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무명자집 5

양장본 Hardcover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윤기 저자(글) · 김채식 번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14년 09월 3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무명자집 5 대표 이미지
    무명자집 5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무명자집 5 사이즈 비교 152x225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25,000
적립/혜택
750P

기본적립

3% 적립 7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7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품절되었습니다.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무명자집] 제5권. 본 번역서의 저본은 필사년 미상의 원고로, 후손 윤병희(尹炳曦) 가(家) 소장본이다. 1977년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영인한 바 있고, 한국고전번역원에서 한국문집총간 256집으로 간행하였다. 본 연구소에서는 번역을 위해 별도로 저본을 다시 선명하게 디지털 사진으로 찍어 기존의 오류를 일일이 바로잡고 원문을 꼼꼼히 교감하였으며, 그 결과를 번역문과 주석에 담는 등 관련 학계의 이용자들에게 신뢰도 높은 번역과 연구 정보를 제공하려고 노력하였다.

작가정보

저자(글) 윤기

저자 윤기는 1741(영조17)~1826(순조26). 18세기에 활동한 문인.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경부(敬夫), 호는 무명자(無名子)이다. 유년기에 문재가 뛰어나 집안의 촉망을 받았다. 20세에 성호 이익의 제자가 되어 경서와 시문을 질정받았다. 33세에 증광 생원시에 합격하여 근 20년을 성균관 유생으로 지내었고, 이때 성균관의 모습을 그린 <반중잡영(泮中雜詠)> 220수를 지었다. 52세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남포 현감(藍浦縣監)과 황산 찰방(黃山察訪), 헌납 등을 거쳐 81세에 정3품의 호조 참의에 올랐다. 섬세한 감수성으로 자신의 내면을 묘사하고 자연을 읊었으며 권력자의 횡포와 양반 사회의 부조리를 날카롭게 비판하였다. 또 400수의 <영사(詠史)>와 600수의 <영동사(詠東史)>를 통해 역사의식을 시로 형상화하였다. 저서로 《무명자집》이 있다.

번역 김채식

역자 김채식(金菜植)은 1966년 충북 진천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을 수학했다.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거점번역연구소에 재직 중이다. 박사학위논문으로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연구>가 있고, 공역서로 《옛 문인들의 초서 간찰》, 《조선시대 간찰첩 모음》, 《완역 이옥전집》 등이 있다.

목차

  • 일러두기

    무명자집 시고 제5책
    영사詠史 1
    영사 2 其二
    영사 3 其三
    영사 4 其四
    영사 5 其五
    영사 6 其六
    영사 7 其七
    영사 8 其八
    영사 9 其九
    영사 10 其十
    영사 11 其十一
    영사 12 其十二
    영사 13 其十三
    영사 14 其十四
    영사 15 其十五
    영사 16 其十六
    영사 17 其十七
    영사 18 其十八
    영사 19 其十九
    영사 20 其二十
    영사 21 其二十一
    영사 22 其二十二
    영사 23 其二十三
    영사 24 其二十四
    영사 25 其二十五
    영사 26 其二十六
    영사 27 其二十七
    영사 28 其二十八
    영사 29 其二十九
    영사 30 其三十
    ·
    ·
    [중략]
    ·
    ·
    영사 275 其二百七十五
    영사 276 其二百七十六
    영사 277 其二百七十七
    영사 278 其二百七十八
    영사 279 其二百七十九
    영사 280 其二百八十
    영사 281 其二百八十一
    영사 282 其二百八十二
    영사 283 其二百八十三
    영사 284 其二百八十四
    영사 285 其二百八十五
    영사 286 其二百八十六
    영사 287 其二百八十七
    영사 288 其二百八十八
    영사 289 其二百八十九
    영사 290 其二百九十
    영사 291 其二百九十一
    영사 292 其二百九十二
    영사 293 其二百九十三
    영사 294 其二百九十四
    영사 295 其二百九十五
    영사 296 其二百九十六
    영사 297 其二百九十七
    영사 298 其二百九十八
    영사 299 其二百九十九
    영사 300 其三百

출판사 서평

심도 있는 고증에 바탕한 연구 주석을 통해 번역의 정확성을 제고함으로써
자료적 가치를 높인 번역집

무명자집 출간의 의의는?


윤기(1741~1826)는 18세기에 활동한 문인이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경부(敬夫), 호는 무명자(無名子)이다. 근기남인 출신으로 20세에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의 제자가 되어 경학과 문장을 배웠다. 33세에 증광 생원시에 합격하여 근 20년을 성균관 유생으로 지냈다. 이때 220수에 걸쳐 성균관의 모습을 읊은 <반중잡영>을 지었다. <반중잡영>은 《태학성전(太學成典)》을 참고하고 자신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성균관 유생의 생활상을 주제별로 정리하여 시로 엮은 것이다. 성균관의 건물 배치와 각 건물의 기능, 유생들의 생활 모습을 시로 형상화하여 성균관의 옛 모습과 운영의 실상을 연구하는 데 귀한 자료가 된다. 2종의 번역서가 이미 나와 있으나, 이번 번역서에서는 심도 있는 고증에 바탕한 연구 주석을 통해 번역의 정확성을 제고함으로써 자료적 가치를 한층 높였다.
또 중국 고대의 역사를 400수의 「영사(詠史)」로 읊고, 단군 조선부터 고려 말까지 우리나라의 역사를 600수의 「영동사(詠東史)」로 읊어 특유의 역사의식을 시로 형상화하였다. 이처럼 많은 연작 영사시는 유례가 드물다. 뿐만 아니라 역사서와 여러 문헌들을 고증하여 읊었으므로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역사 인식 및 각 지역의 유적을 고찰할 수 있다는 면에서 자료적 가치 역시 높다고 하겠다.
윤기의 시는 개성적인 시각과 참신한 표현이 돋보이며, 짧고 쉬운 문장 속에 깊은 철학적 사유를 불러일으키는 작품도 적지 않다. 날카로운 필력으로 현실의 여러 모순을 예리하게 찌르는가 하면 해학과 관조로 익살스런 웃음과 달관의 자세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남다른 감수성과 직관력을 보여주는 윤기의 시세계는 많은 독자들을 매료시킬 것이다.
윤기는 문란해진 제도 속에 한미한 출신으로 여러 차례 과거에 낙방했고, 52세의 늙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한 뒤에도 미관말직을 전전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과거제도에 깊은 관심을 가져 「과설(科說)」, 「논과거(論科擧)」, 「과폐(科弊)」, 「과유잡요(科儒雜?)」 등 다수의 시문에서 문란상과 부조리를 신랄하게 고발하였다. 또한 몰락한 양반으로서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 유난히 선비다운 조행을 강조하였으며, 「가훈」과 「집안의 금계」 등 다수의 글을 남겨 자손들을 엄히 훈계하였는데, 여기에는 당시 양반들의 비행과 타락상이 천태만상으로 그려져 있다. 이러한 글들은 당시 양반 사회의 이면을 보여주는 생생한 현장 리포트이자 향후 19세기 관료 사회의 모순을 미리 내다보는 창이라 하겠다.
작자는 57세에 남포 현감(藍浦縣監)에 임명되었다가 3개월 만에 구속 수감되고, 60세에 황산도 찰방(黃山道察訪)에 임명되었다가 1년 3개월 만에 파직되었다. 그 기간 동안 지방관으로서 인근 고을 수령, 관찰사와 주고받은 공문서 및 관할지에 내린 효유문 등이 그대로 실려 있어, 당시 한미한 출신의 지방관이 겪었던 고충과 지방 행정의 사례에 대한 생생한 보고서로서도 가치가 높다.
정조의 「중용강의조문」에 답하는 글을 남겼는데, 여기에서 「중용」에 대한 윤기의 해박한 지식과 깊이 있는 이해를 엿볼 수 있다. 정조의 문체책과 관련하여 「문체와 세도」 등의 글을 남겼으며, 천주교와 관련하여 「속학의 폐단」 등의 글을 통해 자신의 견해를 밝혔다. 위 작품들에서 윤기의 경학과 문학관 및 현실 인식을 살펴볼 수 있다. 또 「정상한화(峽裏閒話 )」와 「협리한화(峽裏閒話)」에는 세상을 살아가며 얻은 저자의 지혜가 재기발랄한 경구와 산뜻한 문장으로 표현되어 있어 현대의 대중 독자들도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 번역서의 저본은 필사년 미상의 원고로, 후손 윤병희(尹炳曦) 가(家) 소장본이다. 1977년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영인한 바 있고, 한국고전번역원에서 한국문집총간 256집으로 간행하였다. 본 연구소에서는 번역을 위해 별도로 저본을 다시 선명하게 디지털 사진으로 찍어 기존의 오류를 일일이 바로잡고 원문을 꼼꼼히 교감하였으며, 그 결과를 번역문과 주석에 담는 등 관련 학계의 이용자들에게 신뢰도 높은 번역과 연구 정보를 제공하려고 노력하였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55500743
발행(출시)일자 2014년 09월 30일
쪽수 332쪽
크기
152 * 225 * 20 mm / 620 g
총권수 1권
시리즈명
한국고전번역원 한국문집번역총서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침묵의 퍼레이드
이벤트
  • 4월 단말기 북꽃축제 패키지
  • 25년 4월 북드림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