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비교교육학

접근과 방법 | 2 판
  • 비교교육학 대표 이미지
    비교교육학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비교교육학 사이즈 비교 186x257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20,000
적립/혜택
600P

기본적립

3% 적립 6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6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절판되었습니다.
본 번역서는 크게 1부 비교교육 연구의 방향, 2부 비교교육 연구의 다양한 준거 단위, 3부 비교교육 연구의 다양성 논의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 비교교육 연구의 방향에서는 비교교육의 주체와 목적(1장), 학문탐구와 비교교육학(2장), 비교교육에의 양적ㆍ질적 접근(3장)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부 비교교육 연구의 다양한 준거 단위는 장소(4장), 교육체제(5장), 시간(6장), 인종ㆍ계급ㆍ젠더(7장), 문화(8장), 가치(9장), 정책(10장), 교육과정(11장), 교육혁신(12장), 학습방식(13장), 그리고 교육성취(14장)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마지막 3부에서는 비교교육 연구에서의 다양한 모델과 방향 및 시사점을 통한 종장으로 마무리하고 있다.

특히 ‘비교교육학 연구를 위한 접근과 방법(2판)’은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국내 전공서가 미흡한 상황에서,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논의와 관련하여 비교교육학의 목적과 그 정당성, 비교연구방법론에 대한 탐구, 그리고 비교교육학의 연구 동향과 방향에 관한 논의는 한국비교교육학 연구의 새로운 여정의 길을 밝혀줄 것으로 믿는다.

작가정보

저자(글) Mark Bray

편저자 Mark Bray는 현재 비교교육센터장(Director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Centre)이요, 홍콩대에서 NESCO 비교교육 학과장을 맡고 있는데, 이 대학에서 1986년부터 강의를 시작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파리에 있는 UNESCO IIEP 장(長)으로 일하였다. 그는 또한 홍콩비교교육학회장을 역임하고 WCCES(World Council of Comparative Education Societies) 회장과 이사도 역임하였다. 케냐와 나이지리아 중학교 교직 경험도 있고, 이어 에딘버러, 파푸아 뉴기니, 런던에서는 대학에서의 강의를 이어갔다.

저자(글) Bob Adamson

편저자 Bob Adamson은 홍콩교육대학(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의 교수이다. 그는 홍콩대학교 비교교육연구센터의 소장을 역임했었다. 그는 또한 홍콩 비교교육학회의 전임회장이다. 그는 중국과 홍콩의 학교와 대학들, 호주의 퀸즐랜드 기술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그리고 영국의 리버풀 호프대학교(Liverpool Hope University)에서 가르쳤다. 그는 영어 교수, 응용 언어학, 교육과정 연구, 비교교육 등의 분야에서 가르치고 저술하는 일을 하고 있다.

저자(글) Mark Mason

편저자 Mark Mason은 제네바에 있는 UNESCO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의 선임프로그램 전문가이자, 홍콩교육대학(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 교수이다. 그는 국제교육발전 저널의 편집인을 역임하였고 홍콩 비교교육학회장을 역임하고, 전임 홍콩대 비교교육연구센터장이기도 하다. 철학, 교육사회학 영역에 배경을 둔 그는 국제비교교육과 발전이라는 영역에서 연구하고 있다. 현임 자리 이전에는 홍콩대에서 10년 강의했고, 이전에는 케이프타운대에서 대학 강의와 중등학교 교직을 수행했다.

저자(글) Gregory P. Fairbrother

저자 Gregory P. Fairbrother는 홍콩교육대학(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의 사회과학대학의 부교수이다. 홍콩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마쳤고, 중국 및 홍콩에서 15세 이상의 시민의식 교육(도덕적, 정치적, 사상적, 국가적 차원)에 대한 연구에 참여해 왔다. 그의 연구의 초점은 시민의식 교육에서 가부장주의(paternalism)를 통해 어떻게 중국의 발전과 정통성을 향상시킬 것인가에 있다. 그리고 국가가 교화(indoctrination)의 방법을 통해 가부장적으로 교육에 접근하는 것에 대해 홍콩의 시민들이 어떻게 저항해 왔는지 연구하였다.

저자(글) Liz Jackson

저자 Liz Jackson은 홍콩교육대학교(The 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 사회과학과의 부교수이다. 홍콩대학교(The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박사학위를 마쳤으며, 15년 넘게 중국과 홍콩 등지에서의 시민교육(도덕교육, 정치교육, 이념교육, 민족교육 등)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예를 들어, 중국은 시민교육에서 어떻게 가부장제의 중요성을 정당화해 왔는지에 관한 것이 있다. 또한 국가-시민과의 관계에서 다소 개인주의적인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홍콩에서 시민들이 국가교육체제에서 가부장제적 접근을 시도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저항하고 있는지도 다루고 있다.

저자(글) Jiang Kai

저자 Jiang Kai 는 북경대학(Peking University) 교육대학원의 부학장이자 교수이다. 그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UNESCO 고등교육 의장의 코디네이터이기도 하다. 홍콩대학의 비교교육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종사하였다. 그리고 학술지 「Peking University Education Review」의 이전 편집장이기도 하다. 그의 박사 논문은 미국의 고등교육에 관한 것이고, 현재까지 교육 연구 방법론에 관한 광범위한 저술을 해오고 있다.

저자(글) Nancy Law

저자 Nancy Law는 홍콩대학의 교수이다. 그녀는 1998년부터 15년 동안 재단의 국장으로 봉사하다가 최근 Centre for Information Technology in Education(CITE)의 부소장이 되었다. 또한 Sciences of Learning Strategic Research Theme의 공동 의장이다. 국제성취도평가협회(IEA)의 출판 위원회, 21세기 교수 및 평가에 관한 Cisco-Intel-Microsoft 프로젝트, International Society of the Learning Sciences의 임원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저자(글) Lee Wing On

저자 Lee Wing On은 현재 싱가포르 국립 교육연구대학원의 교육연구 학장이다. 그는 홍콩대학교 비교교육연구센터 초대 센터장과 세계비교교육학회협의회 회장을 비롯하여, 홍콩 교육연구대학원 교무부총장, 총장대리, 비교교육학 주임교수, 교육기초학부 초대학장, 두 개 학과의 학과장, 시민교육센터 초대 센터장 등을 역임했다. 2005년에는 시드니 대학의 교육·사회복지학부 교육학 교수 겸 인문·사회과학대학의 국제담당 책임자로 초빙되기도 했다.

저자(글) Frederick K. S. Leung

저자 Frederick K. S. Leung은 홍콩대학 교육학부 교수로 1996년부터 2002년까지 교육학부장을 역임했다. 그가 관심을 갖는 주된 연구 분야는 수학교육에 관한 국가 간 비교, 그리고 교수와 학습에 미치는 문화의 영향이다. 그는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연구(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의 홍콩 구성원들 중 책임 연구원이며, 2차와 3차 수학교육 국제편람(International Handbooks on Mathematics Education)의 편집자 중 한 사람이다. 또한 국제수학교육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Mathematical Instruction: ICMI)의 운영위원이었으며,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IEA)의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2013년에는 Freudenthal 훈장을, 2003년에는 Fullbright 장학금을 받은 바 있다.

저자(글) Maria Manzon

저자 Maria Manzon은 싱가포르 국립사범대(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의 연구과학자다. 그녀는 세계비교교육학회(World Council of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WCCES)의 입회및신규학회상설위원회 위원장으로 있다. 이전에는 홍콩대학교의 비교교육연구센터 연구원으로 있었다. 비교교육학회사 한 권(2007)과 전 세계 대학들의 비교교육에 대한 또 다른 책(2008)의 공동편집자이기도 하였다. 그녀의 2011도 ?비교교육: 한 분야의 성립(Comparative Education: The Construction of a Field)?이란 책은 그 종합적 접근방식과 혁신적 개념화로 학계의 큰 환호를 받은 바 있다.

저자(글) Paul Morris

저자 Paul Morris는 1976년부터 2002년까지 홍콩대학교(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일했다. 이 시기 동안 그는 6년간의 선출직 학부장을 지냈으며, 1997년에 정교수가 되었다. 그는 또한 홍콩 정부의 교육위원으로뿐만 아니라, 교사교육과 자격에 관한 자문위원으로 봉사했다. 그는 2007년까지 홍콩교육대학(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의 총장이었다. 이후 그는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 교육대학(Institute of Education)으로 이동하여 현재 그곳에서 교육학 교수로서 일하고 있다.

저자(글) Kyungmee Park

저자 Kyungmee Park은 한국 홍익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예비교사들을 가르치고 있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수학전문가로 활동하며, 한국교육과정평가원(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의 연구원으로서 한국 내 PISA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또한 20년 동안 수학교육과정과 교재개발에 참여해 왔다. 주요 일간지에 수학과 교육에 관한 칼럼을 연재하며, 일반인들을 위한 수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

저자(글) Anthony Sweeting

저자 Anthony Sweeting은 그가 비교교육연구센터(the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Centre)의 멤버였던 홍콩대학교(the University of Hong Kong)에서 오랜 기간 가르쳤다. 그는 비교교육의 역사 분야에서 많은 학문적 업적을 남기고 2008년에 타계했다. 연구 업적의 많은 부분은 홍콩에, 다른 연구들은 국제적인 문화 간 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저자(글) Jan van Aalst

저자 Jan van Aalst는 홍콩대학교의 부교수이자 교육학부장이다. 그는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의 부편집장이고, 교육과학 및 컴퓨터 활용 학습과 관련된 여러 학술지의 편집위원이다. 그의 연구는 학급에서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이것은 컴퓨터가 중재 역할을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의 최근 연구는 홍콩의 교육과정 개혁과 맞물려서 이러한 시도들을 적용하는 것이다. 그는 연구방법론, 교육과학, 컴퓨터를 활용한 교육 등에 관한 많은 강좌를 가르치고 있다.

저자(글) David A. Watkins

저자 David A. Watkins는 홍콩대학교에서 2009년 은퇴한 교육학부 교수이다. 그는 호주, 뉴질랜드의 네 개 대학에서 전임연구원과 강의를 해왔다. 그는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pplied Psychology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ross-Cultural Psychology 이사회 임원이다. 그는 문화권을 비교하는 연구자로서 자아개념, 학습, 교수의 개념 등의 영역에서 다양한 연구를 보고하고 있다.

저자(글) Yang Rui

저자 Yang Rui는 홍콩대학의 교수이며 비교교육연구소의 이전 소장이다. 그는 Western Australia 대학, Monash 대학(호주), Shantou 대학(중국)에서도 강의해왔다. 비교교육 분야에서 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고, 학술지 「Frontiers of Education in China」의 편집장이기도 하다.

번역 신태진

역자 신태진은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철학박사(Ph.D)
연세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부회장

번역 김정희

역자 : 김정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 박사
현)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지원팀장 / 한국비교교육학회 학술부위원장

번역 김현욱

역자 : 김현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학 박사
현) 중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사무국장

번역 김이경

역자 : 김이경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철학박사(Ph.D)
현) 중앙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김형기

역자 : 김형기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철학박사(Ph.D)
현) 교육부 대학학사제도과 서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박삼철

역자 : 박삼철
호주 Macquarie University, 철학박사(Ph.D)
현) 단국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박선영

역자 : 박선영
인하대학교, 교육학 박사
현) K마음이해연구소 소장 / 한국비교교육학회 회원

번역 박세훈

역자 : 박세훈
University of Minnesota, 철학박사(Ph.D)
현) 전북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박영신

역자 : 박영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 박사
현)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박환보

역자 : 박환보
서울대학교, 교육학 박사
현) 충남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소경희

역자 : 소경희
이화여자대학교, 문학박사
현) 서울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양성관

역자 : 양성관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철학박사(Ph.D)
현) 건국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유재봉

역자 : 유재봉
런던대학교(UCL Institute of Education), 철학박사(Ph.D)
현) 성균관대학교 교수(사범대학장 겸 교육대학원장)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이병진

역자 : 이병진
한양대학교, 교육학박사
현) 한국교원대학교 명예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상임고문

번역 이수정

역자 : 이수정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철학박사(Ph.D)
현) 단국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감사 및 국제학술위원회 부위원장

번역 임수진

역자 : 임수진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철학박사(Ph.D)
현) 광주교육대학교 강사 / 한국비교교육학회 회원

번역 정진철

역자 : 정진철
Texas A&M University, 철학박사(Ph.D)
현) 서울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정철민

역자 : 정철민
성균관대학교, 교육학 박사
현) 김포대학교 조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회원

번역 정현숙

역자 : 정현숙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학 박사
현) 대구가톨릭대학교 강의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국장

번역 한일조

역자 : 한일조
미국 Univ. of Whashington(Seattle), 교육학 박사(Ph.D)
현) 금오공과대학교 교수 / 한국비교교육학회 이사

번역 홍지희

역자 : 홍지희
서울대학교, 교육학 석사
현)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 한국비교교육학회 회원

목차

  • 저자 서문 / 3
    감사의 글 / 6
    역자 서문 / 8
    발간사 / 10
    축약어 / 14
    서장 / 17
    제1부 방향
    1장 비교교육의 주체와 목적 / 35
    2장 학술 연구와 비교교육학 분야 / 63
    3장 비교교육에의 양적, 질적 접근 / 87
    제2부 비교 단위
    4장 장소 비교 / 113
    5장 교육체제 비교 / 153
    6장 시간 비교 / 181
    7장 인종, 계급, 젠더의 비교 / 207
    8장 문화 비교 / 233
    9장 가치 비교 / 269
    10장 정책 비교 / 295
    11장 교육과정 비교 / 319
    12장 혁신적 교육방법 비교 / 341
    13장 학습방식 비교 / 375
    14장 교육적 성취 비교 / 393
    제3부 종장
    15장 다양한 모델, 다양한 강조점, 그리고 다양한 시사점 / 425
    원저자 소개 / 450
    번역자 소개 / 455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원서(번역서)명/저자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25411347
발행(출시)일자 2017년 02월 20일
쪽수 460쪽
크기
186 * 257 * 27 mm / 950 g
총권수 1권
원서(번역서)명/저자명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Bray, Mark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