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BROCK의 미생물학(축약본)

12 판
MADIGAN 저자(글) · 오계헌 번역
바이오사이언스 · 2011년 03월 08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BROCK의 미생물학(축약본) 대표 이미지
    BROCK의 미생물학(축약본)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BROCK의 미생물학(축약본) 사이즈 비교 210x297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32,000
적립/혜택
960P

기본적립

3% 적립 96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96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절판되었습니다.
『Brock의 미생물학』은 미생물학의 기본 원리를 사진과 함께 흥미진진하게 담은 책이다. 여러 가지 부가적인 자료로 미생물 다양성과 진화를 설명하고 각 장마다 중심을 만드는 질문들을 복습합낟. 통합 용어해설과 찾아보기로 종합적으로 요약정리 해준다.

작가정보

저자(글) MADIGAN

목차

  • 저자 서문 V
    역자 서문 Vii

    1단원 미생물학의 원리
    제1장 미생물과 미생물학 1
    I 미생물학 입문 2
    1.1 미생물학 2
    1.2 세포로서의 미생물 3
    1.3 미생물과 자연 환경 5
    1.4 미생물의 오래됨과 범위 6
    1.5 인간에 미치는 미생물의 영향 7
    II 미생물학의 주요 발견 전개과정 10
    1.6 미생물의 역사적 뿌리: Hooke, van Leeuwenhoek, Cohn 10
    1.7 Pasteur와 자연발생설의 몰락 12
    1.8 Koch, 전염성 질병 및 순수배양 미생물학 14
    1.9 미생물 다양성과 일반 미생물학의 등장 16
    1.10 미생물학의 새 시대 19
    미생물 토막뉴스
    고체배지, 페트리접시, 그리고 순수배양 17
    제2장 미생물 세계로의 여행 24
    I 세포의 구조와 진화학적 역사 25
    2.1 세포와 바이러스 구조의 요소들 25
    2.2 미생물 세포 내부의 DNA 배치 27
    2.3 생물의 전체 계통수 28
    II 미생물의 다양성 30
    2.4 미생물의 생리적 다양성 31
    2.5 세균 32
    2.6 고세균 34
    2.7 진핵 미생물 36

    제3장 진정세균과 고세균의 세포구조와 기능 40
    I 세포의 모양과 크기 41
    3.1 세포의 형태 41
    3.2 세포의 크기와 작은 크기의 중요성 42
    II 세포막과 수송 44
    3.3 진정세균과 고세균의 세포막 44
    3.4 세포막의 기능 46
    3.5 수송과 수송체계 49
    III 원핵생물의 세포벽 52
    3.6 진정세균의 세포벽: 펩티도글리칸 52
    3.7 그람음성 세균의 외막 56
    3.8 고세균의 세포벽 58
    IV 다른 세포 표면구조와 함유물 60
    3.9 세포 표면층, 필리와 핌브리아 60
    3.10 세포 함유물 61
    3.11 가스소포 63
    3.12 내생포자 64
    V 미생물의 운동 67
    3.13 편모와 운동성 67
    3.14 활주운동 72
    3.15 행동반응으로서의 세포운동: 미생물의 주성 72
    미생물 토막뉴스
    내생포자는 얼마 동안 생존할 수 있는가? 68
    제4장 영양, 실험실 배양, 미생물의 물질대사 77
    I 미생물의 영양과 배양 78
    4.1 미생물 영양소 78
    4.2 배양배지 81
    4.3 미생물의 실험실 배양 83
    II 에너지론과 효소 84
    4.4 생물에너지론 84
    4.5 촉매작용과 효소 86
    III 산화-환원과 고에너지 화합물 88
    4.6 산화-환원 전자공여체와 전자수용체 88
    4.7 산화-환원 전자전달체로서 NAD 89
    4.8 고에너지 화합물과 에너지 저장 91
    IV 이화작용의 필수 요소 92
    4.9 에너지 보존 92
    4.10 발효의 예, 해당과정 93
    4.11 호흡과 막에 결합되어 있는 전자전달체 96
    4.12 호흡과 양성자 동력 98
    4.13 호흡에서의 탄소흐름: 구연산 회로 100
    4.14 이화의 다양성 101
    V 동화작용의 필수 요소 103
    4.15 당과 다당류의 생합성 103
    4.16 아미노산과 뉴클레오티드의 생합성 104
    4.17 지방산과 지질의 생합성 105
    미생물 토막뉴스
    효모발효의 산물과 Pasteur 효과 95
    제5장 미생물 생장 109
    I 세균의 세포분열 110
    5.1 세포생장 및 이분법 110
    5.2 펩티도글리칸 합성 110
    II 세균의 집단 생장 112
    5.3 생장 용어 및 지수생장의 개념 112
    5.4 미생물의 생장주기 113
    5.5 연속배양: 키모스타트 115
    III 미생물의 생장 측정 116
    5.6 총세포수의 측정: 현미경 측정법 117
    5.7 살아 있는 세포수의 측정 117
    5.8 미생물량의 측정: 혼탁도 측정법 120
    IV 온도와 미생물 생장 121
    5.9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121
    5.10 저온에서의 미생물 생장 124
    5.11 고온에서의 미생물 생장 126
    V 미생물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환경요인들 128
    5.12 낮은 혹은 높은 PH에서 미생물의 생장 128
    5.13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삼투압의 영향 130
    5.14 산소와 미생물의 생장 132
    5.15 독성을 갖는 산소 형태 135
    미생물 토막뉴스
    실제 환경에서의 미생물 생장: 생물막 122
    제6장 미생물 생장억제 138
    I 미생물의 물리적 억제 139
    6.1 열 멸균 139
    6.2 방사선 멸균 142
    6.3 여과 멸균 143
    II 미생물의 화학적 억제 145
    6.4 미생물 생장의 화학적 억제 145
    6.5 체외 사용을 위한 항미생물 화학제 147
    III 생물체 내에 사용되는 항미생물제 150
    6.6 합성 항미생물 제제 150
    6.7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항미생물 약제: 항생제 153
    6.8 b-Lactam계 항생제: 페니실린계와 세팔로스포린계 154
    6.9 원핵생물로부터 합성되는 항생제 155
    IV 바이러스와 진핵병원균의 억제 157
    6.10 항바이러스제 157
    6.11 항진균제 160
    V 항생제 내성 및 신약의 개발 161
    6.12 항생제 내성 161
    6.13 새로운 항미생물제의 발굴 165
    미생물 토막뉴스
    항생제 내성의 방지 149


    2단원 미생물의 분자생물학
    제7장 분자생물학의 본질 170
    I 유전자와 유전자 발현 171
    7.1 거대분자와 유전 정보 171
    II DNA 구조 172
    7.2 이중나선 172
    7.3 초나선 175
    7.4 염색체와 기타 유전 요소 176
    III DNA 복제 177
    7.5 주형과 효소 177
    7.6 복제 분기점 179
    7.7 양방향 복제와 리플리솜 181
    7.8 교정과 종결 183
    IV RNA 합성: 전사 184
    7.9 전사의 개요 184
    7.10 시그마 인자와 일치서열 186
    7.11 전사의 종결 187
    7.12 전사의 단위 188
    V 단백질 합성 189
    7.13 유전 암호 189
    7.14 운반 RNA 191
    7.15 번역: 단백질 합성과정 194
    7.16 비표준 아미노산의 도입 197
    7.17 단백질의 접힘과 분비 198
    제8장 고세균의 분자생물학 202
    I 고세균 분자생물학 203
    8.1 고세균의 염색체와 DNA의 복제 203
    8.2 고세균의 전사와 RNA 공정 204
    8.3 고세균의 단백질 합성 206
    8.4 세균과 고세균의 공통된 특성 206
    제9장 유전자 발현의 조절 209
    I 조절의 개요 210
    9.1 주요 조절 방식 210
    II DNA 결합 단백질과 전사 조절 210
    9.2 DNA 결합 단백질 211
    9.3 전사의 음성 조절: 억제와 유도 213
    9.4 전사의 양성 조절 215
    III 감지 및 신호 전달 216
    9.5 두-요소 조절체계 216
    9.6 균체밀도 감지 218
    9.7 주화성 조절 220
    9.8 고세균의 전사 조절 221
    IV 광범위 조절 기작 222
    9.9 광범위 조절과 lac 오페론 222
    9.10 Stringent 반응 225
    9.11 기타 광범위 조절망 225
    V RNA에 의한 조절 227
    9.12 감쇠 조절 227
    제10장 바이러스의 개요 및 바이러스학 231
    I 바이러스의 구조와 생장 232
    10.1 바이러스의 일반적 특성 232
    10.2 비리온의 특성 233
    10.3 바이러스의 숙주 236
    10.4 바이러스의 정량분석 237
    II 바이러스의 복제 238
    10.5 바이러스 복제의 일반적 특성 238
    10.6 바이러스의 부착과 침투 240
    10.7 바이러스 핵산과 단백질의 생산 241
    III 바이러스의 다양성 245
    10.8 세균바이러스의 개요 245
    10.9 독성 박테리오파아지와 T4 246
    10.10 잠재성 박테리오파아지, 람다와 P1 248
    10.11 동물바이러스의 개요 251
    10.12 레트로바이러스 252
    IV 준바이러스성 병원체 254
    10.13 결손바이러스 254
    10.14 비로이드 255
    10.15 프리온 256
    미생물 토막뉴스
    바이러스가 DNA를 발명하였을까? 244
    제11장 세균유전학의 원리 259
    I 세균염색체와 플라스미드 260
    11.1 대장균 염색체의 유전자 지도 260
    11.2 플라스미드: 일반법칙 262
    11.3 플라스미드의 종류와 생물학 중요성 264
    II 돌연변이 266
    11.4 돌연변이와 돌연변이주 266
    11.5 돌연변이의 분자생물학 기초 268
    11.6 돌연변이 빈도 271
    11.7 돌연변이 유발 272
    11.8 돌연변이 유발과 암 유발: Ames 시험 275
    III 원핵세포에서의 유전자 교환 276
    11.9 유전자 재조합 276
    11.10 형질전환 278
    11.11 형질도입 281
    11.12 접합: 중요한 특성들 283
    11.13 Hfr 균주 형성과 염색체 동원 285
    11.14 상보 288
    11.15 고세균에서의 유전자 전달 290
    11.16 이동 DNA: 전위 요소 291

    3단원 미생물의 다양성
    제12장 세균: 프로테오박테리아 295
    I 세균의 계통 296
    12.1 세균의 계통학적 개요 296
    II 광영양, 화학무기영양, 메탄영양 프로테오박테리아 297
    12.2 자색광영양세균 298
    12.3 질산화세균 300
    12.4 황-산화세균과 철-산화세균 302
    12.5 수소-산화세균 305
    12.6 메탄영양세균과 메틸영양세균 307
    III 호기성과 통성 호기성의 화학유기영양 프로테오박테리아 310
    12.7 Pseudomonas와 Pseudomonads 310
    12.8 아세트산세균 312
    12.9 자유생활 호기성 질소고정세균 313
    12.10 Neisseria, Chromobacter, 그리고 관련 세균 315
    12.11 장내세균 316
    12.12 Vibrio, Aliivibrio 그리고 Photobacterium 320
    12.13 리케차 322
    IV 독특한 형태의 프로테오박테리아 324
    12.14 나선균 324
    12.15 협막 프로테오박테리아: Sphaerotilus와 Leptothrix 327
    12.16 출아세균과 돌기/자루 세균 329
    V 델타와 엡실론 프로테오박테리아 333
    12.17 활주 점액세균 333
    12.18 황산염-환원 및 황-환원 프로테오박테리아 336
    12.19 엡실론프로테오박테리아 339
    제13장 세균: 그람양성과 기타 세균 342
    I 그람양성과 기타 세균의 개요 343
    II 그람양성 세균과 방선균 343
    13.1 비포자형성 그람양성 세균 343
    13.2 내생포자형성 그람양성 세균 347
    13.3 세포벽-결핍 그람양성 세균: 마이코플라스마 351
    13.4 방선균: 코리네형 세균과 프로피온산 세균 353
    13.5 방선균: Mycobacterium 354
    13.6 사상성 방선균: Streptomyces와 관련 세균 356
    III 시안세균과 원핵녹조세균 360
    13.7 시안세균 360
    13.8 원핵녹조세균 364
    IV 클라미디아 365
    13.9 클라미디아 365
    V PLANCTOMYCES/PIERELLULA 367
    13.10 Planctomyces: 계통적으로 독특한 자루형 세균 367
    VI VERRUCOMICROBIA 368
    13.11 Verrucomicrobium 368
    VII FLAVOBACTERIA 369
    13.12 Bacteroides와 Flavobacterium 369
    13.13 Acidobacteria 369
    VIII CYTOPHAGA군 370
    13.14 Cytophaga와 관련 세균 370
    IX 녹색황세균 371
    13.15 Chlorobium과 다른 녹색황세균 371
    X 스피로헤타 374
    13.16 스피로헤타 374
    XI DEINOCOCCI 377
    13.17 Deinococcus와 Thermus 377
    XII 녹색비황세균 378
    13.18 Chloroflexus와 관련 생물 379
    XIII 초고온성 세균 380
    13.19 Thermotoga와 Thermodesulfobacterium 380
    13.20 Aquifex, Thermocrinis와 관련 세균 381
    XIV NITROSPIRA와 DEFERRIBACTER 382
    13.21 Nitrospira, Deferribacter와 관련 세균 382
    제14장 고세균 384
    I 계통학과 일반적 대사 385
    14.1 고세균의 계통학적 개요 385
    14.2 고세균의 에너지 보존과 독립 영양성 386
    II EURYARCHAEOTA 387
    14.3 극호염성 고세균 387
    14.4 메탄생성 고세균: 메탄생성세균 391
    14.5 Thermoplasmatales 395
    14.6 Thermococcales와 Methanopyrus 397
    14.7 Archaeoglobales 398
    14.8 Nanoarchaeum과 Aciduliprofundum 399
    III CRENARCHAEOTA 401
    14.9 Crenarchaeota의 서식지와 에너지 대사 401
    14.10 육지 화산 서식지의 초고온성균 402
    14.11 해저 화산 서식지의 초고온성균 405
    14.12 비고온성의 Crenarchaeota 407
    IV 고온에서 진화와 생활 408
    14.13 미생물 생명체의 최대 한계온도 408
    14.14 생명체 고온에서의 적응 409
    14.15 초고온성 고세균, H2와 미생물 진화 411


    4단원 대사의 다양성과 미생물 생태학
    제15장 대사의 다양성: 광영양, 자가영양, 화학무기영양, 질소고정 414
    I 광영양 415
    15.1 광합성 415
    15.2 엽록소와 세균엽록소 416
    15.3 카로테노이드와 피코빌린 418
    15.4 산소비발생형 광합성 420
    15.5 산소발생형 광합성 422
    II 자가영양 424
    15.6 캘빈 회로 424
    15.7 광합성영양체의 기타 자가영양 회로 426
    III 화학무기영양 427
    15.8 화학무기영양의 에너지론 428
    15.9 수소산화 429
    15.10 환원된 황화합물의 산화 430
    15.11 철 산화 433
    15.12 질화 435
    15.13 아나목스 437
    IV 질소고정 438
    15.14 질소화효소와 질소고정과정 439
    15.15 질소고정의 유전학 및 조절 기작 441
    미생물 토막뉴스
    Winogradsky와 화학무기독립영양성 431
    제16장 대사의 다양성: 유기물 대사 444
    I 발효 445
    16.1 발효: 에너지론과 산화/환원 문제 445
    16.2 발효의 다양성: 젖산과 혼합산의 발효 447
    16.3 발효의 다양성: 클로스트리디아와 프로피온산의 발효 450
    16.4 영양공생 452
    II 혐기적 호흡 454
    16.5 혐기적 호흡 : 일반적 원리 454
    16.6 질산염 환원과 탈질화반응 455
    16.7 황산염과 황 환원 457
    16.8 아세트산 생성 460
    16.9 메탄생성 462
    16.10 양성자 환원 466
    16.11 기타 전자수용체 467
    16.12 혐기적 호흡과 연관된 무산소 탄화수소 산화 469
    III 호기적 화학유기영양 과정 472
    16.13 생화학반응에서 반응물로서의 산소 분자 472
    16.14 호기적 탄화수소 산화 472
    16.15 메탄영양과 메틸영양 473
    16.16 육탄당, 오탄당, 다당류의 대사 475
    16.17 유기산 대사 478
    16.18 지질 대사 479
    제17장 미생물 생태계 482
    I 미생물생태학의 원리 483
    17.1 생태학적 개념 483
    17.2 미생물 생태계와 생지화학적 순환 484
    II 미생물 서식지 485
    17.3 환경 및 미세환경 485
    17.4 생물막: 표면에서의 미생물 생장 486
    17.5 생물막: 장점과 제어 488
    III 담수, 토양 및 식물 미생물 생태계 489
    17.6 담수 환경 489
    17.7 육상 환경 491
    17.8 미생물 서식지로서의 식물 493
    IV 해양 미생물 생태계 495
    17.9 원양 495
    17.10 심해와 호압성 499
    미생물 토막뉴스
    깊은 지하의 미생물 494
    제18장 영양물질 순환, 생물정화, 공생 502
    I 탄소와 산소 순환 503
    18.1 탄소 순환 503
    18.2 영양공생과 메탄생성 505
    II 질소, 황 및 철 순환 508
    18.3 질소 순환 508
    18.4 황 순환 509
    18.5 철 순환 511
    III 미생물 정화 513
    18.6 광석의 미생물 용출 513
    18.7 수은과 중금속 전환 516
    18.8 석유 생분해 517
    18.9 인공합성물질의 생분해 519
    IV 동물-미생물 공생 521
    18.10 반추위와 반추동물 522
    18.11 열수분출공 미생물 생태계 525
    18.12 오징어-Aliivibrio 공생 528
    V 식물-미생물 공생 529
    18.13 지의류와 균근 529
    18.14 Agrobacterium과 근두암종병 531
    18.15 콩과식물-뿌리혹 공생 533

    부록 1
    미생물 생체에너지론에서 에너지 계산 A-1
    부록 2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판 A-6
    영문용어해설 G-1
    한글용어해설 G-9
    영문찾아보기 I-1
    한글찾아보기 I-8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원서(번역서)명/저자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92709361
발행(출시)일자 2011년 03월 08일
쪽수 550쪽
크기
210 * 297 mm
총권수 1권
원서(번역서)명/저자명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Madigan, Michael T.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삶의 실력, 장자
이벤트
  • 교보 오리지널 오디오북 할인
  • 소설 할인 스테이션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