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례기
없습니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임 동 석(林東錫: 호: 茁浦, 莎浦, 負郭齋, 醉碧軒, 雪潭齋, 酉蝸廬)
- 1949년 慶北 榮州 茁浦(上茁)에서 출생.
- 忠北 丹陽 德尙골에서 성장.
- 丹陽初(1964), 丹陽中(1967) 卒業.
- 京東高(1970), 서울敎大(1972), 國際大(1974), 建國大 대학원(1977) 졸업.
- 雨田 辛鎬烈 선생에게 다년간 漢學 배움.
- 臺灣 國立臺灣師範大學 國文硏究所(大學院) 博士班(1978-1983) 졸업.
- 中華民國 國家文學博士(1983)
- 前 建國大 敎授, 敎務處長, 文科大學長 등 역임.
- 成均館大, 延世大, 高麗大, 外國語大, 서울대 등 大學院 강의 역임.
- 韓國中語中文學會, 韓國中國言語學會, 中國語文學硏究會, 韓中言語文化硏究會, 第二外國語活性化推進委員會 등 會長 역임.
- 2015년 2월 정년퇴임.
- 現 建國大 名譽敎授.
- 현 HSK 한국위원회 고시위원장.
- 저서: ≪朝鮮譯學考≫(中文), ≪中國學術槪論≫, ≪中韓對比語文論≫.
- 편역서: ≪수레를 밀기 위해 내린 사람들≫, ≪栗谷先生詩文選≫.
- 역서: ≪漢語音韻學講義≫, ≪廣開土王碑硏究≫, ≪東北民族源流≫, ≪龍鳳文化源流≫, ≪論語心得≫, ≪一分蒙求≫(申翼熙) 등 다수.
- 논문: ⏉서울(首爾) 地名淵源考⏊, ⏉漢語零聲母硏究⏊, ⏉標音機能漢字語(連綿語)硏究⏊, ⏉頭音法則의 問題點 考察⏊, ⏉四書集註 音註 硏究⏊ 등 60여 편.
- 역주서: 300여권 역주 출간.
- 현재 유투브 ⏉부곽재TV⏊(負郭齋) 東洋古典 등 雜學 送出. 유투버로 활동.(현재 ≪논어≫, ≪천자문≫, ≪삼자경≫ 완료. 명시감상, 세시풍속, 중국역사 등 특강 중)
목차
- 책머리에
일러두기
≪大戴禮記≫ 解題
≪大戴禮記≫ 卷一
1. 〈主言〉[王言](39)
2. 〈哀公問五義〉(40)
3. 〈哀公問於孔子〉(41)
4. 〈禮三本〉(42)(43, 44, 45缺)
≪大戴禮記≫ 卷二
5. 〈禮察〉(46)
6. 〈夏小正〉(47)
≪大戴禮記≫ 卷三
7. 〈保傅〉(48)
≪大戴禮記≫ 卷四
8. 〈曾子立事〉(49)
9. 〈曾子本孝〉(50)
10. 〈曾子立孝〉(51)
11. 〈曾子大孝〉(52)
12. 〈曾子事父母〉(53)
≪大戴禮記≫ 卷五
13. 〈曾子制言〉(上)(54)
14. 〈曾子制言〉(中)(55)
15. 〈曾子制言〉(下)(56)
16. 〈曾子疾病〉(57)
17. 〈曾子天圓〉(58)
≪大戴禮記≫ 卷六
18. 〈武王踐阼〉(59)
19. 〈衛將軍文子〉(60)(61缺)
≪大戴禮記≫ 卷七
20. 〈五帝德〉(62)
21. 〈帝繫〉(63)
22. 〈勸學〉(64)
≪大戴禮記≫ 卷八
23. 〈子張問入官〉(65)
24. 〈盛德〉(66)
25. 〈明堂〉(67)
≪大戴禮記≫ 卷九
26. 〈千乘〉(68)
27. 〈四代〉(69)
28. 〈虞戴德〉(70)
29. 〈誥志〉(71)
≪大戴禮記≫ 卷十
30. 〈文王官人〉(72)
31. 〈諸侯遷廟〉(73)
32. 〈諸侯釁廟〉(73)(중복)
≪大戴禮記≫ 卷十一
33. 〈小辨〉(74)
34. 〈用兵〉(75)
35. 〈少閒〉(76)
≪大戴禮記≫ 卷十二
36. 〈朝事〉(77)
37. 〈投壺〉(78)
≪大戴禮記≫ 卷十三
38. 〈公符〉[公冠](79)
39. 〈本命〉(80)
40. 〈易本命〉(81)
부록
Ⅰ. ≪大戴禮記≫(≪夏小正≫) 板本 序跋
Ⅱ. ≪大戴禮記解詁≫(王聘珍) 敍錄
Ⅲ. 戴德 전기 자료
※ 참고문헌
출판사 서평
어린 시절 국민(초등)학교 다닐 때, 내 살던 산골은 순흥안씨 집성촌이었는데 친구 아버지는 방고개 비탈진 밭을 봄부터 참외밭으로 가꾸고 있었다. 그 고개를 넘어 다시 더 큰 놋재라는 고개를 넘어야 읍내 학교가 나타나는 등굣길이었다. 그때마다 친구 아버지는 나보다 일찍 그 밭에서 일을 하는 것을 보았고 점차 노란꽃이 피고 덩굴이 벋더니 달걀만 한 열매가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여름방학이 되자 참외는 익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친구 아버지는 지게에 조개발을 얹고 참외를 따서 짊어지고 먼 읍내로 향하였다. 그런데 한 이틀 지나 엄마를 통해 나에게 그 밭 원두막에 자며 지켜주면 좋겠다는 연락을 받았다. 나는 신이 났다. 숙제거리를 책 보따리에 싸서 갔다. 원두막이라는 것이 그것도 2층이라고 시원했고, 더구나 친구 아버지가 밥을 가지고 와서 밭둑 가 작은 도랑 찔레 덩굴 아래 옹달샘에 두고 참외를 팔러 고개를 넘는 것을 보고는 얼른 내려가 챙겨와 물에 말아 훌쩍훌쩍 주린 배를 채우곤 했다. 그 찔레 덩굴에 곁바위더미에는 너구리 굴이 있었다고 했지만 난 무서움을 덜 타는 체질이었다. 그보다 밤이면 이제껏 이 나이가 되도록 잊지 못하고 내 눈에 그대로 각인된 것이 있다. 바로 밤하늘이었다. 멀리 반딧불이 날고, 어둠이 깔려오면 그 어떤 불빛도 없는 곳이라 원두막에 누우면 하늘의 별이 쏟아진다. 북두칠성을 중심으로 자연책에서 배운 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오리온자리, 사자자리, 큰곰자리, 전갈자리 등 이름도 신기한 그 별무리를 찾아보려고 눕는 자세를 바꾸면서 맞추어 보았던 기억이 새롭다. 은하수는 너무 맑았고 견우직녀 이야기는 소년의 상상력에 소고삐를 잡고 하늘 밖으로 끝없이 유영(遊泳)해 갔다. 가끔 종횡으로 쏟아지는 별똥별은 또 어땠던가? 그러한 경험은 나에게 평생을 두고 꿈처럼 남아있다. 그 뒤 알퐁스 도데의 ≪별 이야기≫나, ≪알프스의 소녀≫, 생텍쥐베리의 ≪어린 왕자≫에 나오는 별에 대한 표현은 언제나 내가 바로 그 주인공이었다.
그런데 잊고 살았던 그 ≪별 이야기≫가 이 ≪大戴禮記≫ 〈夏小正〉편에 계절마다 거론되는 것이 아닌가? 물론 이는 문학적 표현도 아니고, 그렇다고 고대 별자리만을 다룬 전문적인 기록도 아니다. 그저 아주 먼 상고 하(夏)나라 때, 1년 열두 달, 농사와 계절별로 변하는 동식물의 출몰과 생태계의 신비함을 일상에 맞추어 기재한 것에 불과하다. 게다가 지금처럼 구체적이고 명확한 과학적 근거도 희박하다. 아울러 문학도의 호기심을 끌 만큼 서사성(스토리텔링)을 갖춘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나의 관심을 끈 것은 그 먼 하나라 때 어떻게 살았을까 하는 궁금증에 별이라는 것이 스쳐가듯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일 뿐이다. 나는 늘 ‘별’이라는 말에는 연예계나 스포츠계, 혹 위력이나 위대한 업적의 ‘스타’라는 의미는 전혀 와 닿지 않고, 그야말로 어릴 때 보았던 하늘의 구체적이고 물리적, 천체의 ‘별’ 그 자체이며, 거기에 소년 시절이었다는 나이에 상흔(傷痕)처럼 남은 채 더 이상 발전을 하지 못하고 응고되어 정지해 있다.
그래서 고향 유와려(酉蝸廬)는 마을에서 멀리 떨어져 그 어떤 빛도 간섭이 없는 황정산(黃庭山) 원통암(圓通庵) 아래에 있어, 갈 때마다 별을 보리라는 기대에 흥분되어 찾아가곤 한다. 그리하여 이 〈하소정〉을 읽어보았지만 감도 잡을 수 없었고, 나아가 중국 고문에서 고어(古語) 중의 고어인 하나라 때의 어휘는 뜻을 알아낼 수가 없었다. 몇 번이나 포기하려다가 별이야기만 나오면 다시 상상에 빠지곤 하여, 할 수 없이 여기까지 오고 말았다. 그 외의 다른편(篇)의 기록도 녹록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별에 꽂힌 그 흥분과 어린 시절 그 꿈의 추억 때문에 결국 해내기는 하였다. 아마 사람마다 다름으로 해서 전혀 달리 느끼는 이도 있을 것이다. 더구나 이 책은 그저 중국 고대경서(經書)의 한 가닥이요, 고리타분한 ‘孔子曰’ 운운하는 고전일 뿐이다. 감동을 주는 책이
아니라 윤리 도덕을 따지고 치도와 덕치를 논하는 예(禮)의 곁다리이다. 더구나 봉건시대 남존여비의 틀로 여인들을 숨도 쉬지 못하게 조여 묶었던 ‘삼종지례(三從之禮)’니 ‘칠거지악(七去之惡)’이 바로 이 책에 처음 실려 있기도 하니 비판도 없지 않은 책이다.
다만 연구와 공부에 고전은 취사선택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나아가 오히려 이를 통해 반면교사로 삼을 것도 찾아내어야 하기에, 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워낙 난해한 내용과 글자들이 많아 제대로 시원하게 밝혀내지 못한 부분도 너무 많을 것이다. 이 책을 대하는 자가 헤아려 주기 바란다.
2024 갑신년 정월 莎浦 林東錫이 丹陽 黃庭山 圓通庵 아래 酉蝸廬에서 적음.
기본정보
ISBN | 9791198257406 |
---|---|
발행(출시)일자 | 2024년 04월 10일 |
쪽수 | 756쪽 |
크기 |
194 * 264
* 47
mm
/ 1808 g
|
총권수 | 1권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집중돼요
도움돼요
쉬웠어요
최고예요
추천해요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
오늘날 중국의 문화연구10% 41,400 원
-
융합의 중국문학28,000 원
-
한문 공부의 시작, 고전의 명문장10% 16,200 원
-
예술을 읽는 새로운 눈 남전화발10% 25,200 원
-
같음과 다름10% 21,6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