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저자 하명희는 1973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예대 문예창작학과를 나왔다. 명동에 있는 계성여고에 다니던 1990년 난지도에 사는 한 아이로부터 우연히 편지를 한 장 받았고, 이후 명동성당에서 시위하는 사람들을 보며 사회 문제에 눈을 떴다. 1991년 5월 투쟁에 참가하면서 87년 투쟁을 통해 얻은 민주화 이후 역설적으로 언론 민주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학습한 것은 보수세력임을 목격했다. 그때로부터 24년이 지난 지금도 투쟁의 현장이면 언제나 등장하는 배후설, 운동권의 타락설 등을 보며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우리의 이야기를 써야겠다고 마음먹었고, 2009년 택배 청년의 하루를 그린 단편 「꽃 땀」으로 『문학사상』 신인문학상을, 2014년 『나무에게서 온 편지』(원제 『패륜아들』)로 제22회 전태일문학상을 받았다.
목차
- 차례
물고기가 다녀간 길 7
나무에게서 온 편지 40
천 개의 고약 76
물고기의 집 120
마석으로 가는 길 155
구름의 연대 198
패륜아들 233
어디로 277
――
수상 소감 298
심사평 302
출판사 서평
책소개
『나무에게서 온 편지』(원제: 패륜아들)는 제22회 전태일문학상 소설 부문 당선작이다. 1991년 봄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고등학생의 경험을 통해 그린 이 장편소설은 “당사자들조차 지루해할 수 있는 소재를 가공하고 변주하는 탁월한 솜씨로” 영예의 당선작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이번에는 예년과 달리 수상작품집에서 이 작품이 분리되어 별도의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올해 전태일문학상 소설 부문 응모작은 91편(응모자 86명)으로 지난해 47편(42명)의 두 배 정도에 이를 만큼 크게 늘어났고, 이 중 10편이 장편소설이었다.
출판사 리뷰
『나무에게서 온 편지』(원제: 패륜아들)는 제22회 전태일문학상 소설 부문 당선작이다. 1991년 봄의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고등학생의 경험을 통해 그린 이 장편소설은 “당사자들조차 지루해할 수 있는 소재를 가공하고 변주하는 탁월한 솜씨로” 영예의 당선작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이번에는 예년과 달리 수상작품집에서 이 작품이 분리되어 별도의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고등학생일 때 사회문제에 눈을 떠 학생운동에 뛰어들었으나 좌절과 실패를 경험한 작가는 수상 소감에서 작품 집필 의도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진실만이 위로가 된다는 말을 믿고 싶습니다. 24년 전 거리에서 만난 고등학생들이었던 우리들은 지금은 40대의 중년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때 우리들이 바꾸려 했던 현실의 문제들은 지금 광화문 광장에서도 여전히 배회하고 있지요. 그래서 말하고 싶었습니다. 그때 우리는 무엇을 했으며, 지금 우리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왜 우리는 거리로 나가 청소년기를 보내야 했고, 지금의 우리들은 여전히 거리에 있는 사람들을 보며 살아가야 하는지를. 왜 우리는 사회로부터, 국가로부터, 언론으로부터 ‘패륜아’로 낙인찍혀야 했으며, 왜 우리들은 길고 오랜 침묵을 지켜야만 했는지를. 당시 해직되었던 전교조 선생님들도 복권이 되었는데, 그때 학교에서 쫓겨났던 아이들은 도대체 어디서 무엇을 하며 살아가고 있는지를. 왜 아무도 그들의 삶을 물어주지 않는지 묻고 싶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때 그곳에 함께 있었던 우리들을 호명해 그동안 얼마나 외로웠냐고 위로하는 것이 제 소설의 시작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이 작품의 심사평에서 작가 안재성은 “고등학생 운동가라는 흔치 않은 주인공들을 통해 보여 준, 근래 소설계에서 보기 드문 주제의식과 소재를 다룬 수작이다. 작가의 직접 경험이 때로는 슬프게, 때로는 아름답게 투영되어 있기에 진지한 성찰과 감성을 동시에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심사위원 전원의 갈채를 받았다.”고 말한다. 나아가 그는 “이런 이야기에서 흔히 빠질 수 있는 편파적인 도식성, 일방적인 분노, 주관적 낙관주의 같은 한계를 넘어섬으로써 독자를 감동시킬 능력을 갖추었다.”며, “직접 경험과 감수성, 문학적 표현능력을 두루 갖춘 하명희 작가의 다음 작품을 절실히 기대한다.”고 밝혔다.
올해 전태일문학상 소설 부문 응모작은 91편(응모자 86명)으로 지난해 47편(42명)의 두 배 정도에 이를 만큼 크게 늘어났으며, 이 가운데 10편이 장편소설이었다. 비정규직과 청년실업이 심각한 현실을 반영하듯 응모작의 다수가 노동현장을 다룬 작품이었는데, 예심(심사위원: 소설가 홍명진, 이재웅)을 통과한 작품은 단편 8편, 중편 1편, 장편 1편이었다. 이 중 끝까지 본심 심사위원들(소설가 이시백, 안재성)을 고심하게 만든 작품은 고시원에 살면서 인터넷사이트의 불량 댓글을 지우는 비정규직 여성의 소외된 삶을 세밀하게 묘사한 단편 「모두 다 사라진 것은 아닌」과 극장 야간 청소부들의 약간은 슬프고 초라한 삶을 재치 있게 그린 단편 「팝콘사냥꾼」, 그리고 취업난으로 아르바이트를 전전하다 식품배송 트럭기사가 된 젊은이의 생활을 생생하게 그려 낸 중편 「우리들의 유통기한」이었다. 결국 주제의식과 소재, 장래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나무에게서 온 편지』가 당선작으로 선정되었다.
기본정보
ISBN | 9791185617220 |
---|---|
발행(출시)일자 | 2014년 11월 15일 |
쪽수 | 305쪽 |
크기 |
140 * 210
mm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