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생사학총서 1
박문사 · 2018년 05월 3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현대 생사학 개론 대표 이미지
    현대 생사학 개론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현대 생사학 개론 사이즈 비교 189x259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41,400 46,000
적립/혜택
2,300P

기본적립

5% 적립 2,3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2,3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14(월)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한국에서 ‘생사학(生死學)’으로 번역되는 ‘Thanatology(죽음학)는 1903년, 메치니코프(E.Mechnikov)가 노인학을 연구하면서 처음 사용했던 개념이다. 미국에서는 1959년, 헤르만 화이펠(Herman Feifel)이 학제적 연구를 통해 죽음학 연구 성과를 제시하기 시작하면서 대학과 각 교육기관들에서도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현대 생사학을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Elizabeth K?bler-Ross)는 의료 현장의 경험을 토대로 임종자나 그 가족이 죽음의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퀴블러 로스 여사 이후로 생사학은 인문학을 포함한 종합학문으로서 죽음 및 생명 교육, 애도, 상담, 정책, 보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가 이뤄지게 되었다.
이 책은 미국의 생사학 관련 교육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저작이다. 사망, 임종, 애도, 법률, 도덕, 질병 등에 관한 내용과 함께 생사학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이뤄지고 있으며, 연구자뿐만 아니라 상담 및 의료 관계자, 사회복지사 등 현장의 전문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관련 교육 자료들을 포함하여 주요 도서들을 상세히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의 총서 (7)

목차

  • 서문 vi
    머리말 xv
    만찬장 식탁 위의 말, 리처드 A. 칼리쉬
    역자의 글 xix

    [제1부] 죽음, 임종, 그리고 사별에 대한 학습 1
    제1장 죽음, 임종, 그리고 사별에 대한 교육 3
    어린이를 위한 죽음 관련 도서 4
    사람들을 죽음과 연계된 주제의 학습으로 이끄는 관심 동기 6
    죽음 준비 교육은 어떤 모습일까? 9
    죽음 준비 교육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9
    죽음 준비 교육의 네 가지 차원 11
    죽음 준비 교육의 여섯 가지 목표 13
    죽음, 임종, 사별 학습을 통해서 우리가 생명과 삶에 대해서 15
    배울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제2부] 죽음 21
    제2장 죽음 양상의 변화 23
    자신의 죽음 직전 모습을 공개한 브라이언 리 커티스 24
    오늘날 미국에서의 죽음의 양상 24
    사망률 26
    미국의 사망률 변화 27
    사망률 변화에서의 차이 : 성과 계급 28
    사망률 변화에서의 차이 : 영아와 모성 사망률 29
    평균기대수명 30
    사망원인: 전염병과 퇴행성 질환 31
    임종 궤적 36
    사망 장소 39
    죽음을 맞는 모습의 변화에 영향을 내친 요인은 무엇인가? 42

    제3장 죽음에 대한 태도 변화 51
    죽음에 대한 아미쉬(Amish)의 태도 52
    태도는 무엇이고, 태도가 양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55
    죽음 관련 태도 57
    죽음불안 57
    죽음과 관련된 관심과 반응들 59
    죽음과 관련된 태도의 몇 가지 함의 62
    죽음에 대한 서양 태도의 5가지 주요 패턴 63
    17세기 뉴잉글랜드의 청교도 65

    제4장 죽음과 관련된 관행과 미국의 죽음제도 71
    2001년 9월 11일 72
    각 사회에서의 죽음제도 72
    미국의 죽음제도와 2011년 9월 11일 사건 76
    인간이 유발한 죽음 79
    사고 79
    살인 81
    테러리즘 84
    전쟁, 대량 학살과 인종 청소 89
    홀로코스트 92
    핵 시대 94
    죽음과 언어 96
    죽음에 관한 언어 96
    죽음과 관련된 언어 98
    죽음과 미디어 99
    다양한 사망 경험들 : 미디어의 뉴스 보도 100
    환상화된 죽음과 폭력: 미디어에서의 오락 102

    제5장 문화적 유형과 죽음 109
    행복한 장례식 110
    문화적 유형을 연구하는 우리 주제의 중요성 111
    히스패닉계 미국인 115
    히스패닉계 미국인의 죽음, 임종, 사별의 양상 116
    히스패닉계 미국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118
    히스패닉계 미국인의 죽음 관련 관행 119
    아프리카계 미국인 122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죽음, 임종, 사별과의 만남 122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124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죽음 관련 관행 126
    아시아와 태평양 군도 미국인 129
    아시아와 태평양군도 미국인의 사망, 임종, 사별과의 만남 129
    아시아와 태평양 군도 미국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130
    아시아와 태평양 군도 미국인의 죽음 관련 관행 131
    인디언과 알라스카 원주민 133
    인디언과 알라스카 원주민의 죽음, 임종, 사별과의 만남 133
    인디언과 알라스카 원주민의 죽음에 대한 태도 135
    인디언과 알라스카 원주민의 죽음관련 관행 136

    [제3부] 임종 145
    제6장 임종에 대처하기 147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과 임종에 대처하는 한 가족 148
    대처하기 149
    대처의 정의와 중심요소 149
    학습되고 역동적인 행위로서의 대처 151
    임종 대처: 누가 대처하는가? 152
    임종 궤적과 인지 맥락들 153
    임종 대처: 단계-기반 접근 156
    임종 대처: 과제-기반 접근법 160
    왜 과제-기반 모델을 제시하는가? 160
    임종 대처를 위한 과제-기반 모델 161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안고 살아가기 167
    임종 대처 이론은 어떻게 우리를 돕는가? 169

    제7장 임종에 대처하기: 개인이 도울 수 있는 방법 173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과 임종에 대처하는 한 가족을 도왔던 개인들 174
    임종에 대처하는 사람들을 도움: 인간적이고 전문적인 과제 175
    보살핌의 차원들 177
    신체적 차원 177
    심리적 차원 180
    사회적 차원 185
    영적 차원 186
    도움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서의 과제 188
    효과적인 의사소통 192
    도우미 돕기: 스트레스, 동정적 피로, 소진 및 자기돌봄 194
    희망 197

    제8장 임종에 대처하기: 지역사회가 도울 수 있는 방법 205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과 임종에 대처하는 한 가족을 도왔던 사회기관들 206
    임종에 대처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인식하고 대응하기 206
    호스피스 철학과 원칙들 209
    임종 대처자를 위한 네 가지 돌봄 프로그램 212
    급성치료: 병원 213
    장기 또는 만성치료: 장기요양시설 216
    가정간호: 가정간호 프로그램 220
    생애 말기 돌봄: 호스피스 프로그램 222
    호스피스 케어와 완화의료 230
    제도적인 반복 232

    [제4부] 사별 239
    제9장 상실과 비통에 대한 대처 241
    상실을 경험한 한 여자 242
    상실과 사별 243
    상실 244
    사별 245
    비통함 246
    비통함은 무엇인가? 246
    비통함은 어떻게 질병과 우울증, 죄책감과 연관되는가? 248
    비통함은 상실에 대한 지극히 정상적이고 건강한 반응인가? 249
    사별과 비통함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251
    애도: 적응 253
    애도에 대한 언어 253
    애도에 대한 해석 또는 이론 254
    애도: 국면과 임무를 포함한 해석 256
    애도의 국면 256
    애도 과정에서의 임무 260
    애도: 과정이 수반되는 해석 263
    지속적인 유대 263
    이중 과정 모델 265
    의미 재구성 266
    애도 과정의 설명과 중요한 특징 269
    애도: 잠재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경험 269
    정해진 종점 269
    성장과 변화의 기회 271
    비통, 애도 그리고 젠더 273
    비통, 애도 그리고 가족 274
    예견된 비통과 애도 276
    외상성 상실과 죽음 278
    복잡성 비애 반응 282

    제10장 상실과 비통에 대한 대처: 개인이 도움을 주는 방법 289
    애도에 잠긴 여인을 도운 사람들 290
    사별자에게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 291
    도움이 되지 않는 메시지들 293
    박탈된 비통과 애도 295
    반려 동물의 죽음 297
    도움이 되는 건설적인 제안들 301
    애도 과정의 임무를 통해 사별자 돕기 303
    인지적 임무로 돕기 304
    정서적 임무로 돕기 305
    행동적 임무로 돕기 306
    가치적 임무로 돕기 307
    사별자를 돕기 위한 일대일 개입을 촉진시키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 308
    비복잡성 비애를 촉진하기: 비통에 대한 상담 309

    제11장 상실과 비통에 대한 대처: 장례식과 공동체가 돕는 방식 321
    애도 과정의 여성에게 지원을 제공한 사회 기관 322
    생애 위기와 예식 323
    현대 미국 장례식의 전형적인 요인 326
    현대 미국에서 이뤄지는 장례식의 가치에 관한 반대 관점 333
    장례식과 관련된 세 가지 임무 334
    시신 처리 334
    죽음의 함축된 의미를 현실화하기 335
    재통합과 지속적인 삶 338
    묘지와 추모 활동의 선택 342
    장례업의 사후 돌봄 프로그램 344
    호스피스 프로그램에서 사별의 후속 조치 345
    사별자 지원 단체 346
    사별 지원 단체의 원칙과 실제 350
    사별 지원 단체의 내용 352
    단체 외부의 도움 354

    [제5부] 발달학적 관점 359
    제12장 아동 361
    한 아이와 죽음 362
    아동기, 발달단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쟁점과 죽음 362
    아동기의 죽음 363
    아동의 사망 363
    아동이 경험한 다른 사람들의 죽음 367
    아동기 죽음관련 개념의 발달 369
    마리아 나지의 연구 369
    마크 스피스와 샌도르 브렌트의 연구 371
    아동의 죽음 이해에 대한 몇 가지 의견 372
    아동기 죽음관련 태도의 발달 374
    죽음관련 게임 375
    시, 노래, 유머, 동화에 나타나는 죽음관련 내용 376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및 임종에 대처하는 아동 376
    병들어 죽어가는 아동의 불안 377
    정보습득과 자기개념의 변화 377
    병들어 죽어가는 아동의 쟁점 378
    사별과 비통함에 대처하는 아동 380
    사별한 아동의 쟁점 380
    사별한 아동의 애도방법 383
    아동이 죽음, 임종, 사별에 대처하도록 돕기 384
    일반적인 제안 385
    사전예방 프로그램 387
    아프거나 죽어가는 아동 돕기 392
    사별한 아동 돕기 395

    제13장 청소년 403
    죽음과 비통함에 직면한 고등학생들 404
    청소년기의 정의와 해석 405
    청소년기 초기, 중기, 말기의 발달과제 406
    청소년기의 죽음 407
    청소년기 사망자 수 및 사망률 408
    청소년 사망의 주요 원인 409
    청소년 사망의 두 가지 변인: 성과 인종 410
    청소년이 경험한 다른 사람들의 죽음 411
    청소년의 죽음관련 태도 412
    청소년기 죽음에 대한 이해 412
    청소년의 디지털 세계에 대한 참여 414
    청소년과 죽음에 대한 개인적 중요성 415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및 임종에 대처하는 청소년 417
    사별과 비통함에 대처하는 청소년 419
    청소년, 살인, 자살 421
    살인과 청소년 421
    자살과 청소년 424
    죽음과 사별에 대처하는 청소년 돕기 427
    교육과 사전준비 427
    죽음 이후 지지 및 지원 428

    제14장 청장년 437
    청장년기, 발달과제, 죽음 438
    청장년기의 죽음 439
    청장년기 사망자 수 및 사망률 439
    청장년기 사망의 주요 원인 441
    청장년기 사망의 두 가지 변인: 성과 인종 443
    청장년의 죽음관련 태도 443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및 임종에 대처하는 청장년 444
    청년층의 대처방법 444
    장년층의 대처방법 446
    사별과 비통함에 대처하는 청장년 447
    자녀의 죽음 450
    배우자, 인생의 동반자, 형제자매, 동료, 친구의 죽음 457
    부모나 조부모의 죽음 460

    제15장 노인 465
    사랑으로 가득찬 삶 466
    노년기, 발달과제, 죽음 467
    노년기의 죽음 471
    노년기 사망자 수 및 사망률 471
    노인 사망의 주요 원인 472
    노인 사망의 두 가지 변인: 성과 인종 473
    노인의 죽음관련 태도 474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 및 임종에 대처하는 노인 475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475
    자신의 삶을 결정 475
    자신의 삶이 여전히 가치가 있음을 확인 476
    적절한 건강관리 서비스 충족 478
    사별과 비통함에 대처하는 노인 478
    질병, 장애, 그리고 상실 479
    배우자, 인생의 동반자, 형제자매, 친구, 다른 중요한 동료의 죽음 480
    성인자녀의 죽음 481
    손자녀의 죽음 481
    애완동물이나 반려동물의 상실 481
    노인 자살 482

    [제6부] 법적, 개념적, 도덕적 쟁점 489
    제16장 법적 쟁점 491
    기증자 남편, 기증자 아버지 492
    미국 사회와 그 법규 493
    사전의료의향서(Advance Directive for Health Care) 495
    사망 선택 유언 495
    의료 문제에 있어서의 대리인의 지속적 위임장 497
    다섯 가지 소원 499
    사망의 정의, 결정, 사망진단서 500
    사망의 정의 500
    사망의 결정 502
    사망진단서: 사망진단, 검시관, 의료검시관 504
    장기, 조직 및 시신 기증 506
    배경: 조직유형 검사, 면역억제 및 장기 기증 506
    조직 기증 507
    시신 기증 510
    장기기증과 이식의 필요성 510
    누가 기증할 수 있는가 511
    기증 승인하기: 원칙과 절차 514
    장기와 조직 기증을 늘리기 위한 노력 516
    기증 시기와 그 이후에 있어서 가족 구성원에 대한 배려 521
    신체와 재산의 처분 524
    시신의 처분 524
    재산의 처분: 유언의 검인 525
    유언과 유언 부재 526
    신탁과 기타 유언 대체물 527
    재산과 상속세 528

    제17장 자살과 생명을 위협하는 행동 535
    두 건의 자살 536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536
    실비아 플라스 537
    자살: 개별성과 당혹감 538
    자살이란 무엇인가? 539
    자살행동에서의 몇몇 공통 유형들 540
    자살행동을 이해하거나 설명하려는 노력들 544
    자살의 심리학적 설명 545
    자살의 생물학적 설명 547
    자살의 사회학적 설명 547
    자살: 다수의 결정요인과 의미의 수준을 동반한 행위 550
    자살의 영향 550
    자살 개입 556
    자살의 도덕적 용인에 대한 종교적 견해 562
    유대교 562
    기독교 562
    이슬람교 563
    힌두교 563
    불교 563

    제18장 조력 자살과 안락사: 인간 생명의 의도적인 종결 569
    테리 시아보(Terri Schiavo) 570
    쟁점을 위치시키기 572
    인간 생명을 종결시키는 결정: 누가 행위하는가? 573
    조력 자살: 누가 행위하는가? 573
    안락사: 누가 행위하는가? 573
    인간 생명을 종결 시키는 결정: 무엇이 의도되는가? 575
    조력 자살: 무엇이 의도되는가? 575
    안락사: 무엇이 의도되는가? 578
    적극적 대 소극적 안락사 579
    일반적 대 특별한 수단 580
    인간 생명을 종결짓는 결정: 도덕적 주장 583
    의도적으로 인간 생명을 종결시키는 것의 지지에 관한 논쟁 584
    인간 생명을 의도적으로 종결시키는 것에 반대하는 주장들 586
    인간 생명을 종결짓는 결정: 몇 가지 종교적 관점 587
    유대교 588
    기독교 589
    이슬람교 590
    힌두교 591
    불교 592
    안락사, 조력 자살 및 사회 정책 593
    네덜란드에서의 안락사 관행과 입법 593
    조력 자살 입법과 오리건 주에서의 관행 596
    미래에 대한 전망 600

    제19장 삶에서의 죽음의 의미와 위치 605
    부처의 인간 경험에서의 죽음의 위치 606
    죽음의 의미 606
    인간의 유한성의 사실이 제기하는 질문들 606
    이러한 의문들에 대한 가능한 응답들 608
    죽음: 문인가? 벽인가? 609
    사후에 대한 대안적 이미지들 609
    내세에 대한(고대) 그리스의 통념 610
    몇몇 서구의 종교적 믿음 611
    몇몇 아프리카의 믿음 613
    힌두교도와 불교도의 믿음 614
    내세 이미지에 관한 공통적인 관심 617
    임사체험 618
    임사체험이란 무엇인가? 618
    임사체험의 의미를 해석하기 619
    인간 삶에서 죽음의 위치 621
    내세 이미지와 현재 여기에서의 삶 621
    죽음을 우회하거나 초월하려는 노력 622

    [맺음말] 627
    *부록 A: 어린이를 위해 고른 문학작품들 629
    책을 접하기 시작한 취학 전 어린이를 위한 그림책 629
    초등학생들을 위한 이야기와 글 633
    *부록 B: 청소년들을 위한 작품들 645
    중학생들을 위한 문학작품 645
    고등학생들을 위한 문학작품들 649
    *부록 C: 젊은 독자들을 위한 활동과 메모리북 653
    *참고문헌 657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 원서(번역서)명/저자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87425892
발행(출시)일자 2018년 05월 30일
쪽수 756쪽
크기
189 * 259 * 43 mm / 1512 g
총권수 1권
시리즈명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생사학총서
원서(번역서)명/저자명 Death & Dying, Life & Living/Corr, Charles A.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삶의 실력, 장자
이벤트
  • 교보 오리지널 오디오북 할인
  • 소설 할인 스테이션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