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현대인을 위한 불교상식 108문답

한영출판사 편집부 저자(글) · 이만 감수
한영출판사 · 2018년 05월 20일
10.0
10점 중 10점
(1개의 리뷰)
(null%의 구매자)
  • 불교상식 108문답 대표 이미지
    불교상식 108문답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불교상식 108문답 사이즈 비교 153x226
    단위 : mm
01 / 02
소득공제
10% 4,500 5,000
적립/혜택
250P

기본적립

5% 적립 2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2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3(목)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현대인을 위한 불교상식 108문답은 불교란 어떤 종교인지부터 시작하여 교리, 신행 등 108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적은 책이다. 상식에 속하는 질문들로 구성하여 평소 불교에 대해 궁금했거나, 좀더 알고 싶은 독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했다.

작가정보

감수 이만

목차

  • 1부 불교, 연기(緣起), 삶의 새로운 안목
    1 불교는 어떤 종교입니까?
    2 불교는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 종교입니까?
    3 불교와 다른 종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4 연기법(緣起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세요.
    5 연기법은 우리의 현실생활과 어떤 관련이 있습니까?
    6 연기법 이외에도 많은 교리들이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7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因緣)이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8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무엇입니까?
    9 불교에서 인생을 고(苦)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0 불교에서는 인생의 괴로움을 어떻게 해결합니까?
    11 고(苦)에서 벗어나는 수행법인 팔정도는 무엇을 말합니까?
    12 팔정도(八正道)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입니까?
    13 석가모니부처님 당시에 다른 종교들은 고(苦)의 문제를 어떻게 보았습니까?
    14 불교를 왜 인본주의(人本主義) 종교라고 합니까?
    15 신본주의(神本主義) 종교에 대한 불교의 견해는 어떠합니까?
    16 불교 이외의 외도(外道)의 사상에 대한 불교의 관점은 어떠합니까?
    17 불교와 다른 종교가 본래 지향하는 길은 같지 않습니까?
    18 불교에서는 신(神)의 존재나 권능을 인정하지 않습니까?
    19 부처님은 신(神)입니까? 혹은 신과 대등한 존재입니까?
    20 불교에서 인간의 위치를 높이 여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1 불교에서는 현생이 전생의 업(業)에 의해 정해져 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불교는 숙명론(宿命論)이 아닌가요?
    22 힌두교의 윤회설과 불교의 윤회설은 어떻게 다릅니까?
    23 석가모니부처님 이외에 많은 부처님이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4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는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습니까?
    25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26 삼법인(三法印)과 사법인(四法印)의 유래는 무엇입니까?
    27 사법인(四法印)의 내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해주세요.
    28 대승불교의 공사상(空思想)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29 반야(般若)란 무엇을 의미하는 말입니까?
    30 보살(菩薩)은 어떤 분을 말합니까?
    31 정토신앙(淨土信仰)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32 밀교(密敎)란 어떤 내용입니까?
    33 선종(禪宗)은 어떤 불교입니까?

    2부 붓다, 무소유(無所有), 석가모니부처님
    34 부처님의 성씨(姓氏)와 이름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입니까?
    35 부처님이란 말의 뜻은 무엇입니까?
    36 부처님의 탄생과정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담겨 있습니까?
    37 부처님 탄생설화가 상징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38 ‘천상천하 유아독존’은 무슨 의미입니까?
    39 석가모니 부처님의 유년기 생활은 어떠했습니까?
    40 부처님이 태자시절에 농경제에 참석해서 겪은 일은 무엇입니까?
    41 부처님이 태자시절에 성문 밖으로 나갔다가 본 것은 무엇입니까?
    42 사문유관(四門遊觀)의 가장 큰 의미는 무엇입니까?
    43 부처님은 언제 출가하셨습니까?
    44 부처님께서 출가 이후 처음 찾아간 스승은 누구였습니까?
    45 부처님께서 고행주의(苦行主義)의 외도를 떠나서 찾은, 또 다른 스승들은 누구입니까?
    46 수정주의(修定主義)의 두 스승으로부터 떠난 부처님은 어떤 수행을 했습니까?
    47 부처님께서는 고행(苦行)을 버리신 것입니까?
    48 부처님께서는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깨달으셨습니까?
    49 부처님께서는 어떤 경험으로 어떤 진리를 깨달으셨습니까?
    50 보리수(菩提樹)는 부처님의 깨달음과 어떤 관련이 있습니까?
    51 부처님께서 정각을 얻을 당시 그 깨달음의 내용은 무엇입니까?
    52 부처님께 최초로 귀의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53 부처님께서 최초로 법을 전하려 했던 수행자는 누구입니까?
    54 최초의 불교 교단은 어떻게 성립되었습니까?
    55 부처님께서 초전법륜에서 설한 중도(中道)와 사성제(四聖諦)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56 초전법륜(初轉法輪)이란 어떤 의미입니까?
    57 부처님의 전도선언(傳道宣言)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58 전도선언 이후 부처님의 제자가 된 이들은 어떤 사람들입니까?
    59 부처님의 제자 중에서 깨달음을 얻은 여러 성자들과 부처님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60 최초의 사원은 어느 곳의 무슨 절입니까?
    61 부처님 당시에 어떤 불교사원들이 지어졌습니까?
    62 교단이 성립된 뒤에 부처님의 하루 일과는 어떠했는지요?
    63 부처님 당시 스님들의 식생활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64 스님들에게 먹기를 금한 오신채(五辛菜)란 무엇입니까?
    65 오신채(五辛菜)를 금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66 부처님 당시에도 스님들에게 육식이 금지되었습니까?
    67 불가(佛家)에서는 언제부터 육식이 금지되었습니까?
    68 부처님의 마지막 제자는 누구입니까?
    69 부처님께서는 언제, 어디에서 열반하셨습니까?
    70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은 무엇이었습니까?
    71 불교의 4대 성지는 어디입니까?
    72 불교의 3대 성수(聖樹)는 무엇입니까?
    73 부처님을 부르는 명호(名號)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74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부처님의 가족과 친척은 누구입니까?

    3부 자유, 신행(信行), 나와 이웃의 행복
    75 신행생활에는 어떤 유익함이 있습니까?
    76 올바른 신행이란 어떤 것입니까?
    77 귀의(歸依)함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78 불교에서 말하는 행복은 어떤 것입니까?
    79 열 가지의 유익한 행위인 십선업(十善業)이란 무엇입니까?
    80 자비희사(慈悲喜捨)의 사무량심(四無量心)이란 무엇입니까?
    81 불교의 수행방법은 사람의 근기에 따라서 어떻게 다릅니까?
    82 외도들은 불상이 우상숭배라고 하는데 어떻게 보아야 합니까?
    83 절에 불상을 모시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84 삼신불(三身佛)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85 우리나라의 절에는 어떤 부처님들이 모셔져 있습니까?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 비로자나불(毘盧 那佛) /
     아미타불(阿彌陀佛) /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 /
     미륵불(彌勒佛) / 문수보살(文殊菩薩) /
     보현보살(普賢菩薩)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 지장보살(地藏菩薩)
    86 부처님의 여러 수인(手印)에는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석가모니부처님 근본오인(根本五印) /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과 법계정인(法界定印) /
    아미타불의 구품정인(九品定印) / 기타 수인
    87 보시(布施)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88 보시에는 어떤 공덕이 있습니까?
    89 공양(供養)이란 무엇이며 보시와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90 공양에는 어떠한 공덕이 있습니까?
    91 공양에는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92 육법공양(六法供養)이란 무엇입니까?
    93 연등(燃燈)을 밝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94 예불(禮佛)이란 무엇입니까? 123
    95 오분향(五分香)과 칠정례(七頂禮)의 내용은 무엇입니까?
    96 범종(梵鐘)을 치는 의미는 무엇이며, 하루에 몇 번씩 치는지요?
    97 사찰의 사물(四物)은 무엇입니까?
    98 불교에서는 왜 염불(念佛)을 하는 것입니까?
    99 사경(寫經)의 의미와 공덕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100 절[拜]을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01 참선(參禪)의 기원과 의미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102 참회(懺悔)의 의미와 방법은 무엇입니까?
    103 불교에서 말하는 살생(殺生)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104 직접 생명을 죽이는 것만 살생입니까?
    105 부처님께서는 범죄에 대해서 어떻게 설명하셨나요?
    106 장애인에 대한 불교의 가치관은 어떤가요?
    107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장애인은 어떤 분들이 있는지요?
    108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이상적인 정치는 어떠한가요?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88670682
발행(출시)일자 2018년 05월 20일
쪽수 142쪽
크기
153 * 226 * 9 mm / 241 g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10점 중 10점
현대인을 위한 불교상식 108문답


〉〉〉 책소개

불교에 대해 궁금했던 질문들을 알기 쉽게 설명해 놓은 책!
오랫동안 절에 다녀도 불교교리를 잘 모르는 이들과
불교를 처음 접하는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문답집!


이 책은 우리가 평소에 두루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거나 오해하고 있는 `불교 교리' 에 대해서 궁금했던 질문들을 간결하게 풀어 놓은 문답집입니다. 오랫동안 절에 다녀도 불교의 기본교리를 잘 모르는 불자들, 그리고 불교를 처음 접하는 일반인들에게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이 책의 1부에서는 불교가 어떤 종교이며, 다른 종교나 사상들과 구별되는 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다양한 방법으로 사유하면서 발전해왔는지를 요약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불교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연기법(緣起法)에서부터 업(業)과 윤회(輪廻) 사상에 대한 내용까지를 기존의 일반적인 통념이나 인습에서 벗어나 올바르게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구성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불교의 교주인 석가모니부처님에 대해 꼭 알아야 할 기본적인 상식을 담았습니다. 부처님이 어떤 분이시며 그 분의 행적은 어떠했는지, 그리고 경전에 전하고 있는 부처님 당시 교단의 모습에 대해서도 이해를 도울 수 있게 구성하였습니다.
3부에서는 수행과 신행생활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을 모아 수록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불교에서는 맹신이 아닌 올바른 이해를 수반한 신행(信行)을 강조하는데, 그 이유와 근거들을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사찰에서 만날 수 있는 여러 불보살님의 모습과 불교의 의식, 그리고 기본적인 불교 수행의 개념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였습니다.




〉〉〉 목차


1 부 불교, 연기(緣起), 삶의 새로운 안목


1 불교는 어떤 종교입니까? 
2 불교는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 종교입니까?
3 불교와 다른 종교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4 연기법(緣起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세요.
5 연기법은 우리의 현실생활과 어떤 관련이 있습니까?
6 연기법 이외에도 많은 교리들이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7 불교에서 말하는 인연(因緣)이란 무엇을 의미합니까?
8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무엇입니까?
9 불교에서 인생을 고(苦)라고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0 불교에서는 인생의 괴로움을 어떻게 해결합니까?
11 고(苦)에서 벗어나는 수행법인 팔정도는 무엇을 말합니까?
12 팔정도(八正道)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입니까?
13 석가모니부처님 당시에 다른 종교들은 고(苦)의 문제를 어떻게 보았습니까?
14 불교를 왜 인본주의(人本主義) 종교라고 합니까?
15 신본주의(神本主義) 종교에 대한 불교의 견해는 어떠합니까?
16 불교 이외의 외도(外道)의 사상에 대한 불교의 관점은 어떠합니까?
17 불교와 다른 종교가 본래 지향하는 길은 같지 않습니까?
18 불교에서는 신(神)의 존재나 권능을 인정하지 않습니까?
19 부처님은 신(神)입니까? 혹은 신과 대등한 존재입니까?
20 불교에서 인간의 위치를 높이 여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1 불교에서는 현생이 전생의 업(業)에 의해 정해져 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불교는 숙명론(宿命論)이 아닌가요?
22 힌두교의 윤회설과 불교의 윤회설은 어떻게 다릅니까?
23 석가모니부처님 이외에 많은 부처님이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4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는 어떻게 일어나게 되었습니까?
25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26 삼법인(三法印)과 사법인(四法印)의 유래는 무엇입니까?
27 사법인(四法印)의 내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말해주세요.
28 대승불교의 공사상(空思想)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29 반야(般若)란 무엇을 의미하는 말입니까?
30 보살(菩薩)은 어떤 분을 말합니까?
31 정토신앙(淨土信仰)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32 밀교(密敎)란 어떤 내용입니까?
33 선종(禪宗)은 어떤 불교입니까?




2 부 붓다, 무소유(無所有), 석가모니부처님


34 부처님의 성씨(姓氏)와 이름은 무엇이며 어떤 의미입니까?
35 부처님이란 말의 뜻은 무엇입니까?
36 부처님의 탄생과정에는 어떤 이야기들이 담겨 있습니까?
37 부처님 탄생설화가 상징하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38‘천상천하 유아독존’은 무슨 의미입니까?
39 석가모니 부처님의 유년기 생활은 어떠했습니까?
40 부처님이 태자시절에 농경제에 참석해서 겪은 일은 무엇입니까?
41 부처님이 태자시절에 성문 밖으로 나갔다가 본 것은 무엇입니까?
42 사문유관(四門遊觀)의 가장 큰 의미는 무엇입니까?
43 부처님은 언제 출가하셨습니까?
44 부처님께서 출가 이후 처음 찾아간 스승은 누구였습니까?
45 부처님께서 고행주의(苦行主義)의 외도를 떠나서 찾은, 또 다른 스승들은 누구입니까?
46 수정주의(修定主義)의 두 스승으로부터 떠난 부처님은 어떤 수행을 했습니까?
47 부처님께서는 고행(苦行)을 버리신 것입니까?
48 부처님께서는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깨달으셨습니까?
49 부처님께서는 어떤 경험으로 어떤 진리를 깨달으셨습니까?
50 보리수(菩提樹)는 부처님의 깨달음과 어떤 관련이 있습니까?
51 부처님께서 정각을 얻을 당시 그 깨달음의 내용은 무엇입니까?
52 부처님께 최초로 귀의한 사람은 누구입니까?
53 부처님께서 최초로 법을 전하려 했던 수행자는 누구입니까?
54 최초의 불교 교단은 어떻게 성립되었습니까?
55 부처님께서 초전법륜에서 설한 중도(中道)와 사성제(四聖諦)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56 초전법륜(初轉法輪)이란 어떤 의미입니까?
57 부처님의 전도선언(傳道宣言)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58 전도선언 이후 부처님의 제자가 된 이들은 어떤 사람들입니까?
59 부처님의 제자 중에서 깨달음을 얻은 여러 성자들과 부처님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60 최초의 사원은 어느 곳의 무슨 절입니까?
61 부처님 당시에 어떤 불교사원들이 지어졌습니까?
62 교단이 성립된 뒤에 부처님의 하루 일과는 어떠했는지요?
63 부처님 당시 스님들의 식생활에 대해서 말씀해주세요.
64 스님들에게 먹기를 금한 오신채(五辛菜)란 무엇입니까?
65 오신채(五辛菜)를 금하게 된 계기는 무엇입니까?
66 부처님 당시에도 스님들에게 육식이 금지되었습니까?
67 불가(佛家)에서는 언제부터 육식이 금지되었습니까?
68 부처님의 마지막 제자는 누구입니까?
69 부처님께서는 언제, 어디에서 열반하셨습니까?
70 부처님의 마지막 가르침은 무엇이었습니까?
71 불교의 4대 성지는 어디입니까?
72 불교의 3대 성수(聖樹)는 무엇입니까?
73 부처님을 부르는 명호(名號)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74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부처님의 가족과 친척은 누구입니까?




3 부 자유, 신행(信行), 나와 이웃의 행복


75 신행생활에는 어떤 유익함이 있습니까?
76 올바른 신행이란 어떤 것입니까?
77 귀의(歸依)함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78 불교에서 말하는 행복은 어떤 것입니까?
79 열 가지의 유익한 행위인 십선업(十善業)이란 무엇입니까?
80 자비희사(慈悲喜捨)의 사무량심(四無量心)이란 무엇입니까?
81 불교의 수행방법은 사람의 근기에 따라서 어떻게 다릅니까?
82 외도들은 불상이 우상숭배라고 하는데 어떻게 보아야 합니까?
83 절에 불상을 모시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84 삼신불(三身佛)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85 우리나라의 절에는 어떤 부처님들이 모셔져 있습니까?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 비로자나불(毘盧 那佛) /
아미타불(阿彌陀佛) /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 /
미륵불(彌勒佛) / 문수보살(文殊菩薩) /
보현보살(普賢菩薩)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 지장보살(地藏菩薩)

86 부처님의 여러 수인(手印)에는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석가모니부처님 근본오인(根本五印) /
비로자나불의 지권인(智拳印)과 법계정인(法界定印) /
아미타불의 구품정인(九品定印) / 기타 수인
87 보시(布施)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88 보시에는 어떤 공덕이 있습니까?
89 공양(供養)이란 무엇이며 보시와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90 공양에는 어떠한 공덕이 있습니까?
91 공양에는 어떤 종류가 있습니까?
92 육법공양(六法供養)이란 무엇입니까?
93 연등(燃燈)을 밝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94 예불(禮佛)이란 무엇입니까? 123
95 오분향(五分香)과 칠정례(七頂禮)의 내용은 무엇입니까?
96 범종(梵鐘)을 치는 의미는 무엇이며, 하루에 몇 번씩 치는지요?
97 사찰의 사물(四物)은 무엇입니까?
98 불교에서는 왜 염불(念佛)을 하는 것입니까?
99 사경(寫經)의 의미와 공덕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100 절[拜]을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101 참선(參禪)의 기원과 의미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102 참회(懺悔)의 의미와 방법은 무엇입니까?
103 불교에서 말하는 살생(殺生)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104 직접 생명을 죽이는 것만 살생입니까?
105 부처님께서는 범죄에 대해서 어떻게 설명하셨나요?
106 장애인에 대한 불교의 가치관은 어떤가요?
107 불교 경전에 등장하는 장애인은 어떤 분들이 있는지요?
108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이상적인 정치는 어떠한가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침묵의 퍼레이드
이벤트
  • 4월 단말기 북꽃축제 패키지
  • 25년 4월 북드림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