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역사의 원전

역사의 목격자들이 직접 쓴 2,500년 현장의 기록들 | 개정판 | 양장본 Hardcover
존 캐리 저자(글) · 김기협 번역
바다출판사 · 2021년 10월 31일
가장 최근에 출시된 개정판입니다. 구판보기
10.0
10점 중 10점
(15개의 리뷰)
도움돼요 (45%의 구매자)
  • 역사의 원전 대표 이미지
    역사의 원전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역사의 원전 사이즈 비교 180x243
    단위 : mm
01 / 02
MD의 선택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31,500 35,000
적립/혜택
1,750P

기본적립

5% 적립 1,7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7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1(화) 도착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역사의 원전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수상내역/미디어추천

“읽는 내내 소름 끼친다!”
역사의 목격자들이 생생하게 전하는 역사적 현장의 기록

2,500년 역사의 현장을 원전으로 직접 읽는다
900페이지, 약 100장의 현장감 넘치는 도판!
《역사의 원전》은 2,500년의 인류사를 총망라한 현장 기록, 역사의 크고 작은 사건을 직접 목격한 목격자들의 기록이다. BC 430년 아테네의 역병에 대한 투키디데스의 기록을 시작으로, 타키투스가 기록한 불타는 로마에 대한 기록,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의 처형 장면, 타이태닉호 침몰 장면, 아우슈비츠 가스실 현장 등 우리가 역사책 속에서 지식으로만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을 목격자들의 생생한 기록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해준다. 2,500년이라는 장구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발생한 ‘바로 그 시간 그 자리에 있던’ 현장의 기록 181개를 900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에 담은 것이다.
15년 만에 재발행되는 《역사의 원전》은 ‘가공되지 않은 역사’의 가치를 다시 한번 되짚고자, 각 사건의 장면을 담은 진귀한 도판 100여 장을 완전히 새롭게 추가하고 올컬러로 인쇄해 역사의 현장감을 더욱 높였다.

작가정보

저자(글) 존 캐리

John Carey
옥스퍼드대학 영어영문학과 명예 교수. 비평가, 출판평론가 및 방송인 등 여러 방면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시인 존 던, 에밀리 디킨슨, 소설가 윌리엄 새커리에 관한 연구서를 포함한 많은 저서가 있고, 최근의 저술로는 《지식인과 대중The Intellectuals and the Masses》이 있다.
영국 페이버 사에서 출간한 원전 시리즈(The Faber book)로 잘 알려진 그는, 바다출판사에서 출간한 《지식의 원전The Faber book of Science》으로 국내에 소개가 되었고, 이 외에도 유토피아 관련 선집인 《The Faber book of Utopias》 등을 엮었다.

번역 김기협

김기협

서울대학교 사학과에서 동양사 공부를 시작해 경북대학교에서 중국 고대천문학 연구로 석사학위를, 그리고 연세대학교에서 마테오 리치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집위원(과학분과),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중앙일보 문화전문위원과 한국과학사학회 편집위원을 지냈다. 박사학위 이후 전문연구에서 벗어나 문명사의 흐름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으며, 최근엔 중국 연변에 거주하며 한국사, 중국사, 한중관계사 정리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저서로 《미국인의 짐》 역서로 《중국도량형도집》 《바보만들기》 《가이아》 《반란의 천사들》(공역) 《용비어천가》(공역) 등이 있다.

목차

  • 서문 | 해설의 덧칠이 없는 순수한 현장 기록서 * 12

    1. 아테네의 역병 (BC 430) 투키디데스 * 25
    2. 페르시아에서 그리스 용병부대의 행군 (BC 401) 크세노폰 * 29
    3. 소크라테스의 최후 모습 (BC 399) 플라톤 * 35
    4. 불타는 로마 (64) 타키투스 * 43
    5. 예루살렘 포위 (70) 요세푸스 * 48
    6. 베수비오 화산의 폭발 (79) 소(小) 플리니우스 * 53
    7.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의 승천식 (211) 헤로디언 * 60
    8. 아틸라의 만찬 (450) 프리스쿠스 * 63
    9. 바이킹족의 장례 (922) 이븐 파들란 * 68
    10. 초록색 아이들 (1150) (뉴버그의) 윌리엄 * 73
    11. 토머스 베케트 살해사건 (1170) 에드워드 그림 * 76
    12. 리처드 1세의 포로 학살 (1191) 베하 에드딘 * 85
    13. 영국과 프랑스의 크레시 전투 (1346) 존 프루아사르 경 * 89
    14. 흑사병 (1348) 헨리 나이튼 * 99
    15. 남자 흉내 내는 여자들 (1348) 헨리 나이튼 * 104
    16. 긴느 성 탈취 (1352) 제프리 르 베이커 * 106
    17. 농민 반란 (1381) 존 프루아사르 경 * 109
    18. 아쟁쿠르 전투 (1415) 장 드 와브랭 * 127
    19. 베니스 사람이 본 노르웨이 어민들 (1432) 크리스토포로 피오라반티 * 138
    20. 남아메리카, 그 신세계의 모습 (1502) 아메리고 베스푸치 * 141
    21. 서인도제도에서 스페인인의 만행 (1513~20)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 146
    22. 카이로 거리의 당나귀 (1516) 존 레오 * 150
    23. 아즈텍인의 인간 제물 (1520) 호세 데 아코스타 * 152
    24. 파라과이의 스페인 사람들 (1537~40) 휠데리케 슈니르델 * 155
    25. 크랜머 대주교의 처형 (1556) 한 목격자의 기록 * 161
    26. 종교재판의 죄수들 (1568~75) 마일스 필립스 * 167
    27. 스페인 군대의 앤트워프 약탈 (1576) 조지 개스코인 * 186
    28. 캠피언 신부 일당을 체포하다 (1581) 정부 첩자의 보고 * 194
    29. 모잠비크 앞바다의 파선 (1585) 얀 하위헌 판 린스호턴 * 202
    30. 카이로의 런던 상인 (1586) 존 샌더슨 * 207
    31.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의 처형 (1586) 로버트 윙크필드 * 210
    32. 리벤지호의 마지막 전투 (1591) 얀 하위헌 판 린스호턴 * 215
    33. 북극 얼음에 갇힌 탐험대 (1596) 헤릿 더 페이르 * 220
    34. 런던탑에서 고문당한 예수회사 (1597) 존 제러드 * 228
    35. 자바섬의 영국 상인들 (1602) 에드먼드 스코트 * 239
    36. 버킹엄 공작 암살 (1620) 더들리 칼턴 경 * 247
    37. 뉴잉글랜드 상륙 (1620) 윌리엄 브래드퍼드 * 251
    38. 남편을 따라 죽는 인도 여인들 (1650) 장-바티스트 타베르니에 * 256
    39. 런던 대화재 (1666) 새뮤얼 피프스 * 262
    40. 격투를 좋아하는 영국인들 (1695) 미송 드 발부르 * 268
    41. 프랑스 갤리선상의 생활조건 (1703~4) 존 바이언 * 270
    42. 셸렌베르크 전투 (1704) M. 드 라 콜로니 * 277
    43. 영국식 투우 관전기 (1710) 차하리아스 콘라트 폰 우펜바흐 * 285
    44. 터키의 목욕탕 (1717) 메리 워틀리 몬터규 * 287
    45. 일식 (1724) 윌리엄 스투클리 * 290
    46. 프랑스인이 본 런던 무언극 (1728) 세자르 드 소쉬르 * 294
    47. 왕세자빈의 공주 출산 (1737) 허비 경 * 298
    48. 괴혈병 (1741) 리처드 워커 * 303
    49. 캘커타의 블랙홀 (1756) J. Z. 홀웰 * 306
    50. 에티오피아 왕의 분노 (1770) 제임스 브루스 * 313
    51. 옥스퍼드 뉴 칼리지의 크리스마스 (1773) 제임스 우드포드 * 316
    52. 개릭의 햄릿 연기 (1775)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리히텐베르크 * 318
    53. 고든 폭동 (1780) 조지 크래브 * 321
    54. 래닐러 (1782) 카를 필리프 모리츠 * 326
    55. 튀일리에 유폐된 루이 16세 (1790) 아서 영 * 330
    56. 샤토브리앙의 신세계 상륙 (1791) 프랑수아 르네 드 샤토브리앙 * 333
    57. 파리 여행 (1792) 리처드 트위스 * 335
    58. 나일강 전투 (1798) 존 니콜 * 338
    59. 외눈을 감는 넬슨 제독 (1801) 윌리엄 스튜어트 * 341
    60. 트라팔가르 1 (1805) 조지 브라운 중위 * 344
    61. 트라팔가르 2 (1805) 엘리스 중위 * 346
    62. 넬슨 제독의 죽음 (1805) 윌리엄 비티 * 348
    63. 엘긴마블스의 첫 참견 (1808) B. R. 헤이든 * 354
    64. 홀리사 전투가 끝난 후 (1808) (소총병) 해리스 * 357
    65. 영국군의 코루냐 후퇴 (1809) 로버트 블래키니 * 360
    66. 코루냐에서 포로로 잡힐 때 (1809) 찰스 네이피어 경 * 364
    67.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입성 (1812) 클로드 프랑수아 드 메느발 * 367
    68. 굴뚝소년의 죽음 (1813) 기록자 미상 * 372
    69. 니벨의 부상자 (1813) 로버트 블래키니 * 374
    70. 워털루 앞에서의 후퇴 (1815) W. B. 잉길비 * 378
    71. 워털루, 기동포병대의 활약 (1815) A. C. 머서 * 382
    72. 워털루, 결판의 순간 (1815) J. 킨케이드 * 386
    73. 공장의 근로조건 (1815) 엘리자베스 벤틀리 * 388
    74. 피털루 (1819) 새뮤얼 뱀퍼드 * 392
    75. 조지 4세의 퇴장 (1830) 아버스넛 부인 * 397
    76. 리버풀-맨체스터 철로 개통 (1830) 프랜시스 앤 켐블 * 400
    77. 맨체스터의 콜레라 (1832) 제임스 케이-셔틀워스 경 * 404
    78. 갈라파고스 군도의 새들 (1835) 찰스 다윈 * 407
    79. 빅토리아 여왕의 대관식 (1838) 찰스 그레빌 * 410
    80. 런던의 매춘부들 (1839) 플로라 트리스탕 * 413
    81. 버지니아에서 본 노예 매매 (1846) 엘우드 하비 * 417
    82. 뉴올리언스, 여성 노예의 처벌 (1846) 새뮤얼 그리들리 하우 * 420
    83. 이집트 에스나의 무희들 (1850) 귀스타브 플로베르 * 423
    84. 수정 궁전의 내부 (1851) 샬럿 브론테 * 428
    85. 패링던 채소시장 (1851) 헨리 메이휴 * 431
    86. 루이 나폴레옹 군대의 파리 진압 (1851) 빅토르 위고 * 435
    87. 일본인의 서양문명 접촉 (1854) 매슈 C. 페리 * 440
    88. 발라클라바 전투 (1854) 윌리엄 하워드 러셀 * 442
    89. 세포이 항쟁 1 (1857) 해블록 구원대의 한 장교 * 456
    90. 세포이 항쟁 2 (1857) 해블록 장군 * 458
    91. 캅카스의 단독결투 (1858) 알렉상드르 뒤마 * 460
    92. 링컨 대통령 암살 (1865) 월트 휘트먼 * 465
    93. 아크로폴리스의 달밤 (1867) 마크 트웨인 * 473
    94. 어느 이민자의 아메리카 횡단 (1879)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 479
    95. 타히티에서 폴 고갱의 결혼 (1892) 폴 고갱 * 481
    96. 목가적인 그리스-터키 전쟁 (1897) 리처드 하딩 데이비스 * 485
    97. 아트바라 공격 (1898) 조지 W. 스티븐스 * 488
    98. 옴두르만 전투 (1898) 윈스턴 처칠 * 494
    99. 스페인-미국의 엘 카네 전투 (1898) 제임스 크릴먼 * 503
    100. 빅토리아 여왕 최후의 여행 (1901) (덴비 백작부인) 시시 * 506
    101. 대서양을 건넌 최초의 무선전신 (1901) 굴리엘모 마르코니 * 509
    102. 상트페테르부르크, 피의 일요일 (1905) 가폰 신부 * 511
    103. 샌프란시스코 지진 (1906) 잭 런던 * 516
    104. 도버 해협 최초의 횡단비행 (1909) 루이 블레리오 * 522
    105. 크리펜 박사의 체포 (1910) H. G. 켄들 선장 * 524
    106. 시드니 스트리트의 농성 (1911) 필립 기브스 * 528
    107. 남극 탐험 (1912) 스콧 대령 * 532
    108. 타이태닉호 1 (1912) 해리 시니어 * 538
    109. 타이태닉호 2 (1912) 해럴드 브라이드 * 540
    110. 타이태닉호 3 (1912) D. H. 비숍 부인 * 543
    111. 어머니 장례식의 버나드 쇼 (1914) 조지 버나드 쇼 * 546
    112. 페르디난드 대공의 암살 (1914) 보리요베 예프티치 * 550
    113. 독일군의 브뤼셀 통과 행진 (1914) 리처드 하딩 데이비스 * 556
    114. 프랑스군의 사기 진작 (1914) E. L. 스피어스 준장 * 561
    115. 갈리폴리에 온 서퍽 농사꾼 (1915) 레너드 톰슨 * 563
    116. 백스터 병장의 무공훈장 (1915) 로버트 그레이브스 * 567
    117. U보트 202호의 공격 (1916) 아돌프 K. G. E. 폰 슈피겔 * 569
    118. 솜강 전투, 제21 부상자 구호소 (1916) 존 M. S. 워커 * 572
    119. 전장에 처음 나타난 탱크 (1916) 버트 체이니 * 575
    120. 서부전선의 새들 (1916) H. H. 먼로 * 577
    121. 독가스 (1917) 윌리엄 프레시 * 582
    122. 랑게마르크 전투 (1917) 에드윈 캠피언 본 * 584
    123. 마타 하리 처형 (1917) 헨리 G. 웨일스 * 589
    124. 상트페테르부르크, 겨울궁전 습격 (1917) 존 리드 * 593
    125. 브로츠와프 감옥 (1917) 로자 룩셈부르크 * 598
    126. 프랑스 기병대의 돌격 (1918) 윌리엄 프레시 * 600
    127. 니콜라이 2세 가족의 사살 (1918) 파벨 메드베데프 * 602
    128. 아라비아의 로런스 (1918) T. E. 로런스 * 605
    129. 베르사유 조약 조인 (1919) 해럴드 니컬슨 * 610
    130. 앙리 랑드뤼(푸른 수염) 처형 (1922) 웨브 밀러 * 616
    131. 독일의 인플레이션 (1922) 어니스트 헤밍웨이 * 620
    132. 인도의 비폭력 불복종 운동 (1930) 웨브 밀러 * 625
    133. 기아 행진 (1932) 월 해닝턴 * 630
    134. 독일 의사당 화재 (1933) D. 세프턴 델머 * 633
    135. 오시프 만델스탐의 체포 (1934) 나데즈다 만델스탐 * 638
    136. 이탈리아군의 아비시니아 원정 (1936) 코노발로프 대령 * 641
    137. 파시스트의 아디스아바바 진격 (1936) 허버트 매슈스 * 645
    138. 스페인 내전 1 (1937) 노엘 몽크스 * 648
    139. 스페인 내전 2 (1937) 조지 오웰 * 653
    140. 독일군의 뮤즈강 돌파 (1940) 에르빈 로멜 * 657
    141. 됭케르크 해안 (1940) 존 찰스 오스틴 * 661
    142. 해협 위의 공중전 (1940) 리처드 힐러리 * 666
    143. 북아프리카의 노획물 (1940) 앨런 무어헤드 * 673
    144. 진주만 기습 (1941) 존 가르시아 * 676
    145. 프린스오브웨일스호와 리펄스호의 침몰 (1941) * 세실 브라운 680
    146. 아우슈비츠 가스실 (1941) 소피아 리트빈슈카 * 686
    147. 다하우 수용소의 의학 실험 (1941~45) 프란츠 블라하 * 689
    148. 쿠알라룸푸르 함락 (1942) 이언 모리슨 * 695
    149. 봉쇄된 레닌그라드 (1942) 알렉산드르 A. 파데예프 * 698
    150. 우크라이나, 나치의 유대인 학살 (1942) 헤르만 그레베 * 701
    151. 엘 알라메인 (1942) 바이얼라인 장군 * 704
    152. 독일 병사가 본 스탈린그라드 (1942) 베노 지저 * 708
    153. 코르순 고지에서 독일군의 패주 (1943) 캄포프 소령 * 711
    154. 일본군의 연합군 장교 처형 (1943) 일본인 목격자 * 714
    155. 튀니지 상공의 독일 전투기 (1943) 앨런 무어헤드 * 718
    156. 전화(戰火) 속의 함부르크 (1943) 엘제 벤델 * 721
    157. 어떤 생일 (1944) 아그네스 뉴턴 키스 * 727
    158. D-데이 전날 (1944) 매슈 B. 리지웨이 장군 729
    159. D-데이 (1944) 어느 독일 사병 * 731
    160. D-데이 다음날 (1944) 제임스 G. 브램웰 * 734
    161. 독일군이 마주친 새 적(敵) (1944) 17SS 팬저 사단 참모요원 * 736
    162. 왱왱이 폭탄, 여덟 살 아이의 기억 (1944) 라이어널 킹 * 738
    163. 러시아군의 여름 공세 (1944) 알렉산더 베르트 * 742
    164. 비르케나우 수용소 (1944) 지기스문트 벤델 * 745
    165. 아헨 함락 (1944) 게오르그 무하 * 748
    166. 드레스덴 폭격 (1945) 마르가레트 프라이어 * 751
    167. 베를린 근교, 어느 영국군 포로의 종전 (1945) 노먼 노리스 * 758
    168. 베를린 함락 (1945) 클라우스 푸어만 * 764
    169. 나가사키 (1945) 윌리엄 T. 로런스 * 771
    170. 히로시마 방문 (1945) 마르셀 쥐노 * 781
    171. 열 명의 나치 전범 처형 (1946) 킹스베리 스미스 * 784
    172. 호텔에서 내려다 본 스탈린그라드 (1949) 존 스타인벡 * 794
    173. 한국전쟁 1 (1950) 레지널드 톰슨 * 797
    174. 한국전쟁 2 (1950) 레지널드 톰슨 * 799
    175. 한국전쟁 3 (1950) 르네 커트포스 * 803
    176. 토끼사냥 (1952) 조 애컬리 * 806
    177. 베트남전쟁 1 (1965) 개빈 영 * 809
    178. 베트남전쟁 2 (1967) 존 필거 * 814
    179. 베트남전쟁 3 (1968) 《타임》 특파원 * 817
    180. 참전용사 행진, 워싱턴 DC (1971) 존 필거 * 820
    181. 차틸라 학살 (1982) 로버트 피스크 * 822

    역자 후기 | 동시대의 기록, 후대의 사료 * 827

추천사

책 속으로

그해에 이 병을 빼놓고 질병이 유난히 없었다는 사실은 모든 사람들이 동의하는 바다. 어떤 병이라도 걸린 사람은 모두 이 병으로 옮겨 갔다. 혹은 건강하던 사람도 아무런 분명한 이유 없이 갑자기 이 병에 걸렸다. 처음에는 머리에 몹시 열이 나고 눈에 충혈과 염증을 일으키며 입안, 혀와 목구멍 양쪽 다 핏빛으로 붉게 변하고, 숨에서 부자연스럽고 고약한 냄새가 나게 된다.
-〈아테네의 역병〉, 본문 25쪽

바닷물이 해안에서 멀리 빠져나가자 많은 바다 동물들이 마른 모래밭에 널려 있었다. 육지 방향에서는 삼지창 모양으로 꿈틀대는 불길로부터 무시무시한 연기기둥이 솟아올랐다. 헤쳐질 때마다 거대한 혓바닥처럼 날름대는 불길을 드러내는 것이 마치 번갯불을 확대시켜 놓은 것 같았다.
-〈베수비오 화산의 폭발〉, 본문 57쪽

이스트 앙글리아에 한 마을이 있는데, 축복받은 왕이자 순교자 에드먼드의 고귀한 수도원으로부터 4~5마일 떨어진 곳이라 한다. 마을 근처에 ‘울피트’라 불리는 오래된 동굴이 몇 있다. 영어로 ‘늑대굴’이라는 뜻이고 이웃의 마을 하나[울펫]는 여기서 이름이 나왔다.
-〈초록색 아이들〉, 본문 73쪽
‘리저드로부터 130마일 지점…… 런던 지하실 살인사건의 범인 크리펜과 그 공범이 1등 승객 중에 있지 않나 하는 의심이 매우 강하게 듦……(생략)…… 공범은 소년으로 분장하고 있으나 목소리, 태도, 체격이 여성임에 틀림없음.’
-〈크리펜 박사의 체포〉, 본문 525-526쪽

됭케르크는 이제 검은 물감과 붉은 물감만으로 그린 연습작품 모양이었다. 불길, 연기, 그리고 밤 그 자체가 뒤얽혀 죽음과 파괴의 무시무시한 풍경을 빚어내고 있었다. 온통 적과 흑이었다. 왼쪽 오른쪽 몇 마일 밖, 칼레와 니외포르의 해안포대에서 이 도시로 대형 포탄을 쏘아 올리는 하얀 빛이 이따금씩 번득여 변조(變調)를 만들어줄 뿐이었다.
-〈됭케르크 해안〉, 본문 664-665쪽

얼마 지나자 물에 가라앉을 것 같았다. 너무나 추웠다. 어떤 종류인지 보트 하나가 가까이 있는 것을 보고 전력을 다해 그리로 헤엄쳐 갔다. 엄청나게 힘들었다. 거의 탈진한 상태에서 손 하나가 보트 위에서 뻗쳐와 끌어올려줬다.
-〈타이태닉호 2〉, 본문 542쪽

출판사 서평

“읽는 내내 소름 끼친다!”
역사의 목격자들이 생생하게 전하는 역사적 현장의 기록

2,500년 역사의 현장을 원전으로 직접 읽는다
900페이지, 약 100장의 현장감 넘치는 도판!

《역사의 원전》은 2,500년의 인류사를 총망라한 현장 기록, 역사의 크고 작은 사건을 직접 목격한 목격자들의 기록이다. BC 430년 아테네의 역병에 대한 투키디데스의 기록을 시작으로, 타키투스가 기록한 불타는 로마에 대한 기록,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의 처형 장면, 타이태닉호 침몰 장면, 아우슈비츠 가스실 현장 등 우리가 역사책 속에서 지식으로만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을 목격자들의 생생한 기록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달해준다. 2,500년이라는 장구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발생한 ‘바로 그 시간 그 자리에 있던’ 현장의 기록 181개를 900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에 담은 것이다.
15년 만에 재발행되는 《역사의 원전》은 ‘가공되지 않은 역사’의 가치를 다시 한번 되짚고자, 각 사건의 장면을 담은 진귀한 도판 100여 장을 완전히 새롭게 추가하고 올컬러로 인쇄해 역사의 현장감을 더욱 높였다.


날것 그대로를 기록한 역사의 가치
무엇이 진짜 역사인가? 무엇이 가공되지 않은 실제 사건인가?

흔히 르포르타주란 보고기사(報告記事) 또는 기록문학으로 흔히 ‘르포’라고 줄여 말하는 장르다. 하지만 이 책에서만큼은 ‘르포’라는 단순한 개념보다는 ‘현장 목격 문학’으로 좀 더 규모 있게 바라보는 것이 옳을 듯하다. 이 책을 엮은 존 캐리는 “르포르타주란 목격자가 기록한 것이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구경꾼, 여행가, 살인자, 희생자, 기자 등 다양한 필자들의 기록을 선별했다. 기록물의 특성답게 글쓰기를 전업으로 하는 작가들만이 아니라 순수 아마추어들의 온전한 기록이라는 점 등도 이 책의 가치를 한결 높인다. 플라톤, 투키디데스, 마크 트웨인, 샬럿 브론테 등과 같은 철학자나 문인과 함께, 전쟁에 참전한 소총병, 우연히 사건을 목격한 행인 등의 희로애락이 담긴 주관적 언급도 필수 불가결하게 드러난다. 이것이 이 책의 원전들이 일반 르포기사와는 뚜렷이 다른 목격 문학의 틀을 갖춘 점이다.
세계사 과목 암기의 대상으로 익숙했던 백년전쟁, 워털루전쟁, 프랑스 대혁명, 세계 양차 대전과 같은 대사건도, 막상 그로 인해 피와 눈물과 땀을 뿌려야 했던 실제 현장 속 주인공들의 증거 기록으로 만나게 되면 180도 전혀 다른 역사의 체화를 경험하게 된다. 그런가 하면 검은 스타킹에 모피 코트를 입고 당당히 사형장으로 걸어간 희대의 여성 마타 하리의 처형 장면(p.631), 독배를 마시고 온몸이 경직되는 소크라테스가 “수탉 한 마리 값을 치르지 않은 게 있으니 꼭 갚으라”고 제자들에게 부탁하는 최후(p.41), 원자폭탄을 싣고 나가사키로 향하는 폭격기 비행사가 폭탄투하 직전 동료와 나누는 아이러니한 대화(p.774) 등 인간과 삶과 역사라는 관계의 존재성을 다시금 되짚어보게 만든다.
역사 교과서에 소개될 법한 유명 사건 외 무명 기록자들의 사사로운 목격은 흔치 않은 읽을거리다. 토끼사냥에 맛을 들여가면서 ‘살해’라는 순결의 상실에 길들여지는 한 아이를 관찰한 기록(p.806), 쿠알라룸푸르 함락의 날 먹을 것을 찾으러 혈안이 되어 있던 한 걸인에게 발견된 깡통 속에서 튀어나온 슐레징어 테니스공(p.696) 등 소소한 하나의 장면이나 시선 등을 리얼하게 묘사한 기록에서도 또 다른 독서의 매력을 느끼게 된다. 역사는 이처럼 별것 아닌 시선 하나하나가 모여 진행된 것에 다름 아닐 테니까.


그때, 그곳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역사를 가능케 하는‘현장 기록’의 원전

“내 죽음은 고통이 아니거늘 왜 소란이냐.” 죽음의 문턱 앞에 이른 소크라테스는 울며 매달리는 제자들에게 오히려 호통을 친다.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할 때 불구덩이를 피하는 사람들 속에서 자연현상을 관찰하다 화산재에 매몰되어 죽은 대(大) 플리니우스, 남편이 죽으면 따라 죽는 풍습에 순응했던 인도 여인들, 멕시코에서 종교재판의 죄수들로 끌려온 영국인들의 처절한 고문담, 여자들이 발가벗고 목욕을 하러 가도 별 신경을 쓰지 않는 순수 그 자체의 노르웨이 어민들, 거의 승리해가는 마지막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은 넬슨 장군의 최후는 조선 이순신의 그것과 너무나도 흡사하고, 신사의 나라로 정평이 난 영국 남자들이 매춘부를 어떻게 대하는지 적나라하게 고발한 프랑스인의 기록 등등…….
타이태닉호 침몰 순간, 구명정 보트에 탄 1급 귀족들은 보트에 자리가 넉넉함에도 바다 위에서 허우적대는 사람들을 구하러 가지 않았고, 나가사키로 원자폭탄을 떨어뜨리는 사명을 안고 비행 중인 미국인 조종사는 “이 한 방으로 전쟁이 끝났으면……” 하고 중얼거린다. 2차 대전 종전 후, 나치 독일을 이끌었던 10명의 전범들이 하나하나 교수형을 당하는 현장을 숨 막히게 담아낸 미국 기자의 보고, 월남전에서 친구가 된 베트남 소년을 죽음으로 떠나보낸 미국 병사, 한국전쟁 때 총 맞아 죽은 어미의 저고리를 헤쳐 젖을 무는 한 아기의 모습 등……. 《역사의 원전》은 어떤 소설책에서도, 어떤 역사책에서도, 어떤 회고록에서도 볼 수 없는, 혹은 그것들을 죄다 아우르는 독서의 즐거움을 충분히 전달해줄 것이다.

이제 경직이 사타구니에 이르렀을 때, 그때까지 얼굴을 덮고 있던 이불을 치우며 그분께서 말씀하셨다네. 이 세상에서 남기신 마지막 말씀이셨지. “크리토여, 우리가 이스쿨라피우스에게 수탉 한 마리 값을 치르지 않은 것이 있다네. 잊지 않고 갚아주기 바라네.”
-온몸에 독기가 퍼져나가는 소크라테스가 죽기 전 마지막으로 한 말

그 흔쾌한 태도는 슬픔보다 기쁨을 느끼는 사람 같았다. 옷을 벗기는 데 협조적인 동작을 취했고, 벗겼던 토시를 손수 도로 꿰는 데는 그 서두르는 품이 마치 어서 떠나기를 바라는 사람 같았다. 즐거운 미소까지 지으며 이런 말을 했다. “이렇게 옷을 벗겨 주는 서방도 가진 적이 없었고, 이렇게 여러 사람이 보는 앞에서 옷을 벗어본 적도 없었다.”
-스코틀랜드 여왕 메리의 처형 직전

그 가엾은 여인들이 살해당한 것은 15일, 우리가 교량에서 반도들을 격퇴시킨 뒤였습니다. 그들의 살해를 명령한 두목 놈은 그저께 포로로 잡혔고, 지금은 길에서 200야드 벗어난 위치의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습니다. 밧줄 매듭을 잘못 매어서, 그가 떨어질 때 올가미가 그의 턱에 걸렸습니다. 두 사람이 그의 다리를 하나씩 붙잡고 목이 부러질 때까지 잡아챘습니다. 야만스러운 범죄에 대한 이 지상에서의 보답으로 합당한 것이었다고 제게는 생각됩니다.
-인도 ‘세포이 항쟁’ 당시, 영국 부녀자를 살해한 인도인을 처벌하는 모습

나는 비상갑판으로 달려 올라가 고무보트 하나를 중간갑판으로 던져 내리는 일을 거들었다. 이탈리아 여자 하나가 아기 둘을 안고 있는 것을 보고 아기 하나를 받아 안고 여자에게 바다로 뛰어들게 한 다음 나도 아기를 안은 채 물로 뛰어들었다. 수면 위로 올라와 보니 안고 있는 아기는 죽어 있었다.
-타이태닉호 침몰 당시 어느 화부(火夫)의 기록

지금 이 순간에는 목표로 선정된 몇 개의 도시 중 어느 것이 사라지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일본 상공의 바람이 결정을 내려줄 것이다. 만일 두터운 구름을 우리의 일차 목표지 위에 데려다 놓는다면 그 도시는 살아남을 것이다. 적어도 오늘은. 그 도시의 주민들은 얼마나 고마운 운명의 바람이 자기네 머리 위로 지나갔는지 영원히 모를 것이다. 그러나 바로 그 바람이 다른 도시 하나에는 재앙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나가사키 투하 직전, 원자폭탄을 실어 나는 비행기 조종사의 기록


편저자의 ‘문헌 수집력’과 편역자의 ‘역사 지식’의 결합

《역사의 원전》이라는 두툼한 책 한 권을 완성시킨 것은 당연히 본문 역할을 하는 원전들 그 자체지만, 이 책에 또 하나의 가치를 부여한 것은, 바로 수많은 원전을 골라 엮은 편저자와, 그리고 국내판으로 옮기면서 번역과 동시에 원전 해설까지 맡은 편역자의 힘이다.
이 책을 구성하는 수많은 역사 원전들을 긴 세월에 걸쳐 찾아내고, 걸러내는 작업을 성공시킨 주인공은, 역시나 《지식의 원전》의 엮은이였던 옥스퍼드대 영문학과 명예교수 존 캐리다. 그는 국가나 언어권을 제한하지 않고 서양사 전체를 총망라하여 태산같이 쌓인 원전들을 수집하고, 검토하고, 선별했다.
존 캐리 교수는 이 책의 서문에서, 현장기록 원전을 선별했던 기준을 굉장히 흥미롭게 소개하고 있다. 가령, 글을 잘 쓰고 못 쓰고의 여부는 전혀 중요치 않다고 전제하며, 단 ‘정말 내 눈으로 직접 봤다’고 할 만한 믿을 수 있는 기록자의 신뢰성에 바탕을 두고 책에 실을 원전들을 뽑았다. 그리고 사건 현장의 다급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빠르고 숨이 차며, 단순하지만 사실감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는 문체의 힘이 팽배한 글들도 그의 손에 걸려든 원전들이다.
영국판 원서에는 원전마다 한 문장의 해설 또는 그마저도 없이 실려 있다. 국내판 작업에 앞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특별히 국내의 대표적인 역사학자 겸 번역가인 김기협 선생이 번역과 함께 원전의 역사적 배경 설명을 해설해주는 편역자로 참여했다. 이는 교양으로서의 역사 읽기, 독서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양의 지평을 충분히 넓혀주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의 몫으로 작용할 것이라 믿는다.
그리하여 어쩌면 이 책 《역사의 원전》은, 당시 기록자들의 사실 목격담과 더불어, 후대 인물인 편저자와 편역자의 해설을 통해 시대에 따른 역사관의 변화된 양상까지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고도 볼 수 있다. 흔히 ‘손가락을 보지 말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달을 보라’고 하지만, 이 책의 편역자는 ‘달보다는 가리키는 손가락을 들여다보는 것’ 즉 역사를 바라보는 ‘방법’ 그 자체에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원전의 독자들에게 주문하고 있는 것이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원서(번역서)명/저자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66890369
발행(출시)일자 2021년 10월 31일
쪽수 834쪽
크기
180 * 243 * 56 mm / 1804 g
총권수 1권
원서(번역서)명/저자명 The Faber book of reportage/John Carey

Klover 리뷰 (15)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10점 중 10점
10점 중 10점
100%
10점 중 7.5점
0%
10점 중 5점
0%
10점 중 2.5점
0%

45%의 구매자가
도움돼요 라고 응답했어요

27%

집중돼요

45%

도움돼요

9%

쉬웠어요

0%

최고예요

18%

추천해요

10점 중 10점
/추천해요
어렵지만 잘 읽겠습니당
10점 중 10점
/최고예요
책이 엄청 두껍네요. 유익한 내용이 많을 것 같아 기대됩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잘읽겠습니다.감사합니다.
10점 중 10점
/도움돼요
2500년 역사의 현장 기록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교보에가서 두께에 놀라고 알찬 내용에 두번 놀랐네요 잘보겠습니다.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찰스 다윈의 비글호 항해기, 안네의 일기 등의 일지류 책을 좋아한다면 정말 추천드립니다.
10점 중 10점
/도움돼요
다큐를 책으로 읽는 기분
하지만 다큐보다 생생하고 더 사실적임
10점 중 10점
/쉬웠어요
읽고싶었던 책이라고 딸아이가 요청.
구매해줬네요.
채뾰지도 예쁘네요.
10점 중 10점
/추천해요
사건사를 좋아해서 구입했는데 재밌네요
10점 중 10점
/도움돼요
내용이 유익합니다~

문장수집 (3)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역사의 원전
굶주림이 맛있게 만들어 주지 못하는 음식이 어디 있단 말인가?
역사의 원전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