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해경(3/3)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이 책의 총서 (109)
작가정보
저자(글) 곽박

역자 임동석(林東錫)은 1949년 경북 영주 출생. 서울교육대학, 국제대학교, 건국대학교대학원 졸업. 한학자 우전雨田 신호열辛鎬烈 선생에게 한학을 배움. 국립대만사범대학國立臺灣師範大學 국문연구소國文硏究所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중화민국 국가문학박사(1983). 건국대학교 교수·문과대학장 역임.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대학교 등 대학원 강의. 한국중국언어학회, 중국어문학연구회, 한국중어중문학회 회장 역임. 저서에 ≪조선역학고≫(中文) ≪중국학술개론≫ ≪중한대비어문론≫. 편역서에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율곡선생시문선≫. 역서에 ≪한어음운학강의漢語音韻學講義≫ ≪광개토왕비연구廣開土王碑硏究≫ ≪동북민족원류東北民族源流≫ ≪용봉문화원류龍鳳文化源流≫ ≪논어심득論語心得≫ <한어쌍성첩운연구漢語雙聲疊韻硏究> 등 학술논문 50여 편.
목차
- 卷十一 <海內西經>
586(11-1) 바다 안의 서쪽
587(11-2) 이부貳負의 신하 위危
588(11-3) 대택大澤
589(11-4) 후직后稷의 장지
590(11-5) 유황풍씨국流黃?氏國
591(11-6) 유사流沙
592(11-7) 동호東胡
593(11-8) 이인夷人
594(11-9) 맥국貊國
595(11-10) 맹조孟鳥
596(11-11) 바다 안쪽의 곤륜산昆侖山
597(11-12) 적수赤水
598(11-13) 하수河水
599(11-14) 상수洋水와 흑수黑水
600(11-15) 약수弱水와 청수靑水
601(11-16) 곤륜산 남쪽의 못
602(11-17) 봉황鳳皇과 난조鸞鳥
603(11-18) 개명수開明獸의 북쪽
604(11-19) 개명수開明獸의 동쪽
605(11-20) 복상수服常樹
606(11-21) 수조樹鳥
卷十二 <海內北經>
607(12-1) 바다 안의 북쪽
608(12-2) 사무산蛇巫山
609(12-3) 서왕모西王母
610(12-4) 대행백大行伯
611(12-5) 견봉국犬封國
612(12-6) 귀국鬼國
613(12-7) 도견?犬
614(12-8) 궁기窮奇
615(12-9) 제요대帝堯臺
616(12-10) 대봉大?
617(12-11) 교?
618(12-12) 탑비?非
619(12-13) 거비시據比尸
620(12-14) 환구環狗
621(12-15) 미?
622(12-16) 융戎
623(12-17) 임씨국林氏國
624(12-18) 범림氾林
625(12-19) 종극연從極淵
626(12-20) 양오산陽?山
627(12-21) 왕자야시王子夜尸
628(12-22) 소명宵明과 촉광燭光
629(12-23) 개국蓋國
630(12-24) 조선朝鮮
631(12-25) 열고야列姑射
632(12-26) 고야국姑射國
633(12-27) 대해大蟹
634(12-28) 능어陵魚
635(12-29) 대편大?
636(12-30) 명조읍明組邑
637(12-31) 봉래산蓬萊山
638(12-32) 대인지시大人之市
卷十三 <海內東經>
639(13-1) 바다 안 동쪽
640(13-2) 거연鉅燕
641(13-3) 돈단국?端國과 새환국璽?國
642(13-4) 유사 밖의 나라들
643(13-5) 서호백옥산西胡白玉山
644(13-6) 뇌택雷澤
645(13-7) 도주都州
646(13-8) 낭야대琅邪臺
647(13-9) 한안韓?
648(13-10) 시구始鳩
649(13-11) 회계산會稽山
650(13-12) 민삼강岷三江
651(13-13) 절강浙江
652(13-14) 여강廬江
653(13-15) 회수淮水
654(13-16) 상수湘水
655(13-17) 한수漢水
656(13-18) 몽수?水
657(13-19) 온수溫水
658(13-20) 영수潁水
659(13-21) 여수汝水
660(13-22) 경수涇水
661(13-23) 위수渭水
662(13-24) 백수白水
663(13-25) 원수沅水
664(13-26) 감수?水
665(13-27) 사수泗水
666(13-28) 울수鬱水
667(13-29) 이수肄水
668(13-30) 황수潢水
669(13-31) 낙수洛水
670(13-32) 분수汾水
671(13-33) 심수沁水
672(13-34) 제수濟水
673(13-35) 요수?水
674(13-36) 호타수??水
675(13-37) 장수?水
676(13-38) 건평建平 원년元年
卷十四 <大荒東經>
677(14-1) 금슬琴瑟
678(14-2) 감산甘山과 감연甘淵
679(14-3) 피모지구皮母地丘
680(14-4) 대언大言
681(14-5) 파곡산波谷山
682(14-6) 대인당大人堂
683(14-7) 소인국小人國
684(14-8) 이령시
685(14-9) 휼산?山
686(14-10) 규국蔿國
687(14-11) 합허合虛
688(14-12) 중용국中容國
689(14-13) 동구산東口山
690(14-14) 사유국司幽國
691(14-15) 대아산大阿山
692(14-16) 명성明星
693(14-17) 백민국白民國
694(14-18) 청구국靑丘國
695(14-19) 유복민柔僕民
696(14-20) 흑치국黑齒國
697(14-21) 하주국夏州國
698(14-22) 천오天吳
699(14-23) 절단折丹
700(14-24) 우호??
701(14-25) 소요산招搖山
702(14-26) 곤민국困民國
703(14-27) 여축女丑
704(14-28) 얼요군저산孼搖??山
705(14-29) 사비시奢比尸
706(14-30) 오채조五采鳥
707(14-31) 의천소문산?天蘇門山
708(14-32) 기산?山
709(14-33) 학명준질壑明俊疾
710(14-34) 삼청마三靑馬
711(14-35) 여화모월국女和月母國
712(14-36) 흉리토구凶犁土丘
713(14-37) 유파산流波山
卷十五 大荒南經
714(15-1) 출척??
715(15-2) 아산阿山
716(15-3) 영산榮山
717(15-4) 무산巫山
718(15-5) 부정산不庭山
719(15-6) 성산成山
720(15-7) 불강산不姜山
721(15-8) 영민국盈民國
722(15-9) 불사국不死國
723(15-10) 거치去?
724(15-11) 부정호여不廷胡余
725(15-12) 인인호因因乎
726(15-13) 양산襄山
727(15-14) 질민국?民國
728(15-15) 융천融天
729(15-16) 착치鑿齒
730(15-17) 역민국?民國
731(15-18) 송산宋山
732(15-19) 사상시祖狀尸
733(15-20) 초요국焦僥國
734(15-21) 운우산雲雨山
735(15-22) 백복伯服
736(15-23) 장홍張弘
737(15-24) 포어捕魚
738(15-25) 환두驩頭
739(15-26) 악산岳山
740(15-27) 천대天臺
741(15-28) 희화국羲和國
742(15-29) 개유산蓋猶山
743(15-30) 균인菌人
744(15-31) 남류산南類山
卷十六 <大荒西經>
745(16-1) 부주산不周山
746(16-2) 숙사淑士
747(16-3) 여와장女?腸
748(16-4) 석이石夷
749(16-5) 광조狂鳥
750(16-6) 대택장산大澤長山
751(16-7) 장경국長脛國
752(16-8) 서주국西周國
753(16-9) 방산方山
754(16-10) 선민국先民國
755(16-11) 북적국北狄國
756(16-12) 태자장금太子長琴
757(16-13) 오채조五采鳥
758(16-14) 유충有蟲
759(16-15) 풍저옥문?沮玉門
760(16-16) 영산靈山
761(16-17) 옥민국沃民國
762(16-18) 삼청조三靑鳥
763(16-19) 헌원대軒轅臺
764(16-20) 용산龍山
765(16-21) 삼택수三澤水
766(16-22) 여축시女丑尸
767(16-23) 여자국女子國
768(16-24) 도산桃山
769(16-25) 장부국丈夫國
770(16-26) 엄주산?州山
771(16-27) 헌원국軒轅國
772(16-28) 엄자?玆
773(16-29) 일월산日月山
774(16-30) 천우天虞
775(16-31) 상희常羲
776(16-32) 현단산玄丹山
777(16-33) 맹익공전욱지孟翼攻?頊之池
778(16-34) 오오거??鉅
779(16-35) 병봉屛蓬
780(16-36) 무산巫山
781(16-37) 염화산炎火山
782(16-38) 상양산常陽山
783(16-39) 한황국寒荒國
784(16-40) 수마국壽麻國
785(16-41) 하경시夏耕尸
786(16-42) 오회吳回
787(16-43) 개산국蓋山國
788(16-44) 일비민一臂民
789(16-45) 대황산大荒山
790(16-46) 하후개夏后開
791(16-47) 호인국互人國
792(16-48) 어부魚婦
793(16-49) 촉조?鳥
794(16-50) 대무산大巫山
卷十七 <大荒北經>
795(17-1) 부우산附?山
796(17-2) 호불여국胡不與國
797(17-3) 불함산不咸山
798(17-4) 대인大人
799(17-5) 유산楡山
800(17-6) 형천衡天
801(17-7) 숙촉국叔?國
802(17-8) 북제국北齊國
803(17-9) 선함대봉산先檻大逢山
804(17-10) 양산陽山
805(17-11) 시주국始州國
806(17-12) 대택大澤
807(17-13) 모민국毛民國
808(17-14) 담이국?耳國
809(17-15) 북극천궤산北極天櫃山
810(17-16) 성도재천산成都載天山
811(17-17) 무장국無腸國
812(17-18) 무계자無繼子
813(17-19) 상요相繇
814(17-20) 악산岳山
815(17-21) 불구산不句山
816(17-22) 계곤산係昆山
817(17-23) 심목민深目民
818(17-24) 종산鍾山
819(17-25) 융보산融父山
820(17-26) 제주산齊州山
821(17-27) 일목인一目人
822(17-28) 계무민繼無民
823(17-29) 중편中?
824(17-30) 뇌구賴丘
825(17-31) 묘민苗民
826(17-32) 약목若木
827(17-33) 우려국牛黎國
828(17-34) 장미산章尾山
卷十八 <海內經>
829(18-1) 조선朝鮮과 천독天毒
830(18-2) 학시壑市
831(18-3) 범엽氾葉
832(18-4) 조산鳥山
833(18-5) 조운국朝雲國과 사체국司?國
834(18-6) 불사산不死山
835(18-7) 조산肇山
836(18-8) 도광야都廣野
837(18-9) 약목若木과 약수若水
838(18-10) 우중국?中國
839(18-11) 염장국鹽長國
840(18-12) 구구九丘
841(18-13) 건목建木
842(18-14) 알유??
843(18-15) 파국巴國
844(18-16) 유황신씨流黃辛氏
845(18-17) 주권국朱卷國
846(18-18) 감거인?巨人
847(18-19) 흑인黑人
848(18-20) 영민?民
849(18-21) 묘민苗民과 연유延維
850(18-22) 난조鸞鳥와 봉조鳳鳥
851(18-23) 균구
852(18-24) 삼천자도三天子都
853(18-25) 창오구蒼梧丘와 창오연蒼梧淵
854(18-26) 사산蛇山
855(18-27) 상고시相顧尸
856(18-28) 백이보伯夷父
857(18-29) 유도산幽都山
858(18-30) 정령국釘靈國
859(18-31) 백릉伯陵
860(18-32) 낙명駱明
861(18-33) 우호?號
862(18-34) 반般
863(18-35) 동궁소증?弓素?
864(18-36) 안룡晏龍
865(18-37) 가무歌舞
866(18-38) 삼신三身
867(18-39) 청요聽?
868(18-40) 대홍수大洪水
○ 부록
Ⅰ. ≪산해경도찬山海經圖讚≫(郭璞)
Ⅱ. ≪산해경山海經≫서발序跋 등 관련 자료
Ⅲ. <독산해경讀山海經> 십삼수十三首 (陶淵明)
출판사 서평
선진시대 출현한 이채 무비의 경서
현실과 시공을 뛰어넘는 먼 미지의 세계
오방위의 명산대천과 천지만물이 다가온다!
「산경」과 「해경」 총 18권 3만 1천 자의 대기록
≪산해경≫은 중국 고대 전적 중 가장 이채로운 경서라 할 수 있다. ‘산경 ’은 무축巫祝들이 고대 이래 전해오던 무사巫事를 기록한 일종의 무서이며,‘해경’은 상상력과 전문傳聞을 바탕으로 고대 신화와 혼합하여 기술한 내용이다. 우리의 고대민족 형성과정까지, 나아가 일본, 몽고, 인도를 거쳐 멀리 중앙아시아와 남방 이민족의 신기한 원시 습속까지 담고 있다.
≪산해경≫에 대하여
≪산해경山海經≫은 중국 고대 전적 중 가장 이채로운 경서라 할 수 있다. 어느 한 시대, 한 사람의 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전국 초기부터 한나라 초기까지 남방 초楚나라와 파촉巴蜀 지역 사람들의 손을 거쳐 전해져 오다가 서한 말 유흠劉歆이 정리한 것으로 보고 있다. 선진先秦 시대에 출현한 책으로 18권, 총 3만 1천여 자로 구성되어 있다. 크게 ‘산경山經’과 ‘해경海經’으로 나누는데, ‘산경’과 ‘해경’은 그 기록 시기가 각기 다르다.
‘산경’은 무축巫祝들이 고대 이래 전해오던 무사巫事를 기록한 일종의 무서巫書로서 그들의 세계관과 무업巫業 수행을 위한 오방위의 명산대천과 동식물, 그곳을 주관하고 있는 신에 대한 제사, 동식물과 광물, 약재와 치료, 금기와 축사逐邪 등을 초보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전국시대 초기, 혹은 중기에 이루어진 것이며 이 시기에 어느 정도 모습을 갖춘 기록물로 존재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산경’은 비교적 순서와 기술이 일관된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남, 서, 북, 동 네 방위에 다시 중앙을 넣어 소위 오방五方으로 축을 이루고 있는 것 때문에 이를 흔히 ‘오장산경五藏山經’이라 한다.
‘해경’은 방사方士들이 구성한 것이며 해내외의 특수지역, 혹은 나라와 종족에 대한 상상력과 전문傳聞을 바탕으로 이를 고대 신화와 혼합하여 기술한 것이다. 시기는 대체적으로 진대秦代부터 서한西漢 초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고대민족 형성과정과 신기무비의 원시습속
그리고 뒷부분인 ‘대황경’과 ‘해내경’ 5권은 원래 ‘해경’의 일부였으나 서한 말 유수가 정리할 때 없애버려 폐기하다시피 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없어지지 않고 전해내려 오다가 진晉나라 때 이르러 곽박郭璞이 주를 달면서 다시 본 책과 합쳐져 독립적 편목으로 뒤쪽에 이어져 14권부터 18권까지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 때문에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는 「≪산해경≫ 13편」으로 기록된 것이다.
내용은 주로 지리, 물산, 신화, 지질, 천문, 기상, 동물, 식물, 의약, 무속, 종교, 민족, 역사, 이적異跡, 금기, 민속, 고고, 인류학, 해양학, 과학사 등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정보를 담고 있어 백과사전이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설명이 지나치게 단편적이어서 지금 우리가 원하는 형식을 갖춘 지식전달의 책은 아니지만, 상상력의 한계가 어디까지인가를 보여주는 흥미롭고 이해할 수 없는 형상들을 천연스럽게 거론하고 있다. 그야말로 불가사의한 몽상으로 가득 차 있는 기록이다.
이 ≪산해경≫은 이러한 원시 기록으로 그들의 산천과 자연신에 대한 숭배와 제사, 풍속과 금기, 고통과 질병 치료, 무격巫覡들의 역할과 기도 등, 인류가 비로소 미개에서 초보적 문명으로 넘어가는 과정의 변화를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게다가 이웃나라인 우리의 고대 민족 형성 과정과, 나아가 일본, 몽고, 인도를 거쳐 널리 중앙아시아와 남방 이민족의 신기한 원시 습속까지 그대로 담고 있다.
중국신화의 보고, 역사적 자료
≪산해경≫이 다루고 있는 범위와 내용은 매우 넓고 다양하다. 이는 고대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서 실제 상상력을 발휘하기도 하고, 질병으로부터의 구제, 하늘과의 소통을 염원한 내용들로써 그 중에는 원시적인 신화, 종교, 미신, 전설, 무속 등을 담고 있다. 따라서 문학연구가들은 이 ≪산해경≫을 중국 신화의 보고寶庫로 여기고 있다. 천지창조와 보수의 여와女? 신화, 동해바다를 끝없이 메우고 있는 정위精衛의 안타까운 이야기, 서왕모西王母, 치우蚩尤와 황제黃帝의 전투, 은殷민족과 주周민족의 시조신화,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이름과 발명품들, 도끼를 들고 춤을 추고 있는 형천刑天의 모습 등과 삼청조三靑鳥, 삼수三首, 기굉奇肱, 우민羽民, 흑치黑齒, 초요焦僥 등 이루 헤아릴 수 없는 기이한 종족과 그 생김새의 이야기는 풍부한 당시 사람들의 염원과 상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더구나 역사적으로도 이미 널리 알려진 대우大禹의 치수, 공공共工과 계啓에 대한 기록 등은 일부 고대사의 실질적 기록임이 분명하다고 보기도 한다.
기본정보
ISBN | 9788949707006 | ||
---|---|---|---|
발행(출시)일자 | 2011년 12월 12일 | ||
쪽수 | 544쪽 | ||
크기 |
153 * 224
* 35
mm
/ 798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임동석중국사상100
|
||
원서(번역서)명/저자명 | 山海經箋疏/郭璞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
오늘날 중국의 문화연구10% 41,400 원
-
융합의 중국문학28,000 원
-
한문 공부의 시작, 고전의 명문장10% 16,200 원
-
예술을 읽는 새로운 눈 남전화발10% 25,200 원
-
같음과 다름10% 21,6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