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가족커뮤니티사업단 연구총서 4
한국문화사 · 2024년 02월 23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대표 이미지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대표 이미지
  •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부가 이미지1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부가 이미지1
  •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부가 이미지2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부가 이미지2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 사이즈 비교 153x225
    단위 : mm
01 / 04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5,200 28,000
적립/혜택
1,400P

기본적립

5% 적립 1,4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4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주문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이 책은 2022년 국내학술대회 〈여성 주체의 재발견〉과 2022년 국제학술대회 〈다성적 주체론 모색〉에서 발표된 원고들을 엮어낸 결과물이다. 공공성, 정의, 평등에 대한 무시와 공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현재 우리 사회는 다양한 주체들을 연결하는 집단적·연대적 주체에 대한 진지한 탐구를 요청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주체들이 구성되는 다성적 현장에 접근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지적 통찰에 우선 주목하고자 한다. 본서의 1부에서는 다성적 주체와 연대라는 실천의 문제를 철학적 측면에서 탐색하고자 했다. 2부에서는 개인-남성 주체론에서 벗어나 여성 주체를 중심으로 다성적 주체의 현장을 살펴보고자 했다. 마지막 3부에서는 영상 및 문학 등의 형식으로 다양하게 재구성된 국내·외의 다성적 주체론에 주목하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다성적 주체들의 경험과 성찰에서 비롯된 다양한 변화의 역량을 탐색하고, 더 나아가 과거와 현재를 아울러 통찰함으로써 대안적 연결 정치를 추동하기 위한 단서들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의 총서 (2)

작가정보

저자(글) 우마 크리슈난

미국 켄트 주립 대학(Kent State University)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영문과의 글쓰기 인턴십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으며, 남아시아 연구, 인종 및 원주민 문해력 연습, 인도 문학, 힌디어 등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연구 분야 및 관심 분야는 문해, 작문 연구, 언어 습득, 세계 영어, 힌두교에서의 여성과 젠더에 관한 연구, 니야야 수트라 및 서양의 수사법, 인종적 문해 및 사회적 실천에 관한 것들이다. 현재 인도의 뭄바이 다바왈라의 민족 지학적 사례 연구를 기반으로 한 책을 집필 중이다.

저자(글) 류도향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사회철학, 미학이며, 대표 논문으로 「가족하기-되기: 연결의 메타플라즘」, 「열린 가족과 진보적 장소감」 등이 있다. 한국사회의 강고한 가족이데올로기를 넘어 다양한 친밀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철학적으로 규명하며, 최근에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주의적 에토스에 균열을 일으키는 비주권적 관계성을 연구하고 있다.

저자(글) 김지영

역사인류학자로,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한국학연계전공 초빙교수이며,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표 논문은 「조선시대 왕실 여성의 출산력: 시기별 변화추이와 사회문화적 함의」이고, 공역서로는 『17세기 조선 왕실 가족의 혼례: 가례등록·명안공주가례등록』 등이 있다. 현재 조선 후기 왕실 가족사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왕실 가족의 일생의례에 관한 기록물인 ‘등록(謄錄)’의 문헌학적 특징과 그 상징성에 관한 글을 쓰고 있다.

저자(글)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여성학/여성사(노동 및 경제)이며, 저서로 『명동 아가씨: 근현대 여성 공간의 탄생』, 대표 논문으로 「양장점을 통해 본 전후 1950년대 ‘여성 자영업주’의 탄생」, 「장소기억의 정치와 페미니즘적 재구성」 등이 있다. 여성의 경험·실천·지식을 페미니즘 관점에서 역사적으로 개념화하고 이론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지원과제로 <1950-70년대 자영업의 젠더화와 여성 자영업주의 경험·기억·역사>를 연구 중이다.

저자(글) 조상현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가족커뮤니티사업단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한국사/호남지역학이며, 대표논문으로 「호남 상징으로서 義鄕論의 전개와 추이」와 「호남의 藝鄕다움에 대한 自他의 인식 방법」 등이 있다. 호남과 관련된 다양한 상징체계와 그 속에 투영된 기억들에 대해 관심이 많으며, 최근에는 호남의 집단기억이 도로나 건축 등에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글을 쓰고 있다.

저자(글) 조호연

일본 오사카대학교 문학연구과 박사과정. 교토대학교 지역연구연구소 공동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대표 논문으로 「十九世紀ベトナム家譜に見る風水思想」, 「一六八七年済州島民の安南漂流事件における〈安南太子殺害譚〉の再考」 등이 있다. 족보와 향약 등 촌락 문서를 통해 근세 베트남 사회의 가족 제도와 촌락 구조를 규명하고, 이를 한중일 사회와 비교함으로써 현재 동아시아 사회가 겪고 있는 사회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글을 쓰고 있다.

저자(글) 정희원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영문학/문화연구이며, 대표논문으로 <접촉 공간과 몸에 새겨진 기억: 팔레스타인 작가 가싼 카나파니와 모나 하툼의 경우>, “Photography, Poetry, and Polyphony: Postmemory of the Gwangju Massacre in Han Kang’s Human Acts” 등이 있다. 18세기부터 현대까지 문학과 사진, 영화 등 여러 매체적 재현의 관계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자(글) 아담 브런

미국 루터란 신학교(Pacific Lutheran Theological Seminary)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 분야는 신약성서와 신학이며, 연구 관심사는 예수의 우화, 정통성과 비정통성 복음, 바울에 대한 ‘철학적 전환’, 그리고 정치 신학 등이다. 서술 비평, 비판적 인종 이론 및 정신분석 등의 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또 역사적으로 소외된 목소리들에 관여하며, 교회를 자기 비판적 실천으로 이끄는 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자(글) 한의숭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한문학/한문소설이며, 대표논문으로 「공통의 경험에 대한 기록과 기억의 거리- 『호구일록(虎口日錄)』과 『평창일기(平昌日記)』를 중심으로-」, 「공서(共棲)의 대상으로 인정받기-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 및 이종(異種)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전통 시대 문집과 고소설을 통해 위계와 권력으로 구성된 가족과 커뮤니티의 구도를 면밀하게 비판하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저자(글) 한우리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분야는 미국소설이며, 대표 논문으로 「결혼과 시민권: 『카스트의 저주; 노예신부』와 『아이올라 르로이』를 중심으로」, 「사물에 홀린 이들의 이야기—『시스터 캐리』」가 있다. 『교차성×페미니즘』을 함께 썼으며, 『페미니즘 선언』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근대국가의 형성에 얽힌 젠더 및 섹슈얼리티 규율과 유색여성 페미니즘 정치/인식론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목차

  • 『가족커뮤니티와 다성적 주체론』을 발간하며

    제1부 다성적 주체론
    우마 크리슈난 : 다성적 주체의 목소리로 글로벌 연대 만들어내기 - 문화적 기억의 담론, 문해 서사, 사회적 실천을 통하여 -
    류도향 : 관계적 주체와 ‘함께-말하기’의 조건

    제2부 다성적 주체의 현장
    김지영 : 17세기 인조(仁祖) 가족의 갈등 양상과 세 왕실 여성의 주체성
    김미선 : 한국전쟁기 어머니의 사망과 기억의 젠더정치 - 민간인 학살 노근리사건을 중심으로 -
    조상현 : ‘국제부인데이’의 기념과 망각
    조호연 : 근세 북부 베트남 여성의 종교적 헌납 활동, 허우(Hậu, 后)에 관한 재검토

    제3부 다성적 주체론의 재구성
    정희원 : 이란 여성 작가의 한 계보 - 포루그 파로흐자드에서 쉬린 네샤트까지 -
    아담 브런 : 좀비 아버지, 주권적 딸 - 심청 신화로 보는 한국 좀비 영화 -
    한의숭 : 여성의 주체되기와 살아남기 -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
    한우리 : 우리의 ‘퀴어한’ 검둥이 - 여성-되기의 정치성 -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69191852
발행(출시)일자 2024년 02월 23일
쪽수 354쪽
크기
153 * 225 * 18 mm / 524 g
총권수 1권
시리즈명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 가족커뮤니티사업단 연구총서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공간 인간
이벤트
  • [sam] 교보문고 북앤플러스알파 요금제
  • 25년 4월 북드림
  • 4월 단말기 북꽃축제 패키지
01 / 03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