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중관학특강: 색즉시공의 논리

김성철 저자(글)
오타쿠 · 2022년 04월 19일
10.0
10점 중 10점
(11개의 리뷰)
집중돼요 (56%의 구매자)
  • 중관학특강: 색즉시공의 논리 대표 이미지
    중관학특강: 색즉시공의 논리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중관학특강: 색즉시공의 논리 사이즈 비교 147x211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2,500 25,000
적립/혜택
1,250P

기본적립

5% 적립 1,2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2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주문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불교 중관학의 최고 권위자, 동국대 경주캠퍼스 김성철 교수의 중관학 강의록이다. 유튜브에 업로드 되어 있는 김성철 교수의 '중관학 10강'을 녹취하여 내용을 보완하고 주석을 달았다. 중관학은 반야경의 공(空)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해명하는 학문이기에, 공의 논리학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갖가지 고정관념에서 우리를 해방시켜 주기 때문에 해탈의 논리학이라고 부를 수 있다. 김성철 교수는 중관학의 핵심이 사구 비판의 논법에 있고, 지식이 아니라 우리의 인지(認知)를 세척하는 일종의 테크닉이며, 암기가 아니라 훈련을 통해 체득하는 학문이어서 불교 내의 수학과 같다고 말한다. 오랜 기간 중관학 연구에 몰두해 온 김성철 교수만의 통찰이다. 본서를 숙독하는 독자는'공'의 의미와 효용, 그리고 공사상이 출현하게 된 계기에 대해 정확하고 전문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김성철

김성철

金星喆

법명은 도남(圖南). 1957년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한 후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대학원에서 인도불교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22년 현재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명예회장이다.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장, 불교문화대학원장, 불교사회문화연구원장, 티벳장경연구소장과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제23대 회장 겸 이사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여 권의 저·역서와 8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저서 가운데 ≪원효의 판비량론 기초 연구≫ 등 3권이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고, ≪승랑 - 그 생애와 사상의 분석적 탐구≫는 한국연구재단 10년 대표 연구 성과로 선정된 바 있다
제6회 가산학술상(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제19회 불이상(불이회, 2004), 제1회 올해의 논문상(불교평론, 2007), 제6회 청송학술상(청송장학회, 2012), 제10회 반야학술상(반야불교문화연구원, 2020), 제2회 탄허학술상(한국불교학회, 2021)을 수상하였다.
홈페이지 다음 카페 - 김성철 교수의 체계불학(www.kimsch.net)를 운영한다.

목차

  • 머리말 3
    차례 7

    제1강 - 중관학의 취지와 초기불전의 중도 11
    중관학이란 학문 분야 11
    우리나라의 중관학 연구 11
    색즉시공과 중관학 12
    중관학은 공의 논리학이다 12
    중관학은 해탈의 논리학이다 13
    중관학은 열반의 논리학이다 14
    중관학은 연기(緣起)의 논리학이다 15
    연기(緣起)에 대한 정의 16
    공(空)이란 무엇인가? 17
    중관학은 반(反)논리학이다 18
    중관학은 중도(中道)의 논리학이다 19
    중관학은 해체의 논리학이다 20
    말로써 말을 버리는 중관학 21
    종교적, 철학적 의문을 해결하는 중관학의 방식 22
    중관(中觀, Madhyamaka)의 어원과 의미 27
    중관학의 중도(中道)란 무엇인가? 28
    고행과 삼매는 번뇌를 뿌리뽑지 못한다 29
    중도의 수행 - 팔정도 = 지계(持戒)에 토대를 둔 선(禪) 30
    삼매와 고행은 번뇌의 뿌리를 뽑지 못한다 31
    종교인들이 고행을 하는 이유 32
    선(禪)수행의 기원 - 12세 싯다르타 태자의 염부수 하(下) 정관(靜觀) 34
    실천적 중도를 통해 깨달은 사상적 중도 37

    제2강 - 중관학의 인물과 반논리학 개관 41
    용수라는 이름과 활동시기 41
    중관학은 현교 가운데 최고의 가르침이다 42
    부처님에 버금가는 용수 스님 43
    중관학의 교과서 ≪중론≫ 44
    용수의 저술과 ≪회쟁론≫ 45
    나란다의 열 일곱 스승과 용수 46
    삼예 사원의 건립과 티벳불교 4대 종파의 기원 49
    대승불교사상의 두 기둥 - 중관과 유식 52
    반야 공사상의 취지 53
    중관학의 반논리학 58
    개념의 실체성 비판의 논리적 토대 - 환멸연기 61
    ‘판단의 사실성 비판’은 ‘개념의 실체성 비판’에 근거한다 63
    ‘개념의 실체성 비판’의 토대는 유전연기가 아니라 환멸연기 65
    개념의 실체성 비판 예시 - 눈은 실재하지 않는다. 66

    제3강 - 중관학과 화엄학에 의한 개념의 실체성 비판 71
    ≪중론≫은 중관논리를 익히는 연습문제집이다 71
    서양의 논리학 체계와 비교한 중관학의 반논리학 72
    효봉 스님의 간화선과 오도송 73
    연료 없는 불은 없다 79
    불 없는 연료는 연료가 아니다 81
    중관논리로 분석한 삶과 죽음 82
    제행무상으로 분석한 삶과 죽음 84
    삶도 없고 죽음도 없다 85
    화엄의 일즉일체의 통찰을 통한 개념의 실체성 비판 86
    우주란? 87
    시계란? 88
    욕심이란? 90
    시작이란? 종말이란? 91
    물질이란? 93
    마음이란? 94
    모은 것은 살(肉)인가? 95

    제4강 - 화엄학의 일즉일체에 의한 개념의 실체성 비판 97
    개념의 테두리를 무너뜨리는 화엄학의 일즉일체 97
    모든 것이 살이다 98
    은산철벽과 같은 화두 98
    모든 풍경은 망막 살의 모습 99
    청각, 촉각, 미각 역시 내 살의 느낌이다 99
    모든 것이 뇌신경이다 100
    일중해무량 101
    유식무경 - 모든 게 마음이다 103
    유경무식 - 모든 게 다 대상이다 103
    경식구민 - 대상과 마음이 모두 사라진다 105
    모든 게 다 바깥이다, 모든 게 다 안이다 106
    모든 것이 다 부처다 108
    부처님과 전륜성왕의 상호 108
    두두물물 부처 아닌 게 없다 109
    모든 게 다 밥이다 111
    모든 게 다 똥이다 112
    모든 게 다 무기다 113
    모든 게 다 돈이다 114
    세상의 참모습 - 일중해무량, 일중일체 115
    웃음과 울음은 무엇일까? 115
    지식과 지혜의 차이 116
    통계곡선의 분포도가 말하는 일즉일체 117
    컵은 무엇인가? 119
    화엄적 절대긍정에서 반야의 절대부정으로 120
    선문답의 취지 122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분별 - 정주영씨의 소떼 북송 123
    반야지혜는 삶 속에서 최고의 분별로 나타난다 127

    제5강 - 판단의 사실성 비판: 증익, 손감, 상위, 희론 129
    일반적인 인도사상 문헌의 서술방식 - 열거, 정의 검토 129
    중관학 문헌은 논리적 검토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131
    파사현정의 방식 132
    깨달음은 체험이 아니다 134
    깨달음에는 내용이 없다 136
    지난 강의 복습 137
    홍조는 부끄러움만을 나타내는가? 137
    화엄학의 일즉일체에 근거한 다면적 정책론 138
    심리상담의 두 방향 - 정서치료와 인지치료 139
    정서치료는 누구나 할 수 있다 140
    인지 치료의 공식 141
    판단의 사실성 비판 144
    사구 - 네 가지 판단 144
    칸트의 이율배반과 중관학의 사구비판 차이 146
    사구의 특성 148
    증익견, 손감견, 상위견, 희론견 149
    “비가 내린다.”는 판단을 예로 든 사구비판 151
    제1구적 이해와 그에 대한 비판 152
    제2구적 이해와 그에 대한 비판 153
    증익견은 분석판단, 손감견은 경험판단 154
    제3구적 이해와 그에 대한 비판 155
    제4구적 이해와 그에 대한 비판 155
    증익견, 손감견, 상위견, 희론견이 오류인 이유 156
    사구비판의 토대 - 환멸연기 157
    사구비판은 언어를 대하는 태도를 시정하는 것 158
    종교적, 철학적 의문의 허구성 159
    얼음이 언다, 바람이 분다 160
    온 세상이 중도의 법을 설한다 161
    모든 것이 비로자나부처니의 설법 162
    추론 비판의 기원 - 짜라까 상히따의 답파 논법 164

    제6강 - 추론의 타당성 비판, 중관논리 연습, 귀경게 풀이 167
    ≪중론≫ 제24장 관사제품의 추론 비판 170
    사성제 해설 170
    고성제 풀이 171
    집성제 풀이 173
    멸성제와 도성제 174
    ≪중론≫ 제24장 관사제품의 시작 - 공사상에 대한 논적의 비판 175
    자띠 논법에 의한 용수의 반박 177
    이율배반과 상위결정의 오류 181
    원효가 현장의 유식비량을 비판할 때 활용한 상위결정의 오류 183
    중관논리 개관 185
    수평선 논파 186
    뇌는 우리 몸의 보조기관이다 189
    시간적 시작에 대한 비판 192
    아뇩다라삼먁삼보리 194
    중론 귀경게 해설 195

    제7강 - ≪중론≫ 관인연품과 관거래품의 게송 해설 203
    ≪중론≫ 제1장 관인연품 제7게 해설 203
    ≪중론≫ 제2장 관거래품 제1게 해설 208
    시간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토로와 독각행자 211
    ≪중론≫ 제1장 관거래품 제2게 해설 215
    수학의 미분학으로 풀어 본 움직임 지각 217
    입체감 역시 찰나적인 비교를 통해 일어난다 222
    육조 혜능 스님의 심동(心動) 223
    ≪구사론≫에서 정의하는 의근 226
    ≪중론≫ 제2장 관거래품 제7, 10, 11게 229
    “데와닷따가 간다.”고 말하면 오류가 없을까? 233
    〈물불천론〉의 움직임 비판 235

    제8강 - ≪중론≫ 게송 해설 및 화엄과 집합론 239
    제3장 관육정품 복습 239
    제10장 관연가연품의 게송에 대한 분석 243
    제25장 관열반품의 제19게의 가르침 247
    제27장 관사견품의 마지막 게송 248
    중관학과 화엄학의 만남 249
    찰나설과 마음의 정체 252
    기독교의 삼위일체와 부처님의 삼신 254
    수학 집합론의 한계와 중관논리 261
    수학의 집합론이 봉착하는 패러독스 262
    제8강 종료의 후 질문에 대한 답변 - 제24장 관사제품의 삼제게 해설 264
    중도는 극단적 행위로도 나타난다 269

    제9강 - 집합론의 역설, 논리적 정당방위, 낙서금지의 비유 271
    역설과 중관논리 271
    역설을 이용한 장조범지 교화 273
    불립문자의 자가당착 275
    불립문자를 비판하는 혜능 스님 276
    “방하착!”과 “마음을 비워라!”의 자가당착 279
    “분별을 버려라!”, “시비를 가리지 말라!”의 자가당착 280
    모든 말은 자가당착에 빠진다. 280
    공사상의 역설에 대한 논적의 비판 - ≪회쟁론≫ 281
    역설과 중관논리의 구조적 공통점 284
    집합론의 역설 285
    역설의 원인 - ‘자기 지칭’보다 선행하는 ‘생각의 분할’ 288
    러셀 - 계형이론을 통한 역설 해결 290
    계형이론의 문제점 291
    역설에 대한 용수의 해결 292
    수레, 옷감, 항아리의 비유 293
    꼭두각시와 허깨비의 비유 295
    용수의 해결 - 논리적 정당방위 297
    쫑카빠의 비유 298
    공에 대한 허무주의적 이해의 위험성 300
    낙서금지의 비유 301

    제10강 - 불립문자의 효용, 공의 위험성과 실천, 성철 스님 303
    지난 강의 요약과 오늘 강의 예고 303
    불립문자의 효용성 305
    부처님의 대기설법 307
    불립문자는 대(對)-시대적 대기설법 308
    공사상의 위험성 - 가치판단 상실 300
    공은 최상의 분별로 구현된다 - 묘관찰지와 전식득지 311
    부처님의 분별적 가르침 - 율장 315
    공의 위험성 - 독사와 주술의 비유 318
    공병을 극복하는 방법 319
    ‘조문도석사가의’와 범천의 권청 320
    공의 실천 - 육바라밀 322
    보시바라밀 322
    지계바라밀 323
    인욕바라밀 325
    정진바라밀 325
    선정바라밀 326
    반야바라밀 327
    깨달음의 사회적 실천 327
    성철 스님의 열반송에 대한 중관학적 해석 330

책 속으로

p.20 - 어떤 방에 들어가서 ‘큰 방’이라는 생각이 떠오를 때, 그 생각은 머릿속에 염두에 두었던 ‘작은 방’에 의존해서 발생합니다. 큰 방을 염두에 두고서 그 방에 들어간 사람에게는 “방이 작다.”는 생각이 떠오를 겁니다. 이렇게, 하나의 방에 대해 어떤 사람은 ‘큰 방’이라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은 ‘작은 방’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런 생각은 각자 머릿속에 염두에 두었던 다른 방의 크기와 비교해서 발생한 생각입니다. 즉, 연기(緣起)한 것입니다. 따라서 원래 그 방에 크다거나 작다는 크기가 있는 게 아닙니다. 원래 그 방의 크기에는 실체가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그 방의 크기가 공(空)한 것입니다. 이렇게 그 방의 크기는 크다거나 작다는 이분법적 생각에서 벗어나 있기에 중도(中道)인 것입니다. 중관학에서 ‘연기, 공, 중도’의 세 가지 개념이 동의어인 이유입니다.

p.21 - 선가의 격언으로 ‘이언견언(以言遣言)’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말로써 말을 버린다.”는 뜻입니다. 비유한다면 장작을 불에 태울 때 장작을 잘 타게 하기 위해서 장작 하나를 꺼내어 그걸로 들쑤셔줍니다. 그러면 장작에 붙은 불이 잘 탑니다. 이렇게 장작에 불이 붙어서 활활 타오르면 불쏘시개로 사용한 장작을 어떻게 할까요? 불길 속에 던져서 그것도 태워 버립니다. 장작더미에 불을 붙일 때 그 장작더미를 모두 태우는 것이 목적이지만, 장작더미에서 꺼낸 장작 하나가 장작더미를 태우는 도구로 쓰입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가 생각과 말의 속박에서 벗어나야 하지만, 우리로 하여금 생각과 말의 속박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것이 바로 우리의 생각과 말인 것입니다. 이렇게 말을 버리기 위한 말이 중관학의 말들입니다. 중관학 관련 문헌에 실린 엄청난 말들이 모두 말의 속박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한 불쏘시개들입니다.

p.26 - 중, 고등학교 수학시간에 선생님이 아주 어려운 문제를 내서 학생들이 풀게 했는데, 아무도 못풀고 헤매고 있을 때 어떤 학생 하나가 손을 들고서 선생님에게 “선생님 문제가 잘못되었어요.”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래서 선생님이 검토해 보니까 진짜 자기가 문제를 잘못내서 학생들이 못풀었던 것입니다. 이 때 이 학생은 너무나 수학을 잘하는 학생인 것입니다. 이와 같은 것이 중관학의 방식입니다. 종교적, 철학적 의문에 답을 내주는 것이 아니고 그런 문제 자체가 잘못 구성됐다는 것을 자각하게 해 주는 것, 그런 문제들은 “흑백논리로 작동하는 우리의 생각이 만들어낸 허구의 의문이구나.”라는 사실을 자각하게 해서, 우리로 하여금 모든 인지(認知)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것이 바로 중관학인 것입니다.

출판사 서평

중관학과 관련하여 김성철 교수는 지금까지 많은 번역서와 저서를 출간하였다. 원전 번역으로는 〈중론〉(1993), 〈회쟁론〉(1999), 〈백론/십이문론〉(1999)이 있다. 〈회쟁론〉은 산스끄리뜨 원문과 티벳어 번역문, 그리고 한역문을 병치하면서 번역한 책으로, 불교학연구자들의 원전언어 독해력 함양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이에 함께 〈회쟁론 범문, 장문 문법 해설집〉을 출간하였다. 현대의 학술서로 인도 학자 무르띠(Murti)가 저술한 〈불교의 중심철학〉(1995)을 번역하였다. 저술로는 중관학 입문서인 〈중론, 논리로부터의 해탈 논리에 의한 해탈〉(2004), 〈중관사상〉(2006), 동아시아의 중관학인 삼론학의 중흥조 승랑 스님의 생애와 사상을 탐색한 〈승랑, 그 생애와 사상에 대한 분석적 탐구〉(2011)가 있다. 그리고 2, 3년 전부터 〈역설과 중관논리〉, 〈공과 윤리〉, 〈선불교의 뿌리〉와 같은 중관학 관련 논문모음집을 발간해오고 있으며, 박사학위논문인 〈용수의 중관논리의 기원〉 역시 3년 전에 단행본으로 출간하였다.
이상과 같이 중관학과 관련한 김성철 교수의 저, 역서가 10여 권을 상회하지만, 이번에 출간하는 〈중관학특강〉은 강의록이라는 점에서 그 성격이 독특하다. 난해하기로 이름 난 중관학에 대해 다양한 예를 들어가면서 평이하게 해설할 뿐만 아니라, TV를 시청하는 일반 청취자를 배려하여, 불교의 기초교리에 대한 설명도 간간이 삽입하고 있다. 중관학과 관련하여 김성철 교수가 저술한 최초의 대중적 저술이라는 점에서 본서가 중관학을 우리 사회에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97618062
발행(출시)일자 2022년 04월 19일
쪽수 336쪽
크기
147 * 211 * 24 mm / 631 g
총권수 1권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10점 중 10점
/추천해요
이 리뷰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있습니다.
10점 중 10점
/쉬웠어요
저자가 증관학의 대가라고 알고 있습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중관학은 갖가지 고정관념에서
우리를 해방시켜주는
해탈의 논리학이다
리뷰 썸네일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중론이라는 기이하고 난해한 책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놓은 책이다. 읽어 본 중론 해설서 중에서 으뜸이다. 가끔 오타가 있지만 초판의 불가피함으로 이해할 수 있고 거슬릴 정도도 아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색즉시공의 이해.
기대 됩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공사상의 이해..기대 됩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진심으로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10점 중 10점
/추천해요
배송이빠르고 좋아요.
10점 중 10점
/최고예요
추천받아 구입했습니다. 잘 읽을게요.

문장수집 (5)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중관학 문헌은 논리적 검토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관학특강: 색즉시공의 논리
평생 남녀의 무리를 속였으니 하늘을 넘치는 죄업이 수미산을 넘는구나.
산채로 아비지옥에 떨어져 그 한이 만 갈래인데 둥근 바퀴 하나가 붉은 빛을 토하며 푸른 산에 걸렸네.
중관학특강: 색즉시공의 논리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공간 인간
이벤트
  • [sam] 교보문고 북앤플러스알파 요금제
  • 25년 4월 북드림
  • 4월 단말기 북꽃축제 패키지
01 / 0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