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목차
- 새로 펴내며
책을 내면서
제1부 명성황후의 죽음과 대한제국의 성립
1. 들어가면서
을미지변과 2년 2개월간의 장례
2. 명성황후의 가계와 행적
명성황후의 가계(家系)
왕비의 길
황후의 자주적 개화정책과 외교정책
3. 을미지변의 경과
을미지변의 배경
을미지변의 준비과정
을미지변의 진행과정
황후를 서인으로 폐위
4. 춘생문 사건과 국상의 준비
춘생문 사건과 국상(國喪) 발표
아관파천, 김홍집 내각 숙청, 국장의 1차 연기
구본신참(舊本新參)의 민국(民國)을 위하여
빈전·혼전의 경운궁 이봉(移封) ‘춘추복수론’의 대두
빈전 이봉 경운궁시 반차도
산릉 재선정, 황후의 삼호(三號) 개정
경운궁 환어, 교전소(校典所) 설치
5. 계속되는 국장의 연기
산릉 재봉표와 국장의 2차 연기
칭제 요구 상소와 국장의 3차 연기
사례소(史禮所) 설치와 국장의 4차 연기
연호를 광무로, 국장의 5차 연기, 환구단 결정
6. 대한제국의 성립과 국장의 종료
칭제 요청 상소 비등
대한제국의 선포와 대사령(大赦令)
국장의 종료
홍릉 석물(石物)을 다시 설치
국장의 업무 분담과 의궤(儀軌) 편찬
명성황후 발인반차도
제2부 명성황후 국장 관련 의궤
1.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
1. 권1 「도청의궤(都廳儀軌)」의 내용
2. 권2 「1방의궤」의 내용
3. 권3 「2방의궤」의 내용
4. 권4 「3방의궤」의 내용
5. 권5 「우주소의궤(虞主所儀軌)」 등
2. 명성황후 빈전혼전도감의궤(明成皇后殯殿魂殿都監儀軌)
「제1책」 제1권
「제2책」 제2권
「제3책」
3. 명성황후 홍릉산릉도감의궤(明成皇后洪陵山陵都監儀軌)
상권(上卷)
하권(下卷)
4. 명성황후 홍릉석의중수도감의궤(明成皇后洪陵石儀重修都監儀軌)
1. 시일(時日)
2. 좌목(座目)
3. 조칙(詔勅), 연설(筵說)·주본(奏本)·장계(狀啓)
4. 석의도설(石儀圖說)
5. 재용(財用), 상전(賞典), 공장(工匠), 기타
6. 의궤 편찬
맺음말
출판사 서평
110주년 앞두고 다시 조명받는 대한제국과 명성황후의 죽음
‘을미사변-아관파천-대한제국 성립.’ 학교 국사 시간에 외워서 모르는 이 없는 역사의 한 페이지에는 중요한 사실이 빠져 있다. 바로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성립의 발단이 된 명성황후의 죽음과 그 파장이다.
충격적인 을미지변乙未之變을 당한 고종은 근대적 ‘민국民國’을 세우기 위해 백성들과 함께 여러 방면에서 노력했고, 미뤄온 황후의 국장도 자신의 주도로 준비했다. 이 일련의 흐름이 대한제국의 성립과 궤를 함께 한다. 결국 황후의 죽음이 대한제국을 일으킨 셈이다. 1919년 1월 고종의 붕어崩御가 3·1운동의 방아쇠를 당긴 것처럼.
대한제국(1897~1910)은 14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그러나 개화도 척사도 아닌,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지향했기에 국내 세력과 일본으로부터 동시에 견제받았던 고종. 그가 정치적 동반자 황후의 처참한 죽음을 딛고 ‘자주독립’의 결의를 보여준 대한제국의 성립 의의마저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은 씁쓸하다.
고종은 정치적으로는 민본사상에서 진일보한 민국民國, 경제적으로는 산업화를 추진했고, 을사조약을 반대해 퇴위를 강요당했지만, 망국 이후에도 국권회복의 꿈을 버리지 않았다. 구본신참舊本新參. 옛 제도를 바탕으로 새 것을 더함과 동도서기東道西器, 전통 사상을 지키되 서구 기술은 받아들임를 구현했던 대한제국은 이후 일제에 의해 철저히 부정되고 지워졌다.
왕조에서 제국으로 국체가 바뀌는 근현대사의 가장 중요한 맥락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복합적인 역사 인식이 필요하며, 명성황후의 죽음에 대한 재인식이 그 출발이다.
2년 2개월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궁중 생활이 생생하게 펼쳐진다
1895년 10월 8일 경복궁에 난입한 일본 자객이 무참히 학살해 시신마저 불태운 명성황후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으려 고종은 다섯 차례나 장례를 늦추며 상복을 벗지 않았다. 온국민은 분노와 동시에 자각했고 이를 계기로 국가를 혁신하려는 의지가 뜨겁게 달아올라 대한제국 성립의 명분이 되었다.
아관파천 뒤, 고종은 김홍집 일파가 주도하던 왕비 재간택과 황후 폐위에 관한 조칙을 모두 무효로 돌리고 명성황후의 국장을 다시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는 1897년 10월 12일 고종의 황제 즉위와 그 시기를 같이 한다. 황후의 국장은 그해 11월 21일에 거행됐다.
무려 3,634쪽에 이르는 방대한 의궤儀軌와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명성황후의 국장 진행 과정을 상세히 소개한 이 책은 2년 2개월의 파란만장한 역사와 궁중 생활을 생생하게 담았다. 의궤를 통해 황후의 죽음과 대한제국 성립 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힌 데 그 가치가 있다.
대한제국의 의궤나 반차도班次圖를 들여다보면 제국으로서의 존엄이 느껴진다. 이 의궤는 당대의 눈으로 대한제국을 바라보게 한다. 당대의 눈으로 본 대한제국은 자주국가로서의 기강을 확립하려던 나라였다. 나라와 백성의 이런 의지에는 명성황후의 비극적 죽음이 발단이 됐다. 저자는 이런 인식에서 명성황후의 장례 절차를 하나하나 따져나간다. 행적을 다시 짚어보고 황후의 죽음이 갖는 의미와 영향을 객관적인 시각에서 재조명한다.
1부에서는 명성황후의 죽음에서 대한제국 성립까지의 과정 및 국장의 이모저모를 다룬다. 특히 황후의 빈전殯殿을 경운궁으로 옮겨가는 모습을 그린 반차도와 발인發靷 반차도에 나타난 인물의 복장, 들고 가는 각종 의장儀裝, 상여의 모습을 통해 국장의 규모와 위용을 짐작할 수 있다. 고종의 황제 즉위식을 위해 옥보玉寶를 환구단?丘壇으로 가져가는 행렬의 반차도도 실려 있다. 2부에서는 『명성황후 국장도감의궤明成皇后國葬都監儀軌』(국장 진행 과정), 『홍릉산릉도감의궤洪陵山陵都監儀軌』(산릉 조성 과정), 『빈전혼전도감의궤殯殿魂殿都監儀軌』(시신을 모신 빈전, 위패를 모신 혼전에 관한 보고서), 『홍릉석의중수도감의궤洪陵石儀重修都監儀軌』(홍릉의 석물石物 설치 보고서) 등 황후의 국장과 관련된 네 종류의 의궤를 소개한다.
대한제국에 대한 본격 논의의 시작
이 책은 명성황후의 죽음과 대한제국의 성립을 연관지은 최초의 연구로 2001년 출간되어 대한제국의 역사를 새로 써야 한다고 문제 제기한 바 있다. 그러나 대한제국에 대한 인식 부족 탓인지, 애써 외면하려는 학계 분위기 탓인지 논의를 불러 일으킬 만큼 전혀 진전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1판이 나오고 5년이 지나서야, 간헐적으로 대한제국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려 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독자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려 장정을 새롭게 하고 더욱 함축적인 제목을 지어 2판을 준비했다.
기본정보
ISBN | 9788958720355 |
---|---|
발행(출시)일자 | 2006년 11월 14일 |
쪽수 | 354쪽 |
크기 |
188 * 254
mm
|
총권수 | 1권 |
Klover 리뷰 (2)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