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샘문 시선 2001
김동철 저자(글)
샘문 · 2020년 09월 1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보고파 그리운 정 대표 이미지
    보고파 그리운 정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보고파 그리운 정 사이즈 비교 152x220
    단위 : mm
01 / 02
소득공제
10% 13,500 15,000
적립/혜택
750P

기본적립

5% 적립 7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7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10(목)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땅의 시맥(詩脈)을 잇는 고절(高節)과 향기

이 책의 총서 (84)

작가정보

저자(글) 김동철

시조시인
필명 미서湄抒
한국방송통신대 행정학과 졸업
샘터문학상 우수상 수상(본상)
독도문학상 수상(신춘문예)
(사) 샘터문예대학 시조창작학과 강사
(사)샘터문학 자문위원
(사)샘터문인협회 회원
(사)샘터문학신문 회원
한국문학작가회 신인상 (시부문)
한국다선문인협회 신인상 (시조부문)
사계속시와사진이야기그룹 회원
한국문인그룹 회원
송설문학 회원
백제문단 회원

〈저서〉
꽃잎은 나비처럼(한시집)
보고파 그리운 정情

〈공저〉
사랑, 그 이름으로 아름다웠다
청록빛 사랑 속으로
아리아, 자작나무 숲 시가 흐르다.
사립문에 걸친 달 그림자
시詩, 별을 보며 점을 치다
우리집 어처구니는 시인
고장난 수레바퀴 외 다수
〈컨버젼스 시집/샘터문학〉

목차

  • 序 文 4
    發刊辭 8
    推薦辭 9
    시詩를 열면서 11

    한매 16
    탐매 18
    갯버들 20
    동백 22
    노루귀꽃 24
    산수유 26
    봄눈 28
    짝사랑片戀 30
    목련화 32
    화우 34
    이팝꽃 36
    강언덕河畔 38
    섣달 그믐밤 40
    설날아침 42
    설날 44
    대보름 46
    정월보름 48
    입춘 대보름 50
    입춘대길 52
    입춘 54
    우수 56
    경칩 58
    춘분절기 60
    삼짇날 62
    청명한식 64
    곡우 66
    부처님오신 날 68
    단오 70
    하지 72
    유두절 74
    무더위 잊다 76
    칠석 78
    한가위 농가 80
    추석귀향 82
    중양절 84
    음력 시월 86
    동지유감 88
    송구영신 90
    세모유감 92
    춘심 94
    밤꽃 96
    매미소리 98
    연지 소나기 100
    수련 102

    ㅡ중략 ㅡ
    시조詩調
    겸암정사謙菴精舍 ······························ 240
    주왕계곡周王溪谷 ······························ 241
    애부艾婦 ··········································· 242
    용암정龍巖亭 ····································· 243
    오산鰲山 만회정晩悔亭 244
    반구대盤龜臺 245
    작천정酌川亭 246
    찔레꽃 247
    아까시꽃 향기 248
    옥잠화 249
    부모 맘 250
    모친母親 251
    감기몸살 252
    가을 달 253
    꽃비 254
    유정有情 255

    ㅡ중략 ㅡ

    漢詩作法
    1. 한시의 유래 276
    2. 시문체詩文體의 분류分類 278
    3. 한시漢詩 작법作法 289
    편집후기編輯後記 304

책 속으로

곱게도 수줍은 듯
향기로운 송이송이
얄밉도록 농염하게
빼어나게 드러내니

아리따운 새색시
갈수록 마음 휘젓는데
어찌하여 보고픈 마음
일어나지 않겠는가?

〈 탐매, 일부 〉

암수 꽃 다른 빛깔
솜털 부푼 꽃봉오리
소박한 고운 맵시
머뭇머뭇 기지개 펴니
단장한 노란 꽃가루
흩날려 퍼져가
바람이 중매하는 소식은
봄맞이 알리네

〈갯버들, 일부〉

그리워 이끌리는 정
거짓 없이 호소하며
스스로 피고 지며
겨울 내내 쉬지 않으니
임 따라 가지 못해
눈물져 우는 아가씨
곱게 물든 품은 회포
홀로 가슴치구나.

〈 동백, 일부〉

출판사 서평

이 땅의 시맥(詩脈)을 잇는 고절(高節)과 향기

이 근 배(시인·대한민국예술원 회장)

이 땅의 시문학사는 일찍부터 한시(漢詩)로 이어져 왔다. 내 나라가 글자가 없었던 까닭에 중국의 글자를 빌려 쓰게 되었고 시 형식 또한 중국 것을 그대로 따른 것이었다. 단지 한문을 빌어 뜻을 담아낸 것이 아니고 한시는 오언(五言) 칠언(七言)의 글자 수가 있고 절구(絶句) 율시(律詩) 배율(排律) 평성(平聲) 측성(仄聲) 운자(韻字) 등 고저장단과 글자를 골라 쓰는 정해진 룰을 지켜야 한다.
오직 벼슬길에 나가는 것이 입신출세의 외길일 때 그 공개채용의 시험인 과거(科擧) 제도의 1차 과목은 시 짓기였는 바 어려서 서당에 나가 천자문을 읽기 시작하면서 그 까다롭고 어려운 한시 짓는 법을 익혀야 한다. 천재 시인 김시습(金時習)은 다섯 살 때 시 짓기의 신동으로 소문나서 오세동(五歲童)이었고, 과거에 아홉 번 장원급제하여 구장원공(九壯元公)이었던 이이(李珥)도 여덟 살 때 쓴 시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글 읽기가 곧 시 짓기였으니 “서당 개도 삼 년이면 풍월을 읊는다(堂狗三年吠風月)”고 했을까.
그나저나 대왕 세종께서 한글을 창제 반포하기 이전에야 그렇다 하더라도 저 용비어천가가 쓰여진 이후에도 한자 문화의 위세는 꺾이지 않았으니 20세기에 들어서야 겨우 한글 시의 세상이 열리게 되었다. 비록 한자로 시를 쓰더라도 굳이 중국의 시 형식에 매일 것이 무엇 있느냐고 천명한 이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었다. “나는 조선사람이다. 맛있게 조선시를 쓴다(我是 朝鮮人 甘作 朝鮮詩)”고 했고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도 “우리의 시는 송, 원나라 것이 아니며 또한 한, 당나라 것도 아닌 우리나라의 시이다(我東方之文 非宋元之文 亦非 漢唐之文 而乃我國之文也)”라고 우리글의 독창성과 창의성을 강조하였다.
우리나라에 처음 한시가 들어온 때가 언제인지는 모르나 기록으로는 신라의 천재 시인 최치원(崔致遠 857-?)이 12세 때에 당나라에 건너가서 18세에 빈공과(賓貢科)에 합격, 시인으로 이름을 날리고 많은 작품을 남겼으니 우리 한시의 비조가 아니겠는가. 그로부터 1천여 년 토록 저 하늘의 별만큼이나 쌓이고 쌓인 우리 한시의 전통을 어찌 잇지 않으리오. 1957년 이승만 대통령은 개천절 행사로 손수 시제를 내 걸고 시조와 한시 백일장을 열었던 것도 이 겨레가 시의 겨레임을 선포하고 그 전통을 뿌리내리고자 함이 아니었던가. 바로 여기 한 권 매우 뜻깊고 상찬(賞讚) 할 사화집이 있으니 김동철 시인이 오래 절차탁마(切磋琢磨)하여 세상에 빛을 보이는 한시와 시조들이다. 한시 한 수(首)를 만나보자.

寒梅 한매
山陽解凍碧苔霑 산양해동벽태점
萬物蘇生地道謙 만물소생지도겸
凌冒歲寒惟獨笑 능모세한유독소
幽居厭鬧守貧恬 유거염료수빈념
氷肌玉骨姸姿活 빙기옥골연자활
淡白浮香淑氣兼 담백부향숙기겸
自古花魁河不好 자고화괴하부호
臘梅春信誦詩添 랍매춘신송시첨

한매
산기슭 양지 얼음 녹아
푸른 이끼 적시니
만물이 소생하는
자연이치 겸손하네

추운겨울 이겨내고
오직 홀로 피었는데
번잡함 싫어 은거함은
안빈낙도 찾음이라

해맑은 하얀 꽃잎
고운자태 싱그러워
담백한 향 떠돌아
화창한 기운 아우르니

자고로 먼저 피는 꽃
어찌 아니 좋아하랴
섣달 매화 봄소식에
시를 읊어 덧붙인다.

매화는 조선 선비들이 즐겨 찾는 글감이었다. 저 조선이 낳은 세계적 대 석학 퇴계(退溪) 이황(李滉)도 매화 시를 여러 편 쓰셨고 상촌(象村) 신흠(申欽)의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의 시구가 오늘도 인구에 회자하는 것도 그것이다. 매화는 굽히지 않는 절개와 향기를 높이 사서 송(松) 죽(竹) 매(梅) 세한삼우(歲寒三友)의 하나이며 사군자 매, 난, 국, 죽의 머리에도 올라 있다. 김동철 시인의 한시 한매(寒梅)는 조선조의 큰선비들이 못다 이른 정서를 담아내고 있다. 시조를 만나보자.

늦도록 장사한다 자식들 나무라도
어스름 동터오는 첫새벽 잠도 없이
채소밭 가꾼 장거리 머리 이고 바쁘다

내 형편 네가 알고 네 사정 내가 아니
모두가 이웃사촌 서로 간 안부 묻고
한 움큼 덤으로 주며 웃는 얼굴 환하다

쉴 틈 없는 고생길 빠듯한 살림살이
돈 걱정 자식 걱정 흰머리 깊은 주름
살아온 질곡의 세월 어느 누가 알리오
─모친〉 전문

소설가 이청준은 〈어머니!〉 말만 들어도 눈물이 난다고 했다. 여기 김동철 시인의 어머니는 영원한 우리네의 어머니다. 시인들은 다투어 어머니!를 부르고 시로 써내지만 그 끝은 보이지 않는다. “채소밭 가꾼 장거리 머리에 이고” 바쁜 어머니지만 “한 움큼 덤으로 주며 웃는 얼굴”도 우리 어머니다. 김동철 시인은 스무 해 토록 꼬박 들어앉아 책장을 넘겨도 다 깨칠 수 없는 한문 공부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바쳤을까? 한글 세상이 왔어도 결코 옛 시인들이 어렵게 이루어놓은 우리 한시를 계승하고 미래로 이어가게 하는 참으로 고독하고 힘겨운 작업을 하고 있다. 그 위에 최남선이 일찍이 갈파했듯 “한국시의 본류”인 시조 창작에도 매진하여 감동의 물살을 일으켜주니 모두 함께 본받아야 할 선비의 참모습이요, 이 땅의 시인의 매운 정신이라 하겠다. 김동철 시인께 경하를 드린다.

- 서문 전문/샘문시선 출판부-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91111033
발행(출시)일자 2020년 09월 10일
쪽수 305쪽
크기
152 * 220 * 18 mm / 444 g
총권수 1권
시리즈명
샘문 시선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삶의 실력, 장자
이벤트
  • [sam] 카카오톡 선물하기 1+1
  • JLPT 우측 윙배너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