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국제질서와 한국외교전략
없습니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 국내도서 > 정치/사회 > 정치/외교 > 외교/국제관계 > 한국외교
- 국내도서 > 정치/사회 > 정치/외교 > 외교/국제관계 > 국제정치/국제관계
- 국내도서 > 정치/사회 > 대학교재 > 정치학
- 국내도서 > 대학교재 > 정치/사회/법 > 정치학
이 책은 이처럼 변화하고 있는 미중 전략경쟁시대를 신국제질서라고 언급하고 개별 국가들이 자국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대비책을 마련하고 그에 알맞은 정책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국은 지정학적으로 대륙과 해양 세력, 복수의 강대국 사이에 ‘낀’ 국가, 혹은 ‘중간지대’에 놓여 있다. 이러한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 책은 한국이 미국 혹은 중국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가 아닌 ‘결미연중(結美聯中) 플러스’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따라서 한국은 외교, 안보, 경제에서 자율성을 확대하는 ‘중간국’ 전략을 채택하고 강국으로 도약하는 새로운 국가가 되기 위해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중간국 전략을 채택하기 위해 호주, 동남아, 우크라이나, 폴란드의 중간국 외교안보전략을 분석하여 한국의 새로운 안보전략을 어떻게 구상해야 할지 논하고 있다.
새로운 외교·전략적 상상력은 “미중 전략경쟁은 한국뿐만 아니라, 미중경쟁 사이에 낀 모든 ‘중간국’에게 현시대 최대의 외교안보적 숙제이다”라는 현실에 주목한다. 한국은 한반도나 동아시아를 넘어 전략공간을 세계로 확대하여야 한다. 새로운 국제질서 수립을 위한 제3공간 외교와 국제 다자연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가면서, ‘글로벌 평화·교량국가’라는 국가비전을 달성해 나가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비전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그 방향을 제시한다. 미중 경쟁시대에 한국이 어떠한 외교안보전략을 채택해야 할지를 연구하고, 그 방향에 대해 고민하는 독자들에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이다. 더불어 정책을 구상하는 정책가들에게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작가정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교수. 호주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에서 국제관계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외교안보연구원 객원교수,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전공분야는 인・태지역 미국 주도 안보 네트워크, 지역안보질서, 소다자 안보 협력, 미국-호주 동맹, 호주 안보 정책 등이다. 최근 저서로는 『인도・태평양 지역 ‘해양상황인지’ 현황과 ‘쿼드(Quad)’국가의 기역: 쟁점 및 전망』(2020), 『한국의 대미(對美) 정책공공외교: 목표, 주체, 대상 및 추진 방향』(2019), 『Asymmetrical security dilemma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A reflection and implications』(2020), 『Be careful what you wish for: Security challenges facing the Korean Peninsula during a potential unification process』(2018) 등이 있다.
중앙대학교 정치국제학과 교수이다.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정치학과 교수와 연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한국정치학회 이사, 외교부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사이버 공간의 국제정치경제』(공저, 2018), 『일대일로의 국제정치』(공저, 2018), 『미중 경쟁과 글로벌 디지털 거버넌스』(공저, 2020), 『디지털 무역 질서의 국제정치경제』(2020), 『중국 ‘우주 굴기’의 정치경제: 우주산업정책과 일대일로의 연계를 중심으로』(2021)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Northwestern University)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소프트파워와 21세기 권력'(공저),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정착'(공저), '지식질서와 동아시아'(공저), '인터넷 권력의 해부'(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한반도 평화체제의 건설: 쟁점, 과제, 전망', '한반도 평화체제: 남북한의 구상과 정책 비교검토' 등이 있다.
목차
- 서문
1장 중간국의 생존전략을 찾아서
1. 서론
2. ‘끼인 나라’ 한국의 존재론적 고민
3. 미중 전략경쟁과 동북아 신(新)지정학의 지형
4. 한국의 국제정치적 정체성과 정체성 기반 국익
5. 한국의 중강국(中强國) 외교 원칙과 과제
1부 신세계질서와 국제정치 패러다임의 변화
2장 바이든 시대 미중 전략경쟁과 국제정치질서
1.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시작
2. 2020년의 중국외교
3. 2021년 바이든 행정부의 등장과 중국외교
4. 국제정치질서의 지속성과 연속성
3장 미국의 신세계전략: 미국 우선주의와 인도태평양전략
1. 서론
2. 미국의 신세계전략
3. 인도태평양전략의 부상과 미중관계
4.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
5. 결론
4장 중국의 신세계전략: 중국경제의 부상과 일대일로전략
1. 서론: 중국의 부상과 대전략의 변화
2. 고도경제성장과 국제적 지위 향상
3. 중국의 신세계전략
4. 신세계전략의 추진 전망
5. 한국에 주는 함의
5장 아태 지역 강대국의 대응전략: 일본과 인도
1. 서론
2. 인도태평양전략과 일대일로: 전략적 환경의 변화
3. 일본
4. 인도
5. 결론
2부 한국의 신외교·안보전략 구상
6장 한국의 동북아전략 평가와 새로운 동아시아전략
1. 한국외교의 핵심인 동북아전략의 형성과정: ‘동방정책’과 ‘북방정책’
2. 김대중정부의 동아시아정책과 노무현정부의 ‘동북아시대 구상’
3. 이명박정부의 ‘신아시아 구상’과 박근혜정부의 ‘동북아평화협력 구상’
4. 문재인정부의 ‘외교다변화’와 ‘동·남·북아시아정책’
5. 한국의 새로운 동북아전략 모색
7장 신국제질서 하의 새로운 한미동맹전략
1. 서론
2. 미국의 패권재조정전략과 미중 군사경쟁의 심화
3. 미국 안보전략의 변화에 따른 한미동맹의 새로운 과제
4. 북핵문제의 변화와 한미동맹
5. 남북 간 군사관계의 변화
6. 북핵협상의 미래
7. 한미동맹 현안 I: 유엔사령부의 향후 지위
8. 한미동맹 현안 II: 전시작전권 환수와 한미 연합전력의 미래
9. 한미동맹의 미래를 위한 노력들
8장 한국의 사이버안보전략: 중견국 외교론의 시각
1. 서론
2. 미중 사이버안보 경쟁의 복합지정학
3. 미중경쟁 사이 한국의 중개외교?
4. 미중경쟁 사이 한국의 연대외교?
5. 미중경쟁 사이 한국의 규범외교?
6. 결론
9장 한국의 국방변혁과 신안보전략
1. 서론
2. 전략환경의 변화와 안보·국방에의 파급효과
3. 신안보전략과 국방변혁: 전략적 방향성 모색
4. 결론
10장 한반도 비핵·평화체제전략
1. 서론
2. 북한의 핵무장 배경과 동향
3. 북핵외교의 경과와 성과
4. 한반도 비핵평화체제 구축전략
5. 결론 및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 방안
3부 중간국 외교안보전략
11장 딜레마에 빠진 ‘중간국’ 호주의 외교전략
1. 서론
2. 호주 경제의 점증하는 중국 의존과 호주의 우려
3. 최근 호주의 안보정책: 미국으로의 경도 심화
4. 중간국으로 호주의 고민: 안보적 이익과 경제적 이익 사이에서
5. 결론
12장 동남아시아의 헤징전략: 미중갈등과 베트남, 미얀마, 필리핀의 대응
1. 서론
2. 베트남의 중간국외교
3. 미얀마의 중간국외교
4. 필리핀의 중간국외교
5. 강대국 갈등과 동남아 중간국
6. 함의와 제언
13장 우크라이나의 대외전략: 지정학적 중간국으로서의 딜레마
1. 서론
2. 우크라이나 대외전략의 내·외적 환경
3. 우크라이나의 중간국 외교와 외교안보적 균형점의 변동
4. 정책적 함의
14장 폴란드의 대외전략: 중추적 중견국가의 관점에서
1. 서론
2. 중추적 중견국가의 개념과 외교 행태
3. 국제체제의 변화와 폴란드 안보정책의 전개
4. 한국 외교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15장 한국의 신외교안보 전략을 찾아서
저자 소개
도해목차
표
1.1 한국의 국가 정체성에 따른 국가비전과 주요 정책과제
2.1 미중 전략경쟁 비교
2.2 주요국 코로나19 대응 상황
2.3 미중 경제성장률 전망
4.1 중국 정치경제의 발전단계
4.2 중국의 경제성장: 1952∼2018년
4.3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대전략: 미중관계와 국제환경
4.4 1선 도시의 1인당 GDP (2017년)
4.5 중국 공산당 19차 당대회 발전 방안
8.1 중견국 규범외교의 네 가지 모델
10.1 북핵협상 악순환 패턴
10.2 한반도 비핵평화체제 구축 로드맵
12.1 베트남, 미얀마, 필리핀 국가개관
12.2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의 ASEAN 국가별 규모
12.3 베트남의 대미국 무역 규모
12.4 베트남의 대중국 무역 규모
12.5 미얀마의 대미국 무역 규모
12.6 미얀마의 대중국 무역 규모
12.7 필리핀의 대미국 무역 규모
12.8 필리핀의 대중국 무역 규모
13.1 탈냉전 이후 미·유럽-러-중 신거대게임과 유라시아 지역질서
13.2 우크라이나 대외전략적 지향성의 변동
도표
4.1 구매력 GDP (2010년 미국 달러화 기준) 장기 전망: 중국·미국·일본·한국
4.2 명목/구매력 GDP: 1970~2018년
4.3 명목 및 구매력 일인당 GDP: 1990~2018년
4.4 중국과 미국의 GDP 및 1인당 GDP 전망(2016~2050년): 동아시아 경로 대 남미 경로
4.5 한국 수출액 및 무역수지: 중국, 미국, 일본
6.1 동아시아 세력권의 양상과 단층선
9.1 한국형 허브와 스포크전략
10.1 북핵 시나리오와 정책옵션
12.1 미중 갈등 속 동남아 국가들의 중견국 외교
13.1 유라시아 주변에 형성된 지정학적 단층선
13.2 민주화, 정체성의 정치, 대외정책
13.3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어 인구 분포와 동서분열 구도
13.4 우크라이나 중간국 외교 균형점의 변동
14.1 낭만적 삼각관계와 중추 국가
기본정보
ISBN | 9791161930398 |
---|---|
발행(출시)일자 | 2021년 03월 23일 |
쪽수 | 532쪽 |
크기 |
153 * 227
* 29
mm
/ 756 g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