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눈에 보는 모세혈관순환

류마티스질환 중심의 모세혈관경검사 알아보기 | 양장본 Hardcover
Maurizio Cutolo 저자(글) · 김현숙 번역
범문에듀케이션 · 2016년 09월 01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모세혈관순환 대표 이미지
    모세혈관순환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모세혈관순환 사이즈 비교 221x283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50,000
적립/혜택
1,500P

기본적립

3% 적립 1,5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5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14(월)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모세혈관순환』은 모세혈관경의 임상적 기본과 류마티스 질환에서의 예시를 정리한 책이다. 이는 모세혈관경을 시행하는 초보자가 판독에 가장 적합한 영상을 얻게 도움을 주며 임상상황에서 혼동하기 쉬운 상황을 단원별로 정리하여 검사 시행의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돕는다. 또한 각 장의 첫머리에 가장 중요한 Key messages를 추가하여 단시간에 임상 활용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원문과 다르게 그림에 대한 색인을 따로 정리하여 검사를 시행하면서 그때그때 손쉽게 찾아 볼 수 있게 정리했다.

작가정보

저자(글) Maurizio Cutolo

목차

  • SECTION 1 모세혈관경(Capillaroscopy): 일반적 임상적용
    Chapter 1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 류마티스 질환에서의 모세혈관경(capillaroscopy)의 역사 3
    (Capillaroscopy in Rheumatic Diseases From the XVIII to the XXI Century)
    ■ Maurizio Cutolo, MD

    Chapter 2
    모세혈관순환과 류마티스 질환의 관계(The Microcirculation and Rheumatic Diseases) 7
    ■ Silvia Bellando Randone, MD; Serena Guiducci, MD, PhD; Marco Matucci Cerinic, MD
    1 모세혈관순환(microcirculation)이란? 7
    2 류마티스 질환에서 모세혈관순환 8
    2.1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8
    2.2 건선(Psoriasis) 8
    2.3 건선관절염(Psoriatic arthritis) 9
    2.4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11
    2.5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11
    2.6 항인지질증후군(Antiphospholipid syndrome, APS) 12
    3 결론 13

    Chapter 3
    모세혈관순환을 검사하는 방법들과 모세혈관경 시행방법 15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Microcirculation)
    ■ Bernard Imbert, MD; Patrick H. Carpentier, MD
    1 임상측정법(Clinimetry method) 15
    1.1 체온측정기와 체온영상(Thermometry and thermal imaging) 15
    1.2 색도계(Chromametry) 16
    1.3 부피측정기(Volumetry) 16
    2 전반적 미세혈류(Microvascular) 측정법 16
    2.1 혈량측정법(Plethysmographic method) 16
    2.2 레이저 도플러 유량계(Laser Doppler flowmetry)와 레이저 도플러 영상 17
    2.3 경피적 산소측정법(Transcutaneous oximetry) 19
    2.4 정량적 모세혈관현미경 20
    2.5 손톱 모세혈관현미경과 비디오모세혈관경(Videocapillaroscopy) 20

    Chapter 4
    임상적으로 언제 모세혈관경 검사를 해야 하나?(When and How to Perform Capillaroscopy) 25
    ■ Vanessa Smith, MD; Maurizio Cutolo, MD
    1 일차성 vs 이차성 레이노현상의 감별 25
    1.1 정상 모세혈관경 소견 25
    1.2 전신경화증 범주의 특징적인 모세혈관경 소견 26
    1.3 피부경화 범주 질환군이 아닌 류마티스 질환에서 보이는 비특이적인
    모세혈관경 검사결과 27
    2 일차성에서 이차성 레이노현상으로 이행을 예측한다. 28
    3 전신경화증의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된다. 28
    4 전신경화증과 선상 피부경화증/반상피부경화증(morphea),
    기타 섬유화 피부병변(호산구근막염)의 감별에 도움 29

    Chapter 5
    손톱주름 모세혈관경에서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한 노하우 31
    (How to Obtain Good Capillaroscopic Pictures)
    ■ Patrizia Del Medico, MD

    Chapter 6
    모세혈관경 시행 및 평가 시 흔한 오류(Mistakes in Capillaroscopy) 37
    ■ Walter Grassi, MD; Rossella De Angelis, MD, PhD7
    1 기술적 오류들 37
    2 평가 시 하기 쉬운 오류(misinterpretation) 38

    Chapter 7
    정상인에서 연령에 따른 모세혈관경 소견(Capillaroscopy in Healthy Subjects of Different Ages) 43
    ■ John Allen, BEng, PhD
    1 정상 성인에서 모세혈관 소견 43
    1.1 모세혈관 밀도(density) 45
    1.2 각각의 모세혈관고리 너비(dimension) 45
    1.3 유두하 세정맥(subpapillary venular plexus) 망상구조 46
    1.4 부가적인 형태학적 이상소견들 46
    1.5 혈류(Blood flow) 46
    2 연령에 따른 모세혈관의 형태학적 변화 47
    2.1 소아의 모세혈관 형태 47
    2.2 노인의 모세혈관 형태 47

    Chapter 8
    정상인에서 흔히 보이는 비전형적인 모세혈관경 소견 49
    (The Most Frequent Unusual Capillaroscopic Pictures in Healthy Subjects)
    ■ Valeria Riccieri, MD
    1 손톱주름 모세혈관 소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49
    1.1 나이(Age) 49
    1.2 성별(Sex) 50
    1.3 인종(Race) 50
    1.4 동반 신체 상황(Constitutional type) 50
    1.5 직업력(kind of employment) 50
    1.6 취미, 생활습관(Habits) 51

    Chapter 9
    정상과 병적 상태에서 의미 있는 모세혈관경 측정인자 55
    (The Most Important Capillaroscopic Parameters in Norm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 Rossella De Angelis, MD, PhD
    1 피부투명도(skin transparency) 55
    2 유두하 세정맥 망상구조(subpapillary venous plexus) 56
    3 구불거림(tortuosity) 56
    4 확장된 고리(enlarged, loop ectasia) 57
    5 미세출혈과 모세혈관 혈전증(capillary thrombosis) 58
    6 모세혈관 밀도 60
    7 신혈관생성 61
    8 구조적 혼란(architectural derangement) 62

    Chapter 10
    모세혈관경 판독과 반정량적 점수제 63
    (Reporting and Scoring Capillaroscopic Pictures)
    ■ Alberto Sulli, MD.
    1 모세혈관경 결과보고서 63
    2 모세혈관경 영상의 점수제(scoring) 65
    2.1 질적 접근(Qualitative assessment) 65
    2.2 반정량적 접근(Semiquantitative assessment) 66
    2.3 정량적 접근(Quantitative scoring) 68

    SECTION 2 류마티스질환에서 모세혈관경
    Chapter 11

    레이노현상의 임상양상, 진단, 그리고 치료(Raynaud’s Phenomenon - A Clinical Marker) 77
    ■ Ariane L. Herrick, MBChB; Tonia Moore, BSc
    1 레이노현상의 병태생리학 77
    2 과거력과 신체진찰 78
    2.1 과거력 79
    2.2 신체진찰 79
    3 진단을 위한 검사법들 80
    4 치료 82
    4.1 감별진단과 확진 82
    4.2 일반적인 방법 82
    4.3 약물 치료 83
    4.4 수술 84
    4.5 급성 수지 허혈의 치료 84
    5 임상 증례들 84

    Chapter 12
    전신경화증에서 모세혈관경 소견(Capillaroscopy in Systemic Sclerosis) 87
    ■ Maurizio Cutolo, MD
    1 전신경화증이란? 87
    1.1 병태생리 87
    1.2 일반적인 임상 증상 88
    1.3 전신경화증의 임상적 특이증후군(clinical subsets) 88
    1.4 피부 및 손톱주위 증상 88
    2 이차성 레이노현상을 시사하는 중요한 모세혈관경의 변화 89
    2.1 거대모세혈관(Megacapillary) 89
    2.2 미세출혈(Microhemorrhage) 90
    2.3 부종(Edema) 91
    2.4 모세혈관 소실(loss of capillaries)과 무혈관지역(avascular area) 91
    2.5 혈관신생(neovascularization) -가지 친 (ramified) / 숱이 무성한(bushy) 모세혈관 92
    3 피부경화증 패턴(Scleroderma pattern) 93
    3.1 “조기” 패턴(The ‘early’ pattern) 93
    3.2 “활성화” 패턴(The ‘active’ pattern) 94
    3.3 “후기” 패턴(The ‘late’ pattern) 94

    Chapter 13
    피부근염에서 모세혈관경 소견(Capillaroscopy in Dermatomyositis) 97
    ■ Rossella De Angelis, MD, PhD
    1 피부근염(Dermatomyositis)이란? 97
    2 피부근염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97
    3 피부근염에서 임상적 연관성과 연소성 피부근염에서 모세혈관경의 중요성 99
    4 증례 100

    Chapter 14
    혼합결합조직병과 미분화결합조직병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03
    (Capillaroscopy in Mixed and Undifferentiated Connective Tissue Diseases)
    ■ Nemanja Damjanov, MD, PhD
    1 혼합결합조직병(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103
    1.1 혼합결합조직병이란? 103
    1.2 혼합결합조직병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04
    1.3 혼합결합조직병의 증례 104
    2 미분화결합조직병(Undifferentiated connective tissue disease) 106
    2.1 미분화결합조직병이란? 106
    2.2 미분화결합조직병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07
    2.3 미분화결합조직병에서 중복증후군으로 이행한 증례 108

    Chapter 15
    전신홍반루푸스에서 모세혈관경 소견(Capillaroscopy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111
    ■ Francesca Ingegnoli, MD
    1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란? 111
    2 루푸스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11
    3 루푸스에서 대표적인 모세혈관경 소견 113
    4 루푸스에서 모세혈관경 소견과 임상적 연관성 113
    5 임상 증례들 116

    Chapter 16
    항인지질증후군에서 모세혈관경 소견(Capillaroscopy in Antiphospholipid syndrome) 119
    ■ Alberto Sulli, MD
    1 항인지질증후군(Antiphospholipid syndrome)이란? 119
    2 항인지질증후군의 모세혈관경 소견 119

    Chapter 17
    연소성 결합조직병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23
    (Capillaroscopy in Juvenile Connective Tissue Diseases)
    ■ Ariane L. Herrick, MBChB; Eileen Baildam, MBChB
    1 연소성 결합조직병(Juvenile connective tissue diseases) 123
    1.1 연소성 피부근염(Juvenile Dermatomyositis) 124
    1.2 피부경화 범주 질환(Scleroderma?spectrum disorders) 125
    2 연소성 결합조직병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25
    2.1 모세혈관경에서 기술하여야 할 이상 소견들 125
    2.2 소아에서 모세혈관경 시행 시 기술적인 문제 126
    2.3 최근 연구 결과 126
    3 연소성 결합조직병에서 대표적인 모세혈관경 소견 126
    4 연소성 결합조직병에서 임상적 그리고 혈청학적 표지자 127
    5 임상 증례들 128
    5.1 증례1: 연소성 전신경화증 128
    5.2 증례2: 연소성 피부근염 128
    5.3 증례3: 초기에 미분화결합조직병으로 나타난 연소성 전신경화증 129

    Chapter 18
    건선/건선관절염에서 모세혈관경 소견(Capillaroscopy in Psoriasis/Psoriatic Arthritis) 131
    ■ Patrizia Del Medico, MD
    1 건선(Psoriasis)과 건선관절염(Psoriatic arthritis)이란? 131
    2 건선/건선관절염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32
    3 전형적인 임상 증례들 135
    3.1 증례 1 135
    3.2 증례 2 136

    Chapter 19
    류마티스관절염, 쇼그렌증후군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39
    (Capillaroscopy in Rheumatoid Arthritis and Sj?gren’s Syndrome)
    ■ Walter Hermann, MD
    1 류마티스관절염이란? 139
    2 쇼그렌증후군이란? 139
    3 류마티스관절염과 쇼그렌증후군에서 모세혈관경 소견 140
    3.1 류마티스관절염에서 모세혈관경의 의의는? 140
    3.2 쇼그렌증후군에서 모세혈관경의 의의는? 141
    4 류마티스관절염과 쇼그렌증후군 환자에서 대표적인 모세혈관경 소견 142
    5 모세혈관경 소견과 임상적 연관성 143
    6 임상 증례들 143
    6.1 증례1: 류마티스관절염 143
    6.2 증례2: 쇼그렌증후군 144

    Chapter 20
    다른 질환에서의 모세혈관경 소견(Capillaroscopy in Other Conditions) 147
    ■ Patrick H. Carpentier, MD; Bernard Imbert, MD
    1 말단청색증(Acrocyanosis) 147
    2 동상(Chilblains) 147
    3 홍반통증(Erythermalgia) 149
    4 울혈반(Livedo) 149

    Chapter 21
    전신경화증에서 모세혈관경과 임상 병리적 연관성 151
    (Capillaroscopy Links to Clinical Pathological Issues in Systemic Sclerosis)
    ■ Maurizio Cutolo, MD
    1 전신경화증에서 모세혈관경과 혈청 자가항체의 연관성 151
    2 전신경화증에서 모세혈관경 소견과 수지궤양의 연관성 152
    3 전신경화증에서 혈장 엔도텔린?1 수치와 손톱 모세혈관경 패턴의 연관성 153
    4 전신경화증에서 모세혈관경과 폐동맥고혈압의 연관성 154
    5 전신경화증의 치료 결과 예측인자로서 손톱 비디오모세혈관경 소견 155

    Chapter 22
    모세혈관경 검사를 통한 임상 증례 해결(Capillaroscopy in Clinical Case Resolution) 157
    ■ Vanessa Smith, MD; Nemanja Damjanov, MD, PhD; Alberto Sulli, MD
    1 임상 증례 개요 157
    2 임상 증례들 157
    2.1 증례1: “조기”전신경화증 환자 157
    2.2 증례2: 광범위 피부 침범이 있는 전신경화증 환자 158
    2.3 증례3: 광범위 피부 침범이 있는 전신경화증 환자 159
    2.4 증례4: 혼합결합조직병 환자 160
    2.5 증례5: 미분화결합조직병 환자가 이후 전신경화증으로 진행한 경우 161
    2.6 증례6: 레이노현상이 있는 환자가 폐침범이 있는 혼합결합조직병으로 진행한 경우 162
    2.7 증례7: “조기” 모세혈관경 패턴에서 “후기” 모세혈관경 패턴으로 이행한
    미세혈관병증을 동반한 피부경화증 환자 162
    2.8 증례8: 면역억제제 치료 중인 환자의 모세혈관 변화 165

    본문 찾아보기 169

    그림 찾아보기 175

추천사

  • 1990년대 보급된 이후 모세혈관경에 대한 이렇다 할 서적이 없었던 국내에 처음으로 공식적인 번역서가 나온 것을 축하 드리며 귀한 책에 추천사를 싣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손톱주름 모세혈관경은 비침습적이며 안전하고 빠른 검사로 그 진단적 가치에 대해 주목받아 왔으며, 국내 도입된 이후 현재 류마티스내과 뿐 아니라 모세혈관순환이나 내피세포기능 이상에 관한 임상과 연구에 두루 사용되고 있습니다. 여러 장점을 가지는 임상 검사임에도 불구하고 임상적 의미를 펑가하기 위한 적절한 촬영방법과 평가기준에 대한 숙지의 부족과 이상소견 판별을 위한 측정인자(parameters)에 대한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초반에는 검사자마다 그 결과가 다른 객관성이 부족한 검사로 여겨지기도 했었습니다. 모세혈관현미경의 디지털화와 비디오모세혈관경과 같은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진료 현장에서도 류마티스내과를 중심으로 주로 전신경화증을 포함한 경피증 범주의 질환의 진행을 예측, 감별하고 수지궤양, 폐섬유화 그리고 폐동맥 고혈압 등의 여러 임상양상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데 유용한 진단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김현숙 교수는 이전부터 류마티스질환의 모세혈관 순환 및 모세혈관경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여러 연구 논문을 발표한 바가 있었던 분으로, 현재 유럽 류마티스학회와 미국 류마티스학회에서 교육자료로 인정되는 방대한 사진자료와 임상 사진을 포함한 “Atlas of capillaroscopy in rheumatic diseases” 책을 한국어판으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는데 가장 경험이 많고 적합한 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모세혈관경은 주위에서 비교적 흔히 보는 레이노현상의 감별진단과 조기진단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난치병인 전신경화증에 필수적 진단도구로, 책이 완성되어 손톱주름 모세혈관경을 시작하는 임상의와 수련의에게 올바른 영상획득법과 측정인자에 대한 일관된 지침에 대한 길을 밝혀주는 등대와 같은 책이 되리라 기대합니다.

책 속으로

역자 서문
우선 감사드린다. Key messages나 그림에 대한 색인 등의 원저와 벗어난 편집을 한국의 모세혈관경에 대한 관심이 있는 독자들을 위한 편의로 허락해주신 Maurizio Cutolo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공저자이신 Alberto Sulli와 Vanessa Smith 교수님에게도 깊은 감사를 보낸다. 모세혈관경 검사는 류마티스학 뿐 아니라 모세혈관순환에 관심이 있는 여러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2013년 전신경화증의 조기진단에 그 역할이 확고히 공인된 후에도 여러 측정인자들의 의미와 임상 활용도가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모세혈관경의 임상적 활용이 객관적으로 잘 시행되기 위해서는 공인된 교육을 마친 숙련자에 의한 촬영과 해석이 필수적이다. 이런 측면에서 유럽류마티스학회장을 역임하신 Maurizio Cutolo 교수님의 “Aatlas of capillaroscopy in rheumatic diseases”는 현재 유럽류마티스학회의 모세혈관경에대한 기본 교육자료로 사용되고 있어 이번 한국어 번역본을 기획하게 되었다.
이 책의 의의는 모세혈관경을 시행하는 초보자가 판독에 가장 적합한 영상을 얻게 도움을 주며 임상상황에서 혼동하기 쉬운 상황을 단원별로 정리하여 검사 시행의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장의 첫머리에 가장 중요한 Key messages를 추가하여 단시간에 임상 활용을 하는데 직접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원문과 다르게 그림에 대한 색인을 따로 정리하여 검사를 시행하면서 그때그때 손쉽게 찾아 볼 수 있게 정리하였다. 이 책은 모세혈관경의 임상적 기본과 류마티스 질환에서의 예시를 훌륭히 정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더 합리적인 모세혈관경과 다양한 질환의 모세혈관 순환에 대한 연구와 치료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많은 양의 초벌번역과 수정을 도와준 김보영, 정신옥, 김윤석, 김영훈, 채준원, 최경진 선생과 한재석 학생에게 감사하며 사랑하는 이준양에게도 고마움을 보낸다.
2016년 7월 5일 한남동 연구실에서
김 현 숙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원서(번역서)명/저자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59430145
발행(출시)일자 2016년 09월 01일
쪽수 178쪽
크기
221 * 283 * 15 mm / 876 g
총권수 1권
원서(번역서)명/저자명 Aatlas of capillaroscopy in rheumatic diseases/Maurizio Cutolo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10점 중 0점
10점 중 10점
0%
10점 중 7.5점
0%
10점 중 5점
0%
10점 중 2.5점
0%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0%

집중돼요

0%

도움돼요

0%

쉬웠어요

0%

최고예요

0%

추천해요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