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조선후기 한문비평 2

도곡 이의현의 〈운양만록〉 및 〈도협총설〉
성백효 , 신영주 , 연석환 역주 · 이의현 저자(글)
한국인문고전연구소 · 2020년 11월 1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조선후기 한문비평 2 대표 이미지
    조선후기 한문비평 2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조선후기 한문비평 2 사이즈 비교 154x225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9,700 33,000
적립/혜택
1,650P

기본적립

5% 적립 1,6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6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21(월)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부지런히 배우고 묻기를 좋아하고(勤學好問曰文), 정직하여 사특함이 없다(正直無邪曰簡)’고 평가받은 도곡 이의현의 치밀한 기록과 그의 품격있는 문장을 통해 시대를 통찰하다
〈운양만록(雲陽漫錄)〉과 〈도협총설(陶峽叢說)〉은 각각 《도곡집(陶谷集)》 권27, 권28에 실려 있다. 《도곡집》은 이의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6년에 간행한 시문집으로, 그 중 〈운양만록〉은 조상들로부터 지켜온 가법(家法)을 58칙(則)으로 나누어 후손에게 수계(垂戒)한 것으로 도곡이 운산(雲山)으로 귀양을 간 뒤에 적소(謫所)에서 소일하기 위해 지은 것들을 뒤에 정리한 것이다.
〈도협총설〉은 경전(經傳)에 관한 문제점을 들어 논한 것으로 104칙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727년(영조 3)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도곡이 벼슬을 내놓고 양주(楊州) 도산(陶山)의 선영 아래에 은거해 있으면서 그동안 보고 들은 내용과 생각나는 것들을 두서없이 써놓은 것이다.
본인 스스로 분잡스럽고 화려한 도시문화를 좋아하지 않고 오직 조용히 방에 틀어박혀 책 보는 것을 좋아하는 ‘벽(癖)’이 있다고 한 그는 아버지에 대한 추억, 벼슬길의 애상, 자신이 보고 들었던 인물평, 읽었던 책에 대한 소감 등 자잘한 일상생활 속 기록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구입한 52종 1천342권의 책명부터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298개의 성씨까지 아우르고 있어, 지식인 이의현의 기록벽의 면모도 볼 수 있다.

이 책의 시리즈 (2)

작가정보

역주 성백효

충남忠南 예산禮山에서 태어났다.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했고,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으로부터 사사했다.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를 수료하였고,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번역서로는 《사서집주四書集註》, 《시경집전詩經集傳》, 《서경집전書經集傳》, 《주역전의周易傳義》, 《고문진보古文眞寶》,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심경부주心經附註》, 《통감절요通鑑節要》, 《당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鈔 소식蘇軾》, 《고봉집高峰集》, 《독곡집獨谷集》,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약천집藥泉集》, 《양천세고陽川世稿》, 《여헌집旅軒集》, 《율곡전서栗谷全書》, 《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 《존재집存齋集》, 《퇴계전서退溪全書》, 《현토신역 부 안설 논어집주懸吐新譯 附 按說 論語集註》, 《현토신역 부 안설 맹자집주懸吐新譯 附 按說 孟子集註》, 《현토신역 부 안설 대학중용집주懸吐新譯 附 按說 大學中庸集註》, 《최신판 논어집주論語集註》, 《최신판 맹자집주孟子集註》, 《최신판 대학중용집주大學中庸集註》, 《논어집주상설論語集註詳說》, 《맹자집주상설孟子集註詳說》, 《대학중용집주상설大學中庸集註詳說》, 《고문진보후집1, 2》, 《조선후기 한문비평1, 2》, 《신역新譯 주역전의周易傳義》 등이 있다.

저자(글) 이의현

李宜顯
1669~1745년.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이다. 자는 덕재(德哉), 호는 도곡(陶谷)이고, 본관은 용인(龍仁)이다. 조부는 이정악(李挺岳), 부친은 좌의정 이세백(李世白), 모친은 정창징(鄭昌徵)의 딸이다.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문학에 뛰어나 숙종 때 대제학 송상기(宋相琦)에 의해 당대 명문장
가로 천거되었다.

목차

  • 간행사
    이 책에 대하여
    일러두기

    ㆍ 雲陽漫錄 ㆍ
    1. 대대로 전한 청렴한 가풍
    2. 시비와 선악에 엄격한 선친
    3. 도촌 정유성의 선견지명
    4. 선친 이세백의 벼슬길
    5. 이산 윤씨尼山尹氏와의 세의世誼
    6. 평생의 품은 뜻
    7. 평생의 관직 이력
    8. 인과응보의 신명한 이치
    9. 벼슬은 우연히 머물다 떠날 뿐인 것
    10. 도연명의 시 〈이거移居〉
    11. 사군자士君子의 출처出處와 사수辭受
    12. 선물을 받거나 물리치는 도리
    13. 사람 마음의 험하고 야박함
    14. 뜻과 취향을 살펴서 사귐
    15. 동고 이준경의 회계回啓
    16. 서애 유성룡의 《징비록懲毖錄》
    17. 종반宗班의 정사 참여
    18. 왕애王涯 등의 죽음을 조롱한 백거이白居易의 시
    19. 남인을 추종한 서인 정유악鄭維岳
    20. 이항복과 신흠의 문상問喪하는 법
    21. 세상에 드문 정탁鄭琢의 명수命數
    22. 해인사 승려의 꿈에 나타난 정인홍의 운수
    23. 박엽朴燁의 위세에 맞선 9세의 이준악李峻岳
    24. 윤두수尹斗壽와 윤근수尹根壽 형제의 기상
    25. 백곡柏谷 김득신金得臣의 지둔하고 우활한 성품
    26. 《장자莊子》의 구절을 모른 옥당의 관원
    27. 조정 대신이 지은 시詩의 부귀한 기상
    28. 호곡壺谷 남용익南龍翼의 시참詩讖
    29. 미리 정해지는 사람의 운명
    30.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이 꿈에서 얻은 시구
    31.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호방한 성품과 풍류 있는 시풍
    32. 남에게 굽히기를 싫어하는 문인들의 습기習氣
    33. 고아하면서도 법도에 맞는 군자의 말과 문장
    34. 선진·당송의 고문과 한위漢魏·성당의 시
    35. 음이생陰飴甥의 말을 원용한 최립의 종계변무宗系辨誣
    36. 노장老莊을 《논어》와 《맹자》에 견줌
    37. 천고 문장의 정맥正脈이 육경六經에서 근원함
    38. 선진 제자의 높은 식견과 문장력
    39. 명나라의 여러 문학 유파流派
    40. 고문의 법도와 이반룡·왕세정
    41. 시를 논하는 천고의 표준, 온유돈후溫柔敦厚
    42. 이백과 두보가 숭상한 포명원
    43. 송나라 주요 시인의 시체에 대한 평
    44. 명나라 주요 시인의 시체에 대한 평
    45. 호응린의 《시수》에 대한 평
    46. 우리나라 문풍과 시풍의 변천
    47. 조맹부 글씨의 전래와 우리나라 서체의 변화
    48. 경조부박하여 겉치레에 힘쓴 명나라 인심과 풍속
    49. 정사正史를 어지럽히고 성정을 해치는 《수호전》과 《서유기》
    50. 여항에서 부녀간에 사용되는 예스러운 문자
    51. 우리나라에서 다르게 사용되는 어휘와 한자
    52. 원나라에 정통성을 부여한 《송원강목》
    53. 《주자대전차의》의 소루하고 잘못된 오류
    54. 서적 편찬과 완물상지
    55. 《미암일기초》의 오류
    56. 중첩되고 번잡한 영락대전본 경서 소주小註
    57. 《소학집주》의 오류
    58. 증공과 소식의 잘못된 인물평

    ㆍ 陶峽叢說 ㆍ
    1. 이단異端과 주자학朱子學에 관한 논란
    2. 《언해諺解》의 구두句讀 오류
    3. 공자와 맹자의 경륜을 담은 《중용中庸》과 《맹자孟子》
    4. 억지로 고문을 모방하는 병통
    5. 사람의 마음을 감발시키는 《시경詩經》
    6. 정사 중에 가장 신중해야 하는 형정刑政
    7. 지극한 양陽의 정기가 되는 용龍
    8. 진호陳澔가 편찬한 《예기집설禮記集說》의 소략한 주석
    9. 《춘추春秋》와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서술 기점과 성인의 필법
    10. 간략하고 심오하며 의리가 순정한 《공양전公羊傳》과 《곡량전穀梁傳》
    11. 완곡하고 재미있는 영고숙穎考叔의 언변
    12. 춘추시대와 전국시대 말의 문장 변천
    13. 읽는 사람을 고무시키는 《주례周禮》〈고공기考工記〉의 문장
    14. 지식과 견문을 넓히는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15. 《소학小學》과 《근사록近思錄》
    16.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과 《정경政經》
    17. 인仁과 의義를 배우다가 잘못된 양주楊朱와 묵적墨翟
    18. 타인의 말을 경청한 사마광司馬光과 범순인范純仁
    19. 감사와 수령의 바람직한 관계
    20. 과거제도의 병폐
    21. 국가의 존망에 무심한 자는 유자儒者가 아니다
    22. 청淸의 본래 칭호는 융로戎虜
    23. 주자朱子가 활용한 외가外家의 말과 한만한 시구
    24. 《주자대전朱子大全》은 의리義理의 창고
    25. 주자를 존숭하지 않는 소론少論
    26. 정밀한 독서는 학문의 요체
    27. 과거공부와 독서의 경중輕重
    28. 난세에 벼슬하는 자가 지켜야 할 것
    29. 선학禪學에 물든 이정二程의 문인들
    30. 말년에 출사하여 흠을 남긴 양시楊時
    31. 선학禪學과 사학史學과 공리설功利說에 대한 비판
    32. 선학禪學보다 해가 심한 여조겸呂祖謙과 진량陳亮의 학술
    33. 사마광司馬光을 공격한 진량陳亮에 대한 비판
    34. 소인은 악취 나는 풀
    35. 부자를 멀리한 포증包拯의 청렴
    36. 역사서의 세 가지 서술 체제
    37. 선진先秦 이전의 제자諸子 25가家
    38. 천하의 지극한 글 《노자老子》와 《능엄경楞嚴經》
    39. 노자老子를 배운 자의 사업
    40. 내용이 중복되는 《열자列子》와 《남화경南華經》
    41. 《순자荀子》는 한유韓愈 문장의 근원
    42. 《관자管子》와 《안자晏子》의 문장
    43. 글이 가장 빼어난 귀곡자鬼谷子
    44. 《손자孫子》는 병가兵家 서적 중의 최고
    45. 《귀곡자鬼谷子》에서 변화되어 나온 《한비자韓非子》
    46. 여불위의 《여씨춘추呂氏春秋》
    47. 굴원屈原과 송옥宋玉의 사부詞賦
    48. 선진先秦 이전과 한漢·위魏 시대의 서적
    49. 장부張溥의 《한위육조백삼가집漢魏六朝百三家集》
    50. 진晉나라 사람들의 청담淸談을 담은 《세설신어世說新語》
    51. 고시古詩의 찬집纂輯
    52. 당나라의 뛰어난 문장가들
    53. 명나라 문인들의 당시唐詩 추종과 송시宋詩의 성쇠盛衰
    54. 송대宋代의 산문散文
    55. 원호문元好問이 엮은 《중주집中州集》과 《중주악부中州樂府》
    56. 고사립顧嗣立의 《원시선元詩選》
    57. 원나라의 문사文詞에 대한 평
    58. 명나라 시를 채록한 선집選輯들
    59. 명나라 유사遺事를 보여주는 《열조시집列朝詩集》 소전小傳
    60. 《명문기상明文奇賞》에 수록된 최립崔?과 고경명高敬命의 글
    61. 명나라의 4가지 문학 유파
    62. 고시정顧施禎과 위헌魏憲의 청나라 시선집
    63. 서재에 소장하고 있는 청나라 문인의 문집
    64. 왕세덕王世德의 《숭정유록崇禎遺錄》
    65. 세교에 보탬이 없는 수서壽序와 송서送序
    66. 구와 자를 줄여 간簡을 추구한 명나라 산문
    67. 자구를 끊고 허자虛字를 줄여 간簡·고古로 삼는 세속의 풍조
    68. 옛 체제를 쓰되 자기 면목을 지키는 작문 방법
    69. 훌륭한 문장을 짓는 데 필요한 세 가지
    70. 우리나라 고문의 역사와 고문가들
    71. 소년기에 과문을 익힌 상촌 신흠의 자탄
    72. 월사 이정귀의 문장과 〈무술변무주〉
    73. 한 글자 한 구도 법도에 어긋남이 없는 장유張維의 고문
    74. 명·청 시문선집에 수록된 우리나라 문인들의 시문
    75. 고문의 법도를 갖춘 홍성민洪聖民의 문장
    76. 청음 김상헌의 친구 이씨李氏가 남긴 두 수의 빼어난 시
    77. 굴을 소재로 시를 지어 곤경에서 벗어난 승려
    78. 장옥張玉의 〈소요당서〉와 장유張維의 삼전도 공덕비문
    79. 우리나라에서만 유행하는 중국 서적과 서체
    80. 우리나라에서 애창된 유신의 〈애강남부〉
    81. 경서는 학문·과거·문장의 근본
    82. 저자의 평소 소망과 예측할 수 없는 인간의 영고성쇠榮枯盛衰
    83. 다른 것은 다 속일 수 있어도 문장은 속이지 못한다
    84. 도를 논하고 큰일을 판단하는 정승의 직분
    85. 실현되지 않는 복선화음福善禍淫의 이치
    86. 공론을 두려워한 소인들의 거짓된 공명심
    87. 승급陞級과 가자加資의 잘못된 관행
    88. 인목대비 폐모론에 관한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상소문
    89. 자字 대신 이름을 쓴 이발李潑에게 보낸 편지 제목
    90. 용주 조경의 삼전도비를 기롱한 시
    91. 오상렴이 지은 〈삼전도비〉 시
    92. 우암 송시열을 향한 소론 측의 비난
    93.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을 향한 소론의 공격
    94. 인심의 험악함과 시세의 위태로움
    95. 이조 판서 시절에 받은 가명假名의 투서
    96. 성주의 산송 분쟁과 박수하의 딸(박효랑)
    97. 진정한 충현忠賢과 호걸과 문장가
    98. 조선조의 역대 대제학
    99. 공론으로 인재를 등용하던 성종조의 예스러운 기풍
    100. 조선조의 상신相臣 명단
    101. 문과에 급제자가 많은 조선조 명문가들
    102. 영남과 호남의 성대한 인재들
    103. 도곡의 팔고조八高祖
    104. 우리나라 성씨의 소개

    발문

책 속으로

나는 성품이 꼼꼼하지 못하고 우활하며 사리에 밝지 못하다. 비록 서울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나 분잡하고 화려한 것과 부산하게 돌아다니는 것을 몹시 싫어한다. 오직 조용히 한 방에 거처하면서 책 보는 것을 좋아하는 성벽(性癖)만 있을 뿐이었다.
-33쪽

분에 넘치는 재물과 관직을 탐하여 요행을 바라면 더 큰 불행에 처하고 흉악한 독기를 부려서 선량한 사람을 살육하는 자는 천벌을 피하지 못하는 것이 인과응보의 이치이다. 복선화음(福善禍淫)의 천도가 신명함을 밝힌 것이다.
-45쪽

나는 세상의 변고를 다 겪고 인간의 마음을 두루 보았는데, 사람들이 배반하고 모함하는 일이 일가의 친족이나 평소에 은혜를 받아 친애하고 신뢰하고 다정하게 지내는 사람들 속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상 사람들이 화를 당하고 우환을 겪는 것을 보면 대부분 모두 그러하였다. 그러니 장지기 같은 자를 어찌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
-59쪽

문장이란 언어의 활용이므로 결국 사용한 언어가 고아하여 품격이 있어야 하고 법도에 맞고 조리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문장을 평할 때는 우아한지 비속한지 법도에 맞는지를 보아야지, 남들처럼 겨우 문맥이 통하는지 여부를 보는 정도로는 문장의 성취를 제대로 평가할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118쪽

출판사 서평

이 책은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1651~1708)의 《농암집》 권31에 실려 있는 〈농암잡지 외편(農巖雜識外篇)〉과 농암의 제자인 도곡(陶谷) 이의현(李宜顯, 1669~1745)의 《도곡집(陶谷集)》 권27에 실려 있는 〈운양만록(雲陽漫錄)〉 및 권28에 실려 있는 〈도협총설(陶峽叢說)〉에 소제목과 해설을 붙이고 현토하여 역해(譯解)한 것이다.
농암은 숙종조의 정치가이자 학자로서 경학(經學)과 성리학(性理學)은 물론이요, 문학에도 뛰어난 실력이 있어 비록 행공(行公)은 하지 않았지만 대제학에 뽑힌 인물이다. 도곡 이의현 역시 대제학과 우의정, 영의정을 역임한 인물이다.
〈농암잡지 외편〉은 146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순수한 문학 비평이다. 반면에 〈운양만록〉과 〈도협총설〉은 여러 내용이 잡다하게 수록되어 있어 순수한 문학 비평은 아니다. 하지만 여기에도 문학을 소개하고 비평한 내용이 상당수 실려 있으므로 이 세 편의 글을 한 데 묶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위의 저서들을 번역ㆍ간행하면서 이들을 묶어 “조선후기 한문비평”이란 제목을 붙였다.
농암의 잡지와 도곡의 만록ㆍ총설은 모두 짤막한 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농암잡지 외편〉은 거의 모든 항목에 집필한 연도가 밝혀져 있다.
〈운양만록〉은 1722년(경종 2) 신임사화(辛壬士禍)로 도곡이 운산(雲山)으로 귀양을 간 뒤에 적소(謫所)에서 소일하기 위해 지은 것들을 뒤에 정리한 것이며, 〈도협총설〉은 1727년(영조 3)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도곡이 벼슬을 내놓고 양주(楊州) 도산(陶山)의 선영 아래에 은거해 있으면서 그동안 보고 들은 내용과 생각나는 것들을 두서없이 써놓은 것이다.
이번에 출간된 『조선후기 한문비평』은 중국의 당·송·명·청나라의 시문 대가들로부터 우리나라의 시문대가들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와 중국의 문학에 관한 탁월한 비판을 다루고 있는데, 한문학에 조예가 깊지 않은 분들에게도 우리나라 한문학의 맥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97970681
발행(출시)일자 2020년 11월 10일
쪽수 504쪽
크기
154 * 225 * 35 mm / 865 g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신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