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문학평론
차선일 엮음 · 이헌구 저자(글)
지식을만드는지식 · 2015년 07월 06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이헌구 평론선집 대표 이미지
    이헌구 평론선집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이헌구 평론선집 사이즈 비교 128x188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5,020 27,800
적립/혜택
270P

기본적립

1% 적립 27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27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3(목)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카프에 맞서 해외문학파의 입장을 대변하던 논객 이헌구의 대표 평론을 엮었다. 이헌구는 국수주의에 빠진 국민문학과 서구주의에 편향된 카프문학을 비판하며 민족문학의 주체성과 세계화를 도모하는 길을 제시했다.

이 책의 총서 (43)

작가정보

저자(엮은이) 차선일은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태원 문학의 미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경희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수학하며 근대 탐정소설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최근 범아프리카문화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소속되어 비서구 문학과 한국문학의 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저자(글) 이헌구

저자 이헌구는 소천(宵泉) 이헌구는 1905년 5월 12일(음력 4월 7일) 함경북도 경성군 동면 양견동에서 태어났다. 고려 후기의 문신인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20대손으로 외동아들이기도 했다.
1916년 아버지가 재직하는 광진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0년 독학으로 중동학교에 입학한다. 뒤처진 학업 과정을 따라잡아 반년 만에 과정을 마치고 같은 해 보성고등보통학교에 편입한다. 그러나 이듬해 장티푸스에 걸려 요양을 위해 귀향하는데, 고향에서 휴식을 취하며 사설 학원인 양견의숙(良見義塾)에서 한 달 정도 교원 생활을 하기도 했다. 1923년 3월 상경하여 학업을 재개하는데, 이때 ≪동아일보≫ 현상 공모에 동요가 당선되어 문단에 이름을 올렸다.
등단 후 문단 활동을 펼치기보다는 서클이나 연구회를 조직하는 등 실천적인 문화운동에 주력했다. 사실 그는 이미 1922년 고향에서 17세 이하의 소년들로 구성된 ‘영천소년회(英泉少年會)’를 조직하여 아동 운동에 힘을 쏟으면서 문화운동가로서 조숙한 능력을 발휘했다. 1925년 도일하여 와세다 대학 문과대학에 입학한 뒤에도 대학 내 ‘아동예술연구회’에 가입하여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28년 유학 중 김진섭, 이하윤, 정인섭 등과 함께 조직한 ‘외국문학연구회’는 훗날 그를 ‘해외문학파’로 규정하는 근거가 된다. 이외에도 그는 1927년 김진섭, 이하윤, 정인섭 등과 함께 ‘백광회’를 조직하고, 정인섭과 함께 동요·동극 단체 ‘녹양회’를 결성하고, 함대훈, 이홍종, 이동석과 어울려 ‘신흥과학연구회’ 등을 만들며 열성적으로 문화운동을 주도한다.
1928년 와세다 대학 학부에 진학하여 불문학을 전공한다. 1931년 에밀 졸라의 ≪제르미날≫을 다룬 <사회학적 예술비평>을 졸업 논문으로 제출한다. 같은 해 귀국하여 ≪동아일보≫에 발표한 <사회학적 예술비평의 발전>은 논문의 서론을 수정한 것인데, 이 글이 본격적인 비평 활동의 출발점이 된다. 이헌구의 초기 비평은 문학과 사회의 관계를 천착하며 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본격적인 비평 활동과 병행하여 이헌구는 여전히 각종 단체를 조직하는 활동을 벌이는데, 대표적인 예가 1931년 서항석, 유치진, 이하윤 등과 함께 ‘극예술연구회’를 조직하고 최초의 연극 전문지 ≪극예술≫을 창간한 것이다.
일제 말기 이헌구는 창씨개명[창씨명은 나키야마 노키쿠(牧山軒求)]을 하고 태평양전쟁을 찬양하고 전시 동원을 독려하는 몇 건의 친일 문건을 발표한다. 이 시기 생계를 위해 화랑을 개업하기도 했다. 해방 이후에는 중앙문화협회, 전조선문필가협회,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등에 창립 회원으로 참여하며 문학의 단체 활동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민주일보≫, ≪민중일보≫ 등 해방 공간에 설립된 주요 언론사의 편집인, 편집국장 등을 맡기도 했다. 해방된 그해에는 ≪해방기념시집≫을 간행하고 서문을 쓴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이후 이헌구는 반공주의에 기초한 구국 운동을 주장하는 논설을 발표한다. 남한 문단에서 그의 정치적·문화적 입장은 자유에 대한 옹호로 표명되는데, 이는 그의 주요 비평적 활동 무대가 ≪자유문학≫인 것과 연관된다. 반면 ≪현대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또 다른 우파 문단과는 교류가 적었고 자연스럽게 평단의 중심과는 멀어졌다. 예전에 쓴 평문들을 모아 1952년에 ≪문화와 자유≫, 1965년에 ≪모색의 도정≫으로 출간하며 비평 활동을 결산했다. 분단 체제가 성립한 이후 그의 문학 활동은 비평보다는 수필 창작에 집중되는데, 이 시기에 발표한 주요 수필들이 ≪미명을 가는 길손≫(1973)과 편저인 ≪정서와 생활≫(1973)에 수록된다.
1954년에 이화여대 문리과 교수로 취임하고, 같은 해 문리과 대학장이 된다. 또한 그해 10월 23일 변영로, 이무영, 주요섭, 김광섭, 모윤숙 등과 공동 발기로 국제펜클럽 한국 본부를 정식 발족하고, 1956년과 1957년에 국제펜클럽 회의에 참석한다. 1960년에 ≪자유문학≫ 편집을 맡고, 1973년에 대한민국 예술원 공로상을 수상한다. 1977년 김광섭의 부음 소식에 충격을 받고 병석에 눕게 된 이후 투병 생활을 계속하다 1983년 1월 4일 별세했다. 1988년 이헌구의 비평문학상이 제정되었다.

목차

  • 社會學的 藝術批評의 發展
    外國 文學과 朝鮮 文壇
    푸로 文壇의 危機
    文學 遺?에 對한 맑스主義者의 見解
    ≪海外文學≫ 創刊 前後
    非常時 世界 文壇의 新動向
    앙드레·지이드의 人間的 放浪
    朝鮮 演劇 史上의 劇硏의 地位
    行動 精神의 探照
    蕭條한 一九三五年의 評壇
    朝鮮 演劇 運動에 對한 一小論
    貧困한 精神 狀態
    評壇 一年의 回顧
    朝鮮 映畵人에게?素朴한 啓蒙的 數言
    國際 文化와의 交流 問題?佛文學·映畵와 朝鮮
    大戰이 나흔 文學
    文學의 ?事詩 精神
    自由의 擁護?自由主義 批判에 對하여
    民族文學 精神의 再認識
    解放 記念 詩集을 내며
    佛蘭西 文化의 近代的 性格
    散珠片片?나의 文壇 回顧錄
    散珠片片?續·나의 文壇 回顧錄

    해설
    이헌구는
    엮은이 차선일은

책 속으로

그러나 내가 여기에서 特히 關心하며 注意하는 바는 어떠한 態度와 立場에서 過去의 外國 文學(自國의 文學에 있어서도 同一하다)을 鑑賞 批判할 것인가이다. 다만 漠然하게 文學은 人生 生活의 그 어느 反映이라거나 그 어느 階級人의 心理 描寫라는 外部的 感官만을 通해서 볼 것이 아니요, 더 깊이 그 속에 具現된 人間 心理의 緻密한 描寫·呼訴·엑스터시와, 또는 그때 社會 人間의 對外部的(支配階級 또는 被支配階級) 活動 如何를 感受할 수 있는 藝術的 感興의 所持者인 同時 그 自身이 그 作品, 또는 그 思潮를 鑑賞·批評하는 데 있어서 恒常 自己의 生活하는 社會와의 關聯을 忘却하지 않는 人間이어야 할 것이다.
―<外國 文學과 朝鮮 文壇>

經濟的 逼迫에서 生活의 機會를 喪失한 수많은 人間, ? 民衆이 있는 反面에 生活 能力 以上으로 物質的 享有에 專進하려는 現象이 나날이 늘어 가는 傾向이 一部에 擡頭되어 온다. ? 부르조아의 安逸된 物質의 世界에 對하여 賢明하여야 할 인텔리겐차가 그 地位를 轉換시키려는 燥急 속에 苦憫하고 있다.
―<行動 精神의 探照>

출판사 서평

‘한국평론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평론을 대표하는 주요 평론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국민문학파의 민족문학과 카프의 계급문학으로 양분되어 있던 1920년대 조선 문단에 당당하게 등장한 ‘해외문학파’, 그 중심에 비평가 이헌구가 있었다.
해외문학파는 1926년 동경에서 외국문학연구회가 결성되고 이듬해 1월에 ≪해외문학≫이 창간되면서 활동의 근거지가 마련되자 문단의 중심 세력으로 부상했다. 특히 이헌구는 1932년 1월 ≪조선일보≫에 <해외 문학과 조선에 있어서 해외 문학인의 임무와 장래>(<외국 문학과 조선 문단>로 개제)를 발표해 임화 등 카프 문인과 ‘해외문학파 논쟁’으로 설전을 벌이며 비평가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카프 문인은 ‘해외문학파’를 한낱 외국 문학을 기계적으로 소개하는 중개상 노릇이나 하는 반동적 부르주아에 불과하고 더욱이 어떤 주의나 사상도 없는 조직이라고 비난했지만, 정작 ‘해외문학파’가 내건 명분과 사상은 국수주의에 빠진 국민문학과 서구주의에 편향된 카프문학을 모두 비판하며 민족문학의 주체성과 세계화를 도모하는 길을 제시한 것이었다.
이헌구는 당대에 이미 ‘해외문학파’의 이론적 대변자로 활약했지만, 이후 문학사적 평가에서도 ‘해외문학파’의 유일한 이론가로 이름을 남겼다. 여기서 우리는 ‘해외문학파’의 대변인으로서의 이헌구와 독자적인 비평가로서의 이헌구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즉 이헌구는 ‘해외문학파’의 사명과 이념을 공유하면서도 남다른 비평적 입장을 견지하며 차별화되는 면모를 보여 주었다. 문학예술의 사회적 성격과 역할에 두드러진 관심을 표명한 것이다. 그는 외국 문학작품을 수용하여 읽고 감상할 때 독자가 생활하는 현실과의 관련성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그의 주장은 문학예술의 사회적 책무를 강조하면서 근본적으로는 민족문학 건설의 주체적 태도를 견지하기 위함이었다.
외국 문학 연구자로서 이헌구는 외국 문학에 대한 지식과 그 번역이 민족문학의 토양을 두텁게 하는 교양이 된다고 여겼다. 교양주의자로서 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이러한 교양을 현실 속에서 실천하는 행동주의를 표방했다. 문학의 사회적 책무는 교양으로서의 지식이나 번역의 수준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민중의 현실 속으로 파고들어 행동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이헌구가 외국문학연구회를 비롯하여 영천소년회, 아동예술연구회, 백광회, 색동회, 신흥과학연구회, 극예술연구회 등 수많은 회합을 조직하고, 세계아동미술전람회나 연극 공연을 기획하는 등 대중적 문화운동에 열성적으로 뛰어든 것은 바로 ‘행동하는 교양’을 몸소 실천하기 위함이었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30457741
발행(출시)일자 2015년 07월 06일
쪽수 386쪽
크기
128 * 188 mm
총권수 1권
시리즈명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문학평론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