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내역/미디어추천
- 전문기관 추천도서 > 세종도서 우수교양도서 > 2006년 선정
작가정보
지은이 김연갑
1954년 충북 청원생
(재)국제한국연구원 기획실장
(주)한국문화정보 조사부장
사운연구소 연구부장
현 국가상징연구회 연구위원
현(사)한민족아리랑연합회 상임이사
현<아리랑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사무국장
현<아리랑세계화위원회> 사무총장
편·저서
민족의 노래 아리랑(86, 현대문예사)
한국·한국인(87,현대문예사)
아리랑-그맛, 멋, 그리고.....(88, 집문당)
팔도아리랑기행(94, 집문당)
애국가이야기(97, 청송출판사)
진도아리랑(95,범우사·박병훈·김연갑 공편)
정선아리랑(95, 범우사, 김연갑·김병하 공편)
아리랑이 보고 싶다(99, 미래출판사)
아리랑환타지(99, 미래문화사)
애국가작사자연구(00, 집문당)
북한아리랑연구(02, 청송)
논문
아리랑 역사성과 통일성 (90,통일원)
애국가의 민요론적 접근 시론(민요론집 94)
북한의 아리랑실상과 의미(2001.미래출판사)외 다수
정선아리랑제(06, 강원민속학회)
국가 애국가의 역사성과 정통성 연구(‘06 토론회)
외 다수
주요 방송 진행·집필
고대유리의 비밀-리포터(94 KBS 1TV)
직지의 비밀-집필(95 KBS 1TV)
아리랑 대탐험-집필(00년 1월~12월·KBS·R)
우리노래 기행-집필(00년 10월~2001년 10월 BBS)
아리랑의 재발견 3부작-집필(04 국악방송)
영남의 아리랑-집필(06 대구KBS-R)
역사를 찾아서- 진행(KBS-R 현)
아리랑을 찾아서-해설(삼척MBC-R 현)
애국가의 재발견 3부작-집필(삼척MBC-R)
주요 아리랑축제 기획
02‘통일아리랑축전(02년/서울 인사동)
03'6.15남북 공동성명 2돐기념 음악회(인사동)
99~02 지역축제와 도시축제의 만남(정선·밀양·진도)
‘06 D M Z아리랑한마당(6월 예정)
주요 음반 공동기획·해설·음원제공
한반도아리랑(신나라레코드)
북한아리랑 (신나라레코드)
일본으로 간 아리랑(신나라레코드)
한반도아리랑(신나라레코드)
다시 찾은 아리랑(신나라레코드)
탄생대구아리랑(신나라레코드)
3대가 부르는 진도아리랑(신나라레코드)
3대가 부르는 정선아리랑(신나라레코드)
아리랑교향곡(신나라레코드)
본조아리랑의 수수께끼(신나라레코드)
아리랑 랑낭(신나라레코드)
겨레의노래 아리랑(중앙대학교)
3대명창 정선아라리(신나라)
북한명창 아리랑전집(신나라)
신문연재
그것은 정설인가?(87년 스포츠서울)
한국의 명저(91년 스포츠조선)
한국의 최초(93년 스포츠서울)
김연갑의 우리노래 찾기(02-현 국악신문)
목차
- 머리말|다시 정선아리랑과 함께
Ⅰ. 문제 제기
Ⅱ. 정선과 정선아리랑
1. 정선의 인문지리
1) 군명과 군역
2) 주요 산과 지명
2. 정선아리랑의 실상과 위상
1) 후렴
2) 음곡
3) 사설
4) 기능
5) 확산 경로
3. 정선아리랑의 특징
4. 정선아리랑의 위상
5. 시원설과 어원설
1) 율창시원설(律唱始原說)
2) 한시시원설(漢詩始源說)
3) 어원설
6. 아라리전설에 대하여
1) 아라리전설의 위상
2) 아라리전설의 양상과 성격
3) 확산과 평가
4) 아라리전설과 사설의 관계
5) ‘한오백년’의 유래
6) 아라리 전설의 성격
7) 강강술래의 경우
8) 정리
7. 두문동72현(杜門洞72賢)에 대하여
1) 개념과 성격
2) 두문동72현의 인적 구성
3) 두문동72현과 이색
8. 정선아리랑의 속성
1) 한시형 사설
2) 고려 유신 관련 사설
Ⅲ. 이색 관련설(關聯說)
1. 이색의 정선아리랑 관련설에 대하여
1) 문집 ??목은집??에 대하여
2) 호(號) ‘은(隱)’에 대하여
3) 이색의 정선아리랑 관련설에 대하여
4) 정선 관련 문헌에서의 이색 기록
5) 전오륜(全五倫) 측의 이색 관련 기록
6) 이색 측의 정선과 전오륜 관련 기록
7) 정선 제영시(題詠詩) 등과의 관련
2. 전오륜과의 관계
1) 전오륜의 생애
2) 이색과의 관계
3) 『목은집』을 통해 본 관계
3. 전승사설 2편에 대하여
4. 이색에 관한 증언
1) 무정(武政)과 아리랑
2) 연규한(延圭漢)의 증언
3) 이종학(李鍾學)의 주장
5. 소위 「도원가곡(桃源歌曲)」에 대하여
1) 입수 경위
2) 내용
3) 문제점
4) 이색과의 문제
6. 이색 시 속의 음악 상황과 인식
1) 고려시대의 음악 상황
2) 참요(讖謠)
3) 『목은집』 속의 음악 상황
4) 이색의 음악 인식과 역할
5) 정선아리랑의 존재 양상
7. 악부시(樂府詩)와의 관계
1) 개념
2) 이색의 악부시에 대한 이해
3) 이색의 악부시(樂府詩)에 대하여
8. 시조 「구름이…」와 정선아리랑 「눈이 올라나…」의 관계
1) 민요 연구사에서의 정선아리랑
2) ‘정선아리랑비’ 건립과 유래설의 확산
3) 사찬(私撰) 기록
4) 7현 시에 대하여
5) 「눈이 올라나…」와 시조(時調) 「백설이…」와의 관계
6) 전승 배경
7) 정리
9. ‘수지(誰知·識)형’ 시와의 관계
1) 문제 제기
2) 개념과 의의
3) 이색의 ‘수지’시와 정선아리랑
4) ‘수지’시와 내용
10. 이색과 「청산별곡(靑山別曲)」
1) 「청산별곡」에 대하여
2) 곡명
3) 후렴
4) 「청산별곡」 전문
5) 악곡
6) 이색의 ‘청산’ 주제 시
7) 정리
Ⅳ. 결론
참고 문헌
출판사 서평
주요 내용 소개
??아리랑 시원설 연구??는 정선군 비봉산에 있는 ‘정선아리랑비’에 새겨진 어원과 시원설을 확대한 것이다. 이와 함께 목은 이색의 시에 구사되는 시어 ‘誰知’를 단서로, 아리랑의 아리랑인 정선아리랑과의 관련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아리랑에 접근한 많은 논과 설이 있었지만 정작 정선 지역 주민들의 주장과 지역 인물 관련설을 주제로 시원과 어원 문제를 다룬 글은 없었다. 그동안 아리랑의 시원이나 어원에 대해서는 단지 호사가의 몫이며 결론 없는 논쟁을 야지할 수 있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시원이나 어원을 중요한 문제로 보지는 않더라도, 오로지 ‘전승 상홍이나 음악적 변이 상황’만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전승 상황이나 음악적 변이 상황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키면서 기본적인 의문인 시원과 어원에 대한 연구도 확장해 나가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그간 아리랑 연구에 힘을 쏟았던 필자의 연구를 정리한 것이다.
기본정보
ISBN | 9788972326717 |
---|---|
발행(출시)일자 | 2006년 06월 11일 |
쪽수 | 488쪽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