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 양장본 Hardcover
김영범 저자(글)
선인 · 2022년 07월 15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 대표 이미지
    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한지성의 독립운동 자료집 사이즈 비교 196x265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81,000 90,000
적립/혜택
4,500P

기본적립

5% 적립 4,5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5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3/31(월)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한지성은 경상북도 성주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고 독립유공자 서훈도 안 되었다. 근래야 재발견된 것처럼 이따금 언급된다.
한지성은 중국으로 망명 후 1936년 남경 중앙정치학교를 졸업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25세 무렵에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조선의용대,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대한민국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 조선민족혁명당, 중한문화협회, 중경 한국청년회 등에서 활동하였고, 1943년부터 1945년까지는 한국광복군에서 파견한 선전공작대의 대장으로 인도·미얀마의 대일전선에서 활약했다.

1. 출생과 성장기(학창 시절) 자료
족보와 제적부, 조모 사진과 양친의 동석 사진, 모친의 독사진
가천공립보통학교 수학기 자료
대구공립상업학교 수학기 자료
중국 망명 후 남경의 중앙정치학교 대학부를 다녔던 기록 등

2. 독립운동의 주요 경로와 환국 관련 자료
한지성은 1936년 중앙정치학교를 졸업하고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독립운동의 길에 들어섰다. 그가 독립운동의 장에 첫발을 내민 것은 조선민족혁명당 내의 청년당원 비밀서클 가담이다. 이 서클은 1938년에 ‘조선청년전위동맹’이라는 명칭과 조직개요를 공개했고 그때 한지성은 6인 집행위원 중 1인이었다. 그 후로 그는 조선의용대,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대한민국 임시의정원과 임시정부, 조선민족혁명당, 중한문화협회, 중경 한국청년회 등의 성원, 간부, 역원 이력을 거쳐, 1943년 8월부터 만 2년간 파인(派印)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의 대장이었다.
1948년 4월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한 제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 참석차 평양행. 이후 행적 아직 밝혀지지 않음.

3. 독립운동 관계 논설과 저작 자료
한지성은 조선의용대 창설 때 본부의 정치조 요원으로 배치되었고 대내 정훈자료 및 대외 선전자료 제작을 담당했다. 중앙정치학교 수학기에 익히고 닦은 중국어문 독해와 작문 실력을 대장 김원봉이 높이 사서였을 것이다. 그 후로 한지성은 조선의용대 기관지를 위시한 여러 매체에 기고하여 자주 글이 실렸다.
환국하고 4개월이 조금 못되던 1946년 8월 말에 한지성은 서울 황금정의 태평문화출판사에서 『제2차 세계대전 문헌』이라는 제목의 편역서를 단독으로 펴냈다. 책에는 대서양헌장(1941.8.14)부터 얄타회담에 관한 루즈벨트 대통령의 미국의회 보고(1945.12.1)까지, 지난 5년간 연합국 최고지도자들이 관여했던 헌장, 선언, 공보, 담화, 연설, 보고문 등 17건이 중문과 영문에서 번역되어 실렸다. 한지성은 머리말에서 “이 책은 전세계 반(反)파쇼 민주국가와 민주인민이 전승을 쟁취한 피의 경험과 미래세계에 대한 희망과 요구를 지적한 것”이자 “조선이 정확한 진로를 확정하는 데 필요한 자료가 되며, 또 조선문제를
처리하는 데 일종의 경험이 될 것임을 믿는다.”고 하였다. 요컨대 ‘민족의 완전독립과 인민의 민주정부 수립’이라는 민중적 숙망의 실현에 도움이 되자는 생각으로 만든 것인데, 국제문제에 대한 그의 선진적 감각과 남다른 인식 수준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4. 한지성의 독립운동 관계 기사 자료
조선의용대 간부 시절, 임시의정원 의원 및 임시정부 직원이던 시기, 조선민족혁명당과 재중경 항일연대조직들의 간부이던 때,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시절, 그리고 환국 후 조국의 완전독립·통일독립을 위해 매진하던 2년여
기간이 그것이다. 수록되는 기사 수에서는 인면전구공작대장 시절의 것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환국 후, 조선의용대, 임시의정원, 민혁당과 기타조직들 순이다.

5. 회고·추모의 목소리와 연구 논고 등이다
1948년 4월 ‘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한 제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 참석차 평양행. 이후 1959년 3월 그가 북한정권에 의해 숙청 혹은 처형되었다는 설도 믿을 만한 근거를 갖고서 분명하게 확인되는 것은 아직 아니다.

작가정보

저자(글) 김영범

金榮範
ㆍ 대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를 지내고 현 명예교수
ㆍ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사회사/역사사회학 전공, 문학박사)
ㆍ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비상임 연구위원, 사전 편찬위원, 학술지 편집위원장, 현 운영위원
ㆍ 대구광역시 독립운동 현창사업, 밀양시 의열기념관·의열체험관 건립 등 자문위원
ㆍ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제1기 위원
ㆍ 국무총리 소속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
ㆍ 제8회 독립기념관 학술상(2012) 수상

■ 학술저서
「한국 근대민족운동과 의열단」(1997), 「의열투쟁 Ⅰ-1920년대」(2009), 「혁명과 의열: 한국독립운동의 내면」(2010), 「민중의 귀환, 기억의 호출」(2010), 「의열단·민족혁명당·조선의용대의 영혼 윤세주」(2013), 공저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2003), 「기억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2004), 「경북독립운동사」 Ⅴ(2014), 「3.1운동 100년 5: 사상과 문화」(2019) 외 다수

■ 연구논문
「한국광복군 간행 《광복》의 독립운동론」, 「조선의용대 연구」, 「민족혁명당의 결성과 그 혁명운동 노선」, 「1940년대 초 재중국 ‘민족좌파’의 임시정부 참여 재론」, 「조선의용대의 항일전투(참가) 실적과 화북진출 문제 재론」 외 60여 편

목차

  • 간행사 (정홍규)
    헌 사 (한석동)
    축간사 (이윤기)
    기념사 (이종찬)
    편자 서문 겸 해제 (김영범)

    자료편
    Ⅰ. 가계와 성장기
    1. 가계와 본향
    2. 가천공립보통학교 수학기
    3. 대구공립상업학교 수학기
    4. 중국국민당 중앙정치학교 수학기
    Ⅱ. 독립운동의 주요 경로와 환국
    1. 조선의용대 간부
    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및 조선민족혁명당 간부
    3.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4. 결혼과 환국

    Ⅲ. 독립운동 관계 논설과 저작
    1. 『조선의용대(통신)』 기고문
    ① 제3호(1939.2.5), 志成, 〈一個日本浮虜的告白〉
    ② 제4호(1939.2.15), 志成, 〈活躍在戰壕裏的朝鮮義勇隊〉
    ③ 제7기(1939.3.21), 志成, 〈浮虜牧本君訪問經過〉
    ④ 제19·20기 합간(1939.8.1), 韓志成, 〈朝鮮靑年?樣反抗日本帝國主義(轉載)〉
    ⑤ 제24기(1939.9.11), 韓志成, 〈桐村定男的日記〉
    ⑥ 제28기(1939.11.1), 志成, 〈「中日親善」下的鎭江〉
    ⑦ 제29기(1939.11.5), 田矢(志成 譯), 〈臺灣統治者的暴虐〉
    ⑧ 제30기(1939.12.15), 韓志成, 〈目前朝鮮義勇隊的動態〉
    ⑨ 제30기(1939.12.15), 在樹 譯, 〈物資統制下之日本〉
    ⑩ 제31기(1940.1.1), 志成 譯, 〈日寇在朝鮮的精神總動員運動〉
    ⑪ 제31기(1940.1.1), 在樹 譯, 〈物資統制下之日本(續)〉
    ⑫ 제34기(1940.5.15), 韓志成, 〈目前環境與朝鮮義勇隊今後工作方向〉
    ⑬ 제34기(1940.5.15), 韓志成, 〈朝鮮「志願兵」問題〉
    ⑭ 7·7항전 3주년 기념 專號(1940.7.7), 韓志成, 〈‘七七’抗戰中産生的朝鮮義勇隊〉
    ⑮ 제37기(1940.10.1), 韓志成, 〈二年來的敎訓與今後的工作〉
    ? 제39기(1941.1.1), 志成, 〈對敵工作硏究綱要〉
    ? 제40기(3주년기념 특간, 1941.10), 韓志成, 〈朝鮮義勇隊三年來工作的總結〉
    2. 대외 기고문과 강연문
    ① 「조선의용대의 과거와 금후」, 『重慶 大公報』 1940.10.9
    ② 「지난 2년간 얻은 교훈과 금후의 공작」, 『新華日報』 1940.10.9
    ③ 「적의 전시 대한정책」, 『戰線日報』 1941.6.9
    ④ 「조선복국운동」(강연문), 『香港 大公報』 1941.10.31. 【부록】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한지성의 거짓선전」, 『신한민보』 1941.12.4
    ⑤ 「4동지의 장렬한 순국경과」, 『우리通訊』 제14호, 1942.11.29
    ⑥ 「1당백의 조선혁명청년」, 『앞길』 제34기, 1944.7.5.; 「1당백의 조선사관」, 『신한민보』 1944.9.21
    ⑦ 「인도 공작대에 관하야」, 『독립』(Korean Independence) 제3권 제75호, 1945.6.13
    3. 편역서 『제2차 세계대전 문헌』 (1946)

    Ⅳ. 한지성의 독립운동 관계 기사
    1. 조선의용대 본부요원 및 간부
    ① 조선의용대 총무조원 겸 정치조원 (1938.10)
    ② 조선의용대 전지특파원 (1939.1)
    ③ 화중지역에서 조선의용대 전지통신원으로 활동
    ④ 전방에서 조선의용대 본부로 귀환하고 보고 (1938.8)
    ⑤ 정치조 업무차 일선 전구 출장 (1939.12)
    ⑥ 조선의용대의 활동상에 관해 중국인 기자와 담화 (1940.1)
    ⑦ 조선의용대 본부 정치조 선전주임 겸 편집위원회 중문간 주편위원 (1940.1 현재)
    ⑧ 조선의용대 본부의 중경 이전 환영회에서 연설 (1940.4.12)
    ⑨ 조선의용대 본부 외교주임 (1941.5 현재)
    ⑩ 조선의용대 지도위원 겸 편신조장 (1941.5.14 현재)
    ⑪ 한지성의 남양 파견에 대한 군사위 정치부의 의견 회신 (1941.5)
    ⑫ 중국 외교부에서 한지성의 남양 선전공작에 협조키로 했음을 조선의용대에 통지 (1941.6.26)
    ⑬ 한지성의 남양 선전공작에 협조해주도록 중국 외교부에서 예하 공관에 통보 (1941.6.27.)

    2.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 및 임시정부 요원
    ① 제3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신임의원으로 보선 (1942.10.20)
    ② 제34회 임시의정원 회의에 출석하여 발언 (1942.10.27~11.4)
    ③ 임시정부 승인을 연합국 정부들에 요구하자는 제안에 참여 (1942.10.28)
    ④ 의원선거법 제정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⑤ 국가(國歌) 및 군가 제정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⑥ 임시의정원 의원의 교제비·여비 지급 결의를 제안함에 참여 (1942.10.29)
    ⑦ 임시의정원 의원들이 국내외 동포들에게 보내는 글에 서명 (1942.11)
    ⑧ 임시정부 선전부 총무과장 겸 선전위원 (1943.4.10~9.20)
    ⑨ 임시의정원 임시회의 소집 요구서에 서명 날인 (1943.6.28.)
    ⑩ 임시의정원 의원직을 사임 (1943.10)

    3. 조선민족혁명당과 재중경 항일연대조직들의 간부
    ① 중한문화협회 조직조 부주임으로 선임 (1942.10.17)
    ② 4당 통일회의에 조선민족해방투쟁동맹 대표로 참가 (1942.12)
    ③ 조선민족혁명당에 합류하고 중앙집행위원으로 피선 (1943.1)
    ④ 한국청년회 창립에 참여하고 부총간사로 선임 (1943.1.20)
    ⑤ 재중국자유한인대회 주석단의 일원으로 선언문 등을 발표 (1943.5)
    ⑥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으로 재선임 (1944.4.14)
    ⑦ 조선민족혁명당 인도특구부를 조직 (1944.5)

    4.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장
    ① 제1지대 정훈조 중위 조원으로 한국광복군에 편입되다 (1942.7)
    ② 조선민족혁명당의 조선민족군 선전연락단위 파견협정 계획서 (1943.5)
    ③ 한국광복군 주인(駐印)연락대의 파견에 관한 협정 초안 (1943)
    ④ 한국광복군의 재인도 선전공작에 대한 중국 외교부 내부보고 (1943.9)
    ⑤ 한국광복군 인도공작대 대원 9인의 명단 통보 (1943.10.19)
    ⑥ 한지성 등의 동향 보고에 관하여 (1943.10.20)
    ⑦ 한지성 등 파인공작대원 9명의 행동을 탐지 보고하라는 밀전 (1943.10.21)
    ⑧ 한지성 일행 8인의 인도에서의 동향에 대하여 (1943.10.23)
    ⑨ 한지성 등 한적 복무단의 재인도 동향에 관한 보고 (1943.11.2)
    ⑩ 한인 16명의 인도행 추가파견을 중국 군사위에서 승인하지 않음에 대하여 (1943.11.11)
    ⑪ 파견기한 만료에 따른 한지성 등의 귀환 문제에 관하여 (1944.2.4)
    ⑫ 한지성 등이 조속히 귀국하도록 전하여 알림에 대하여 (1944.2.18)
    ⑬ 한지성 등의 파견공작 기간 만료에 따른 군사위원회 조치에 대하여 (1944.7.12)
    ⑭ 파견공작 기간 만료에 따른 군사위원회의 조치에 대해 문의 (1944.7.22)
    ⑮ 인도공작대의 활약상에 대한 김약산의 소개 (1944.6.21)
    ? 파인공작대의 활동에 대해 한지성이 인도에서 보내온 소식 (1944.8)
    ? 파인공작대의 근황 (1944.8)
    ? 파인공작대 대장 한지성, 중경으로 일시 귀환 (1944.12)
    ? 파인공작대 문제에 대한 협조 요청 (1945.1.4)과 오철성의 회신 (1945.1.13)
    ? 한국광복군 관련 사안들에 대한 중국 군사위원회의 입장과 대책 (1945)
    ? 군무부 공작보고서 속의 인도공작대 (1945.4.1)
    ? 한지성 등 파인공작대의 활약상
    ? 광복군 인도공작대의 근황 (1945.3)
    ? 한지성이 부인을 인도로 데리고 가는 문제에 대하여 (1945.2.8)
    ? 파인공작대원 송철 대위가 전사한 Bacon 대위의 부인께 보낸 편지 (1945.4.20.)

    5. 해방 후의 ‘완전독립’운동
    ① 1946.3.21,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 중앙위원
    ② 1946.5월 초, 민전 상임위원
    ③ 1946.5.13, 조선민족혁명당(‘민혁당’) 인천지부 결성식 참석
    ④ 1946.11.30, 민혁당 서울시당부 결성식 사회
    ⑤ 1947.1, 민혁당 중앙상무위원 겸 민전 상임위원
    ⑥ 1947.2.17, 민전의 ‘지방선거 민전강령실천대책위원회’ 연락책임위원
    ⑦ 1947.5.18, ‘ 미소공위 속개 축하 및 민주주의임시정부 수립 촉진 시민대회’ 준비위원회 총무부 위원
    ⑧ 1947.6.2, 민혁당의 인민공화당으로의 개조 때 중앙위원 겸 조직부장 직 수임
    ⑨ 1947.7.29, 민전이 주최할 ‘8.15 해방 2주년 기념 시민대회’ 준비위원
    ⑩ 1947.8.9, 소련대일선전일 기념식에서 기념사
    ⑪ 1947.8.중순, ‘ 미군정 파괴를 위한 폭동음모’를 이유로 수도경찰청이 수백 명의 좌익인사를 검거해갈 때 같이 피검 구속
    ⑫ 1947.11.20, 검찰에 송치되어 있던 중 불기소 결정으로 석방
    ⑬ 1948.2.18, 민전이 주최할 ‘3.1운동 제29주년 기념대회’ 준비위원
    ⑭ 1948.4.19, 민전이 개최할 ‘단선·단정반대 통일정부수립촉진 인민대회’ 준비위원

    회억편
    Ⅰ. 연보
    1. 한지성의 성장기와 독립운동기 연보
    Ⅱ. 회고와 추모
    1. 조카들이 어렸을 적 들었던 이야기들
    2. 인터뷰를 통해 말하다
    3. 다시 불러보는 그 이름 (성재경)
    Ⅲ. 연구 논고
    1. 韓志成의 생애와 민족운동 (류동연)
    2. 한국광복군 印緬戰區工作隊 연구 (박민영)
    3. 한국광복군 인면전구공작대의 파견 배경과 성격 (류동연)
    Ⅳ. 인면전구공작대의 동지 9인
    1. 김상준(金尙俊)
    2. 김성호(金成浩)
    3. 나동규(羅東奎)
    4. 문응국(文應國)
    5. 박영진(朴永晉)
    6. 송 철(宋 哲)
    7. 이영수(李英秀)
    8. 최봉진(崔鳳鎭)
    9. 안원생(安原生)

    감사의 말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60687231
발행(출시)일자 2022년 07월 15일
쪽수 822쪽
크기
196 * 265 * 49 mm / 1946 g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