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간섭기 고려의 측근정치와 개혁정치
수상내역/미디어추천
- 전문기관 추천도서 >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 2019년 선정
이 책의 총서 (23)
작가정보
저자(글) 김광철
1953년 제주 출생.
동아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와 동아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동아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저서로는 『고려후기 세족층연구』(동아대출판부, 1991)가 있으며, 2000년부터 10여 년간 『고려사』 역주사업을 주관하여 『국역 고려사』 30책(경인문화사)을 완간하였다.
목차
- 책머리에
서론
1. 고려-몽골관계 성립 후 고려의 위상
2. 원간섭기 정치운영 방식으로서 측근정치와 개혁정치
제1부 원간섭기 측근세력의 형성과 측근정치의 성립
제1장 충렬왕 즉위초 정치세력의 동향
1. 충렬왕의 즉위와 정치세력과의 관계
2. 충렬왕 즉위 초 정치세력과 그 성향
제2장 충렬왕대 측근정치의 성립
1. 김방경 무고사건의 발생과 측근세력의 형성
2. 비칙치[必.赤]의 설치와 측근정치의 성립
제3장 충렬왕대 측근세력의 분화와 그 정치적 귀결
1. 충렬왕 측근세력의 내적 갈등과 대립
2. 충선왕의 집권과 충렬왕 측근세력의 동향
3. 충렬왕 복위후 측근세력의 재편과 변화
4. 충렬왕 측근정치의 붕괴
제2부 측근정치의 운영과 변화
제4장 충혜왕 즉위 후 측근세력의 형성과 측근정치
1. 1330년대 원 정국동향과 충혜왕의 즉위
2. 정치세력의 개편
3. 측근세력의 형성
4. 충혜왕 즉위시기 측근정치의 성격
제5장 충혜왕 복위 후 측근정치의 운영과 그 성격
1. 충혜왕의 폐위와 복위
2. 충혜왕 복위 후 측근정치의 운영
3. 충혜왕 정권의 붕괴와 측근정치의 파탄
4. 충혜왕대 측근정치의 성격
제6장 측근정치와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
1. 도평의사사 체제의 성립
2. 원간섭기 측근정치와 도평의사사의 기능
제3부 원간섭기 개혁정치의 전개
제7장 충렬왕대 개혁정치
홍자번(洪子藩)과 그의 개혁안 ‘편민십팔사(便民十\八事)’
1. 홍자번의 가문배경과 정치활동
2. 개혁안, ‘편민십팔사(便民十\八事)’의 건의
제8장 충선왕대 개혁정치
1. 충렬왕대 민생문제의 발생과 그 요인
2. 민생문제에 대한 충선왕의 인식
3. 세자시절 충선왕의 정치이념
4. 충선왕대 개혁정치의 전개
제9장 충숙왕 12년(1325)의 개혁교서와 개혁정치
1. 충숙왕 5년(1318)의 개혁정치
2. 충숙왕의 원도(元都) 억류와 환국, 그리고 개혁교서의 반포
3. 개혁교서의 구성과 개혁안의 내용
4. 개혁정치의 추진과 그 한계
제10장 충목왕과 공민왕대 초기 개혁정치
1. 충목왕대 정치도감(整治都監)의 개혁정치
2. 공민왕 원년(1352)의 개혁정치
3. 공민왕 5년(1356) 부원세력의 숙청과 개혁정치
제11장 공민왕 12년(1363)의 개혁안과 신돈 집권기 개혁정치
1. 공민왕 12년 개혁안과 개혁정치
2. 신돈(辛旽)의 집권과 권력개편
3. 신돈집권기 개혁정치
4. 신돈정권의 몰락과 공민왕 20년의 개혁정치
제12장 원간섭기 개혁정치의 성격
1. 개혁안의 특징과 그 성격
2. 개혁세력의 구성과 그 성격
3. 개혁 추진과정과 그 한계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돌이켜 보면 천학비재(淺學{菲才)의 자질로 감히 고려사 공부에 뛰어들게 된 것은 46년 전 대학에 입학하여 『역주 고려사』색인 작업에 참여한 것이 그 계기가 되었는가 보다. 지금이야 색인작업이 전산으로 처리되어 손쉬운 일이 되었지만, 그 때만 하여도 색인작업에는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었다. 수천 수백장의 하얀 카드에 색인 항목이 될만한 인명, 지명, 관직명, 사건 등등을 쪽 수와 함께 하나 하나 또박또박 손으로 써넣었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그 덕분에 어렴풋이라도 고려의 제도와 벼슬, 그리고 사람들
을 일찍 만날 수 있었다.
이렇게 고려사 공부에 일찍 맛을 들였지만, 정작 연구활동은 조선전기 연구에서부터 시작하였다. 민중의 삶에 다가서보려고 농민으로 구성된 정병(正兵)의 군역을 찾아보기도 하고, 사화(士禍)의 책임을 따져보기 위해 중종 때 왕권의 문제를 재조명해보기도 하였다. 조광조의 개혁사상을 맛본 것도 그 일환이었다.
고려사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1981년 『고려사』「간신전」에 올라있는 21명의 인물을 분석하면서부터이다. 간신으로 지목된 21명을 시기별 정치적 사건과 관련시켜 조사해보았더니 그 절반 이상인 11명이 충렬왕에서부터 공민왕대까지 100여 년간에 분포되어 있었고, 이들은 충선왕 왕위계승의 저지, 심왕 옹립운동과 입성책동, 신돈집권 등의 정치적 사건과 연루된 인물들이었다.
필자는 고려사 가운데서도 13세기 중엽에서 14세기 말에 이르는 ‘원간섭기’ 정치사회사 연구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다. 『고려사』「간신전」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원간섭기를 살아간 사람들에 대한 촘촘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한 데에다, 7,80년대에 연구를 시작한 사람으로서 외세와 사회모순에 대한 현실인식이 투영되어서였을 것이다. 유신시절과 부마항쟁, 광주항쟁을 겪으면서 외세와 대면한 현실사회의 모습을 원간섭기 고려사회에서 찾아보려고 욕심부린( ) 것이었으리라.
이후 연구는 주로 이 시기 국왕의 왕위계승과 정치세력의 동향, 문벌인 ‘세족’ 가문 분석에 치중하였다. 충렬왕과 충선왕, 충숙왕과 충혜왕 사이에 왕위가 넘나는 이른바 ‘중조(重祚)’ 현상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원나라 정국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려 국내 정치상황을 원나라 정국동향과 연관시켜 이해하고자 한 시도는 당시로서는 평가 받을만한 것으로써, 고려 왕위계승이 원 정국동향에 종속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충선왕 토번 유배의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원나라 무종, 인종, 영종대 3대에 걸친 정치세력의 갈래를 추적하고 이를 통해 토번유배의 배경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었던 것은 또 하나의 성과였다고 자평한다.
왕위계승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원간섭기 국왕권과 정치 운영방식을 검토할 수 있는 기회도 가졌다. 충렬·충혜왕대 측근세력의 분석을 통해 원간섭기 정치 운영방식의 하나로 측근정치를 상정했으며, 충숙왕대 개혁교서의 분석을 통해 개혁정치도 정치 운영방식의 하나로 채택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간섭기 고려의 국정 운영방식을 측근정치와 개혁정치의 틀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이때부터 모색되었다고 하겠다. 그동안 원간섭기 측근정치와 개혁정치를 다룬 연구들은 다음과 같다.
ㆍ.홍자번 연구 -충렬왕대 정치와 사회의 일측면-., ..경남사학.. 1, 1984.
ㆍ.고려 충렬왕대 정치세력의 동향., ..창원대논문집.. 7-1, 1985.
ㆍ.고려 충선왕의 현실인식과 대원활동., ..역사와 경계.. 11, 1986.
ㆍ「고려 충숙왕 12년의 개혁안과 그 성격」, 『고고역사학지』 5 6, 1990.
ㆍ「충렬왕대 측근세력의 분화와 그 정치적 귀결」, 『고고역사학지』 9, 1993.
ㆍ「고려 충혜왕의 왕위계승」, 『역사와 경계』 28, 1995.
ㆍ「개혁정치의 추진과 신진사대부의 성장」, 『한국사』 19, 국사편찬위원회, 1996.
ㆍ「고려 충혜왕대 측근정치의 운영과 그 성격」, 『국사관논총』 71, 1996.
ㆍ「고려후기 도평의사사연구」, 『한국중세사연구』 5, 1998.
ㆍ「공민왕 12년의 개혁과 신돈집권기 개혁정치」, 『신돈과 옥천사지』, 창원대경남학센터, 2014.
이 책은 이상의 원간섭기 측근정치와 개혁정치 관련 10편의 논문을 대폭 고쳐 쓰고, 보탤 것은 보태서 12개의 장으로 새롭게 엮은 것이다. 1991년 『고려후기 세족층연구』(동아대출판부)를 출간한 이후, 이 두 번째 연구서를 세상에 내놓기까지 무려 27년의 세월이 흘렀다. 매사에 게으른 탓이지만, 변명 아닌 변명을 하자면, 2000년부터 『고려사』 역주사업을 시작하여 2012년에 『국역 고려사』 30책을 완간하기까지, 이 일에 매달리느라 여력이 없었던 것인지 모른다.
올해 2월 말로 37년간의 교단생활을 마감하고 정년을 맞았다. 제자들이 마련한 어느 자리에서, 교수의 책무는 연구와 교육(강의), 사회봉사 셋으로, 교육활동은 정년이지만 연구에는 정년이 없다고 큰소리쳤는데, 느즈막하게나마 이 책을 내게 돼서 말값을 한 셈이 되었다. 앞으로도 이미 써놓은 글들을 꼼꼼히 다듬어서 몇 권의 책으로 묶어 내놓으리라 다짐해 본다.
기본정보
ISBN | 9788949947860 | ||
---|---|---|---|
발행(출시)일자 | 2018년 12월 31일 | ||
쪽수 | 447쪽 | ||
크기 |
158 * 231
* 34
mm
/ 787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총서
|
Klover 리뷰 (2)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100%의 구매자가
집중돼요 라고 응답했어요
집중돼요
도움돼요
쉬웠어요
최고예요
추천해요
문장수집 (1)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