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정보

</b></font>
한영우(韓永愚)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장, 미국 하버드대 객원교수, 서울대 규장각 관장, 서울대 인문대학장 등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문화관광부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
주요저서
『정도전 사상의 연구』(1973), 『조선전기 사학사 연구』(1981), 『정도전 사상의 연구』(개정판, 1983), 『조선전기 사회경제 연구』(1983), 『한국의 문화전통』(1988), 『조선후기 사학사 연구』(1989), 『우리 역사와의 대화』(1991), 『한국 민족주의 역사학』(1994), 『조선시대 신분사 연구』(1997), 『미래를 위한 역사의식』(1997), 『다시 찾는 우리 역사』(1997),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1998),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공저, 1999) 등 다수
목차
- 1. 명성황후의 죽음과 대한제국의 성립
1. 들어가면서 ...12
2. 명성황후의 가계와 행적 ...15
3. 을미지변의 경과 ...39
4. 춘생문 사건과 국상의 준비 ...64
5. 계속되는 국장의 연기 ...125
6. 대한제국의 성립과 국장의 종료 ...139
2. 명성황후 국장 관련 의궤
1.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 ...261
2. 명성황후 빈전혼전도감의궤 "제1책" 제1권 ...279
3. "제2책" 제2권 ...299
4. "제3책" ...305
3. 명성황후 홍릉산릉도감의궤
-상권 ...314
-하권 ...328
4. 명성황후 홍릉석의중수도감의궤
1. 시일 ...339
2. 좌목 ...342
3. 조칙. 연설. 주본. 장계 ...343
4. 석의도설 ...345
5. 재용. 상전. 공장. 기타 ...349
6. 의궤편찬 ...350
출판사 서평
기획의도
조선조 기록 문화의 보고(寶庫)인 의궤(儀軌)의 현대화.대중화 작업의 하나로서, 명성황후의 국장과 관련된 의궤들을 바탕으로 하여 국장을 둘러싼 2년 2개월간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궁중 생활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의궤에 실린 반차도를 비롯하여 많은 현장 사진들이 사건의 '어제'와 '오늘'을 말해 준다.
1부에서는 황후의 죽음과 그 여파가 어떻게 대한제국의 성립을 가져왔는지를 차근차근 짚어 보았으며, 2부에서는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를 비롯한 4종의 의궤에 대해 설명했다.
조선후기 문화 역량의 진수(眞髓)이자 기록 문화의 꽃인 의궤(儀軌)의 현대화.대중화 작업을 위한 또 하나의 노작(勞作)이 독자들 곁을 찾아간다.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한영우, 1998), 『66세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신병주, 2001)에 이어 이 책은 명성황후의 국장과 관련된 의궤들을 바탕으로 국장을 둘러싼 2년 2개월간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궁중 생활을 생생하게 담아냈다.
구 성
1부에서는 명성황후의 죽음에서 대한제국의 성립에 이르는 과정 및 국장의 이모저모를 다루었고, 2부에서는 명성황후의 국장과 관련된 4종류의 의궤를 소개했다.
특히 1부에서는 황후의 빈전(殯殿)을 경운궁으로 옮겨가는 모습을 그린 반차도(83~116쪽)와 발인(發靷)반차도 (179~256쪽)가 소개되는데, 각각 33쪽과 77쪽에 이르는 이들 반차도에 나타난 인물들의 복장,
들고 가는 각종 의장(儀裝), 상여들의 모습을 통해 국장의 규모와 위용을 짐작할 수 있다. (1부에는 고종의 황제 즉위식을 위해 옥보(玉寶)를 환구단으로 가져가는 행렬의 반차도도 실려 있다.)
한편 2부에 소개된 4종류의 의궤는 다음과 같다.
1.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국장 진행 과정 설명
2. 『홍릉산릉도감의궤(洪陵山陵都監儀軌)/산릉 조성 과정 설명
3. 『빈전혼전도감의궤(殯殿魂殿都監儀軌)/시신을 모신 빈전과 위패를 모신 혼전에 관한 보고서
4. 『홍릉석의중수도감의궤(洪陵石儀重修都監儀軌)/홍릉의 석물(石物) 설치에 관한 보고서
무려 3,634쪽에 이르는 방대한 의궤와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명성황후의 국장 진행 과정이 소상히 소개되고 있지만, 무엇보다 이 책의 핵심은 국장 그 자체가 아니라 명성황후의 죽음과 대한제국의 성립이 갖는 깊은 인과 관계에 있다.
대원군과 고종, 명성황후와 을미사변(乙未事變, 1895)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있었고 일반인에게도 드라마, 소설, 뮤지컬 등을 통해 그 이미지가 깊이 각인되어 왔다. 하지만 고종과 명성황후에 대한 편향된 시각은 여전히 남아 있다.
그것은 우리의 삶과 역사에 드리워진 일제 식민지의 잔재 때문이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필자는 이들의 행적을 다시금 짚어보고 황후의 죽음이 갖는 의미와 영향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재조명해보고자 했다.
황제와 황후가 선택한 길은 '개화'도 '척사'도 아닌 두 바퀴의 균형이요, 전통과 현대의 조화였다. 당시 대다수 국민은 이러한 입장을 따랐던 것이다.
1895년 10월 8일 일본인 낭인들에 의해 시해된 명성황후의 장례식이 치러지기까지의 2년 2개월은 황후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으려는 고종과 온국민의 분노와 자각, 그리고 이를 계기로 국가를 혁신하며 전통과 현대가 조화된 근대적 민국(民國)을 건설하려는 의지가 뜨겁게 달아오고 있던 시기였다.
이 책의 1부에서 가장 많은 부분이 할애된 내용이기도 하지만, 5차례에 걸쳐 국장이 연기(延期)되고 또 연기된 사실이 무엇을 말하는지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명성황후의 죽음과 대한제국의 성립을 연관지은 국내 첫 연구서이기다. 명성황후의 국장과 관련한 여러 의궤들과 문헌들을 찬찬히 검토하면서 명성황후의 죽음이 대한제국을 성립시켰음을 밝혀내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대한제국의 역사를 새로 써야 한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저자 소개
한영우(韓永愚)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장, 미국 하버드대 객원교수, 서울대 규장각 관장, 서울대 인문대학장 등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문화관광부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
주요저서
『정도전 사상의 연구』(1973), 『조선전기 사학사 연구』(1981), 『정도전 사상의 연구』(개정판, 1983), 『조선전기 사회경제 연구』(1983), 『한국의 문화전통』(1988), 『조선후기 사학사 연구』(1989), 『우리 역사와의 대화』(1991), 『한국 민족주의 역사학』(1994), 『조선시대 신분사 연구』(1997), 『미래를 위한 역사의식』(1997), 『다시 찾는 우리 역사』(1997), 『정조의 화성행차 그 8일』(1998), 『우리 옛지도와 그 아름다움』(공저, 1999) 등 다수
기본정보
ISBN | 9788986361575 |
---|---|
발행(출시)일자 | 2001년 10월 20일 |
쪽수 | 354쪽 |
크기 |
225 * 175
mm
|
총권수 | 1권 |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
원군교를 감시한 어느 한국인 순사의 증언10% 25,200 원
-
연려술속 2: 번역과 주해10% 36,000 원
-
장덕수 연구10% 27,000 원
-
연려술속 1: 번역과 주해10% 37,800 원
-
남북한문전 13: 현대(6)10% 63,000 원
겉보기는 화려해도 그녀의 위치는 빈껍데기였고 그나마나 대한제국은 바람앞의 등불같은 운명이었다. 그런 안밖의 상황에 그녀는 휩쓸리지않고 자신을 세워나가야하는 위치였던 것이다. 여인이라는 한계,지금과 달리 절대군주제의 그늘속에서 민주적인 공화정을 받아들일 수 없는 왕비라는 그녀의 위치가 개화파의 탄압과 세도정치의 재현을 가져온 것은 심히 유감이나 그녀의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본다. 유교적인 관점에서 그녀는 흥선대원군을 실각시켰다는 이유로 나라를 망국에까지 이르게 한 원흉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그것은 옳지않다. 그녀는 최후의 순간까지 여인으로서 ,아내로서 ,어머니로서,국모로서 자신의 사명에 생을 불태운 여장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