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 세트

전 3권
김형준 저자(글)
나눔Book · 2022년 03월 14일
새로 출시된 개정판이 있습니다. 개정판보기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 세트 대표 이미지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 세트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 세트 사이즈 비교 191x261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44,100 49,000
적립/혜택
2,450P

기본적립

5% 적립 2,4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2,4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절판되었습니다.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 세트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본 교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수험생 여러분의 요구를 잘 반영한 교재입니다(N. Needs).
사회복지 기초,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등 8가지 영역을 1급 시험의 교시별(1교시, 2교시, 3교시)로 분권화(3권)하였습니다. 각 영역별로 출제된 부분에는 아이콘(11~20)으로 출제 회(回)차를 표기하여 빈출 영역에 대한 수험생 여러분의 학습 요구를 반영하였습니다.

둘째, [합격]이라는 목표 성취가 가능하도록 정리한 교재입니다(A. Attainable).
본 수험서로 학습한 많은 수험생 분들이 합격하였습니다.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는 수험생 여러분을 합격으로 인도할 이론서입니다.

셋째, 심화내용뿐만 아니라, 핵심내용도 잘 반영한 교재입니다(N. Nub).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는 출제경향에 맞게 심화 및 핵심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편저한 교재입니다. 또한 최근 개정된 법령(2023년 1월까지 시행될 법제처의 법령 검색)과 변경된 정책 등을 반영하여 ?수험 맞춤형?의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넷째, 수험생 여러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재입니다(U. Understanding).
사회복지 전공자는 물론, 학점은행제로 사회복지사 2급을 취득한 비전공자들도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이론 내용을 개조식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실력 다지기]?[심화학습]?[참고]?[읽을거리]?[기출문제 확인학습] 등을 수록하여 학습의 가독성을 제고하였습니다.

다섯째, 사회복지학 박사인 김형준 사회복지 전공자가 편저한 교재입니다(M. Major).
현재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인 김형준 교수가 사회복지 학문에서 사용하는 보편적인 용어와 이와 유사한 동의어 등과 아울러, 수험생 여러분이 보다 더 문제 지문을 이해하는데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기술하였습니다.

이 책의 시리즈 (9)

작가정보

저자(글) 김형준

김형준

교육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박사이며 현재 메가공무원 사회복지학, 직업상담심리학, 심리학 선생님이다. 또한, 가톨릭관동대학교/오산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며, 서울상담복지협동조합 이사장, 나눔복지교육원 대표, 한국유아보육복지학회 학술이사, 대한민국 가족지킴이 등기이사, 나눔book 대표 ㈜나눔씨패스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2022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개념편, 기출편)』, 『2022 김형준 직업상담심리학개론 영역&실전 문제집』, 『김형준 SeePass 사회복지학개론 공무원 기본이론서』, 『김형준 사회복지학 미라클 필기노트』, 『김형준 사회복지학 뫼비우스 기출문제집』, 『김형준 사회복지학 포커스 핵심요약집』, 『김형준 원샷원킬 사회복지학 실전문제집』, 『사회복지직 공무원 면접가이드』, 『사회복지사 1급 수험서(기본이론서, 기출문제집, 핵심요약집)』 등이 있다.

목차

  • 1영역?인간행동과?사회환경


    CHAPTER 01 인간행동 및 발달과 사회복지실천 24

    제1절 인간의 발달 개관(槪觀) 24


    CHAPTER 02 인간발달에 관한 기초 이론 Ⅰ 29

    제1절 정신분석이론(지그문트 프로이트) 29


    CHAPTER 03 인간발달에 관한 기초 이론 Ⅱ 34

    제1절 안나 프로이트의 자아방어기제 이론 34


    CHAPTER 04 인간발달에 관한 기초 이론 Ⅲ 39

    제1절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39


    CHAPTER 05 인간발달에 관한 기초 이론 Ⅳ 42

    제1절 칼 융의 분석심리이론 42

    제2절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이론 49


    CHAPTER 06 인간발달에 관한 기초 이론 Ⅴ 53

    제1절 행동주의 이론(=행동주의적 학습이론) 53

    제2절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59


    CHAPTER 07 인간발달에 관한 기초 이론 Ⅵ 64

    제1절 인지발달이론 64

    제2절 도덕성 발달이론 70


    CHAPTER 08 인간발달에 관한 기초 이론 Ⅶ 74

    제1절 칼 로저스(Carl Rogers)의 현상학적 이론 74

    제2절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78


    CHAPTER 09 인간의 성장과 발달 Ⅰ 83

    제1절 태내기 83

    제2절 영아기(신생아기)-‘발달단계의 문제는 연령을 참고하여 풀 것’ 87

    제3절 걸음마기 92


    CHAPTER 10 인간의 성장과 발달 Ⅱ 93

    제1절 학령전기(유아기) 93

    제2절 학령기(아동기) 95


    CHAPTER 11 인간의 성장과 발달 Ⅲ 98

    제1절 청소년기 98

    제2절 청년기(=성인 초기) 102


    CHAPTER 12 인간의 성장과 발달 Ⅳ 106

    제1절 중년기 106

    제2절 노년기 112


    CHAPTER 13 사회환경에 대한 이해 Ⅰ 120

    제1절 사회체계이론 120

    제2절 생태체계적 관점(Ecosystem perspective) 126


    CHAPTER 14 사회환경에 대한 이해 Ⅱ 129

    제1절 가족 129

    제2절 집단 132


    CHAPTER 15 사회환경에 대한 이해 Ⅲ 136

    제1절 조직 136

    제2절 지역사회 138

    제3절 문화 141

    제4절 다문화 이론 146



    TIP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암기문장 148




    2영역 사회복지조사론



    CHAPTER 01 과학적 방법과 조사연구 156

    제1절 과학의 일반적 논의 156

    제2절 과학적 조사방법 및 사회과학 159


    CHAPTER 02 사회복지와 조사연구방법론 164

    제1절 연구 방법론 164

    제2절 사회복지조사 개요 165


    CHAPTER 03 조사연구의 유형 170

    제1절 조사연구의 유형 분류 170


    CHAPTER 04 조사연구의 기초 Ⅰ- 문제제기와 가설 176

    제1절 문제제기 및 가설 176

    제2절 개념적 정의와 조작적 정의 182


    CHAPTER 05 조사연구의 기초 Ⅱ- 변수 183

    제1절 변수(variables) 183

    제2절 인과관계의 추론조건 187


    CHAPTER 06 조사 설계 188

    제1절 조사 설계와 조사 설계 타당도 188

    제2절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외적 요인(선택의 편의)을 해결하는 방안 193

    CHAPTER 07 측정 Ⅰ- 타당도 194

    제1절 타당도 194


    CHAPTER 08 측정 Ⅱ- 신뢰도 197

    제1절 신뢰도 197

    제2절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199


    CHAPTER 09 표본추출(표집)과 표집의 과정 200

    제1절 용어 정리 및 표집의 목적 200

    제2절 확률 표본추출과 비확률 표본추출 202

    제3절 표본크기와 오차 207


    CHAPTER 10 척도 210

    제1절 측정과 척도 210

    제2절 측정의 오류 및 분석단위의 오류 218

    CHAPTER 11 실험조사연구 221

    제1절 실험설계 개요 221

    제2절 실험설계 등 222


    CHAPTER 12 단일사례연구설계(Single case study design) 227

    제1절 단일사례연구설계의 개요 227

    제2절 단일사례연구설계의 유형과 분석 229


    CHAPTER 13 자료수집과 설문조사연구 Ⅰ 234

    제1절 설문조사 방법과 전화조사 234


    CHAPTER 14 자료수집과 설문조사연구 Ⅱ 238

    제1절 관찰법과 관찰의 개요 238

    제2절 인터넷 조사(전자 설문조사) 및 설문 작성 241


    CHAPTER 15 질적 연구방법론 245

    제1절 질적 연구 개념 및 양적 연구와의 비교 245

    제2절 질적 연구와 사회사업 비교 및 질적 분석의 오류 247

    제3절 질적 연구의 5가지 전통의 종류와 개념 250

    CHAPTER 16 내용분석 255

    제1절 내용분석의 개요 255


    CHAPTER 17 욕구조사와 프로그램 평가조사 259

    제1절 욕구조사 259

    제2절 프로그램 평가조사 263


    CHAPTER 18 자료처리와 자료분석 266

    제1절 자료처리 266

    제2절 자료분석 267


    CHAPTER 19 조사연구 계획서 및 조사보고서 작성 273

    제1절 조사연구 계획서와 조사보고서 273


    TIP 사회복지조사론 암기문장 275




    3영역 사회복지실천론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정의 298

    제1절 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실천 298

    제2절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목적 301

    제3절 사회복지실천의 이념과 철학 304


    CHAPTER 02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306

    제1절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306

    제2절 한국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 315


    CHAPTER 03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및 윤리 319

    제1절 사회복지실천의 가치 319

    제2절 사회복지 전문직의 윤리와 윤리강령 321

    제3절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가치갈등 327


    CHAPTER 04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대한 이해 332

    제1절 사회복지실천의 장 332

    제2절 사회복지사의 역할 336


    CHAPTER 05 사회복지실천의 관점:통합적 접근 342

    제1절 통합적 접근방법의 특성과 등장배경 342

    제2절 통합적 접근방법의 주요 이론 344

    제3절 통합적 접근의 관점 및 모델 348


    CHAPTER 06 관계형성에 대한 이해 355

    제1절 관계형성의 중요성 355

    제2절 관계형성의 구성요소 357

    제3절 관계형성의 장애요인 364


    CHAPTER 07 면접의 방법과 기술 367

    제1절 면접의 목적 367

    제2절 기본적인 면접기술 372

    제3절 면접기록 375


    CHAPTER 08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Ⅰ- 접수 377

    제1절 사회복지실천과정의 개요 및 구성 377

    제2절 접수 및 참여유도 380



    CHAPTER 09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Ⅱ- 정보수집 및 사정(Assessment) 383

    제1절 정보수집(=자료수집) 383

    제2절 사정 과정의 개요 385

    제3절 사정도구 387


    CHAPTER 10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Ⅲ- 계획 394

    제1절 개입목표 설정 394

    제2절 계약 397


    CHAPTER 11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Ⅳ- 개입 400

    제1절 개입단계 400

    제2절 직접적 개입 401

    제3절 간접적 개입 408


    CHAPTER 12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Ⅴ- 평가 및 종결 411

    제1절 평가 411

    제2절 종결 414

    제3절 사후관리(follow-up) 417


    CHAPTER 13 사례관리(Case Management) 418

    제1절 사례관리의 개요 418

    제2절 사례관리를 힘들게 하는 요인들 422

    제3절 사례관리자의 역할 423


    TIP 사회복지실천론 암기문장 424




    4영역 사회복지실천기술론


    CHAPTER 01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개관 및 기본자세 430

    제1절 사회복지실천기술 개관 430

    제2절 전문적 원조관계와 전문적 가치·윤리 434

    제3절 전문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핵심적 자질 437


    CHAPTER 02 사회복지실천 기초기술 441

    제1절 사회복지실천 면접 441


    CHAPTER 03 개인 대상 사회복지실천모델 450

    제1절 정신분석모델 450

    제2절 심리사회모델-장기적 개입 453

    제3절 인지행동모델 460

    제4절 과제중심모델(=과업중심모델) 467

    제5절 위기개입모델 470

    제6절 역량강화 모델(임파워먼트 모델=권한부여 모델) 474


    CHAPTER 04 기타 사회복지실천모델 478

    제1절 현실치료 모델(Reality Therapy) 478

    제2절 인간중심모델(=클라이언트 중심 모델) 480

    제3절 행동수정모델 482


    CHAPTER 05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요 및 모델 484

    제1절 집단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요 484

    제2절 집단사회복지실천 모델(파펠과 로스만) 496

    제3절 집단 지도력 및 지도자의 기술 499


    CHAPTER 06 집단 사회복지실천 과정 504

    제1절 집단 사회복지실천의 제 단계 504


    CHAPTER 07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요 및 모델 510

    제1절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개요 510

    제2절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Bowen family therapy) 521

    제3절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structural family therapy) 524

    제4절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experimental family therapy):성장모델 528

    제5절 헤일리, 밀란(학파)의 전략적 가족치료(strategic family therapy) 531

    제6절 해결중심 가족치료(solution focused family therapy, 김인수 등) 535

    제7절 기타 가족치료 모델 538


    CHAPTER 08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거시적 실천 544


    CHAPTER 09 사회복지실천 기록 기술 549

    제1절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개요와 종류 549

    제2절 좋은 기록 및 좋지 않은 기록의 특징과 윤리 555


    TIP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암기문장 557




    5영역 지역사회복지론


    CHAPTER 0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 이론의 이해 562

    제1절 지역사회 개념 및 기능 562

    제2절 지역사회 기능 비교 및 지역사회문제의 이론적 관점 565


    CHAPTER 02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역사 568

    제1절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견해 등 568

    제2절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 개관 574


    CHAPTER 03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585

    제1절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Ⅰ 585

    제2절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Ⅱ 590


    CHAPTER 04 지역사회조직과 개발의 실제에 관한 원칙 596

    제1절 지역사회조직과 개발의 실제에 관한 원칙 596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실천가의 역할 599

    제1절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복지사 역할 599


    CHAPTER 06 사회행동의 전략과 전술 604

    제1절 사회행동의 정의 및 전략 604

    제2절 사회행동 전술 606


    CHAPTER 07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기초에 대한 이해 611

    제1절 사회체계이론과 생태학적 이론 611

    제2절 구조기능론과 갈등이론 614

    제3절 자원동원이론과 교환이론 616

    제4절 다원주의와 엘리트주의 이론 619

    제5절 사회구성론과 권력의존이론 621


    CHAPTER 08 지역사회복지의 전달체계 및 재정 625

    제1절 전달체계 및 사회복지 역할분담 625

    제2절 재정 확보 628


    CHAPTER 09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 632

    제1절 실천과정 및 학자별 분류 632

    제2절 지역사회복지 프로그램 설계 637


    CHAPTER 10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기술 639

    제1절 지역사회복지실천 기술의 유형 639


    CHAPTER 11 지역사회복지 추진체계 Ⅰ 646

    제1절 지역사회복지관 646

    제2절 사회복지협의회 651

    제3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654

    제4절 자원봉사 662


    CHAPTER 12 지역사회복지 추진체계 Ⅱ 668

    제1절 재가복지 668

    제2절 자활사업 672

    제3절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 682

    제4절 지역아동센터 684


    CHAPTER 13 지역사회복지운동과 주민참여 687

    제1절 지역사회복지운동 687

    제2절 주민참여 690

    CHAPTER 14 지역사회보장에 관한 계획 694

    제1절 지역사회보장계획 694


    CHAPTER 15 지역사회 욕구사정, 지역사회 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701

    제1절 지역사회 욕구사정 701

    제2절 지역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704


    TIP 지역사회복지론 암기문장 707




    6영역 사회복지정책론


    CHAPTER 01 사회복지정책 개설 732

    제1절 사회복지정책의 의의, 영역 732

    제2절 사회복지정책 목표로서의 가치 734

    제3절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국가별 이해의 차이 737


    CHAPTER 02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739

    제1절 영국 739

    제2절 미국 750

    제3절 독일 753

    제4절 한국 755


    CHAPTER 03 복지국가와 사회복지정책 765

    제1절 복지국가의 개념 및 국가가 복지를 담당해야 하는 필요성 765

    제2절 복지국가의 변천과정 769


    CHAPTER 04 사회문제, 사회복지정책 발달 및 결정모형 775

    제1절 사회문제의 정의 및 사회문제에 관한 관점 775

    제2절 사회(복지)정책 발달 이론 777

    제3절 정책결정 모형 781


    CHAPTER 05 사회복지정책 모형 및 복지국가 발전 이론 783

    제1절 사회복지정책 모형 783

    제2절 복지국가 발전 이론 793


    CHAPTER 06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집행 및 평가 795

    제1절 사회복지정책 형성과정 및 집행 795

    제2절 사회복지정책의 평가 800


    CHAPTER 07 사회복지정책 분석 803

    제1절 사회복지정책의 산물분석(길버트와 테렐) 803


    CHAPTER 08 사회보장 일반에 대한 논의 820

    제1절 사회보장기본법(1995)상 사회보장 820

    제2절 사회보험과 공공부조의 비교 824

    제3절 사회보험과 민간보험(사보험)의 비교 825

    제4절 공적 연금의 일반적 내용 826


    CHAPTER 09 5대 사회보험의 개요 829

    제1절 사회보험 분야-국민연금법-1986년 제정 829

    제2절 사회보험 분야-국민건강보험법-1999년 제정 833

    제3절 사회보험 분야-고용보험법-1993년 제정 838

    제4절 사회보험 분야-산업재해보상보험법-1963년 제정 842

    제5절 사회보험 분야-노인장기요양보험법-2007년 제정 846


    CHAPTER 10 빈곤과 공공부조 850

    제1절 빈곤의 측정 850

    제2절 공공부조 852

    제3절 최저생계비 추정방식 857


    CHAPTER 11 한국의 사회복지정책 862

    제1절 근로장려세제(EITC) 862

    제2절 전자바우처 제도(2007년 시행) 865

    제3절 드림스타트 사업(출처:보건복지부)-2008년 실시 870

    제4절 희망복지지원단(2012년 출범) 872


    TIP 사회복지정책론 암기문장 874




    7영역 사회복지행정론


    CHAPTER 01 사회복지행정의 개관 884

    제1절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및 특성 884

    제2절 사회복지행정의 이념 및 과정 887


    CHAPTER 02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890

    제1절 미국과 한국의 역사 890


    CHAPTER 03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895

    제1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요 895

    제2절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의 원칙과 통합적 방법 900


    CHAPTER 04 조직이론 905

    제1절 고전모형과 신고전 모형 905

    제2절 기타 조직이론 908


    CHAPTER 05 조직구조와 조직의 유형 913

    제1절 조직의 구조 및 조직화 방법 913

    제2절 조직의 유형 920


    CHAPTER 06 사회복지조직 환경과 문화 922

    제1절 조직 환경 및 환경이론 922

    제2절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관리 전략 925

    제3절 사회복지조직 문화 928


    CHAPTER 07 서비스 질 관리와 위험관리 932


    CHAPTER 08 리더십(Leadership) 937


    제1절 리더십의 개념 및 이론 937


    제2절 관리자 유형에 따른 리더십의 수준 및 유형 942


    CHAPTER 09 인사관리 944

    제1절 인사관리 의의와 구성요소 944

    제2절 인사관리의 과정 및 직무수행평가 948

    제3절 동기 이론 950


    CHAPTER 10 슈퍼비전과 컨설테이션 953

    제1절 슈퍼비전 953

    제2절 소진과 컨설테이션 957


    CHAPTER 11 재정관리 959

    제1절 예산의 개요 959

    제2절 예산제도 모형 962


    CHAPTER 12 정보관리 966

    제1절 정보관리의 필요성 및 설계 966

    제2절 정보관리시스템(MIS) 968

    제3절 사회보장정보시스템 970


    CHAPTER 13 홍보와 마케팅 974

    제1절 홍보와 마케팅의 개요 974

    제2절 마케팅 과정 및 기법들 977


    CHAPTER 14 기획과 의사결정 981

    제1절 기획 981

    제2절 의사결정 및 모형 987


    CHAPTER 15 의사전달 991

    제1절 의사전달의 개관 991


    CHAPTER 16 프로그램의 설계 994

    제1절 프로그램 설계의 개관 994


    CHAPTER 17 욕구조사와 평가조사 997

    제1절 욕구조사 997

    제2절 평가조사 1000


    CHAPTER 18 사회복지조직의 책무성 1004

    제1절 책무성의 개관 1004


    CHAPTER 19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재무·회계규칙 1010


    TIP 사회복지행정론 암기문장 1019




    8영역 사회복지법제론


    1. 총론


    CHAPTER 01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용어정리 1028

    제1절 사회복지법의 개념 1028

    제2절 사회복지법의 존재 목적 1029

    제3절 사회복지법의 존재형식 1030

    제4절 사회복지법의 분류 1032


    CHAPTER 02 사회복지법의 역사적 형성과 특징 1034

    제1절 역사적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과 역사적 접근방법 1034

    제2절 영국 사회복지법의 형성과 특징 1036

    제3절 한국 사회복지법의 형성과 특징 1039


    CHAPTER 03 사회복지법의 체계 1043

    제1절 사회복지법의 법적 위계구조 1043

    제2절 사회복지 관련 법률 간의 상호관련성 1044


    CHAPTER 04 사회복지법상의 권리 1049

    제1절 인권 및 시민권과 사회복지 1049

    제2절 헌법의 사회권적 기본권의 성격 1051

    제3절 권리구제 1054


    CHAPTER 05 사회복지 주체와 법률관계 1056

    제1절 공공의 사회복지주체 1056

    제2절 민간 사회복지 주체로서 사회복지법인의 법리적 구조 1058


    CHAPTER 06 사회복지사 등의 법적 지위와 권한 1062

    제1절 공공영역의 사회복지사의 법적 지위 및 책임과 권한 1062

    제2절 민간영역의 사회복지사의 법적 지위 및 책임과 권한 1064


    CHAPTER 07 국제법과 사회복지 1066

    제1절 국제인권규약(1966)-법적 구속력 있음 1066

    제2절 사회보장에 관한 다양한 국제조약 및 선언 1068

    제3절 우리나라와 외국과의 사회보장 조약 등 1073


    2. 각론


    CHAPTER 01 사회보장기본법 [1995년 제정] 1078


    CHAPTER 02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2014년 제정] 1089


    CHAPTER 03 사회복지사업법 [1970년 제정] 1114


    CHAPTER 04 아동수당법 1132


    CHAPTER 05 분야별 사회복지법-사회보험 분야 1141

    제1절 산업재해보상보험법 [1963년 제정] 1141

    제2절 국민건강보험법 [1999년 제정] 1150

    제3절 국민연금법 [1986년 제정] 1163

    제4절 고용보험법 [1993년 제정] 1179

    제5절 노인장기요양보험법 [2007년 제정] 1195


    CHAPTER 06 분야별 사회복지법-공공부조 분야 1210

    제1절 국민기초생활보장법 [1999년 제정, 2000년 시행] 1210

    제2절 주거급여법 [2014년 제정] 1235

    제3절 기초연금법 [2014년 제정] 1242

    제4절 장애인연금법 [2010년 제정] 1251

    제5절 의료급여법 [2001년 제정] 1260

    제6절 긴급복지지원법 [2005년 제정] 1267


    CHAPTER 07 분야별 사회복지법-정신건강 분야 1274

    제1절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2016년] 1274


    CHAPTER 08 대상자별 사회복지법 1293

    제1절 아동복지법 [1981년 제정] 1293

    제2절 노인복지법 [1981년 제정] 1323

    제3절 장애인복지법 [1989년 제정] 1343

    제4절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2000년 제정] 1368

    제5절 영유아보육법 [1991년 제정] 1374

    제6절 한부모가족지원법 [2007년 제정] 1389

    제7절 다문화가족지원법 [2008년 제정] 1399


    CHAPTER 09 기타 중요 법률 1405

    제1절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1997년 제정] 1405

    제2절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2004년 제정] 1410

    제3절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2010년 제정] 1416

    제4절 입양특례법 [2011년 제정] 1423

    제5절 자원봉사활동기본법 [2005년 제정] 1429

    제6절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 1433


    CHAPTER 10 사회복지 관련 판례분석 1438

    제1절 헌법, 사회보험법, 공공부조법, 사회복지사업법 등을 포함한 사회복지관련 판례분석 1438



    TIP 사회복지법제론 암기문장 1450

책 속으로

?머리말
2023년 수험생 여러분의 제 21회 사회복지사 1급 시험 합격을 소망합니다.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는 수험생의 요구충족과 아울러, 8가지 영역에 대한 이론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나눔(NANUM)을 모토로 출간한 수험서입니다.

본 교재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수험생 여러분의 요구를 잘 반영한 교재입니다(N. Needs).
사회복지 기초,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등 8가지 영역을 1급 시험의 교시별(1교시, 2교시, 3교시)로 분권화(3권)하였습니다. 각 영역별로 출제된 부분에는 아이콘(11~20)으로 출제 회(回)차를 표기하여 빈출 영역에 대한 수험생 여러분의 학습 요구를 반영하였습니다.

둘째, [합격]이라는 목표 성취가 가능하도록 정리한 교재입니다(A. Attainable).
본 수험서로 학습한 많은 수험생 분들이 합격하였습니다.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는 수험생 여러분을 합격으로 인도할 이론서입니다.

셋째, 심화내용뿐만 아니라, 핵심내용도 잘 반영한 교재입니다(N. Nub).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는 출제경향에 맞게 심화 및 핵심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편저한 교재입니다. 또한 최근 개정된 법령(2023년 1월까지 시행될 법제처의 법령 검색)과 변경된 정책 등을 반영하여 ?수험 맞춤형?의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넷째, 수험생 여러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재입니다(U. Understanding).
사회복지 전공자는 물론, 학점은행제로 사회복지사 2급을 취득한 비전공자들도 쉽게 공부할 수 있도록 이론 내용을 개조식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실력 다지기]?[심화학습]?[참고]?[읽을거리]?[기출문제 확인학습] 등을 수록하여 학습의 가독성을 제고하였습니다.

다섯째, 사회복지학 박사인 김형준 사회복지 전공자가 편저한 교재입니다(M. Major).
현재 대학교의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로 재직 중인 김형준 교수가 사회복지 학문에서 사용하는 보편적인 용어와 이와 유사한 동의어 등과 아울러, 수험생 여러분이 보다 더 문제 지문을 이해하는데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기술하였습니다.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2023 사회복지사 1급 이론서」 출간에 도움을 주신 아람출판사 대표님과 임직원, (주) 나눔씨패스, 나눔복지교육원의 임직원에게 감사드립니다.

부디 수험생 여러분이 2023년 제21회 시험에 꼭 합격하시길 바라며, 온 가정에 건강과 평안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사회복지학 박사 김형준 씀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91871203
발행(출시)일자 2022년 03월 14일
쪽수 1468쪽
크기
191 * 261 * 59 mm / 2545 g
총권수 3권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침묵의 퍼레이드
이벤트
  • 4월 단말기 북꽃축제 패키지
  • 25년 4월 북드림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