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다석 류영모

우리말과 우리글로 철학한 큰 사상가
박영호 저자(글)
두레 · 2009년 02월 15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다석 류영모 대표 이미지
    다석 류영모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다석 류영모 사이즈 비교 148x210
    단위 : mm
01 / 02
MD의 선택 소득공제
10% 10,800 12,000
적립/혜택
120P

기본적립

1% 적립 12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2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절판되었습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수상내역/미디어추천

일생동안 ‘참’을 찾고, ‘참’을 드러내고, ‘참’에 돌아간 성인(聖人)!
한국이 낳은 20세기 위대한 정신적 스승, 류영모
『다석 류영모 | 우리말과 우리글로 철학한 큰 사상가』. 스승의 정신적인 그림자를 밟는 데 일생을 보낸 박영호는 이 책에서 지행합일의 참 사람 다석 류영모의 생애와 사상을 입체적으로 또 평면적으로 간결하게 조명했다. 기인이자 진인이었던 다석 류영모에 대해 다룬 책이다.

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는 다석의 육체적 생애를, 2부는 정신적 사상을 다루고 있다. 특히 2부는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뉘어, 다석이 어떻게 구도의 길을 걷게 되었고, 그러한 구도 속에서 무엇을 깨달았고, 깨달음을 얻고 난 뒤에 다석에게 일어난 변화가 무엇인지를 깊이 있게 설명해준다. 2부 내용의 기틀은 지난해 저자의 집필실로 찾아온 한 기자가 던진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작가정보

저자(글) 박영호

박영호

1959년부터 1981년까지 20여 년 동안 다석 선생을 스승으로 모시고 가르침을 받은 제자이다. 현재 성천(星泉)문화재단의 다석사상 연구위원으로 있으며, 성천아카데미에서 다석사상과 함께 노장사상을 강의하고 있다. 「문화일보」에 다석사상에 관한 글을 325회에 걸쳐 연재했으며, 그것을 보완하여 〈다석사상전집〉(총6권)을 출간했다. 그 밖에 그가 쓰고 엮은 책으로 『다석 류영모 명상록』, 『다석 류영모 어록』, 『중용(中庸) 에세이』, 『다석 추모문집』, 『노자(老子)』, 『장자(壯子)』, 『얼의 노래』, 『잃어버린 예수』 등이 있다.

목차

  • 추천사
    세계가 인정한 차원 높은 독창적인 사상가
    -정양모(전 성공회대 교수, 다석학회 회장)

    일생을 두고 본받을 만한 스승, 다석 류영모
    -림낙경(시골 교회 목사, 한국정농회 회장)

    1부 영성의 향기 그윽한 생애

    두 번 낳은 어머니의 크신 은혜
    초창기 교육제도와 배움
    독립정신의 요람, 오산학교의 부름
    타율적 신앙에서 자율신앙으로
    일본 유학 포기와 입지
    기인인 오산학교 교장
    제자 함석헌과의 첫 만남
    문장으로 허락 받은 결혼
    첫날밤 독수공방한 신부
    3.1운동 때 대신 치른 옥고
    영성의 연경반 강의
    「성서조선」을 발행한 김교신과의 만남
    솜공장에 불이 나도 태연
    북한산록에 출애굽으로 숙원을 이룸
    자연 속에 은둔하는 기쁨
    은평면 자치위원장으로 추대 받음
    쉰두 살에 이룬 큰 깨달음
    잣나무 널판 위의 삶
    다석에서 영석으로
    우리말은 하늘나라 말
    위기의 동란에도 의연한 몸가짐
    미리 받은 죽을 날
    무의식까지 뿌리박힌 신앙
    여든일곱 살에 출가 시도
    시름의 옷을 벗다
    영성의 향기 그윽한 생애
    몸성히 살기
    수數를 아름답게 보다

    2부 죽음을 밟고 선 영원한 생명

    1. 한알과 씨알 섬김
    스승 류영모와 제자 함석헌
    역사에 나타난 씨알정신의 성육신
    톨스토이, 간디, 류영모의 일치된 씨알정신
    류영모의 씨알정신 형성과정
    속죄신앙에서 영성신앙으로
    영성신앙은 새 인류의 나타남
    짐승 성질이 원조
    짐승 성질에서 벗어난 자유

    2. 더 위없는 큰 깨닮음

    삶과 깨달음
    류영모의 큰 깨달음
    얼나로 솟난 뒤 달라진 삶

    다석 여보

출판사 서평

2008 세계철학대회에서 전 세계가 주목한 우리의 큰 사상가이자, 우리나라가 낳은 20세기의 위대한 정신적 스승, 다석(多夕) 류영모.
일생 동안 ‘참’을 찾고, ‘참’을 드러내고, ‘참’에 돌아간 성인(聖人)의 삶과 사상

다석 류영모와 다석사상의 입문서이자 결정판

『다석 류영모』는 ‘독야청청’ 다석사상을 전도하는 다석의 제자인 박영호가 스승인 류영모의 삶과 사상을 ‘쉽게’ 풀어 쓴 책이다. 이 책을 통해 학자나 열린 종교인, 전문가 등 일부 사람들에게만 한정되어 알려져 있는 다석 선생과 다석사상을 일반 사람들도 읽을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게 이 책의 기획 의도이다. 후학들을 위한 ‘다석 낱말사전’(3년 정도 예정)과 병행하면서 이 책의 원고를 쓰고 다듬기를 거듭해 1년여 만에 책이 나오게 되었다. 저자는 이 책에 쏟은 애정과 노력을 회상하며 “다석 류영모와 다석사상에 관한 입문서이자 결정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이해하기 힘들다는 다석사상을 ‘쉽게’ 이야기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렇기에 이 책이 더욱 뜻깊다 하겠다. 다석사상이 세상을 바라보고 또 세상을 살아가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몸이 불편한 가운데에서도 펜을 놓지 않은 노학자의 뜻이 많은 이들에게 전달되기를 바란다.
다석은 어떻게 구도의 길을 걷게 되었고, 무엇을 깨달았고, 어떻게 달라졌는가?
이 책은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는 다석의 육체적 생애를, 2부는 정신적 사상을 다루고 있다. 특히 2부는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뉘어, 다석이 어떻게 구도의 길을 걷게 되었고, 그러한 구도 속에서 무엇을 깨달았고, 깨달음을 얻고 난 뒤에 다석에게 일어난 변화가 무엇인지를 깊이 있게 설명해준다. 2부 내용의 기틀은 지난해 저자의 집필실로 찾아온 한 기자가 던진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그 기자는 다석 선생님이 깨달음을 얻기 전과 얻은 뒤의 차이점이 무엇이냐고 물었는데, 저자는 이에 대해 나름대로 답변을 하긴 했지만 스스로 무언가 미흡한 부분이 많은 것을 느꼈다고 한다. 결국 이 질문은 저자에게 일종의 ‘화두’가 되었고, 이후 이 화두에 대해 더 진지하고 구체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한 깊이 있는 사고는 다석사상을 일목요연하게 설명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고, 2부 ‘죽음을 밟고 선 영원한 생명’으로 정리되어 태어난 것이다.

기인이자 진인(眞人), 다석 류영모
다석이 어떤 분이었냐는 질문에 다석의 제자인 김흥호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진인(眞人), 진인이었지요!” 일생동안 참을 추구한 다석에게 가장 어울리는 말이 아닌가 싶다. 지행합일이 무엇인지 몸소 보여 주었던 류영모(1890~1981)는 온 생애에 걸쳐 진리를 추구하여 구경(究竟)의 깨달음에 이른 우리나라의 큰 사상가이다. 젊어서 기독교에 입신했지만 불교와 노장(老莊), 그리고 공맹(孔孟) 사상 등을 망라한 동서고금의 종교·철학 사상을 두루 탐구하여 이 모든 종교와 사상을 하나로 꿰뚫는 진리를 깨달아 사람이 다다를 수 있는 정신적인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다. 다석은 우리나라 3천재, 5천재의 하나라는 말을 들었고, 평생을 오로지 수도와 교육에 헌신하면서 일생 동안 ‘참’을 찾고 ‘참’을 잡고 ‘참’을 드러내고 ‘참’에 돌아간 ‘성인’이다.
이승훈, 정인보, 최남선, 이광수, 문일평 등과 교유했고, 김교신, 함석헌, 이현필, 류달영, 김흥호, 서영훈 같은 이들이 다석을 따르며 가르침을 받았다. 특히 오산학교 제자였던 함석헌은 “일생 동안 정신적으로 단층(斷層)을 이루며 비약한 때가 두 번 있었는데 첫 번째가 류영모 선생을 만났을 때”라고 했다. 그리고 다석을 그리며 “내가 선생님을 만나지 못했으면 오늘의 내가 되지 못했을 것”이라고 회고하고, “한 번도 선생님에게 질문을 해본 적이 없습니다.… 지금 와서 생각하노라면 그때에 모든 문제를 좀 물어보지 못한 것일 한(恨기)합니다”라며 한탄하기도 했다.
다석은 평생동안 자신을 드러내려 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시 서울YMCA 총무였던 현동완이 다석을 YMCA 연경반 강의(1928~63)에 초빙하지 않았다면 “류영모가 깨달은 진리가 시공 속에 묻혀 버려 아는 이가 아주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동안 묻혀 있었던 보화와 같은 이러한 다석의 사상은 최근 들어 다시 빛을 발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깨우침을 주면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다석은 마하트마 간디처럼 드높은 경지에 이른 위대한 정신적인 스승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열린 세계철학대회(2008년)에서 제자인 함석헌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사상가로 소개될 만큼 이제 다석의 사상은 세계가 주목하는 사상으로 인정받고 있다.

군자표변(君子豹變)과 택선고집(擇善固執)
다석의 삶을 응집해서 보여주는 말이 군자표변과 택선고집이다. 군자표변이란 ‘모름지기 군자란 자신이 가고 있는 길이 아님을 알았을 때에는 표범이 달리던 길을 꺾듯이 그동안 자기가 가지고 있던 신념, 소신, 철학, 사상 따위를 과감하게 버릴 줄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류영모는 종교에서 이처럼 군자표변했다. 정통 기독신앙에서 비정통 기독신앙으로 종교관을 바꾼 것이다. 다시 말하면 타율적인 교리신앙에서 자율적인 자각신앙을 갖게 된 것이다.” 하지만 다석은 “스님들보다 불경에 달통하고, 도교인보다 노자, 장자에 도통했지만, 개종하지 않았다. 동서양을 모두 회통한 뒤에도 다석은 예수를 자신이 본받을 궁극의 선생이자 가장 큰 스승으로 모셨다”(김흥호)고 한다.
택선고집이란 ‘옳다고 믿는 생각을 고집하는 것’이다. 평범했던 오산학교에 기도교의 씨앗을 심어 오산학교가 명실상부한 기독사학으로 거듭나는 기틀을 마련한 사람이 바로 다석이다. 남강 이승훈이 기독교인이 된 것도 다석에게서 받은 영향 때문이었다. 오산학교 교사 시절 다석은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기도하자고 했는데, 기도를 강요하지는 않았다. 그냥 조용히 혼자 기도했다. 결국 일주일 뒤 학생들은 다석의 말에 고개를 숙이고 기도했다고 한다. 결혼에 얽힌 일화에서도 다석의 ‘고집’스런 면이 잘 드러난다. 자신의 왜소한 모습과 농사짓는 것이 목표라는 말에 결혼을 반대했던 신부 김효정의 부모를 다석은 글로써 설득해 결혼식을 올리게 되었다. 그런데 당시 풍속대로 하자면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서 혼례를 치러야 하는데 다석은 신랑 집에서 혼례를 치르는 친영을 고집해 이를 성사시켰다. 물론 목포에 살던 신부의 부모들은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때 다석은 장인 장모에게 인사를 드리지 않고서는 신방에 들 수 없다며 결혼식 직후 장인 장모를 만나러 목포로 갔고, 이 사실을 모르는 신부는 밤새 오지 않는 신랑을 기다렸다고 한다. 신랑은 일주일 만에 집으로 돌아왔다고 한다. 이 웃지 못할 에피소드는 다석의 택선고집이 어느 정도였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금욕적인 삶을 살다
다석은 “나(自我)가 죽어야 얼(靈我)이 산다”는 것을 깨닫고, 나(自我)를 없이하는 길은 삼독(三毒)의 탐?진?치(貪瞋痴)를 버리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다석은 탐욕(貪慾)의 뿌리인 식욕을 버리기 위하여 하루에 한 끼니만 먹었으며, 진에(瞋?)의 뿌리인 미움(憎惡)을 버렸으며 치정(痴情)의 뿌리인 색욕을 버리기 위해 해혼(解婚)하여 부부가 남매처럼 지냈다. 다석은 또한 잣나무로 만든 널판(상가에서 쓰는 널감)에서 생활했는데, 그것은 매일 죽음을 잊지 않으며 매일 죽음을 이기기 위해서였다. 앉을 때는 언제나 무릎을 꿇고 앉았으며 죽는 날까지 그 자세에 흐트러짐이 없었다. 인도의 요가와 동양의 섭생, 양생법을 참조하여 자신이 독특히 개발한 체조로 건강관리를 게을리 하지 않아 91세까지 장수할 수가 있었다. 또 사람은 될 수 있으면 걸어다녀야 한다면서 항상 걸어서 다녔다.
일본 유학 시절에는 대학공부는 부질없는 짓이라며 공부를 그만두고 귀국하는데, “다석의 관존민비를 뒤집은 민존관비의 씨알사상”은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 것이다. 이후 다석은 “어떠한 노동도 부끄러워하지 않고 나와 다른 이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노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는 실제로 자연 속에서 은둔하며 자신의 생각과 삶을 일치시키며 살았다.

다석의 열린 종교사상과 한글사랑
다석은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종교를 바라보았다. 사상적 기반은 기독교였지만 불경, 노자, 장자, 톨스토이, 간디 등 동서양을 넘나드는 사상을 폭넓게 수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종교철학으로 발전시켰던 것이다. 다석은 예수, 석가, 노자가 본 진리(절대존재)는 하나라고 했다. 다석이 깨달은 것은, 탐진치(貪瞋痴)로 사는 ‘나(自我)’는 ‘ego’의 나, 수성(獸性)의 나이기 때문에 ‘거짓된 나’이며 이러한 수성을 영적으로 벗어나 영(靈)적인 ‘나’로 전환해야만 ‘참다운 나’에 이르러 절대존재와 이어진다는 것이었는데, 다석은 기독교도 불교도 노장사상도 이러한 진리에서는 하나이며 같다고 보았다. 이러한 다석의 사상은 서구신학에서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기 70여 년 전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다석은 한글에 하늘의 뜻이 있다 하여 한글을 매우 사랑했다. 다석의 유일한 저서라 할 『다석일지』에는 한시 1,300여 수, 시조 1,700여 수가 있는데, 우리말 시조 1,700여 수는 류영모만의 특색 있는 글이다. 또 “주시경 선생은 공이 많지만 이것(아래 아를 버린 것)은 잘못한 것이다. 아래 아자(·)는 꼭 다시 나와야 한다”고 지적하며 한글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리고 많은 한자들을 우리말로 고쳐 쓰기도 했다(93~97쪽 참고).
동양경전에 대한 남다른 식견으로 ??장자??, ??노자??, ??중용?? 등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논어??, ??맹자??,『대학』,『서경』,『역경』등을 발췌하여 우리말로 번역하기도 했다.

다석(多夕)에서 영석(永夕)으로!
류영모의 호는 익히 알고 있듯 다석(多夕)이다. ‘다석’이라는 글자에는 저녁 ‘석(夕)’자가 3개나 모여 있다. 류영모는 다석이라는 말을 ‘하도 지낸 저녁’이라 옮겨서 쓰기도 했다. 그렇다면 다석이란 무슨 의미일까?
오산학교 교장으로 있다가 물러나면서 마지막 떠나는 날 고읍역까지 마중나온 함석헌에게 류영모는 “우리가 빛, 빛 하지만 빛보다 어둠이 더 큰 것 아니냐. 삶, 삶 하지만 삶보다 죽음이 더 먼저 아니냐. 깬다, 깬다 하지만 깸보다는 잠이 먼저 아니냐”라고 했다. 이것이 곧 “기도할 때 눈을 감는 것은 이 세상을 초월하여 하느님께 이르고자 함이다. 그런데 어두운 밤에는 눈을 감지 않아도 눈감은 효과를 준다. 그러므로 밤에는 잠만 자지 말고 이 세상을 잊어버리고 하느님 아버지께로 나아가자”라는 다석의 깊은 뜻으로 이어진다. 결국 다석에게 영원한 저녁(永夕)은 곧 하느님 나라이다. 류영모는 永夕을 꿈꾸면서 多夕을 지냈던 것이다.
또한 하루에 세 끼 먹을 것을 한데 몰아 저녁에만 먹기 때문에 그렇기도 하다고 했다. 류영모의 일식(一食)주의에 영향을 받은 이들로는 함석헌(咸錫憲), 김흥호(金興浩), 서완근(徐完根), 박동호(朴東鎬) 등이 있는데, 이들은 평생 일일일식(一日一食)을 실천했다.

* * * * *

“내가 선생님을 만나지 못했으면 오늘의 내가 되지 못했을 것이다.…… 선생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나는 이때까지 인생을 헛살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함석헌
“우리나라에서 세계 사상계에 내세울 인물로 첫 손가락에 누구를 꼽아야 할까? 나는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말할 수 있다. 이 나라가 낳은 다석 류영모야말로 이 나라가 세계에 내놓을 수 있는 차원 높은 독창적인 사상가이다.”-정양모(전 성공회대 교수, 다석학회 회장)
“다석 류영모는 2008년 세계철학자대회에서 이 나라가 낳은 독창적인 사상가로 소개될 만큼 세계적인 문화인이다. 일생을 두고 우리가 본받을 스승의 상(像)은 다석 류영모 선생이다.”-림낙경(시골 교회 목사, 한국정농회 회장)
“내가 만나 본 이 가운데 가장 경외하는 사람 류영모…… 하느님을 믿되 이처럼 ‘믿어 사는’ 사람을 우리는 보지 못하였다.”-김교신
“사람들은 다석을 진인(眞人)이라 또는 성자(聖者)라고 추앙한다. 그의 인격이 참되고 거룩하였기 때문이다. 다석사상은 우리 민족의 값진 정신적인 유산이요 인류의 유산이다.”-류달영
“학파는 강단에만 있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강호를 유람하여 보니 강단 밖에는 강호학파가 잠류하고 있었다.… 내가 꼽는 4대 강호학파는 이렇다. 먼저 다석학파(多夕學派)이다.… 이 학파의 내공은 기독교와 동양사상, 즉 기독교와 유·불·선의 회통에 있다. 이는 20세기 동아시아의 사상사적 과제였다. 이 과제와 가장 치열하게 씨름한 나라는 한국이다. 한국에서 다석이 나타나 기독교와 유·불·선을 화쟁시켰다.”-조용헌 살롱, ‘강호 4대학파’ 중에서
“다석의 핵심 사상이 ‘없음’에 기초해 ‘있음’에 주목한 서구와 차이를 보인다. 인간 죄성(罪性)이 ‘있음’의 관점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인식하면 다석사상은 충분히 그 대안이 될 수 있다.”-‘생태위기와 종교적 대안’ 세미나에서 이정배 감리교 신학대 교수
“기독교계에서 다석 류영모 선생은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진 분은 아니다. 하지만 다석의 기독교, 다석의 영성에는 매우 주목할 부분이 있다. 나는 그게 한국의 기독교 영성의 광맥이라고 본다.”-김흡영(목사이자 신학자, 아시아신학자협의회 공동의장, 강남대 신학부 교수)
“기독교가 나아가아야 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인물로 다석 류영모 선생을 떠올려 본다. 그는 기독교인이었지만 전통적 교리에 갇히지 않고 불교, 도교, 유교 등을 자유로이 오간 진정한 종교인이었다. 그에게 여러 종교의 다양한 교의는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모든 인류가 함께 누릴 수 있는 정신적 자산이었다.”-김희정(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수)
“다석 류영모는 다원주의라는 세계철학적 문제를 풀어갈 실마리를 한국인의 영적인 심성, 자연친화적 생활방식, 통합적 사유얼개, 우리말이 상생적 문법 속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이기상(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그(류영모)가 3·1운동 기독교 대표 남강과 오산학교를 깨우지 않았다면, 불과 인구 1% 정도의 비율에 불과하던 ‘외래 종교’ 기독(개신)교가 3·1운동을 주도함으로써 단시일에 ‘한국인의 종교’가 되기는 어려웠다.… 다석은 한국인과 ‘한국 기독교’를 깨운 최대의 숨은 공로자였다. 그는 지도자가 아니라 ‘지도자의 스승’이었다.”-김흥호(전 이화여대 기독교학과 교수)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74430856
발행(출시)일자 2009년 02월 15일
쪽수 263쪽
크기
148 * 210 mm
총권수 1권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신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