이 근대적 인간의 운명이며, 이것은 근대적 학문의 운명이기도 하다. 근대적 학문은 분과 학문이고, 분과 학문은 사고를 가두는 상자와 같다. 상자 안에 갇힌 학자는 삶의 세계로부터 고립된다. 따라서 근대적 분화 및 전문화의 논리가 드리우는 짙은 그늘을 생각할 때 오늘날 초학제 연구나 융합 학문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융합 학문은 이러한 분화적 사고의 한계를 타파하자는 데서부터 시작되었다.
2012년에 출범한 고등과학원 초학제 연구 프로그램의 패러다임-독립연구단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대화를 유도하고 가급적 기초적이고 초보적인 수준에서 융합 연구의 길을 개척한다는 과제를 설정했다. 이런 과제를 위해 패러다임-독립연구단은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분리되기 이전으로, 나아가 동양적 사유와 서양적 사유가 분화되기 이전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원대한 계획을 세웠다. 동서의 사유 패러다임이 서로 교차, 충돌, 순화되는 기회를 실험하여 새로운 보편성의 유형을 모색한다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의 주제는 ‘분류-상상-창조’로 집약되었고 이 세 가지 범주 각각을 매년 초학제 연구를 이끌어갈 선도 주제로 삼았다. 지난해에 ‘분류’를 주제로 한 1년차 연구 사업을 두 권의 책으로 정리한 데 이어 이번에는 ‘상상’을 화두로 지난 1년 동안 개최한 세미나, 심포지엄, 학술대회의 성과를 보충 정리한 결과물을 한 권의 책으로 묶어냈다. 이 책은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을 넘나드는 다양한 분야의 대표 학자들(김상환, 최문규, 오생근, 이지훈, 조민환, 김범준, 이강영, 정지훈 등)이 나눈 초학제적 대화를 담고 있으며, 넓은 관점에서 상상의 문제에 접근한 귀한 사례로서, 향후 국내외 초학제 연구의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왜 초학제연구인가?
융합 연구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세부 학문 분야 내에서 이루어지는 공동 연구, 다른 학문 분야 사이의 다학제 연구, 융합의 정도가 더 심화된 학제간 연구 등이 있다. 학제간 연구가 성숙하면 물리화학, 생화학, 인지과학, 생물물리와 같은 새로운 학문 분야가 생기기도 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 지향하는 초학제 연구는 이보다 더 넓은 의미의 융합 연구를 지향한다. 초학제 연구는 사고방식마저도 다른 ‘먼’ 학문 분야 사이의 융합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지식, 새로운 학문을 창출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다학제 연구와 학제간 연구의 결과물을 비빔밥이나 샐러드에 비유한다면, 초학제 연구는 음식 재료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완전히 잃고 새로운 형태로 태어나는 스프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초학제 연구는 태생적으로 독자적인 학문 분야로 진화하기 전 단계에서 수행되는 활동이어서 기존의 대학 조직이나 연구 지원 체계에서 제도적으로 안착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협동 과정이나 융합 연구 조직으로도 아직 미흡하다. 국내에서는 대학과 연구 기관들에서 많은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긴 하지만 기존의 시스템 내에서는 연구자들 사이의 구속력이 적어서 프로그램이 효과적이지 못한 한계가 있다. 외국에서는 대학 부설 고등연구원 같은 조직이 일회적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현재 고등과학원이 초학제 연구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고등과학원은 수개월 단위로 방문하는 국내외 교수와 고등과학원에 채용된 연구원을 중심으로 여러 사람이 모이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학제 연구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책은 그러한 초학제 연구의 결과물이다.
‘상상력’에 대한 성찰은 지식의 도약을 이루어내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
학문의 역사를 돌아볼 때, 위대한 도약의 계기는 기존의 분류 방식에 완강히 저항하는 어떤 분류 불가능자와 마주칠 때 성립한다. 표준의 시선으로 바라볼수록 무의미한 잔여로 나타나는 것, 삐딱하게 볼 때야 비로소 그 정체를 조금씩 드러내는 것이 분류 불가능자라는 이상한 얼룩이다. 이 책에서 ‘상상한다’는 말은 이런 의미의 삐딱하게 보는 법 일체를 포괄한다. 새로운 개념이 잉태될 가능성과 씨름하는 모든 작업은 비스듬한 시선의 상상력을 요구한다. 비스듬한 시선의 상상력은 서로 다른 복수의 관점이 자유롭게 교환하는 장소에서 유발될 가능성이 크다. 초학제 연구가 추구하는 이념도 이런 가능성을 떠나서 생각할 수 없다. 각자 자신의 문제에 몰입하던 분과 학문이 초학제 연구의 문턱을 지나게 되는 것은 주변 학문의 관점이 향하는 방향으로 곁눈질할 필요성으로부터 비롯된다.
이 책의 주요 내용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고등과학원에 모여서 ‘상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나눈 초학제적 대화를 담고 있는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 동서의 상상력 이론과 실제’에서는 동서의 문화적 전통에서 상상력 개념이 차지하는 위치와 이론적 함의를 중심에 두고 다양한 분야의 인문학자들이 의견을 개진한다. 일종의 상상력 개념의 역사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제2부 과학적 상상력과 예술적 상상력’에서는 동서의 과학과 예술에서 상상력이 구체적으로 작동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상상력을 매개로 두 영역이 만날 수 있는 방식을 중심에 두고 수학자, 물리학자, 예술가, 공학자, 인문학자가 돌아가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한다.
제1부를 여는 「창의적 사고의 논리」에서 김상환 교수는 ‘창조성 혹은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창의성을 핵심으로 하는 융합의 논리를 형식화할 가능성을 타진한다. 이를 위해 한편으로는 철학적 사유를 논리적, 변증적, 창의적 사고라는 세 가지 입장으로 분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학습이론과 발달심리학의 연구 성과들을 끌어들여 창의적 사고의 논리적 특성을 설명한다.
「칸트에 있어서 상상력의 두 측면」에서 김상현 교수는 칸트의 상상력 이론을 소개한다. 그리고 판단력은 근본적으로 반성적 판단력이며 규정적 판단력은 반성적 판단력의 특수한 한 형태라는 들뢰즈의 주장에 대해 칸트적 맥락에서 이견을 제기한다.
「낭만주의와 상상(력)의 해방」에서 최문규 교수는 독일 낭만주의에 의해 새롭게 평가된 상상의 미학적,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고, 인문학과 상상이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역설한다.
「초현실주의에 있어서 상상과 현실」에서 오생근 교수는 초현실주의의 철학적 태도와 정치적 입장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고, 초현실주의가 기존의 모든 억압에 대한 반항이자 정신의 완전한 자유에 대한 갈망이며 끊임없이 세계와 삶을 변화시키려는 의지임을 강조한다.
「물질적 상상, 형상적 상상」에서 이지훈 박사는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과 퍼스의 가추법이 가진 유사점에 대해 살펴본다. 물질적 상상과 가추법은 모두 대상에 대한 놀라움으로부터 시작되고, 구어적 추론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 두 가지 상상은 예술적 창의성과 과학적 창의성을 위한 공통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유가와 도가에서 미, 예술, 상상」에서 조민환 교수는 문인 사대부들의 그림이 보여주는 두 가지 경향성 - 유가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형사(形似), 그리고 도가 사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사(神似) - 을 설명하면서 상(像)의 문제에 접근한다.
「동아시아에 상상은 있는가: ‘상상(想像)’, 신사(神思), 본체적 소요(逍遙)」에서 조송식 교수는 동양 예술론의 핵심을 ‘신사’에서 찾는다. ‘대상을 형상화하는 능력’에 해당하는 신사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무한히 전개되는 감성적 활동으로, 어떤 특정한 대상에 한정되지 않고 우주 본체와 함께 무한히 변화하면서 전개된다.
「메이지의 상상, 번역: ‘society’가 ‘사회’로 번역되기까지」에서 최경옥 박사는 메이지유신 시기 ‘society’의 번역어로 ‘사회’가 정착된 과정을 중심으로 번역적 상상력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소사이어티의 의미를 담을 수 있는 말로 ‘사회’라는 용어를 고안해낸 번역적 상상력이 서양과 소통할 수 없었던 대다수의 일본 대중을 근대의 길로 이끈 소중한 디딤돌이 되었음을 역설한다.
제2부의 첫 글인 「수학적 상상력」에서 최재경 교수는 한편으로는 수학에서 모든 증명은 논리적으로 완벽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논리 그 자체가 새로운 수학적 증명을 발견하는 데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한다는 난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난점의 해답으로 직관력과 상상력을 통한 새로운 증명의 발견을 제시하고, 새로운 문제 해결의 과정에서 상상력이 얼마나 결정적인 역할을 했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과학적 상상력과 시적 상상력의 거리」에서 박치완 교수는 바슐라르의 관점에서 과학적 상상력에는 객관적 지위를 부여하되 시적 상상력에는 주관적 지위를 부여하는 통념을 비판하면서, 상상과 사유의 대립?구분 속에서 사라져버린 것들을 상상을 통해 되살리는 가운데 철학과 과학을 시적으로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서 이강영 교수는 생물체가 가장 효과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본다’라는 행위가 현대물리학이 발전함에 따라 어떻게 개념적으로 변해가고 있는지를 추적하며 이러한 개념적 확장의 과정을 현대물리학의 네 가지 위대한 발견인 원자, 중성미자, 쿼크, 블랙홀이라는 실례를 통해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한다.
「통계물리학으로 상상해본 사회복잡계」에서 김범준 교수는 사회적 현상의 분석과 관련하여 통계물리학의 개념과 방법론이 가질 수 있는 이점에 대해 고찰하면서 ‘사회물리학’이 채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상상력을 상상하며: 융합에서 소통으로」에서 김상욱 교수는 예술적 상상력과 과학적 상상력은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역설한다. 과학적 상상력은 기존의 지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필요하며, 따라서 평범한 상상력을 뛰어넘는 반면 예술적 상상력은 문제의 답을 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일견 과학적 상상력보다 더 자유로워 보이지만, 현대 예술의 발전사는 예술적 상상력에 많은 기여를 해온 것이 다름 아닌 과학적 상상력이었음을 보여준다.
「과학과 기술 패러다임의 변화와 융합적 상상력」에서 정지훈 박사는 ‘개방의 과학’이라는 논제로 기존 과학의 ‘비밀주의’와 ‘폐쇄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참여와 공유가 과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어가고 있으며, 다양한 협업과 융합적 상상력을 통해 새 시대를 열어갈 수 있는 분위기 조성과 인프라 구축이 시급함을 역설한다.
「SF, 과학적 상상과 상상적 과학의 교차」에서 정소연 작가는 상상과 관련된 과학소설(SF)의 두 가지 핵심 개념 - 노붐(novum)과 상상적 과학(imaginary science) - 을 소개하고, 이것들이 과학소설에서 어떻게 교차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상의 예술을 위한 ‘손 없는’ 창조」에서 신승철 교수는 예술적 상상력을 현실화하는 데 있어서 손의 활동을 중시한 15세기 미술사에서 시작해 회화의 학문적 지위, 예술가의 사회적 지위라는 문제 때문에 어떻게 ‘손의 정신화’가 일어나고, 이것이 어떻게 역설적으로 손에 대한 부정을 야기했는지를 추적한다. 또한 이런 역설적 전도를 중심으로 예술적 상상력이 내면적 관념이 되어가는 경향, 예술의 형이상학적 도약, 예술의 자기부정의 과정 등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세종의 자격루 창제에서 발현된 장영실의 상상력과 창의성」에서 남문현 교수는 장영실의 자격루를 복원했던 실제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계학(horology)의 관점에서 상상력과 창의성의 관계를 되돌아보며, 최근 실물로 재현된 자격궁루의 원형인 보루각자격루의 구조와 원리, 기능에 대한 자세한 소개와 함께, 그 속에서 나타난 동아시아의 기술적 상상력의 특징들을 재조명한다.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총서(KIAS Transdisciplinary Research Library)]
고등과학원은 기존 학문 제도와 과학적 방법론의 한계를 넘어서는 보다 창조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각 학문 분야의 연구 주제 및 방법 간의 대화와 교류를 통해 과학 연구와 과학 문화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초학제 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총서는 기초이론과학과 인문사회예술 등 다양한 분야 사이의 1차적이고 수준 높은 대화를 모색하는 초학제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발간될 예정이다.
기본정보
ISBN | 9788961472159 | ||
---|---|---|---|
발행(출시)일자 | 2015년 04월 30일 | ||
쪽수 | 391쪽 | ||
크기 |
153 * 225
* 30
mm
/ 632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총서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