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전략적 과제에 대한 치열한 고민이 필요하다
한국은 2019년 4월 사이버 안보 분야의 전략 지침서로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발간한 바 있다. 4년의 시간이 지난 지금, 주변의 신흥안보 환경은 급속히 변해서 새로운 전략서의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사이버 안보는 좁은 의미의 해킹과 사이버 공격을 넘어서 데이터 안보와 국가 간 통상마찰의 쟁점이 되었으며, 정보심리전 수행과 무인 무기체계 개발과도 연계되는 넓은 의미의 신흥기술 안보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신흥기술 안보 문제는 최근 21세기 글로벌 패권을 놓고 벌이는 미중 경쟁의 외교안보 이슈로 자리매김하면서 더욱 주목을 끌고 있다. 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문제는 단순한 기술과 산업, 경제의 문제가 아니라 동맹과 연대, 그리고 가치와 규범의 문제까지도 포괄하는 미래 국가전략의 아이템이 되었다.
새로운 전략에는 추진체계 정비와 법제도 마련에 대한 고민이 담겨야 한다. 오늘날 사이버 공격은 어느 한 기관만의 힘으로는 막아내기 힘들다. 지금까지 한국은 공공·민간·국방 분야별로 사이버 위기에 대응하는 ‘분산 대응체계’를 유지해 왔는데, 그 결과 분야별 장벽이 고착화되었으며, 국가적 위기상황에 통합적으로 대응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노력을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해, 분절된 대응체계를 통합하는 ‘메타 거버넌스’의 메커니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날로 급증하는 사이버 안보위협에 대한 국가 차원의 효과적인 대응책을 지원하는 체계적인 법제의 마련도 필요하다. 현재 한국은 사이버 안보에 관한 통합된 법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데, 2006년부터 지난 16년간 이른바 ‘사이버안보기본법’은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제정 과정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철저히 검토하여 국민적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법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현재 신흥기술의 등장과 이에 수반되는 새로운 안보위협의 확산으로 인해 국가적으로 수많은 난제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난제들의 도전은 기존의 사회 집단들의 이익갈등을 부각시키고 기존 가치와 새로운 가치 간의 충돌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익갈등과 가치충돌의 조정 문제는 향후 디지털 시대를 헤쳐 나갈 국가전략의 중요한 현안이 아닐 수 없다. 아울러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중견국으로서 한국이 직면한 전략적 과제에 대한 치열한 고민도 필요하다. 이 책에서 다룬 신흥기술·사이버 안보 분야는 이러한 중견국 외교전략의 역량을 시험받는 테스트베드인 동시에, 향후 한국이 미래를 개척해 나갈 밑받침이기도 하다.
작가정보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2년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는 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 『버추얼 창과 그물망 방패: 사이버 안보의 세계정치와 한국』, 『미중 디지털 패권경쟁: 기술·안보·권력의 복합지정학』 등이 있다.
가천대학교 경찰안보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샘 휴스턴 주립대학교 형사사법대학에서 범죄학 박사를 그리고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폭력의 시대 국가안보의 실존적 변화와 테러리즘』, 『모든전쟁: 인지전, 정보전, 사이버전, 그리고 미래전쟁에 대한 전략이야기』 등이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연구위원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에서 범죄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P/CVE), 사이버·신기술 악용 테러 및 사이버범죄, 마약·인신매매 등 대테러·초국가적 범죄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는 Good Practices in the Area of Border Security and Management in the Context of Counterterrorism: The Republic of Korea Model(2022), “G7 국가 테러동향에 따른 국내 국가중요시설의 테러위험도 분석”(2022),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한국 사례 모색: 아프간 특별기여자 국내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2022) 등이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부연구위원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시건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하여 학사학위를 받았다.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당군관계, 군사외교 등 북한 군사 분야 전반을 연구하고 있다.
국립외교원 안보통일연구부 조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고(UCSD)에서 국제관계학 석사학위를,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기술, 사이버 안보, 정보전·심리전·인지전, 하이브리드전 등 신흥안보 및 전략커뮤니케이션(SC) 분야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문과 보고서로는 “북한의 사이버 위협 실태와 우리의 대응”(2023), “연합 사이버 전력의 역할과 한미 사이버 안보협력의 과제”(2023), “현대 전면전에서의 사이버전의 역할과 전개양상”(2022)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정보심리전”(2022) 등이 있다.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 부교수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국방대학교에서 군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가안보론, 전략기획론, 전쟁론, 핵전략 등을 강의하고 있으며, 주요 관심 분야는 국방전략, 북핵대응전략 및 비확산정책, 한미동맹 이슈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핵무기 개발과 국가행위의 변화”(2022), “한국의 군사우주전략”(2022), “포괄적 위험평가의 시론적 검토”(2022), “국방전략서 작성의 이론과 실제”(공저, 2021) 등이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연구위원
고려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이버 안보, 신기술과 안보 법제, 에너지 및 보건안보, 신흥안보 분야 남북협력, 계약법과 불법행위법, 국가정보 등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입법과정의 이론과 실제』(2016), Current Legal Issues in South Korea(공저), Securing Cyberspace(공저), “미국과 러시아의 ‘랜섬웨어’ 대응: 갈등과 협력”(공저, 2022), “코로나19 디지털 접촉 추적과 개인정보 보호”(2021), “코로나19 이후 신안보 위협과 대응전략”(공저, 2020), “미국 정보기관 제로데이 취약성 대응 활동의 법정책적 시사점”(2019), “가짜뉴스에 대한 법적 고찰”(공저, 2018) 등이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책임연구위원
현재 외교부 장관 과학기술 분야 자문위원, 한-미 사이버안보 워킹그룹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은 사이버 안보 전략, 정보보호정책, 기반보호정책 등이다. 주요 연구로 “주요국 공급망 정책 검토 및 국내 정책 과제”(2021), “한국 사이버공격 심각도 평가방법론 및 국가대응 매트릭스”(2021), [탈린매뉴얼 2.0] 한국어판 번역 발간(2018), “UN 사이버안보 정부전문가그룹 논의의 국가안보 정책상 함의”(2017) 등이 있다.
육군사관학교 정치사회학과 교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육군사관학교 정치사회학과장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분쟁, 자연어 분석, 통계적 방법론, 미래전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한국의 군사혁신(RMA) 담론연구”(2022), “한국 육군 개혁 담론의 구성에 관한 연구”(2022) 등이 있다.
해군사관학교 군사전략학과 교수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KDI School)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연구 분야는 강대국의 안보 경쟁과 주요 국가들의 군사전략 및 해양전략이다. 최근 주요 저서로는 “Impacts of Russia-Ukraine War on East Asian Regional Order”(2022), “미국의 파트너십 확대를 통한 대(對)중국 견제 전략과 함의”(2022), 『우주 전장시대 해양 우주력』(2022) 등이다.
공군사관학교 군사전략학과 부교수
공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석사학위,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공군력, 주한미군, 전작권, 군사전략, 항공전략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정책과 한국의 대응”(2021),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비한 한국공군의 적정 전투기규모 도출 방법에 관한 연구: 공세작전에 필요한 소요를 중심으로”(1저자, 2019) 등이 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 선임연구원
고려대학교에서 북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북한 체제 안정성 평가, 북한 군사 및 핵 전략, 동북아 안보 평가, 해양안보, 신흥안보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북한 제8차 당대회 규약 개정과 김정은 정권 안정성 평가”(2022), “김정은 정권 안정성 평가와 북한 체제 지속 가능성 전망”(2020), “9.19 군사합의 이후 남북한 군비통제 평가와 전망”(2020) 등이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부연구위원
서울대학교에서 외교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전문 분야는 신기술과 기술지정학, 메타버스, 신흥안보 및 미래리스크 연구이다. 주요 논저로 “반도체 공급망 안보의 국제정치”(2023), “메타버스 시대 남북 교류·협력의 가능성과 숙제”(2022), “디지털 안전사회의 의미”(2022), “국방분야의 인공지능 기술도입의 주요 쟁점과 활용 제고 방안”(2021), “신흥안보 위험과 메타거버넌스”(2020) 등이 있으며,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를 아우르는 학제간 융합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대전대학교 군사학과 및 PPE(정치·경제·철학)전공 부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비교정치경제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미래전연구센터, 연세대학교 중국연구원의 객원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정치경제 시각에서 동아시아의 경제협력, 분단체제, 군사혁신, 군사정보, 방위산업 문제를 연구·강의하고 있다. 최근 연구로는 “경쟁적 상호의존의 제도화: 일중의 경제안보전략과 상호의존의 패러독스”(2022), “트럼프-바이든 시기 미중경쟁: 탈동조화의 경제안보전략과 중간국가의 부상”(2022) 등이 있다.
한국국방연구원(KIDA)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국방대학교 방문학자,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겸임교수, 중국인민대 방문학자 등을 지냈다. 북한 핵담론, 북한 외교정책이 중심적인 연구 분야이며, 미중관계 및 사이버, AI로도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2021), 『4차 산업혁명과 신흥 군사안보』(2020) 등을 공저했으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A South China Sea Conflict and the ROK’s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2022), “The Taiwan Strait and the ROK-U.S. alliance”(2023) 등이 있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INSS) 연구위원
영국 워릭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통안보를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하는 것이 주요 연구 분야이다. 관련 연구로 『영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역사적 배경과 전략적 의도』(2021), “포스트휴먼 시대의 국가주권과 시민권의 문제”(2020), “South Korean views on Japan’s Constitutional Reform under the Abe government”(2018), “‘북한 위협론’의 비판적 검토: 인식론적 전환의 필요성”(2018), “Nation branding for survival in North Korea: The Arirang Festival and nuclear weapons tests”(2017), “국제안보 개념의 21세기적 변용”(2017)”, “원자력 협력은 핵확산을 부추기는가?: 미국양자원자력협정의 국제 핵 통제적 성격”(2016), “핵·미사일 체제의 ‘구조적 공백’과 북한의 핵·미사일 동맹 네트워크”(2014) 등이 있다.
국회미래연구원 국제전략연구센터장
연세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객원교수, 한국국제정치학회 중국연구분과위원장, 한국사이버안보학회 지역안보연구실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외교안보, 미중 기술경쟁, 중국군사혁신, 과학기술외교 등이다. 대표 연구로 The Future of the World Order in 2050: Probable vs. Preferred(2022), The Future of US-China Tech Competition: Global Perceptions, Prospects and Strategies(2021), “미중 전략경쟁과 과학기술외교(Science Diplomacy)의 부상”(2022), “국제질서 리더십 변화의 장주기론과 중국의 강대국화 전략”(2021), “시진핑 시대 중국의 군사혁신 연구: 육군의 군사혁신전략을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부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국제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석사, 호주국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교안보연구원 객원교수, 통일연구원 부연구원, 한국외국어대학교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인도태평양 지역 국제정치, 미국 동맹정책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The US-led Security Network in the Indo-Pacific in International Order Transition: A South Korean Perspective”(2023) 등이 있다.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인터넷 거버넌스, 사이버 안보와 경제안보의 교차점, 디지털 무역의 국제정치경제이다. 최근 논문으로 “Emergence of Indo-Pacific Economic Order: US Strategy and Economic Statecraft toward China”(2022), “Cybersecurity Crisscross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2022), “Bilateral Cyber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in Northeast Asia”(2022) 등이 있다.
국립외교원 연구교수
성균관대학교 법과대학에서 국제법 박사학위를 받았다.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방부 정책자문위원을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신기술안보 규범, 거버넌스 및 수출통제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사이버작전 시 유엔 해양법 원칙 적용의 현안과 과제”(2023), “바이든 행정부 신기술 수출통제 정책 동향과 시사점”(2021), “우주 국제규범의 세계정치: 우주경쟁의 제도화”(2021), “자율살상무기체계(LAWS) 규범 창설 논의의 쟁점과 시사점”(2019) 등이 있다.
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부교수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에서 기획조정실장 및 연구위원으로 재직하였으며, 동북아 국제관계, 북한정치, 사이버 안보, 지방 공공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STRATEGIES OF SURVIVAL: North Korean Foreign Policy under Kim Jong-un(2023), 『12개 주제로 생각하는 통일과 평화, 그리고 북한』(2022), 『인공지능 기반 사회의 도래, 각국의 전략과 대응정책』(2021) 등이 있다.
통일연구원 인도협력연구실 연구위원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분야는 남북관계, 기후변화 및 그린데탕트이다. 주요 저서로는 『해외사례를 통해 본 남북 접경협력의 추진 방향과 전략』(2022), 『탄소중립과 그린뉴딜』(2021)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초연결융합시대와 사이버안보: 사이버공간의 안보화와 한국의 사이버안보 강화 방안”(2017) 등이 있다.
목차
- 서론 신흥기술·사이버 안보의 국가전략
1부 미래전의 부상과 사이버 안보의 진화
1장 사이버 안보와 미래전 추이, 그리고 국가안보전략
2장 사이버 테러 위협의 새로운 양상
3장 김정은 시대 북한 사이버 위협의 특징과 대응 방안
2부 정보심리전과 국가 정보활동의 변환
4장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정보심리전
5장 새로운 정보전 양상과 데이터 안보
6장 정보활동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
7장 사이버 공간에서의 정보기관의 역할 확대와 시사점
3부 첨단 군사혁신의 동학과 전략: 군의 시각
8장 육군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래전과 신기술
9장 해군의 시각에서 본 신흥기술과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
10장 공군이 바라보는 우주
11장 우주국방의 시각에서 본 신흥기술·사이버 안보
4부 신흥기술 안보와 사이버-핵 넥서스
12장 신흥기술 안보와 민군 겸용 AI의 국가전략
13장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무기화와 억지전략의 미래
14장 한반도 핵안정성과 사이버 안보
15장 핵-사이버 넥서스
5부 신흥기술 안보의 외교와 동맹
16장 미중 전략경쟁과 과학기술외교의 부상
17장 경제안보동맹과 한미 사이버 안보 강화
18장 미국의 인·태 지역 정보네트워크 구축과 쿼드(플러스)
19장 미중 전략 경쟁 속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와 국가전략
6부 신흥기술 안보규범과 사이버 평화
20장 미중 전략경쟁과 과학기술외교의 부상
21장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는 사이버 글로벌 평화체제 구축
22장 남북 사이버 공간의 특성과 한반도 사이버 데탕트를 위한 과제
기본정보
ISBN | 9791167071224 |
---|---|
발행(출시)일자 | 2023년 08월 29일 |
쪽수 | 440쪽 |
크기 |
171 * 230
* 29
mm
/ 846 g
|
총권수 | 1권 |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