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일곱 가지 교육 미신(큰글자책)
없습니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원인은 그릇된 교육 미신이 팽배한 교육 현장에도 있다.
https://www.theguardian.com/education/2014/nov/25/daisy-christodoulou-seven-myths-education-profile
ㅡ〈가디언 The Guardian〉
교육이 빈부 격차를 해소할 주요 통로였던 시대가 이제 끝나간다.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이나 영국 등 소위 선진국도 마찬가지다. 영국 무료 급식 대상 학생의 2/3가 중등학교 졸업 자격시험에서 상위 20% 안에 들지 못하고,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학생들도 50% 수준에 이른다. 전문직 가정 출신 학생들의 진학률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
근본적인 원인이야 사회, 경제적 불평등에 있겠지만, 잘못된 교육 현장이야말로 가장 큰 문제라고 비판하는 도발적인 책이 출간되었다. 90년대 이후의 교육 현장에서 아무도 의심하지 않았던 ‘학생 주도 학습이 효과적이다’, ‘지식보다 역량이 효과적이다’, ‘21세기는 새로운 교육을 요구한다’, ‘인터넷에서 모든 것을 찾을 수 있다’ 등의 믿음이 근거 없는 교육 미신이라는 주장으로 영국 교육계에 뜨거운 찬사와 반발을 동시에 일으켰다.
작가정보
저자(글) 데이지 크리스토둘루
(Daisy Christodoulou)
영국 워릭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2년제 교사양성과정인 Teach First 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3년 동안 중학교에서 영어교사로 근무했다. 민간위탁 자율학교인 아카데미(academy)를 운영하는 교육법인 ARK에서 교육과정 책임자를 거쳐 현재 교육평가연구소 No More Marking 교육본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지식교육과 교사 주도의 수업을 중시하는 영국 교육부 정책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인물로 인정받고 있는 저자는 2017년 영국 교육계의 가장 영향력 있는 20인에 선정되었다.
이 책 『일곱 가지 교육 미신(Seven Myths about Education)』은 2013년 전자책, 2014년 종이책으로 발간되었으며, 교육 분야 베스트셀러 자리를 꾸준히 지키고 있다. 2017년에 『학력향상 방법: 학습을 위한 평가의 미래(Making Good Progress?)』를 출간했으며, 「21세기 학습자에게 필요한 사실적 지식」, 「학습평가가 실패하는 이유」, 「전통적인 교육이 창의성을 약화시키는가?」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ㆍ 저자 블로그 www.thewingtoheaven.wordpress.com
전남대학교에서 독어 교육을 전공하고 서울대 대학원과 한국교원대 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목포여고를 비롯한 중·고교에서 영어를 가르쳤으며 화순고 교장, 한국외대·조선대 강사, 전남교육청 장학관·정책기획담당관과 함평교육지원청 교육장을 역임했다. 2017년 목상고 교장으로 정년 퇴임 후 교육성장연구소를 운영하며 연구를 계속하고, 목포대 교육대학원에서 교육학을 강의하고 있다. 2016년 제3회 대한민국공무원상을 수상했으며 수상 직후부터 농어촌 초등학생들의 어휘력 향상을 위해 매월 국어사전을 기부하고 있다.
논문으로 「한국교육의 책무성에 대한 비판적 논의」, 「21세기 핵심역량으로서의 국어 문해력 논의」, 「혁신학교 운동의 성격 변화 과정 분석과 전망」 등이 있으며 공저서로 『수능영어 독해전략』, 『평생교육 방법론』, 『국어사전 활용교육』 등이 있다.
목차
- 추천 서문Ⅰ 7
추천 서문Ⅱ 10
감사의 글 13
서론 14
1장
첫 번째 미신 “지식보다 역량이 더 중요하다” 29
2장
두 번째 미신 “학생 주도의 수업이 효과적이다” 57
3장
세 번째 미신 “21세기는 새로운 교육을 요구한다” 87
4장
네 번째 미신 “인터넷에서 모든 것을 찾을 수 있다” 107
5장
다섯 번째 미신 “전이 가능한 역량을 가르쳐야 한다” 129
6장
여섯 번째 미신 “프로젝트와 체험 활동이 최고의 학습법이다” 157
7장
일곱 번째 미신 “지식을 가르치는 것은 의식화 교육이다” 187
결론 216
역자 후기
지식 없으면 창의성도 없다 220
미주 245
색인 266
추천사
-
이 책이 대서양에서 미국으로 부는 신선한 바람처럼 처음 나왔을 때, 나는 『허핑턴포스트』에 기고한 글에서 “미국 교육에 관한 2013년 최고의 책”으로 선정될 정도로 가치가 있다고 소개했다. 이 책을 통해 미국과 영국 두 나라의 지배적인 교육관이 거의 동일하다는 점과 이 교육관이 명확하게 미신으로 표현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데이지 크리스토둘루가 미신이라고 지적한 것은 반지식주의와 (무의식적인) 반평등주의다. 반지식주의는 객관적 사실과 지식을 폄하함으로써 전반적인 학업성취도 저하를 초래하였고, 이는 나아가 가난한 집단과 부유한 집단 간의 격차를 확대시켰다.
-
나는 이 책이 교육 10년사에 가장 중요한 저서라고 해도 무리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모든 교원연수 과정에서 필독서로 지정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청소년들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의 힘을 발휘하기를 진정으로 희망하는 학교에서는 선생님들께 한 권씩 구입해
줄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제까지 서평을 한 번도 쓴 적이 없는 나로서는 서평을 남기는 것이 이 책이 처음이다. 그 정도로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 일곱 가지 교육 미신』이 훌륭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
현재 학교에 소개된 많은 ‘우수 수업’ 모형들은 사실상 효과가 없다. 시간 낭비이며, 오히려 학습에 방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 책은 유익한 교육 논쟁을 제기하고 있으며 결론적으로 나는 이 책의 주장이 바르다고 본다.
-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핵심역량 개발과 학생 주도의 수업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널리 형성되었다. 그런데 이로 인해 교사 주도의 설명식 강의 수업이 주입식 교육 방법으로 매도되면 서 교사들이 큰 혼란을 겪고 있다.
강의는 다수를 대상으로 사실과 절차적 지식을 설명하고 이해시켜야 하는 상황에서는 가장 효과적인 교수법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테드(TED) 강연 역시 강의식이지 않는가! 교수법은 수업의 내용과 목표, 교사와 학생의 특성, 수업 환경에 따라 효과가 달라진다. 교육의 목적과 방법을 새롭게 변혁하고자 하는 우리에게 최근 유사한 고민을 했고 발전적인 개혁안을 추진하는 영국의 사례가 좋은 길잡이가 되어줄 것으로 확신한다.
책 속으로
내가 교직에 들어오기 전에 구글과 관련된 모호한 이론들을 많이 읽은 적이 있다. 구글이 우리의 사고방식을 바꾼다는 내용이었는데 당시엔 매우 설득력 있게 여겼다. 그렇지만 그 구글 관련 이론의 실제적인 영향을 크게 고려해야 할 상황이 나에게 일어나지는 않았다
-본문 24p 중에서
최근 인공 지능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지능에 관한 연구를 활성화시켰고 동시에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과학자들이 생각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간이 실제로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하여 더 깊이 이해할 필요가 생겼다. 이 분야의 초기 개척자인 허버트사이먼은 자신이 직접 생각하는 기계를 만들어 보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인간이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많은 새로운 사실들을 알아냈다. 그때부터 시작하여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연구자들은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정리된 하나의 기본 인지구조 모델에 대하여 공감하게 되었다. 이 모델에 따르면 우리가 장기기억에 저장한 사실적 지식은 인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문 44p 중에서
한동안 뉴스전문 채널에서 거의 매시간 방영된 혁신 관련 공익광고는 4차 산업혁명을 잘 대비하자는 의도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나 학교 지식교육의 무용론을 내포하는 위험한 내용으로 시작한다. “현재 학교에 입학하는 초등학생들의 65퍼센트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은
전혀 새로운 직업을 갖게 될 것이다.”라고 반복한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성인이 되었을 때 거의 쓸모없는 지식이 될 것이라는 뜻이다. 이 주장의 출처로 4차 산업혁명이란 용어를 전 세계에 퍼뜨린 2016년 세계경제포럼을 들고 있다. 보다 정확하게 따지면 그 말은 포럼 자료인 「미래의 일자리 보고서The Future of Jobs」 도입 부분에서 클라우스 슈밥 회장이 ‘한 유명한 통계에 의하면(By one popular estimate)’으로 재인용한 것이다. 인용한 통계치 65퍼센트는 학문적인 연구 결과가 아니라 ‘Did you know?’라는 유튜브에 제시된 것을 재인용하여 것으로 근거가 매우 미흡하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공부의 가치를 약화시킬 수도 있는 위험한 주장의 근거가 이렇게 허술해도 되는 것일까? 이러한 주장을 확인 없이 재생산하는 언론에 대해 학교교육 담당자로서 매우 당황스럽고 아쉬움을 크게 느낀다.
최근에 발견한 것인데 외국에서도 앞의 통계치 65퍼센트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한 사례가 있었다. 영국의 BBC 라디오 방송은 65퍼센트의 근거를 관련 학자들을 추적하여 찾고자 했으나 확인하지 못했고, 근거가 없는 통계라는 결론을 내렸다(2017.5.28. ‘미래 직업의 65퍼센트는 아직 알 수 없다?(Have 65% of Future Jobs Not Yet Been Invented?)’). BBC는 65퍼센트라는 통계치가 미국 듀크대학교 교수인 캐시 데이비슨의 2011년 저서 『지금 보고 있는 것(Now You See It)』에서 최초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그책의 출판과 동시에 뉴욕타임스의 칼럼(2011.8.7. 〈디지털 시대의 교육 업그레이드(Education Needs a Digital-Age Upgrade〉)에 소개된 후 다른 여러 저서나 신문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그래서 BBC 진행자는 직접 데이비슨 교수와 통화를 하여 그 통계치의 근거에 대해 확인하고자 했다. 그런데, 그녀는 통계치를 직접 연구한 것이 아니라 미래학자 짐 캐롤의 2007년 저서『이제 준비하라(Ready, Set, Done)』에서 호주 정부의 혁신위원회 관련 웹사이트 통계를 재인용한 것을 사용했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그녀는 짐 캐롤에게 확인하고자 연락을 취했으나 실패했고, 호주의 관련 웹사이트 조차 폐쇄되어 확인할 수 없게 되자 2012년부터 통계치 65퍼센트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BBC 진행자는 호주 정부에 관련 웹사이트와 통계자료의 존재 여부를 확인했으나 역시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결론적으로 세계적으로 인용되는 65퍼센트는 근거가 없는 통계다. 한국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는 세계경제 포럼 보고서의 통계치 65퍼센트도 캐시 데이비슨 교수의 2011년 저서를 재인용한 것으로 근거가 없는 것이라고 봐야 한다.
BBC 진행자와 인터뷰를 했던 학자들은 65퍼센트의 사례와 같이 불확실한 통계를 근거로 하여 학교교육이 쓸모없다는 말을 자주 언급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즉,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이 미래의 직업생활과 전혀 관련이 없다는 말을 듣는다면 학생들은 학습의욕을 상실하고 무슨 공부를 해야할지 혼란스러워할 것이라고 했다. 마지막으로 인터뷰한 평가전문가 데이지 크리스토둘루의 말을 우리도 한번 새겨 봐야 할 것 같다. “아이들이 미래에 담당할 직업의 종류에 대하여 잘 알지 못한다면, 우리는 전혀 알지 못하고 있는 미래의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의 종류를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현재 체계화된 지식이나 사실들을 가르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비록 그들이 직업생활을 할 때 그 지식이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될지라도 현재는 그것을 배워야하기 때문이다.”
-본문 226~228p 중에서
새 정부는 2010년 교육과정 개선안을 수립하면서 케임브리지대학교 팀 오츠 교수의 국제 비교 분석 보고서 「더 잘할 수 있었다(Could dobetter)」를 적극 참고했다. 오츠 교수는 핀란드가 세계적으로 우수한 성적을 낸 국가라고 해서 모방하려는 것은 위험한 일이며, 철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하면서 핀란드 교육의 진면목을 분석했다. 그는 핀란드의 평소 학교생활에서 시험과 숙제가 없는 것은 사실이지만 15세에 대학진학계열과 직업계열로의 진로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국가시험을 치루는데, 이것이 학생들로 하여금 공부를 열심히 하도록 만드는 효과가 크다고 밝혔다. 능력별 반편성이 없는 대신에 결석한 학생들이 결석 기간 동안 배우지 못한 내용을 철저하게 공부시켜 주는 보충학습 시스템이 이를 보완해 주고 있으며, 가정에서 독서와 토론을 강조하는 문화도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혔다. 실제로 핀란드 교실 수업을 참관해 보면 다른 나라에 비해 교사 주도의 전통적인 수업이 주로 이뤄지며, 학생 중심의 토론 수업이 많지 않다고 분석했다. 또한 루터교의 영향으로 1686년부터 법적 결혼 조건으로 일정 수준의 문해력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는 점도 다른 나라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닉 깁 차관은 영국 보수 성향의 연구기관인 정책연구센터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있는 가브리엘 살그렌의 논문 「핀란드 교훈의 실상(Real Finnish Lessons: The True Story of an Educational Superpower. Center for Policy Sudies)」에 나온 자료를 인용하여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역량중심에서 지식중심으로 바꿔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살그렌은 많은 국가들이 핀란드 교육성공을 모델로 여겨 역량 중심 교육개혁을 받아들이고 있는데, 핀란드의 교육성공은 최근의 교육 개혁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고 했다. 더욱이 역량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정한 결과 교육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는 분석은 완전히 잘못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핀란드가 교육성공 국가로 인정받은 계기가 된 2000년 제1차 PISA와 2003년 PISA 결과는 이를 만든 그 이전의 전통적인 교사 주도 교육 덕택이며, 마침 그때 역량 중심의 교육개혁이 이뤄진 것 때문이라고 했다. 그리고 2015년 PISA에서 읽기 4위, 수학 13위, 과학 5위까지 추락한 것은 교사주도의 수업 등 전통적인 교육문화에서 학생 주도의 수업 방식으로 바뀐 결과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이 역량 중심으로 바꿔져야 주장의 근거로 영국과 핀란드의 교육과정 개정 사례를 드는 경우가 많은데, 살그렌의 분석을 참고하여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문 234~235p 중에서
출판사 서평
“‘창의 교육’, ‘학생 주도 수업’이야말로
교육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저자인 데이지 크리스토둘루는 가방끈 짧은 저소득층 부모 아래에서 자라 11세 때 장학금 수혜자가 되었고 이후 워릭대 영문과에 진학했다. 그 후 학습부진 학생들을 가르칠 목적으로 교사 양성 과정 Teach First 과정을 수료한 뒤 3년 동안 중학교 영어 교사로 근무하며 학생들을 가르쳤다. 저자는 자신이 정부 장학금으로 받은 행운과 특권을 학생들에게 나누고 싶어 했다. 그러나 영국 기존의 교수법에 의지한 수업만으로는 학생들의 지나치게 낮은 기초 지식과 학습 능력이 실질적으로 향상될 수 없음을 깨달았다.
이런 현상은 단지 그녀가 근무한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셰필드 대학의 연구 조사 결과 고등학생의 경우는 22%가 수리력에서, 17%가 영어 문해력에서 심각하게 뒤처진 낙제 수준임이 밝혀졌다. 카디프 대학 등의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89%는 19세기 영국 총리 스무 명 중 단 한 명의 성명도 지칭하지 못했고, 70%는 보어전쟁이 어디서 일어났는지를 알지 못했다.
더 나은 교육법을 위해 학교를 휴직한 뒤 교육 이론과 교육정책, 그리고 인지과학 등을 공부한 저자는 교사들이 교육에 대해 배운 것들 가운데 상당 부분이 잘못된 것이며, 효과적이지 않음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 저자는 1978년 노벨상 수상자인 허버트 사이먼 카네기멜론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의 논문에서 큰 영향을 받아 이후에도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 방법을 연구하며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가감 없이 전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이론들이 확실한 경험적 증거도 없이 철학적으로 그럴듯한 근거와 상식적으로 그럴듯한 제목을 갖고 매일 학교에 도입되고 있다.” -허버트 사이먼
저자는 명확한 근거 없이 도입된 이론 중에서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일곱 가지 미신들을 추려서 설명한다. 존 듀이, 파울로 프레이리, 루소 등 권위 있는 교육 철학자를 포함해 현대 교육학자들의 자료를 통해 미신의 철학적 근원을 찾고 교육청 매뉴얼, 영국 정부 간행물, 교육 관련 언론 기사들을 통해 실제적인 증거를 찾고 있다. 7개의 미신을 7개의 장에 이론적 배경, 적용 사례, 미신인 이유 등으로 나눠 교육 현장에 퍼진 미신의 실체를 드러낸다.
기본정보
ISBN | 9791190475761 |
---|---|
발행(출시)일자 | 2021년 07월 12일 |
쪽수 | 272쪽 |
크기 |
196 * 277
mm
|
총권수 | 1권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