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첫째, 2014년부터 2022년까지의 공개된 기출문제의 핵심내용을 반영하였으며, 특히 최신 기출의 이론내용은 마지막 장(chapter)에 수록하였습니다.
둘째, 출제기준(한국산업인력공단 발표)에 맞추어 개조식으로 잘 서술하였기 때문에 수험생의 학습 가독성을 고려하였습니다.
셋째, [실력 다지기], [심화학습], [기출문제 확인학습] 등을 잘 정리하려 학습구조화와 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였습니다.
넷째, 나눔복지교육원 홈페이지(www.hrd-elearning.com)를 통해 저자 직강의 동영상 학습이 가능하도록 시험 합격에 최적화된 이론서입니다.
이 책의 상품구성
자세한 상품구성정보에 대한 문의사항은 도서·정보 1:1상담을 이용해 주세요.
상품명 | 저자 | 출시일 | 쪽수 | 크기/중량 (mm/g) |
---|---|---|---|---|
2023 청소년상담사 2급 필기 이론서 1교시 | 2023.02.10 | 666 | 214 * 296 * 30 mm / 1470g | |
2023 청소년상담사 2급 필기 이론서 2교시 | 2023.02.10 | 300 | 214 * 296 * 12 mm / 680g |
작가정보

교육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박사이며 현재 메가공무원 사회복지학, 직업상담심리학, 심리학 선생님이다. 또한, 가톨릭관동대학교/오산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상담복지협동조합 이사장, 나눔복지교육원 대표, 한국유아보육복지학회 학술이사, 대한민국 가족지킴이 등기이사, 나눔book 대표 ㈜나눔씨패스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2022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개념편, 기출편)』, 『2022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 영역&실전 문제집』, 『김형준 SeePass 사회복지학개론 공무원 기본이론서』, 『김형준 사회복지학 미라클 필기노트』, 『김형준 사회복지학 뫼비우스 기출문제집』, 『김형준 사회복지학 포커스 핵심요약집』, 『김형준 원샷원킬 사회복지학 실전문제집』, 『사회복지직 공무원 면접가이드』, 『사회복지사 1급 수험서(기본이론서, 기출문제집, 핵심요약집)』 등이 있다.
목차
- 1교시
제1과목_청소년상담의 이론과 실제(필수)
CHAPTER 01 청소년 내담자의 이해 28
제1절 |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 28
제2절 | 청소년 문제의 이해 30
제3절 | 발달과제와 문제 -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36
CHAPTER 02 청소년 상담이론 39
제1절 |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지그문트 프로이트) 39
제2절 | 개인심리학적 상담이론 (아들러) 43
제3절 | 행동치료 (행동주의 상담이론-구스타인 등) 50
제4절 | 실존치료 (실존주의 상담이론-메이, 프랭클 등) 55
제5절 | 인간중심치료 (인간중심 상담이론-칼 로저스) 59
제6절 | 게슈탈트 치료 (형태주의 상담이론-프릿츠 펄스) 64
제7절 | 합리정서행동치료 (엘리스, 인지적-정서적 상담이론) 72
제8절 | 인지치료 (아론 벡, 인지-정서적 상담이론) 77
제9절 | 현실치료(현실주의 상담이론-글래서) 82
제10절 | 교류분석적 상담이론 (에릭 번) 87
제11절 | 여성주의 치료(여성주의 상담이론) 98
제12절 | 절충적 접근 ( = 통합적 접근 - 에간 등) 105
제13절 | 예술적 접근방법(미술, 음악치료 등) 113
CHAPTER 03 청소년상담의 기초 116
제1절 | 청소년상담의 의의 116
제2절 | 청소년상담의 목표 117
제3절 | 청소년 상담자의 자질 118
제4절 | 청소년 상담자의 태도 121
제5절 | 청소년 상담자의 상담윤리 125
CHAPTER 04 청소년상담의 실제 129
제1절 | 상담의 시작 129
제2절 | 상담의 작업 (상담의 중기) 135
제3절 | 상담의 종결 136
제4절 | 상담기술과 기법 137
제5절 | 상담의 유형 (단회, 단기, 장기, 매체 등) 146
CHAPTER 05 기타 151
제1절 | 기타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사항 151
제2절 | 최신 기출내용 156
제2과목_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필수)
CHAPTER 01 상담연구 패러다임 160
제1절 | 상담연구의 패러다임과 분석방법 160
CHAPTER 02 상담연구의 기초 163
제1절 | 상담연구의 개요 163
CHAPTER 03 연구의 절차 173
제1절 | 연구 문제 및 가설 설정 173
제2절 | 연구구인의 조작적 정의 (definition) 177
제3절 | 변인(변수) 결정 및 측정도구의 선정 178
제4절 | 연구대상자 선정과 표집 189
제5절 | 자료수집과 분석 196
CHAPTER 04 연구의 타당도 222
제1절 | 내적 타당도 222
제2절 | 외적 타당도 225
제3절 | 통계적 결론 타당도 227
제4절 | 검사도구의 타당도 239
제5절 | 검사도구의 신뢰도 243
CHAPTER 05 실험설계 등 252
제1절 | 실험연구의 개관-진실험설계 중심으로 252
제2절 | 집단 간 실험설계 257
제3절 | 집단 내 설계 (피험자 내 설계) 263
제4절 | 단일사례 연구설계 267
제5절 | 모의상담 연구 (Analogue Research) 275
제6절 | 상담성과 및 효과 연구 276
CHAPTER 06 비실험설계 288
제1절 | 동년배 설계 또는 동류집단(코호트) 설계 288
CHAPTER 07 상관연구 291
제1절 | 상관연구 개요 291
CHAPTER 08 질적 연구 295
제1절 | 현상학적 연구(A Phenomenological Study) 295
제2절 | 근거이론 296
제3절 | 사례연구(A Case Study) 300
제4절 | 합의적 질적 연구(CQR) 302
제5절 | 질적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04
CHAPTER 09 상담연구의 윤리적 문제 307
제1절 | 상담연구의 윤리성 307
CHAPTER 10 기타 310
제1절 | 기타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에 관한 사항 310
제2절 | 최신 기출내용 314
제3과목_심리측정 평가의 활용(필수)
CHAPTER 01 심리검사 개론 322
제1절 | 심리검사 및 평가의 개념과 역사 ㆍ총론 322
제2절 | 심리검사의 윤리성 338
제3절 | 면접법과 행동 평가법 343
제4절 | 심리검사의 제작과 기본통계 347
CHAPTER 02 심리검사 각론 378
제1절 | 지능검사 378
제2절 | 객관적 성격검사 407
제3절 | 투사적 검사 449
CHAPTER 03 기타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에 관한 사항 498
제1절 | 기타 객관적 검사 498
제2절 | 최신 기출내용 520
제4과목_이상심리(필수)
CHAPTER 01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입장 524
제1절 | 이상심리학의 개요 524
제2절 | 이상심리학의 이론적 관점 530
CHAPTER 02 이상심리의 분류 및 평가 534
제1절 | 이상심리의 분류 534
제2절 | 이상행동의 평가와 진단 535
제3절 | 정신진단 분류체계(DSM-5) 537
CHAPTER 03 불안장애 547
제1절 | 불안장애의 하위유형 547
CHAPTER 04 우울장애와 양극성 및 관련장애 556
제1절 |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의 하위유형 557
제2절 | 양극성 및 관련 장애(Bipolar and Related Disorders)의 하위유형 563
CHAPTER 05 물질 - 관련 및 중독장애 566
CHAPTER 06 성격장애 571
제1절 | 성격장애의 개요 571
제2절 | A군 성격장애 573
제3절 | B군 성격장애 578
제4절 | C군 성격장애 585
CHAPTER 07 조현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 590
CHAPTER 08 성(性) 관련 장애 603
CHAPTER 09 신경발달장애 608
CHAPTER 10 해리장애 621
CHAPTER 11 급식 및 섭식장애 623
CHAPTER 12 파괴성 장애, 충동통제장애 및 품행장애 628
CHAPTER 13 신경인지장애 635
CHAPTER 14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639
CHAPTER 15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643
CHAPTER 16 강박 및 관련 장애 650
CHAPTER 17 기타 장애 654
제1절 | 배설장애(Elimination Disorders) 654
제2절 | 수면-각성장애(Sleep-Awake Disorders) 656
제3절 | 최신 기출내용 660
2교시
제5과목_집단상담(선택)
CHAPTER 01 청소년 집단상담의 이론 6
제1절 | 집단상담의 기초(정의, 목표, 치료적 요인) 6
제2절 | 집단역동의 이해 및 집단상담의 과정 20
제3절 | 집단상담의 제 이론 35
제4절 | 집단상담자 64
CHAPTER 02 청소년 집단상담의 실제 90
제1절 | 집단상담자의 기술 및 문제 상황 다루기 90
제2절 | 청소년 집단상담의 계획 및 평가 96
제3절 | 청소년 집단상담의 특징 103
제4절 | 청소년 집단상담의 제 형태 106
CHAPTER 03 기타 113
제1절 | 최신 기출내용 113
제6과목_가족상담(선택)
CHAPTER 01 가족상담의 기초 120
제1절 | 가족상담을 위한 체계적 조망 120
제2절 | 가족상담의 기본개념 128
제3절 | 가족상담 과정 141
제4절 | 가족상담 기술 147
제5절 | 가족상담 윤리 150
CHAPTER 02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154
제1절 | 가족상담의 이론적 기초-역사 중심으로 154
제2절 | 가족상담이론 161
제3절 |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상담 222
제4절 | 가족상담 사정과 평가 227
제5절 | 가족상담의 실제 240
CHAPTER 03 청소년 가족-부모 상담 247
제1절 | 청소년기 가족의 이해와 변화를 위한 개입전략 247
제2절 | 청소년 문제 유형별 가족상담(폭력, 중독, 자살 등) 250
제3절 | 청소년 가족-부모상담 사례-상담사례의 실제 253
CHAPTER 04 기타 256
제1절 | 최신 기출내용 256
부록
CHAPTER 01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 264
제1절 |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 264
제2절 | DSM-5(2013)의 주요 장애 진단기준-도표 정리 272
출판사 서평
국가 전문자격인 청소년상담사의 꿈을 향해 정진하는 수험생 여러분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현재 우리 사회는 청소년 문제를 현실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문적인 상담인력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 전문적인 청소년상담사를 양성하여 좀 더 효과적인 청소년 상담활동의 체계를 확립하고 전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청소년상담사 2급 국가 전문자격시험은 2003년 제1회 청소년상담사 자격검정을 시작으로, 2023년도 제22회 필기시험은 9월 23일(토)로 확정되었습니다. 열심히 준비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기본정보
ISBN | 9791192903248 |
---|---|
발행(출시)일자 | 2023년 02월 10일 |
쪽수 | 968쪽 |
크기 |
214 * 296
* 46
mm
/ 2261 g
|
총권수 | 2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