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조선인들의 북경 체험
손성욱 저자(글)
푸른역사 · 2020년 12월 22일
9.5
10점 중 9.5점
(5개의 리뷰)
집중돼요 (33%의 구매자)
  •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대표 이미지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사이즈 비교 153x224
    단위 : mm
01 / 02
MD의 선택 소득공제
10% 14,310 15,900
적립/혜택
150P

기본적립

1% 적립 1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3/31(월) 도착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수상내역/미디어추천

연행록’ 100여 종을 10년에 걸쳐 읽다
고르고 추린 19세기 조선 외교의 안과 밖
수많은 ‘연행록’의 알맹이를 추리다
조선에게 명나라는 나라를 있게 해준 ‘재조지은再造之恩’의 국가였다. 이어 들어선 청나라도 중화질서의 중심이었고, 조선 사대외교의 상국이었다. 외국과의 접촉이 금지되던 시대에 그 수도인 연경을 다녀온 사신단은 저마다 ‘연행록’을 남겼다. 흔히 김창업의 《노가재연행일기》, 홍대용의 《담헌연기》,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3대 연행록으로 꼽지만 19세기에 쓰인 것만 100종이 넘는다.
조청관계 연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은 지은이는 오랜 기간에 걸쳐 이들 연행록을 섭렵했다. 그 결과 지은이는 19세기 들어 ‘볼 관觀’이나 ‘놀 유遊’ 자가 들어간 연행록이 많이 나왔지만 통찰력 있는 몇몇만의 유람 이야기도 아니라고 한다. 대신 이 책에서 ‘은둔의 나라’ 조선의 거의 유일한 숨구멍이었던 청나라 연경에서 조선 사신들은 무슨 일을 했고, 무엇을 보았는지 다양한 일화를 소개한다.

작가정보

저자(글) 손성욱

북경대학에서 19세기 외교사절을 중심으로 한 조청관계 연구로 역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산동대학 역사문화학원 부교수로 재직했고, 현재 선문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학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근대 한중관계를 연구하고 있다. 언젠가 북한에 길이 열리면, 서울에서 북경까지 온전한 사행 길을 걸으리라는 꿈을 꾸며 살고 있다

목차

  • 책머리에

    제1부 유람하다
    북경의 첫인상 | 청나라 사행의 필독서 | 사라진 코끼리, 사라진 청나라 | 원명원, 청나라 성쇠의 극치 | 사찰을 유람하다 오르는 법장사 백탑 | 북경 공중목욕탕에 몸을 담근 조선 선비 | 큰 코 오랑캐가 사는 아라사관 | “이 무슨 술수인고!” 러시아인이 찍어 준 사진 | 사진, 위험한 만남의 흔적

    제2부 교유하다
    우정을 전하는 선물 | 조선 사신 숙소 옆에 인삼국 | 부유한 금석학자와 교유하다 |
    북경에서 꿈을 펼친 역관 이상적 | 고염무 사당에서 제사를 올린 박규수 | 사행으로 오경석 컬렉션을 만들다 | 오경석 사진에 담긴 기묘한 희망

    제3부 교섭하다
    청나라가 유일하게 거절한 책봉 | 왕의 동생, 국본國本이 가당한가 | 전례에 어긋난 왕세자 책봉 | 조선 사신단의 북경 숙소 | 신하 된 자가‘ 외교’를 할 수 있는가 | 조선 최초의 외교 공관 | 전쟁통에 떠난 사행, 마지막이 되다

    제4부 사행 이후
    옛 황제의 수도에 세워진 공사관 | 북평잡감

    참고문헌
    주석
    찾아보기

책 속으로

-조성한 정원을 빼면 나무가 별로 없다. 반면 북경 외곽의 서산에는 채굴이 쉬운 석탄이 넘쳐났다. 청나라 때 60~80만이 살던 북경에서 싸고 화력이 좋은 석탄이 주요 연료가 된 것은 너무나도 당연했다. 매캐한 냄새가 북경의 일상이 되었다.(15쪽)

-조선은 주 연료로 나무를 쓰니 석탄 냄새는 생소할 수밖에 없었다. 1850년(철종 원년) 사행으로 북경에 간 권시형權時亨은 그 냄새가 구역질나게 만들며, 굴뚝으로 나온 연기로 북경은 온통 흙빛이라고 했다.(16쪽)

-가장 많이 읽혔던 ‘연행록’이 바로 김창업의 《노가재연행일기》, 홍대용의 《담헌연기》, 박지원의 《열하일기》다.…이 책의 위상에 대해 1832년(순조 32) 청나라로 사행을 떠난 김경선金景善은 《연원직지燕轅直指》에서 “연경燕京에 갔던 사람들이 대부분 기행문을 남겼다. 그중 3가家가 가장 저명하니, 그는 곧 노가재 김창업, 담헌 홍대용, 연암 박지원이다”라고 평했다. 이들의 연행록을 조선시대 3대 연행록이라 한다.(23쪽)

-명나라 때는 천조天朝를 방문한다고 하여 ‘조천록朝天錄’이라 많이 붙였다. 청나라가 중원을 장악한 이후에는 오랑캐가 주인이 되었으니 더는 ‘조천록’이라 부를 수 없었다. 보통 연경燕京에 다녀오는 기록이라 하여 ‘연행록燕行錄’으로 많이 불렀다. 그런데 19세기가 되면 서유진徐有鎭의 《종원유연록鍾園遊燕錄》, 이정수李鼎受의 《유연록遊燕錄》… 등 제목에 ‘볼 관觀’이나 ‘놀 유遊’ 자가 들어간 연행록이 많이 나왔다. 사행에 유람 의식이 강하게 투영된 것이다.(27쪽)

-1887년(고종 24) 진하進賀 겸 사은사謝恩使의 정사로 북경에 도착한 이승오李承五는 상방을 찾아 이들 코끼리를 보았다. 그는 자신의 연행록인 《관화지觀華志》에 을해년, 즉 광서 원년에 미얀마가 7마리의 코끼리를 진공하였는데, 3마리는 죽고 4마리만 남았다고 기록했다.(36쪽)

-1880년대 말 청나라는 내우외환으로 의례활동을 위해 코끼리를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이자성의 난 때도, 청나라가 북경을 점령할 때도 북경에 코끼리는 있었다. 여전히 유용한 존재로 쓰였다. 황제의 위엄을 높여 주고, 태평성대를 가장했다. 주변국의 조공으로 그것을 유지할 수 있었다. … 19세기 중반 들어 상황이 바뀐다. 서양이 중국의 주변을 하나하나 무너뜨렸다. 코끼리의 북경행이 점차 줄어들더니 결국 끊기고 만다. 심지어 청나라는 코끼리의 쓸모를 폐기한다. 이런 모습은 오랫동안 동아시아를 주도한 중화질서가 와해되고 있음을 그대로 보여 준다.(37쪽)

-건륭제가 원명원에 공을 들일 때 조선의 왕은 영조였다. 영조는 검소하고 꼼꼼한 인물로 이궁에 힘을 쏟는 건륭제를 좋게 볼 리 없었다. 영조는 원명원을 진시황의 아방궁에 빗대며 청나라가 망할 징조라고 보았다.(40쪽)
-조선 사람 최초로 원명원에 들어간 이는 황인점黃仁點과 홍수보洪秀輔였다. 이들은 정기 사행인 삼절연공행의 정사와 부사로 북경에 왔다가 1782년 정월대보름에 원명원에서 열린 상원절上元節 연회에 초청받는 뜻밖의 행운을 얻었다.…상원절 연회의 하이라이트는 산고수장각山高水長閣에서 펼쳐지는 불꽃놀이와 등불놀이였다. 눈이 휘둥그레질 만한 장관이었다.(44쪽)

-법장사 백탑은 조선 사신의 또 다른 흥취를 돋우었다. 바로 탑에 올라 제명을 쓰는 것이었다. 말 그대로 나 여기 왔다 갔노라 하고 흔적을 남기는 것이다. 이러한 낙서를 시작한 이는 《노가재연행일기》로 유명한 김창업이다.…김창업은 1713년(숙종 39) 정월 초하루에 법장사를 방문했다. “탑 안의 제명題名은 남방인이 많은데 나도 상층에 ‘조선인 김모, 모년 모월 모일 와서 오르다’라 적었다.(52쪽)

-법장사 백탑에 제명을 남기는 것은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 19세기에 이르면, 박지원처럼 전에 사신으로 왔던 가족이나 친척, 친구들의 이름을 접하는 것은 일상이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백탑 벽면에 조선사람들의 이름으로 가득 차 붓을 대기 힘들 정도였다.(53쪽)

-민간 속설에 따르면, 고린내는 ‘가오리초우高麗臭(고려취)’에서 왔다고 한다. 박지원도 그렇게 생각해 역정이 난 것 같다. 하지만 이는 속설일 뿐이다. ‘고린내’는 속이 상했다는 뜻의 ‘곯다’에서 온 말이다. 곯은 냄새가 줄여져 고린내가 됐다. 다만 당시 청나라 사람들은 조선 사람을 보고 냄새가 난다고 말하곤 했다.(55쪽)

-북경에는 17세기 후반 영업을 시작한 용천당涌泉堂을 비롯해 18세기에 만들어진 정옥조당?玉?堂, 1854년에 개업한 항경당恒?堂 등 공중목욕탕이 성행했었다.…그런데도 조선 사람의 목욕탕 이용 기록은 참으로 귀하다.…목욕 경험을 기록한 것은 이항억의 《연행일기》밖에 없다. 이항억은 1862~1863년(철종 13~14) 정사 이의익李宜翼의 수행원으로 북경에 다녀왔다.(57쪽)

-러시아인이 북경에 장기간 체류하게 되면서 조선 사신이 그들을 볼 기회가 많아졌다. 1749년(영조 25) 진하 겸 사은사의 부사 남태량南泰良은 아라사관의 ‘리파利波’라는 이에게 시 한 편을 써 주기도 했다. 역관을 중심으로 무역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주로 구입한 물건은 모피와 청동거울이었으며, 조선에서 인기가 많았다.(64쪽)

-러시아인들에게 명나라 시절부터 조선 사신들이 머물던 회동관을 뺏겼다고 생각했다.…그곳은 조선 사신이 주로 머물던 곳이지만, 러시아 사절단이 오면 숙소를 내줘야 했다. 캬흐타 조약 이후에는 아라사관으로 바뀌어 온전히 러시아 사람들의 공간이 되었다. 조선 사신은 ‘야만스러운’ 오랑캐보다도 대접받지 못한다고 느꼈다.(65쪽)
-1828~1829년(순조 28~29) 사행을 다녀 온 박사호朴思浩는 예수상을 봤으며, 서양그릇과 향로 등 기물을 봤으며, 자명종을 봤다. 아라사관의 러시아인과 필담을 나누기도 했다. 이러한 경험은 18세기 천주당 경험과 매우 유사하다. 아라사관의 꾸밈은 천주당의 화려함에 비교할 수 없었지만, 호기심을 채우기에는 충분했다.(66쪽)

-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사진은 1860년대 초 북경에서 촬영되었다. 이 사진은 현재 영국 소아즈SOAS(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가 소장하고 있다. 총 6장인데 영국인 의사이자 선교사였던 윌리엄 로크하트William Lockhart가 북경에서 수집한 사진이다.(72쪽)

-사행을 떠나는 선비들은 청나라 문인에게 줄 선물로 부채를 가지고 갔다. 청나라 문인과 필담으로 대화를 나누고, 부채로 성의를 표했다. 텅 빈 부채는 그림을 나누고 시문을 주고받는 우정의 공간이었다. 1831년(순조 31) 한필교韓弼敎는 장인어른 홍석주洪奭周를 모시고 청나라 사행길에 올랐다. 그는 북경에서 청나라 형부주사刑部主事인 이장욱李璋煜을 만나 필담을 나눴다. 그때 그가 차고 있던 새 장식의 청동검을 이장욱에게 선물로 주었다. 그러자 이장욱은 부채3 자루에 시문을 지어 보답했다. 이장욱은 홍석주와도 교류했는데, 홍석주가 떠날 즈음 부채에 시를 지어 석별의 정을 나눴다.(96쪽)

-1816~1817년(순조 16~17)과 1821년(순조 21) 두 차례 정사 신분으로 청나라에 사행을 다녀온 이조원李肇源 역시 〈청심환가淸心丸歌〉에서 청심환을 구하려는 모습을 “기뻐 날뛰고 땅에 엎드려 절하기도 하니, 죽을 뻔한 제 아비 병이 곧 나아서요. 목메어 울며 크게 탄식하기도 하니, 어미 병에 명약을 구하지 못해서라. 사람이 죽고 사는 것이 약에 달려 있으니, 도처의 수많은 사람들이 다투어 구하는구나”라며 생동감 있게 묘사했다.(98쪽)

-연행록을 살펴보면, 조선 상인과 무역했던 북경의 점포는 20여 곳 되었던 것 같다. 북경 조선관 밖에는 조선 사신단과 장사를 하는 점포들이 있었다.…1855~1856년(철종 6~7) 북경에 온 서경순徐慶淳이 얘기하길, 회동관 “관문 밖 좌우의 몇 백 호 문미의 판대기에 천태天泰 인삼국이니 광성廣盛 인삼국이니 하는 명칭을 붙여 놓았으니, 모두 우리나라 물화를 서로 무역하는 곳이다.” 조선과 교역하는 청나라 상인들이 자신들의 점포명을 인삼국이라 할 정도니, 조선 인삼의 명성을 알 만하다.(105쪽)
-교류의 장소로 인삼국을 가장 잘 이용한 이는 이상적李尙迪이었다. 그는 김정희의 제자이자 역관으로 청나라에 수십 차례 다녀온 인물이다. 우리가 잘 아는 〈세한도〉를 청나라에 가져 가서 발문을 받아 온 이도 바로 그다.(107쪽)

-북경에서 자신의 시집인 《은송당집恩誦堂集》을 출판했다. 자신의 인맥 속에서 김정희의 〈세한도〉를 ‘재탄생’시켰다. 수십 명의 청나라 문인과 함께 〈세한도〉를 감상하였고, 그들이 써 준 제발문은 그림 속의 짙은 외로움을 뒤덮었다.(118쪽)

-변무사란 중국에서 조선을 곡해하는 일이 있을 때 사실을 바로잡기 위해 파견하는 사신이다. 대표적인 예가 종계변무宗系辨誣이다. 명나라의 《태조실록》과 법전인 《대명회전》에는 이성계가 이인임의 아들로 우왕을 시해하고 왕위를 찬탈했다는 기록이있었다. 이는 조선의 정통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문제였다. 조선은 이를 바로잡기 위해 변무사를 파견해 수정을 주청했다. 하지만 명은 이를 거부했다. 조선은 계속해서 변무사를 파견하였고, 근 200년이 지난 선조 때가 돼서야 뜻을 이룰 수 있었다.(122쪽)

-2004년, 3ㆍ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던 오세창의 아들 오일육 선생이 조부 오경석吳慶錫과 부친의 유물을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 기증했다. 이 중에 청나라 문인 277통의 서신을 묶어 정리한 《중사간독첩中士簡牘帖》 7책이 포함되어 있다. 청나라로 열두 차례 사행을 다녀온 오경석이 청나라 문인으로부터 받은 서신들이다. 그는 조선시대 외국인으로부터 가장 많은 서신을 받은 인물일 것이다. 현존하는 자료만으로는 그렇다.(133쪽)

-책봉은 형식적인

출판사 서평

“이 무슨 술수인고” 재미를 놓치지 않다
지은이는 다양한 연행록을 읽어내면서 무엇보다 ‘재미’ 방점을 찍어 소개하려 했다. 조선에서 보기 힘든 코끼리 관련 일화가 대표적이다. 훈련된 코끼리가 앞다리를 구부리면 마치 절하는 것 같은 데 착안해 청나라는 황실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조회에 코끼리를 등장시켰단다. 베트남 등에서 조공 받은 코끼리는 일 년에 수백 석의 콩을 먹는 등 유지비가 만만치 않았다. 게다가 19세기 후반 서양이 중국의 주변을 식민지화 하면서 코끼리의 북경행은 끊기고 말았다. ‘사라진 코끼리 사라진 청나라’에서는 조선 사신들의 코끼리 목격담을 전하면서 동남아시아에서 중화질서의 와해를 읽어낸다.(37쪽)
1860년대 초 러시아 공관에서 한국인 최초로 사진을 찍은 이항억이 카메라의 ‘렌즈’에 거꾸로 비친 일행의 모습을 보고 ‘이 무슨 술수인고’라고 감탄한 장면(76쪽)이라든가 연경의 명물 법장사를 방문한 조선 사신들이 백탑 벽에 저마다 이름을 남겨 나중에는 이름 적기 위한 붓을 대기 힘들 정도였다는 이야기(53쪽) 등도 흥미롭긴 마찬가지다.

뇌물도 불사, 조선 외교의 민낯을 드러내다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책의 1부 ‘유람하다’에 앞서 배치되어 있지만 사신의 임무는 어디까지나 ‘외교’였던 만큼 3부 ‘교섭하다’에는 사신들의 활약과 고충에 관한 이야기가 다양하게 나온다. 1863년 사행에 참여했던 역관 이상적은 추사 김정희의 제자로 스승의 〈세한도〉를 가져가 중국 문인들의 제발문을 받아온 인물이다. 그는 그런 인연을 활용해 태조 이성계 관련 기록이 잘못된 것을 바로잡는 ‘종계변무宗系辨誣’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역할을 했지만 신분이 낮아 무시되었다.(126쪽) 그런가 하면 1696년(숙종 22) 숙종이 폐위된 희빈 장 씨에게서 태어난 이윤李?(훗날 경종)을 세자로 삼으며 청나라의 책봉을 받으려 보낸 사신들은 법에 어긋난다는 강희제의 반대에 부딪치자 재차 사신을 보냈다. 이들은 제독 등에 뇌물을 쓰려했지만 통하지 않자 숙소 앞에 돗자리를 깔고 앉아 곡을 하며 처지를 알리기 시작한 것이다.(162쪽) 만주족을 오랑캐라 경멸하고, 체면을 중시하는 조선 사대부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지만 귀국 후 자신들의 겪을 곤욕도 걱정됐지만 ‘책봉’은 그만큼 국운이 걸린 외교 이슈였다.

문 닫는 북경공관, 흔들리는 조선이 한눈에
밀려드는 외세에 조청 관계가 흔들리면서 연행에도 격랑이 일었다. 1882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맺고 서로 상무위원을 파견하기로 했지만 청의 ‘속국’이었던 조선의 상무위원은 대등한 대접을 받을 수 없었다. 결국 다른 열강들과는 달리 연경이 아닌 천진에 공관을 두어 전통적 관계를 유지하는 편법을 쓸 수밖에 없었다.(210쪽) 그런가하면 서태후의 육순 생신을 축하하기 위한 사신단은 청일전쟁에 휩쓸려 근 1년 만에 귀국할 수 있었고,(225쪽) 1905년 외교권을 일제에 빼앗긴 을사늑약이 체결된 후 대한제국의 해외공관이 모두 철수하면서 북경 공관이 일본 정부로 넘어간 과정(240쪽) 등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이야기가 곳곳에 실려 전근대와 근대의 조선 스러져가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지은이는 “연행록은 북학파만의 이야기가 아니다”라고 지적한다. 이 책을 보면 그의 주장에 공감이 간다. 수많은 연행록에서 골라낸 이야기들은 흥미롭기도 하지만 교과서에 만나지 못하는 이야기릍 통해 적지 않은 생각거리를 준다. 그러기에 이 책은 지은이의 희망대로 여타 연행록을 읽도록 하는 마중물 구실을 톡톡히 할 수 있는 책이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56121800
발행(출시)일자 2020년 12월 22일
쪽수 272쪽
크기
153 * 224 * 21 mm / 500 g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5)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10점 중 9.5점
10점 중 10점
80%
10점 중 7.5점
20%
10점 중 5점
0%
10점 중 2.5점
0%

33%의 구매자가
집중돼요 라고 응답했어요

33%

집중돼요

33%

도움돼요

33%

쉬웠어요

0%

최고예요

0%

추천해요

10점 중 10점
/도움돼요
TV속 교수님 강연을 보다 그냥 무조건 구매했다
10점 중 7.5점
좀 지루하다. 읽을만은 하다
10점 중 10점
/쉬웠어요
연행록의 고갱이 좋아요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술술익히는 역사책

문장수집 (1)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조선에는 원래 공중목욕탐이 없었다
사신을 따라 청나라에 가다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