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목차
- 제1장 국내외 보건정책 이해
제1절 지역사회간호의 이해 3
1. 공중보건과 지역사회보건 3
1) 공중보건 _3
2) 지역사회 보건 _3
3) 공중보건의 특성 _4
4) 공중보건의 핵심 기능과 필수보건서비스 _5
2. 지역사회간호 6
1) 지역사회간호의 정의 _6
2) 지역사회간호의 특징과 속성 _7
3) 보건간호와 지역사회간호 _8
3.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 9
1)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과 기능 _9
2) 지역사회 간호사의 주요 활동현장과 역할 _11
3)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 확대 _12
제2절 지역사회간호와 보건정책 13
1. 보건의료정책 13
1) 정책의 개념 _13
2) 정책과정 _14
3) 정책결정 _14
4) 보건의료정책 _14
5)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의 변화 _15
6) 보건정책의 환경변화 및 보건정책의 변화 _17
7) 보건의료관련법과 지역사회 간호실무 _19
2.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19
1)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수립방향 설정 _21
2)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기본틀 _23
3.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27
1) 목적 _28
2) 기본 방향 _28
3) 사업 분야 _29
제3절 지역사회간호의 역사 32
1. 서양 근대 공중보건의 역사 32
1) 서양 근대 공중보건의 확립 _32
2) 서양 현대 공중보건의 발전 _32
2. 외국 지역사회간호의 역사 33
1) 방문간호시대 : 1900년대 이전 _33
2) 보건간호시대 : 1900∼1960년대 _34
3) 지역사회간호시대 : 1960∼현재 _35
3. 우리나라 지역사회간호의 역사 35
1) 방문간호시대 : 1945년 이전 _35
2) 보건간호시대 : 1945년∼1980년 _35
3) 지역사회간호시대 : 1980년∼현재 _36
제4절 국제보건의 이해 38
1. 국제보건의 정의 38
2. 국제보건기구 38
1) 세계보건기구 _38
2) 유엔아동기금 _40
3) 기타 _40
3. 공적개발원조사업 40
4. 국제보건사업과 간호사의 역할 41
제5절 인구현상과 건강 42
1. 인구의 종류 42
1) 이론적 인구 _42
2) 실제적 인구 _42
2. 인구이론 43
1) 맬서스주의 _43
2) 신맬서스주의 _43
3) 인구변천이론 _44
3. 인구통계 45
1) 인구통계 자료 _45
2) 생정통계의 기본 지표 _45
4. 인구구조 47
1) 성 구조 _47
2) 연령 구조 _47
3) 인구 피라미드 유형 _48
5. 우리나라의 인구 변동 49
1) 우리나라의 인구 현황 _49
2) 인구구조의 변화 _49
6. 우리나라 인구정책 50
1) 인구정책의 개념 _50
2) 우리나라 인구정책의 변화 _50
3)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정책 _51
제2장 역학지식 및 통계기술 실무적용
제1절 역학의 이해 57
1. 역학의 정의와 목적 57
1) 역학의 정의 _57
2) 역학의 목적과 활용 _57
2. 역사적 배경 58
제2절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수준 60
1. 질병의 자연사 60
2. 역학 모형 61
1) 생태학적 모형 _61
2) 수레바퀴 모형 _61
3) 거미줄 모형 _62
3. 감염성 질환의 발생 62
1) 병원체 _63
2) 병원소 _63
3) 병원소에서 병원체의 탈출 _64
4) 전파방법 _64
5) 새로운 숙주로의 침입 _64
6) 새로운 숙주의 감수성과 면역 _64
4. 감염성 질환의 자연사 65
1) 병원체 발현 중심의 변화과정 _65
2) 임상증상 발현 중심의 변화과정 _65
5. 감염성 지표 66
1) 감염력 _66
2) 병원성 _66
3) 독력 _66
6. 감염성 질환의 관리 66
1) 병원체와 병원소 관리 _67
2) 전파 방지를 위한 관리 _67
3) 숙주 관리 _67
제3절 역학적 측정지표 68
1. 측정의 의의와 기본단위 68
1) 구성비율 _68
2) 비율 _68
3) 비 _69
4) 조율 _69
5) 특수율 _69
2. 측정지표 70
1) 발생률 _70
2) 유병률 _71
3) 발병률 _71
4) 발생률과 유병률의 관계 _71
5) 사망률 _71
제4절 건강검진의 진단검사 71
1. 집단검진 71
2. 검사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 72
1) 타당도 _72
2) 신뢰도 _73
제5절 역학적 연구 73
1. 역학연구 개념 73
1) 연관성과 원인 _73
2) 원인적 연관성의 확정조건 _73
2. 역학연구 방법 74
1) 기술역학연구 _74
2) 분석역학연구 _74
3) 실험역학연구 _77
제6절 보건통계 활용 77
1. 보건통계 78
1) 서술통계 _78
2) 추론통계 _80
2. 데이터 질 평가 82
제3장 지역사회 간호사정
제1절 지역사회의 이해 87
1. 지역사회의 개념 87
1) 지역사회의 정의 _87
2) 지역사회의 특성 _87
3) 지역사회의 유형 _88
4) 지역사회의 기능 _89
2. 건강한 지역사회 90
1) 건강한 지역사회의 개념 _90
2) 건강한 지역사회의 특성 _90
3. 건강도시 91
1) 건강도시의 개념 _91
2) 건강도시의 추진과정 _92
3) 우리나라의 건강도시 현황 _94
4. 지역사회 간호사업에서 지역사회의 중요성 94
1) 건강문제의 유사성 _94
2) 경제적 공동체 _94
3) 가치와 문화의 공유 _95
4) 정치적 의사결정 기구 _95
제2절 지역사회 간호과정 95
1. 지역사회 간호사정 95
1) 지역사회 사정유형 _95
2) 지역사회 현황분석 _96
2. 지역사회 간호진단 101
1) 지역사회 간호진단의 특성 _101
2) 간호진단 분류체계 _101
3) 지역사회 간호문제의 우선순위 설정 _105
제4장 건강형평성 이해 및 문화적 다양성의 실무적용
제1절 지역사회와 건강 111
1. 건강의 개념 111
1) 세계보건기구의 건강 정의 _111
2) 의학적 관점 _111
3) 간호학적 관점 _111
4) 지역사회간호학에서의 건강의 정의 _112
2. 건강의 결정요인 113
3. 건강의 연속선과 질병예방수준의 관계 115
4. 적정 기능수준 116
1) 정치적인 영향 _116
2) 습관적인 영향 _116
3) 유전적인 영향 _116
4) 보건의료 전달체계의 영향 _116
5) 환경적인 영향 _116
6) 사회?경제적인 영향 _116
5. 건강형평성 117
1) 건강형평성의 개념 _117
2) 건강형평성의 중요성 _117
3) 우리나라의 건강형평성 현황 _117
4) 우리나라의 건강형평성 정책과 과제 _121
6. 건강권 보장 121
제2절 지역사회간호와 문화적 다양성 122
1. 다문화사회의 배경 122
2. 다문화 대상자의 문화적 특성 124
3. 다문화가족의 보건의료 127
4. 다문화사회와 간호사의 문화 역량 128
제3절 취약가족과 간호 129
1. 취약가족 간호의 중요성과 특성 129
1) 취약가족 간호의 중요성 _129
2) 취약가족의 특성 _129
2. 취약가족의 사정 및 간호중재 130
1) 가족사정도구 _130
2) 취약가족의 간호중재 _133
3) 취약가족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 _134
3. 취약가족별 간호 134
1) 만성질환자 가족 _134
2) 장애인 가족 _135
3) 한부모가족 _136
4) 빈곤가족 _136
5) 폭력 가족 _137
제5장 보건사업 기획
제1절 지역사회 간호이론 141
1. 체계이론 141
1) 주요 개념 _141
2) 지역사회간호에의 적용 _142
2. 기획이론 143
1) 기획의 특성 _143
2) 기획과정 _143
3. 교환이론 144
1) 주요 개념 _144
2) 지역사회간호에의 적용 _145
4. Neuman의 건강관리 체계이론 145
1) 주요 개념 _145
2) 뉴만모델의 장점과 단점 _147
3) 지역사회간호에의 적용 _148
5. Orem의 자가간호이론 148
1) 주요 개념 _148
2) 지역사회간호에의 적용 _150
6. Roy의 적응이론 151
1) 적응이론의 개요 _151
2) 주요 개념 _151
3) 지역사회간호에의 적응 _153
제2절 보건사업 기획 153
1. 보건기획의 개요 153
1) 보건기획의 개념 _153
2) 보건기획의 특성 _155
3) 보건기획 도구 _156
2. 보건사업 기획자의 자질 156
1) 변화관리 _156
2) 갈등관리 _157
3) 시간관리 _159
3. 보건기획의 단계 160
1) 이해관계자 참여 _161
2) 현황분석 _162
3) 우선순위설정 _165
4) 목표설정 _166
5) 사업계획 _170
제3절 보건정보 및 기술활용 176
1. 보건의료 정보화 176
1) 보건소통합정보시스템 구축 _176
2) USN기반 원격건강모니터링시스템 구축 _176
3) 원격건강도우미서비스 제공 _178
4) 질병관리본부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_179
5)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 개발 _179
6) 응급환자진료정보망 구축 _179
2. 지리정보시스템 179
1) GIS의 개요 _179
2) GIS의 활용범위 _179
제4절 지역사회 간호과정 180
1. 지역사회 간호계획 181
1) 목표 설정 _181
2) 방법 및 수단의 선택 _182
3) 수행계획 _183
4) 평가계획 _187
2. 지역사회 간호수행 191
1) 수행단계에서 요구되는 활동 _191
2) 간호수행을 위한 지역사회 접근방법 _194
3) 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_195
3. 지역사회 간호평가 196
1) 평가의 내용 _197
2) 평가의 유형 _197
3) 평가의 범주 _198
4) 평가의 절차 _198
제5절 보건간호사업의 질 관리 199
1. 질 관리의 이해 199
2. 질 관리를 위한 전략 200
1) QA _200
2) TQM와 CQI _201
3. 질 관리 수행절차 201
1) 준비단계 _201
2) 사업과정 설정단계 _201
3) 사업계획 수립단계 _202
4) 사업 수행단계 _202
5) 사업 평가단계 _202
4. 질 관리의 평가방법 202
1) 투입-산출 모형에 따른 평가 _202
2) 성과관리에 의한 평가 _202
제6장 자원활용
제1절 지역사회 간호활동 205
1. 방문활동 205
1) 방문활동의 목적 _205
2) 방문활동의 원리 및 원칙 _205
3) 방문활동 단계 _206
4) 방문가방 _207
5) 방문활동의 장?단점 _207
6) 방문활동 시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_208
2. 건강관리실 활동 208
1) 건강관리실의 유형 _208
2) 건강관리실의 설치 장소 _208
3) 건강관리실의 운영 _208
4) 건강관리실 활동의 장단점 _209
3. 자원 활용 209
1) 자원의 종류 _210
2) 자원의 활용 _211
3) 자원 연계 및 의뢰 _211
4) 자원 활용의 효과 _212
4. 상담 212
1) 상담의 원리 _212
2) 상담의 과정 _213
3) 상담의 기법 _213
4) 상담 시 주의사항 _213
5) 상담의 장?단점 _213
5. 매체 활용 213
1) 인쇄매체 _214
2) 전자매체 _214
6. 지역사회조직 활용 214
1) 기존 조직의 활용 _215
2) 새로운 조직의 개발 _215
3) 지역사회조직화 단계 _215
제2절 사례관리 216
1. 사례관리의 이해 216
1) 사례관리의 필요성 및 도입 배경 _216
2) 사례관리의 정의 _217
3) 사례관리의 목적 _218
4) 사례관리의 원칙 및 특징 _218
5) 사례관리 대상자 _218
6) 사례관리자의 역할 및 기능 _219
7) 사례관리 모형 _219
2. 사례관리 흐름 및 절차 220
1) 제1단계 : 접수 _220
2) 제2단계 : 사정 _221
3) 제3단계 : 목표 설정 및 계획의 수립 _221
4) 제4단계 : 수행 _221
5) 제5단계 : 모니터링 및 추후관리 _221
6) 제6단계 : 재사정 및 종결 _221
3.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중심 공적 사례관리 221
1)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사례관리사업 _222
2) 의료급여 사례관리사업 _224
3)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사례관리 _227
4) 치매관리사업의 사례관리 _229
4.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실제 233
1) 만성질환 중심의 고위험군 사례관리 _233
2) 고혈압환자 사례관리 _238
3) 허약노인 사례관리 _238
제7장 건강증진사업 운영
제1절 보건교육의 이해 245
1. 보건교육의 개념 245
1) 보건교육의 정의 _245
2) 보건교육의 필요성 _246
3) 보건교육의 목적과 목표 _247
2. 보건교육자의 역할 247
3. 보건교육의 대상 및 범위 249
1) 대상 집단의 특성에 따른 분류 _249
2) 대상자의 생애주기에 따른 분류 _250
3) 실무현장에 따른 분류 _250
4. 보건교육의 내용 251
1) 예방수준별 보건교육 내용 _251
2) 국민건강증진법의 보건교육 내용 _252
5. 보건교육의 원리 252
6. 학습이론과 보건교육 252
1) 행동주의 학습이론 _253
2) 인지주의 학습이론 _258
3) 인본주의 학습이론 _260
4) 구성주의 학습이론 _262
5) 학습이론 간의 특성 비교 _265
7. 건강행위 이론과 보건교육 267
1) 개인 수준의 건강행위 이론 _267
2) 개인 간 수준의 건강행위 이론 _279
3) 집단 및 지역사회 수준의 건강행위 이론 _284
제2절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296
1. 보건교육 요구조사 및 분석 296
1) 보건교육 요구사정 _296
2. 보건교육 계획 300
1) 학습목표 설정 _300
2) 학습내용 선정과 구성 _308
3) 교육방법 선정 _309
4) 교육매체 선정 _309
5) 교육수행 계획 _309
6) 교육평가 계획 _309
7) 보건교육계획서 작성 _313
제3절 보건교육의 수행 313
1. 보건교육 수행단계 313
1) 도입단계 _313
2) 전개단계 _314
3) 정리단계 _314
2. 보건교육 방법 314
1) 교수-학습방법 선정의 원리 _314
2) 보건교육의 교수-학습방법의 종류 _316
3. 보건교육 매체 329
1) 보건교육 매체의 선정의 원리 _330
2) 보건교육 매체의 종류 _331
제4절 보건교육의 평가 339
1. 보건교육 평가의 목적과 기능 339
2. 보건교육 평가의 단계 340
1) 보건교육 관계자 참여 _340
2) 보건교육의 기술 _340
3) 평가단계 _341
3. 보건교육 평가의 분류 및 방법 342
1) 보건교육 평가의 분류 _342
2) 보건교육 평가방법 _343
3) 평가도구의 조건 _343
제5절 건강증진 개념의 이해 344
1. 건강증진의 개념 344
1) 건강증진의 정의 _344
2) 건강증진 개념의 역사적 배경 _345
2. 생애주기별 건강위험요인 349
1) 태아기 _349
2) 영유아기 _350
3) 학령 전기 _351
4) 학령기 _352
5) 청소년기 _353
6) 성인기 _355
7) 노년기 _356
3. 건강증진 모형 356
1) Tannahill의 건강증진 모형 _356
2)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 _357
3) Green의 PRECEDE-PROCEED 모형 _357
제6절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358
1. 건강증진의 과정 358
1) 건강증진의 대상 _358
2. 생활터 접근 359
1) 생활터의 정의 _359
2) 생활터의 종류 _359
3) 생활터 접근의 특징 _359
4) 생활터 기반 접근을 위한 과제 _360
3. 건강증진 프로그램 360
1) 금연 프로그램 _360
2) 절주 프로그램 _364
3) 신체활동 프로그램 _366
4) 영양 프로그램 _370
제7절 학교보건교육과 건강증진 376
1. 학교보건교육 376
1) 학교보건교육의 개념 _376
2) 학교보건교육 과정 _380
2. 학교건강증진 383
1) 학교건강증진의 기본 방향 및 원칙 _383
2) 학교건강증진 프로그램 _383
제8장 일차보건의료 제공
제1절 보건의료체계 391
1. 보건행정 391
1) 보건행정의 정의 _391
2) 보건행정의 특성과 범위 _391
2. 보건의료체계의 개념 392
3. 보건의료체계의 구성 요소 394
1) 보건의료자원의 개발 _394
2) 자원의 조직적 배치 _395
3)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 _396
4) 경제적 지원 _396
5) 관리 _396
4. 국가보건의료체계의 유형 396
5. 진료비 지불보상제도 398
6. 주요 국가별 보건의료체계 400
1) 영국의 보건의료체계 _400
2) 미국의 보건의료체계 _400
3)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체계 _401
7. 사회보장제도와 의료보장제도 402
1) 사회보장제도 _402
2) 의료보장제도 _404
제2절 일차보건의료 411
1. 일차보건의료의 배경과 개념 411
2. 일차보건의료의 전개 412
3. 우리나라의 일차보건의료 413
제3절 지역보건 414
1. 우리나라의 보건기관 414
1) 보건소 _415
2) 보건지소 _418
3) 보건진료소 _419
2. 지역보건의료계획 419
제4절 모자보건사업 421
1. 모자보건사업의 이해 421
1) 모자보건의 개념 _421
2) 모자보건사업의 중요성 _421
3) 모자보건사업 대상 _423
4) 모자보건사업 주요지표 _423
5) 우리나라의 모자보건사업 _425
6) 지역사회 모자보건서비스 _428
2. 모자보건사업 간호과정 435
1) 모자보건사업 간호사정 _435
2) 모자보건사업 계획 _436
3) 모자보건사업 수행 _437
4) 모자보건사업 평가 _437
3. 모성건강관리 438
1) 임신 전 관리 _438
2) 산전관리 _438
3) 분만관리 _441
4) 산후관리 _441
제5절 영유아 건강관리 444
1. 건강관리 444
1) 건강진단 _445
2) 치아관리 _445
3) 시력관리 _445
4) 장애예방을 위한 선별검사 _445
2. 예방접종 445
1) 예방접종 전?후의 주의사항 _445
2) 예방접종 금기사항 _445
3.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및 환아 관리 446
1)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_446
2) 환아 관리 _447
4.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등록관리 447
1)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관리 목적 _447
2)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관리 내용 _447
제6절 노인보건사업 448
1. 노인인구의 특성 448
1) 노인인구의 구성 및 변화추세 _448
2) 노인인구의 특성 _451
2. 노인과 건강 452
1) 노화와 건강 _452
2) 노인인구의 보건의료 요구 _453
3. 노인보건복지정책과 사업 456
1) 노인요양 및 건강보장 _456
2) 노인복지정책과 사업 _464
4.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467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념 _467
2)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운영 체계 _468
3) 장기요양기관 및 인력 _470
제7절 가족의 이해 472
1. 가족의 개념 472
1) 가족의 정의 _472
2) 가족의 특성 _473
3) 가족의 기능 _473
2. 가족의 유형 475
1) 핵가족 _475
2) 확대가족 _475
3) 기타가족형태 _475
3. 가족생활주기와 발달과업 475
1) 가족생활주기 _475
2) 가족생활주기별 발달과업 _476
4. 가족간호의 개념 478
1) 가족간호의 정의 _478
2) 가족간호의 개념틀 _479
5. 가족간호사의 역할 480
1) 가족간호사의 일반적인 역할 _480
2) 가족간호행위를 위한 환경 _481
제8절 가족 관련 이론 482
1. 체계이론 482
2. 구조기능주의 이론 483
3. 상징적 상호주의 이론 483
4. 발달이론 485
제9절 가족간호과정 485
1. 가족간호사정 486
1) 가족건강 사정도구 _486
2) 자료수집 _489
3) 자료분석 _491
2. 가족간호진단 491
1) 가족간호 진단체계 _491
2) 우선순위 설정 _492
3. 가족간호계획 492
1) 가족간호 목표설정 _492
2) 방법 및 수단의 선택 _492
3) 수행계획 _494
4) 평가계획 _494
4. 가족간호중재 494
1) 예측적 안내 _494
2) 건강상담 _495
3) 가족건강교육 _496
4) 직접 간호제공 _498
5) 의뢰 _498
6) 가족의 자원 강화 _498
7) 스트레스 관리 _499
5. 가족간호평가 500
1) 평가의 방법과 시기 _500
2) 평가내용 _501
제10절 우리나라의 가족 502
1. 우리나라 가족의 변화 502
1) 우리나라 가족의 발달과 특성 _502
2) 우리나라 가족의 변화 _503
2. 우리나라의 가족정책 505
1) 가족정책의 개념 _505
2) 가족정책 전달체계 _505
3) 가족정책의 과제 _506
3. 다문화가족 506
1) 다문화가족의 개념 _506
2)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의 실태 _507
3) 다문화가족의 문제와 과제 _507
제11절 학교보건의 이해 509
1. 학교보건의 개념 509
1) 학교보건의 정의 _509
2) 학교보건의 목적 _510
3) 학교보건의 필요성 _511
2. 학교보건의 역사 512
1) 외국의 학교보건 _512
2) 우리나라의 학교보건 _512
3. 학교 보건의 인력 514
1) 보건교사 _514
2) 학교의사와 학교약사 _517
3) 학교영양사 _517
4. 학교보건 관련법 517
1) 학교보건법 _518
2) 기타 학교보건 관련법 _521
5. 학교간호과정 522
1) 학교간호의 개념 _522
2) 학교간호과정 _523
제12절 학생건강관리 526
1. 학생건강검사 526
1) 학생건강검사의 목적 _526
2) 학교건강검사의 내용 _527
3) 건강검사 결과 기록 및 관리 _528
2. 학교감염병 관리 534
1) 학교에서 흔한 감염성 질환 _534
2) 감염병 관리 _537
3. 학교건강문제 관리 541
1) 일반적인 건강문제 관리 _541
2) 안전사고와 응급환자 관리 _543
3) 심폐소생술 _548
4) 특수교육대상자 관리 _551
4. 학교환경관리 552
1) 교내환경관리 _553
2) 학교 외 환경관리 _557
제13절 학교보건실 운영 562
1. 학교보건조직 운영 562
1) 학교보건실 운영 _562
2) 조직 관리 _563
3) 보건실 현대화 기준 _563
2. 시설 및 설비 관리 564
3. 물품관리 566
1) 물품구입 절차 _566
2) 물품의 보관 및 유지관리 _566
4. 약품관리 566
1) 구급약품과 치료용 재료의 준비 _566
2) 약품관리방법 _566
3) 올바른 약물 복용법 _567
4) 의약품 투약 시 주의사항 _567
5. 보건예산관리 567
1) 예산 설정의 이점 _568
2) 예산의 원칙 _568
6. 보건실 문서 관리 568
1) 기록의 종류 _568
2) 보건일지 _568
3) 학생건강기록부 _568
4) 가정통신문 _570
5) 보고 공문 작성요령 _570
7. 기안 및 공문서 관리 570
1) 행정상 공문서의 개념 _570
2) 문서의 성립과 효력의 발생 _570
3) 문서 작성의 원칙 _570
4) 기안문의 작성 _575
제14절 산업간호의 이해 575
1. 산업보건과 산업간호 575
1) 산업보건과 산업간호의 개념 _575
2) 산업보건의 발전과정 _576
3) 산업보건 인력 및 조직 _578
4) 보건관리자의 업무 _581
5) 보건관리업무위탁 _583
6) 산업전문간호사의 자격 및 역할 _584
2. 산업간호과정 585
1) 산업간호사정 _585
2) 산업간호진단 _586
3) 산업간호계획 _587
4) 산업간호수행 _587
5) 산업간호평가 _588
제15절 근로자 건강관리 588
1. 근로자 건강진단 588
1) 건강진단의 종류와 내용 _589
2) 건강진단 사후관리 _590
2. 유해환경과 직업병 관리 591
1) 물리적 유해인자와 건강문제 _591
2) 유해화학물질과 건강문제 _597
3) 중금속으로 인한 건강문제 _598
3. 유해인자별 작업관련성 질환관리 600
1) 근골격계 질환 _600
2) 심뇌혈관질환 _602
3) 직무스트레스 _602
4. 건강관리실 운영 603
1) 시설과 물품관리 _603
2) 예산관리 _604
3) 기록과 보고 _604
제9장 감염성질환과 만성질환 관리
제1절 방문보건사업 609
1. 방문보건의 개념 609
2. 방문건강관리사업 609
1)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정의 _609
2)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 _610
3)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전략 _611
4)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 _613
5)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수행 _613
6)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서비스 내용 _615
7) 보건소 내?외 자원 연계 _617
8)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조직 및 인력 _617
3. 가정간호사업 618
1) 가정간호의 개념 _618
2) 가정간호사업의 도입배경 _619
3) 가정간호사업의 목적과 목표 _619
4) 가정간호사업의 대상자 _620
5) 가정간호사업의 수행 _620
6) 가정간호사업팀 _621
7) 가정간호수가 _622
4.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사업 623
1)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개념 _623
2)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목적 _623
3)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대상자 및 내용 _624
4)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이용절차 _624
5)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인력 _626
6) 방문건강관리사업과 가정간호 및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사업의 차이 _626
제2절 만성질환관리사업 627
1. 만성질환 627
1) 만성질환의 정의 및 특성 _627
2) 만성질환의 관리 _627
2. 만성질환관리사업 628
1) 실시배경 _628
2) 주요 사업내용 _629
3) 만성질환 감시체계 _631
제3절 감염성질환관리사업 633
1. 감염성질환 633
2. 법정감염병 633
1) 법정감염병의 종류 _633
2) 감시체계 _635
3. 감염병 관리 636
1) 감염병 관리 방법 _636
2) 주요 감염병 관리현황 _637
제4절 재활간호사업 642
1. 재활간호사업의 개념 642
1) 장애의 정의와 분류 _642
2) 재활간호사업의 정의 _644
3) 지역사회 재활간호사업의 필요성 _644
4) 지역사회 재활사업의 목적 _645
5) 재활간호사업의 내용 _646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개념 646
1)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개요 _646
2)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목적 _646
3)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기본 방향 _648
4)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대상 _648
5)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의 내용 _649
3. 재활간호사업팀의 역할 653
제10장 환경보건관리
제1절 사고예방 657
1. 산업재해 657
1) 산업재해의 개념 _657
2) 산업재해의 분류 _657
3) 산업재해 통계지수 _659
4) 산업재해 현황 _660
5) 산업재해 예방대책 _664
6) 업무상 상병과 재해보상 _666
제2절 작업환경관리 669
1. 작업환경관리 669
1) 작업환경 유해인자 _669
2) 작업환경관리 기본원칙 _671
3) 유해인자별 작업환경관리 방법 _673
4) 유해물질 허용기준 _674
2. MSDS/GHS 제도 675
1) MSDS/GHS 개요 _675
2) MSDS/GHS 작성 _677
3. 작업환경측정 679
1) 작업환경측정 개요 _679
4. 작업환경 개선방안 681
1) 작업환경 개선의 기본방향 _681
2) 작업환경 개선의 실제 _683
제3절 환경과 건강의 이해 687
1. 환경의 개념 687
1) 환경보건의 개념 _687
2) 환경보건정책 _688
2. 환경영향평가 691
1) 환경영향평가의 개요 _692
2) 건강영향평가제도 _695
3. 환경보건 관련기관의 역할 및 법적 규제 696
1) 환경보건 관련기관 및 역할 _696
2) 환경보건 관련 법적 규제 _697
제4절 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698
1. 대기와 건강 698
1) 대기 _698
2) 대기오염 _701
3) 대기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_702
4) 대기오염 피해사례 _706
5) 대기 오염으로 인한 영향 _706
6)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_707
2. 물과 건강 709
1) 물의 개요 _709
2) 물의 자정작용 _709
3) 상수 _710
4) 수질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_717
5) 수질오염의 현상 _717
6) 수질 환경 기준 _719
7) 하수 _719
3. 식품과 건강 720
1) 식품위생의 정의 _721
2)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_721
3) 식품의 보존법 _721
4) 식품에 의한 건강장애 _723
4. 주거환경과 건강 727
1) 주택의 기본조건 _728
2) 주거환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_728
5. 폐기물 처리와 건강 729
1) 폐기물의 정의 _729
2) 폐기물 처리방법 및 관리정책 _730
3) 폐기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_732
6. 토양과 건강 732
1) 토양오염과 오염물질 _732
2) 토양오염의 원인 _733
3) 토양오염 대책 _733
4) 토양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_733
7. 방사능과 건강 734
1) 방사능의 개요 _734
2) 방사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_734
제5절 환경보건과 간호사의 역할 734
1. 환경성 질환 734
1) 환경성 질환의 이해 _734
2) 환경성 질환의 종류와 예방 _735
2. 화학물질관리 740
1) 화학물질관리의 중요성 _740
2) 우리나라의 화학물질 안전관리 현황 _740
3. 환경보건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740
1)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유형 _741
2)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필요성과 원칙 _742
4. 환경정의 743
1) 환경정의의 개념 _743
2) 환경오염 피해와 환경정의 _744
제11장 재난관리
제1절 재난 예방 749
1. 재난의 정의 749
2. 재난의 유형과 대응체계 751
1) 재난의 유형 _751
2) 재난유형별 건강요구 _751
3) 국가재난관리체계 _751
4) 응급의료체계 _755
3. 재난과 공중보건 758
1) 공중보건의 역할 _758
2) 재난관리 기능모형 _759
3) 재난역학과 질병감시 _761
4) 재난과 관련된 감염성 질환의 유행요인 _761
5) 인구집단 건강요구 _762
4. 재난 예방과 대비 762
1) 재난 예방 _763
2) 재난 대비 _763
5. 취약인구집단의 재난 767
1) 아동과 여성의 재난 _767
2) 노인과 만성질환자의 재난 _769
3) 장애인과 재난 _770
제2절 재난 대응 및 복구 772
1. 재난과 법적?윤리적 문제 772
1) 간호사의 법적 의무 _773
2) 간호사의 윤리원칙 _773
3) 재난간호의 법적?윤리적 쟁점 _773
2. 심리사회적 영향 775
1) 재난 국면에 따른 심리적 현상 _775
2) 재난에 대한 인간의 반응과 정신장애 _776
3. 위기 의사소통 776
1) 위기 의사소통과 대상자의 심리 _777
2) 위기 의사소통의 원칙 _778
4. 수용시설 관리 783
1) 수용시설 관리 개요 _783
2) 이재민 건강관리 _784
5. 재난간호 785
제3절 국제 재난구호활동 786
1. 해외 긴급구호 활동 786
1) 해외 재난복구의 주체 _786
2) 해외 긴급구호기관 간 관계 _786
3) 이념적 기반 _786
2. 해외 긴급구호기구 787
1) 국제연합기구 _787
2) 비정부기구 _788
3. 우리나라의 해외 긴급구호 790
4. 국제 재난구호 활동 시 간호사의 역할 792
?참고문헌 794
?Index
출판사 서평
건강은 어떤 조건에서도 보호받고 존중받아야 할 인간의 기본권이다. 오늘날 생명공학 및 IT기술 등 과학기술은 서로 융합되어 의학의 발달에 기여하고 있다. 이는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여 만성질환자, 장애 및 치매의 높은 유병률과 연관되고 있으며, 의료수혜자들은 다각적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해 질 높은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보건의료에 대한 국민의 요구 증가와 의료비의 상승은 보건의료체계의 변화로 귀결된다.
최근 변화하는 보건의료정책은 건강수명연장과 건강형평성을 제고하여 지역사회의 통합적인 건강증진 사업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구집단별로 예방중심의 건강생활실천을 확산하고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간호사에게 보다 확대된 역할을 요구한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간호계는 핵심역량을 갖춘 전문간호인력을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에 맞춰 한국의 간호사 국가시험 형태가 2016년 1월부터 변화할 것이 확정되었다. 국가시험 출제 형태가 사례중심의 문제해결형을 강조하면서 문항수가 330문항에서 295문항으로 축소하게 됨에 따라, 지역사회간호학 문항도 40문항에서 35문항으로 축소된다. 한국간호과학회도 핵심역량을 갖춘 간호인력 양성을 위하여 새롭게 분야를 설정하고 영역별로 분류하였으며, 분과 학회들은 세부적인 학습목표에 대해서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 세부적인 학습목표가 확고하게 정립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간호학생들이 변화되는 국가시험을 대비하기 위하여, 변화된 분야와 영역을 반영한 교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책은 지역사회간호학회의 변화된 현재 학습목표를 그대로 반영한 첫 교재라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책이 시대적인 요구에 일조하고, 지역사회간호학회 학습목표정립 등 지역사회간호학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이 책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1.2016년 1월 간호사 국가시험부터 반영할 지역사회간호학 출제범위에 따라 구성하였다(2014년 8월 18일 국시원 공고).
2.4개 분야와 11개 영역을 순서대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2014년 12월 동계 지역사회간호학회 제시). 4개 분야는 지역사회 간호요구사정, 보건사업 기획 및 자원 활용, 인구집단별 건강증진 및 유지, 안전과 환경관리 등이다.
3.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학습성과와 영역별 연관성 정도를 제시하였다.
4.최근 개정된 관련 법, 변화된 보건정책, 실제 지역사회의 현황 및 사례들을 인용하여 제시하였다.
5.지역사회간호 전 영역을 한 권으로 2단 편집하여 필요할 때 쉽게 앞 뒤 영역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6.보건교육과 보건프로그램개발 부분을 비교적 자세히 기술하였다.
7.한글 맞춤법 규정에 준하여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끝으로 지역사회간호 교육의 요구에 공감하고 학과 평가 및 바쁜 학사일정에도 불구하고 학연, 지연을 넘어 저술에 적극 동참해주신 여러 교수님들께 감사를 드린다. 이 책은 부족함을 인정하면서도 개강 시기에 맞춰 서둘러 출간하게 되는 점을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이 책을 대하는 여러 교수님들과 학생들 그리고 지역사회간호실무현장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의 많은 조언을 기대하며, 우리나라의 미래지향적인 지역사회간호학 책을 함께 완성해 나아갈 것을 제안해본다.
2015년 3월
저자
기본정보
ISBN | 9791158140380 |
---|---|
발행(출시)일자 | 2015년 03월 05일 |
쪽수 | 852쪽 |
크기 |
220 * 290
mm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