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 영문법 해설 1

고경환 저자(글)
한국문화사 · 2020년 04월 30일
10.0
10점 중 10점
(1개의 리뷰)
집중돼요 (100%의 구매자)
  • 새로운 영문법 해설 1 대표 이미지
    새로운 영문법 해설 1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새로운 영문법 해설 1 사이즈 비교 175x250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7,000 30,000
적립/혜택
1,500P

기본적립

5% 적립 1,5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5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27(일) 도착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The sun sets regularly on the Union Jack these days, but never on the English language.
- Joseph Treen, “English, English Everywhere”
(from Reader’s Digest April 1983)
[요즘은 영국 땅에서 어김없이 해가 저물지만, 영어가 사용되는 곳에서는 결코 해가 저물지 않는다.]

영어 학습에 있어서 회화 · 작문 · 독해 등 그 어느 하나도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대상이지만, 특히 문법의 기초가 없는 회화 · 작문 · 독해는 사상누각(castle on the sands)에 불과하다고 말하더라도 결코 무리가 아닐 것이다.

이 책의 특징
1. 대부분의 문법책에서 피상적으로 규칙 나열에 그쳤던 문법적인 내용들을 상세히 해설
2. 일부 잘못 알려진 내용에 대한 올바른 해설
3. 기존 문법책에서 전혀 취급되지 않았던 영어의 여러가지 현상들에 대한 상세한 해설
4. 문법 사항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용어 사용
5. 살아있는 언어를 중심으로 하여 가려 뽑은 유익한 예문들을 충분히 제시

이 책의 시리즈 (4)

작가정보

저자(글) 고경환

제주 출생 (1947)
제주대학교 영어교육과 졸업 (1975)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1977)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1987)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강사 (1979. 3 - 1981. 2)
제주대학교 전임강사 - 교수 (1981. 4 - 2013. 2)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학장, 평생교육원장 (2002. 6 - 2004. 5)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객원학자 (2006. 8 - 2007.7)
현재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역서
영어어법사전 (1984, 한신문화사)
영어동사의미론 (1985, 한신문화사)
대학영문법 (1988, 한신문화사)

저서
영어의 표현과 용법 (1995, 한신문화사)
실용영문법해설 전3권 (1999 - 2012, 제주대학교 출판부)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동사문법 (2009, 제주대학교 출판부)

목차

  • 제1권 목차
    서문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영문법해설』 전 4권을 펴내면서

    제1장 명사(Nouns)
    1.1. 명사의 문법적 특성
    1.2. 명사의 분류 (1)
    1.2.1. 가산명사
    1.2.1.1. 가산명사의 단수형
    1.2.1.2. 가산명사의 복수형
    1.2.1.3.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의 대립
    1.2.2. 불가산명사
    1.2.3. 부분 표현
    1.2.3.1. 불가산명사의 부분 표현
    1.2.3.2. 가산명사의 부분 표현
    1.2.3.3. 부분 표현과 수식어
    1.3. 명사의 분류 (2)
    1.3.1. 보통명사
    1.3.2. 고유명사
    1.3.3. 집합명사
    1.3.4. 물질명사
    1.3.5. 추상명사
    1.4. 수
    1.4.1. 규칙 복수
    1.4.2. 불규칙 복수
    1.4.2.1. 영복수
    1.4.2.2. -en 복수
    1.4.2.3. 모음변이 복수
    1.4.3. 외국 복수
    1.4.4. 복합명사의 복수형
    1.4.5. -s 어미를 가진 명사
    1.4.5.1. 절대복수
    1.4.5.2. 분화복수
    1.4.5.3. 근사복수
    1.4.5.4. 상호복수
    1.4.5.5. 강의복수
    1.4.6. 수의 일치
    1.4.6.1. 단일 주어
    1.4.6.2. 단일 주어인가? 이중 주어인가? 단일 주어, 이중 주어
    1.4.6.3. 수의 일치와 관련된 나머지 문제들
    1.4.6.4. 수의 불일치
    1.5. 수사
    1.6. 격
    1.6.1. 공통격과 속격
    1.6.2. 속격형을 만드는 방법
    1.6.3. -'s 속격과 of-구
    1.6.3.1. 문미 초점과 문미 중점의 원칙
    1.6.3.2. 속격형의 선택과 성의 관계
    1.6.3.3. 관용어구
    1.6.4. 속격의 의미 관계
    1.6.5. 속격의 종류
    1.6.6. 독립 속격
    1.6.7. 어군 속격
    1.6.8. 이중 속격
    1.6.8.1. 구조
    1.6.8.2. 이중 속격에 따른 제약
    1.7. 성
    1.8. 동격
    1.9. 추상명사구
    1.9.1. 추상명사화
    1.9.2. 추상명사의 파생
    1.9.3. 추상명사구의 명사적 기능
    1.9.4. 추상명사구의 주어
    1.9.5. 추상명사구의 목적어
    1.9.6. 추상명사구에서 부사의 형용사화

    제2장 관사(Articles)
    2.1. 관사의 종류와 명사
    2.1.1. 관사의 종류
    2.1.2. 관사와 명사
    2.2. 부정관사
    2.2.1. 부정관사의 발음
    2.2.2. 부정관사의 용법
    2.2.2.1. 특정적
    2.2.2.2. 분류적
    2.2.2.3. 부정관사 a, an과 one
    2.2.2.4. 배분적
    2.2.2.5. any와 some
    2.2.2.6. 명사구에서 부정관사의 위치
    2.3. 정관사
    2.3.1. 정관사의 발음
    2.3.2. 정관사의 용법
    2.3.2.1. 상황적 지시
    2.3.2.2. 언어적 지시
    2.3.3. 정관사의 기타 용법
    2.3.3.1. last와 the last 등
    2.3.3.2. 신체의 일부
    2.3.3.3. the + 비교급, the + 비교급
    2.3.3.4. the + 형용사
    2.3.3.5. the + 악기명
    2.3.3.6. the + 방위와 방향
    2.3.3.7. the + 지역명
    2.4. 영관사
    2.4.1. 영관사와 명사
    2.4.2. 유일한 직위 · 신분
    2.4.3. 사회 제도와 시설물 등
    2.4.4. 식사명
    2.4.5. 시간 개념과 관련된 단어들
    2.4.6. 질병명
    2.4.8. 평행 구조
    2.4.9. 부정관사의 생략과 반복
    2.5. 관사의 총칭적 용법
    2.5.1. 부정관사 + 단수 가산명사
    2.5.2. 정관사 + 단수 가산명사
    2.5.3. 영관사 + 복수 가산명사
    2.5.4. 총칭성에 따른 제약
    2.5.5. man과 woman

    제3장 대명사(Pronouns)
    3.1. 대명사의 문법적 기능과 종류
    3.2. 인칭대명사
    3.2.1. 형태
    3.2.2. 격형의 선택: 주격과 목적격
    3.2.3. 대명사화
    3.2.4. 인칭대명사의 용법
    3.2.4.1. it의 용법
    3.2.4.2. we의 용법
    3.2.4.3. we, you, they: 총칭적 용법
    3.3. 소유대명사
    3.4. 지시대명사
    3.5. 의문대명사
    3.6. 재귀대명사
    3.6.1. 재귀대명사화
    3.6.2. 재귀동사
    3.6.3. 재귀대명사의 용법
    3.6.3.1. 재귀적 용법
    3.6.3.2. 강조 용법
    3.6.3.3. 전치사 + 재귀대명사
    3.7. 상호대명사
    3.8. 부정대명사
    3.8.1. 부정대명사의 형태
    3.8.2. 부정대명사의 용법
    3.8.2.1. one
    3.8.2.2. all, both
    3.8.2.3. each, every, everyone/thing
    3.8.2.4. either, neither
    3.8.2.5. some, any
    3.8.2.6. few, little, many, much
    3.8.2.7. another, other
    3.8.2.8. enough, most, several, half
    3.8.2.9. no, none, no one, nobody, nothing
    3.9. 한정사
    3.9.1. 한정사와 형용사
    3.9.2. 한정사의 종류
    3.9.3. 한정사의 결합

    제4장 동사(Verbs)
    4.1. 기본 문형과 보어
    4.2. 자동사
    4.2.1. SV 문형
    4.2.2. SVA 문형
    4.3. 연결동사
    4.3.1. SVC 문형
    4.3.2. 연결동사 유형
    4.3.3. 주격보어가 되는 어구
    4.3.3.1. 명사구
    4.3.3.2. 형용사구
    4.3.3.3. 전치사구
    4.3.3.4. 명사절
    4.3.4. 의사보어
    4.4. 일항타동사
    4.4.1. SVO 문형: 타동사와 목적어
    4.4.2. 목적어의 생략
    4.4.3. 전치사의 삽입
    4.4.4. 타동사의 종류
    4.4.4.1. 경동사
    4.4.4.2. 능격동사
    4.4.4.3. 목적어의 의미 유형
    4.4.5. SVOA 문형
    4.5. 이항타동사
    4.5.1. SVOO 문형: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4.5.2. 간접목적어의 생략
    4.5.3. 간접목적어가 되는 어구
    4.5.4. 전치사 + 간접목적어의 이동
    4.5.5. 간접목적어의 담화적 기능
    4.5.5.1. 문미 초점의 원칙
    4.5.5.2. 문미 중점의 원칙
    4.6. 복항타동사
    4.6.1. SVOC 문형
    4.6.2. 복항 타동성의 정도
    4.6.3. 목적보어가 되는 어구
    4.7. 다어동사
    4.7.1. 동사 + 불변화사
    4.7.2. 다어동사의 유형
    4.7.2.1. 구동사
    4.7.2.2. 전치사를 수반한 동사
    4.7.2.3. 전치사를 수반한 구동사
    4.7.3. 다어동사의 사용
    4.8. 정형동사와 비정형동사

    제5장 조동사(Auxiliary Verbs)
    5.1. 일차적 조동사
    5.1.1. be와 have
    5.1.2. do
    5.2. 법조동사
    5.2.1. 문법적 특성
    5.2.2. 법조동사구
    5.3. 법조동사와 법성
    5.4. 법조동사의 용법
    5.4.1. can
    5.4.2. could
    5.4.3. can/could + 현재완료
    5.4.4 . may
    5.4.5. might
    5.4.6. may/might + 현재완료
    5.4.7. may/might (as) well
    5.4.8. must
    5.4.9. have (got) to
    5.4.10. should/ought to
    5.4.11. should/ought to + 현재완료
    5.4.12. will
    5.4.13. would
    5.4.14. shall
    5.4.15. used to
    5.4.15.1. used to가 나타내는 뜻
    5.4.15.2 used to의 변이형
    5.4.15.3. used to와 would의 차이
    5.4.15.4. be used to
    5.4.16. had better
    5.4.17. need
    5.4.17.1. 형태와 의미
    5.4.17.2. 법조동사와 일반동사
    5.4.18. dare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 속으로

1.2.3.3. 부분 표현과 수식어
부분 표현에서 수식어는 어군 전체를 수식하는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an expensive cup of coffee와 같이 단위명사 앞에 놓이게 된다.

an expensive cup of coffee = a cup of coffee which is expensive (비싼 커피 한 잔)
an excellent piece of writing (아주 훌륭한 글)
an amazing stroke of luck (놀랄만한 행운)
a sudden gust of wind (한 차례의 돌풍)
an attractive piece of furniture (매력적인 가구)
a really useful bit of information (아주 유용한 한 가지 정보)
a charming piece of music (매혹적인 음악 한 곡)
a valuable piece of advice (소중한 조언 한 가지)
a beautiful roast of beef (먹음직한 불고기)
a blank sheet of paper (백지 한 장)
an empty box of Kleenex (텅빈 크리넥스 통)
a half-empty bottle of milk (반쯤 빈 우윳병)
a large bunch of grapes (큰 포도송이)

반면에 a piece of legal advice, a bit of good luck과 같이 두 번째 명사 앞에 수식어가 놓이기도 한다. 이처럼 수식어가 단위명사 앞에 놓이거나 두 번째 명사 앞에 놓일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어군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가 똑같이 두 번째 명사에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수식어가 어느 쪽에 놓이더라도 의미상의 차이가 별로 없다.

a good [stroke of luck] = a stroke of good luck (한 순간의 행운)
a beautiful [pair of legs] = a pair of beautiful legs (예쁜 다리 한 쌍)

a cup of hot coffee, a glass of cold water, a pound of fresh butter 따위와 같은 경우처럼 수식하는 형용사가 단위명사 앞에 놓이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 것 같다.

출판사 서평

[머리말]

『의사소통을 위한 새로운영문법해설』 전 4권을 펴내면서

All grammars leak. - E. Sapir (1884-1939)
[완벽한 문법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The natural condition of a language is to preserve one form for one meaning, and one meaning for one form.
- D. Bolinger (1907-1992). 1977. Meaning and Form.
[한 언어의 자연스러운 상황은 하나의 뜻에는 하나의 형태가, 그리고 하나의 형태에는 하나의 뜻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1. 영문법의 필요성

영어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적어도 현재 전 세계의 80% 이상의 각종 정보들이 영어를 매개로 하여 전달되고 있으며, 유럽 여러 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상거래 활동의 거의 절반 정도가 영어로 이루어지며, 절반 이상의 과학 기술 분야의 각종 정기 간행물이 영어로 발행되어 나오고 있다. 또한 한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모국어 인구수로 보면 중국어와 인도어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겠지만, 영어가 사용되는 ‘지리적 분포’로 보면 단연코 영어가 ‘세계어’(global language)라고 부르기에 조금도 손색이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언어는 규칙의 지배를 받는”(Language is rule-­governed) 의사전달의 수단이기 때문에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 능력을 향상시켜 장차 영어를 필요로 하는 전문인이 되려고 한다면 의사소통에 절대 필요한 올바른 영문법 지식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물론 우리가 언어를 처음 배우는 어린이들처럼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회에서 저절로 배워 생활화하는 경우라면 굳이 영문법을 익히지 않더라도 ‘무의식적으로’ 영어를 쉽게 습득(acquisition)할 수 있겠지만, 적어도 현재로서는 우리가 “외국어로서 영어”를 가장 빠르게 습득하는 길은 곧 “문법을 통한 영어 학습”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문법을 통한 영어 학습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영어 교육 담당자는 물론이고, 영어 학습자들이 한결같이 영문법을 “딱딱하다”고 생각하고, 영문법을 가까이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영문법은 딱딱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무미건조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실제로 문제가 되는 것은 영문법이 딱딱하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영문법을 대하는 사람들의 선입견 때문에 마음 자체가 굳어져 있어서 영문법이라고 하면 무엇보다도 먼저 마음의 문을 굳게 닫아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바로 영어 교육과 영어 학습에 커다란 장애 요인이 아닐 수 없다.

2. 언어는 심상의 표현

무엇보다도 언어는 인간의 심상을 표현(representation of mental images)하는 것이다. 즉, 언어행위는 A라는 사람의 뇌리에서 어떤 한 생각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생각이 말이나 글이라는 표현 형식을 빌려 B라는 사람에게 전달되는 작용이다. 그러므로 생각이 말이나 글로 전달될 때, 언어 사용자들 각자의 생각이 다를 수 있고, 또한 어떤 한 사람의 똑같은 생각일지라도 마음속에 내재된 심리적 상황이 달라지면 이와 동시에 표현도 달라져야 한다. 일찍이 D. Bolinger (1907-1992)는 “생각이 다르면 표현이 다르다.” 라고 자신의 저서 Meaning and Form (1977)에서 말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It’s time to do something.과 It’s time you did something.이라는 두 개의 문장이 하나의 생각을 두 가지 표현, 즉 풀어쓰기(paraphrase)라는 형식을 빌려 나타낸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11.10.2 참조), “우리 아버지 내일 한국에 오십니다.” 라는 말을 다음과 같은 문장에 들어 있는 어떤 동사를 사용해서 표현하더라도 같은 내용을 전달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영문법 책에서는 단순히 미래를 나타낼 때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고 되어 있을 뿐, 담겨진 뜻의 차이에 대해서는 아무런 설명이 없다(→ 6.6 참조).

Father will come to Korea tomorrow.
Father comes to Korea tomorrow.
Father is coming to Korea tomorrow.
Father is going to come to Korea tomorrow.
Father is to come to Korea tomorrow.

사실상 이 문장들은 모두 말하는 사람의 마음에 떠오른 서로 다른 심상을 반영한 것이다. 이처럼 마음속에 떠오르는 서로 다른 생각을 담고 있는 문장을 모두 같다고 하여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에 관계없이 어떤 것이라도 사용하려고 하는 것은 서울에 가고자 하는 사람이 서울에 가까운 어느 한 도시에 이르렀을 때 서울에 다 왔다고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다고 하겠는가!

3. 학자들의 문법관

흔히 세간에서는 과거 중 · 고등학교에서 6년 동안 영어 교육을 받았지만 소위 문법을 통한 번역 위주의 교육으로 말미암아 영어를 제대로 못한다고 하여 영어 교육을 망친 주범으로 문법이 무슨 대역죄를 저지른 것처럼 선전하고 있는 것을 보면 참으로 한심스럽다는 생각이 앞선다. 과거의 “문법-번역식” 방법이 영어 교육을 망친 주범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그릇된 문법 지식이 영어 교육과 학습에 동원된 것이 더 큰 원인이었다고 하는 것이 필자의 일관된 생각이다. 문법을 안다는 것 - 이것은 곧 우리가 어떤 언어를 알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것은 언어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다는 뜻이고, 언어 지식은 곧 언어 능력(linguistic competence)을 뜻하는 것이다. 문법 · 언어능력 · 언어지식 - 이 세 가지는 표현만 다를 뿐 모두 같은 말이다. 그리고 언어능력은 듣고, 말하고,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라는 말이다. 문법을 모르면서 어떻게 제대로 회화를 하고, 글을 올바르게 읽어서 이해하고, 글을 올바르게 쓸 수 있다고 하겠는가? 소위 구구법을 모르는 학생이 예컨대 34 × 65 등 갖가지 곱셈 문제에 대한 답을 말할 수 있겠는가? ‘문법을 안다는 것은 구구법을 아는 것’과 조금도 다를 바가 없다고 단언하고 싶다.
사실 이 땅에 영어 교육이 시작된지도 100년이 훌쩍 넘었으며, 그동안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이제 와서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을 망친 주범이 “문법-번역식” 교육의 탓이라고 하여 ‘문법 위주에서 회화 중심 영어 교육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하면 이 땅의 영어 교육이 정상화된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 필자는 결코 그렇지 않다고 거듭 확신한다.
이제 영문법의 중요성을 강조한 몇몇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보기로 한다. 문용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께서는 『고급영문법해설 (2008)』 제3 개정판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일상적인 ‘듣기’와 ‘말하기’에 한정된 경우라면 몰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 영어 학습에서 차지하는 영문법의 자리는 절대적이다.

1) 학습자의 나이가 고등학교나 대학교에 진학할 나이 이상인 경우
2) 학습자가 현재 고등교육을 받고 있거나 받은 경우
3) 학습자가 일상체의 차원을 넘어서 격식이 높은 영어를 습득하려는 경우
4) 학습자가 일상적인 의사소통의 차원을 넘어 전문적인 업무 수행에 영어를 필요로 하는 경우
5) 수준이 높은 ‘읽기’나 ‘쓰기’의 기능에 능통하려는 경우”

구학관 전 홍익대학교 교수께서는 『영어유감 (1997)』의 머리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英文法 영어공부에서 문법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모든 언어 표현의 틀은 문법규칙에 의하여 결정될 뿐만 아니라, 정확한 문법규칙을 모르면 언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많은 사람들은 문법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은 이미 많은 문법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이 알고 있는 문법은 실제로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는 데 별 도움이 안된다는 것이 문제인 것이다.”

또한 뉴욕 주립대학교 영어교육과 하광호 교수께서는 『영어의 바다에 헤엄쳐라 (1996: 235-236)』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문법 네 놈 때문에 망했다?
미국에서 한국 신문을 본 일이 있는데 이런 큰 제목이 눈에 들어왔다.
‘문법 위주의 교육에서 회화 위주로’
내용인즉슨 지금까지 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을 문법 위주로 해온 탓에 영어 한 마디 제대로 못하게 됐으니 말하기 위주로 교육과정을 바꾼다는 것이었다. 나는 순간 한국에서 문법이 범죄자 취급을 받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문법이 알면 억울해서 통곡할 일이다. 회화 위주로 하면 한국영어의 문제점이 해결될까. 지독스런 착각이 아닐 수 없다. 이 진단은 명백히 잘못되어 있다. 한국영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하면 내가 볼 때 우선 영어의 문제점에 대한 진단이 틀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진단이 틀려 있으니 제대로 고칠 수가 없고 고치려 해도 치료할 사람이 드물다.”
계속해서 하광호 교수께서는 http://www.siminsori.com (교육)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하고 있다.

“영어를 잘 하려면 네 가지 학습법을 알아야 ..........
영어문법은 한국의 학습자들이 미국 학생들보다 더 잘 알 정도로 밝지만 내가 보기에 한국 학습자들의 영문법은 ‘죽은 송장의 문법’이라고 할 수 있어요. 무슨 이야기냐 하면 한국의 학습자들은 영문법에 관한 것은 잘 알지만 정작 영문법의 사용법을 성공적으로 배우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문법이라는 것은 사용법을 잘 알아야지 8품사가 어떻고 백날 해봤자 영어 실력은 늘 제자리걸음입니다.”

그렇다고 영어 교육에 있어서 문법이 항상 ‘만병통치약’(panacea)으로 작용한다는 말은 결코 아니다. 영어를 능동적으로 사용할 때 언제나 문법 규칙에 맞도록 영어를 말하고 쓰면 된다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문법에 얽매여서 If you see the figure, you will know how serious the accident was.라고 하면 누가 보더라도 문법적으로는 손색이 없는 문장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문장은 한국어 냄새가 물씬 풍기는 한국어식 영어에 가깝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The figure shows the seriousness of the accident.나 이와 유사한 표현으로 바꾸는 것이 훨씬 영어다운 표현이 된다. 이렇게 하려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어떤 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때 어떻게 상황에 적합하게 표현하고 있는가 하는 점에 각별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4. 문법 기술의 방향

이 책의 문법 기술 방향은 동시에 이 책의 특징이기도 하다. 첫째, 영문법을 다루고 있는 대부분의 문법서에서 피상적으로 각종 문법 규칙들을 나열하는데 그쳤던 문법적인 내용들을 비교적 상세하게 해설하고 있다. 실제로 영어의 세계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넓음에도 불구하고 시중에 출판되어 나온 수많은 문법책들은 그 넓은 세계를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다루어지고 있는 내용들 중 상당 부분이 천편일률적이고, 기계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예컨대 영어 문장에서 간접목적어가 직접목적어 다음에 놓이게 되면 그 문장에 쓰인 동사에 따라 to 또는 for가 간접목적어 앞에 놓인다. 주어 + 동사 + 목적어로 이루어진 능동태 문장을 수동태로, 이와 반대로 수동태 문장을 능동태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수동태 문장에서 by + 명사구는 생략될 수 있다. 부정사를 목적어로 삼는 동사와 동명사를 목적어로 삼는 동사를 무턱대고 나열하는데 그치는 식이다. 이와 같은 문법 지식은 실제로 영어를 이해하고 ‘능동적’으로 사용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실제로 문법이 문법으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으려면 그것은 ‘살아 있는 문법’(living grammar)이라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언어를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 어떤 언어적 표현이 적절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쓰여진 것이다.
둘째, 이 책에서는 잘못 알려진 내용들을 올바르게 기술하고 있다. 흔히 학교문법에서 unless와 if ... not은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used to는 과거의 규칙적인 습관을 나타내고, would는 과거의 불규칙적인 습관을 나타낸다. even if와 even though는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다. 또한 We had better stop at the next service station.(→ 5.4.16 참조)에서 had better를 ‘(...하는 것보다) ...하는 편이 낫다’ 라고 하여 어떤 두 가지 대상을 서로 비교해서 말하는 뜻으로 잘못 설명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내용들을 비롯하여 잘못 기술된 내용들을 올바르게 해설하였다.
셋째, 언어 현상을 설명하는데 꼭 필요한 것이 적절한 문법 용어이다. 같은 언어적 현상들을 한데 모아서 이들의 공통점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면 반드시 그에 맞는 문법 용어를 동원하여야만 한다. 때문에 기존에 알려진 능동태와 수동태,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 현재시제, 과거시제 따위와 같은 용어들이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어떤 문법책에서도 다루어지지 않은 언어 현상,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자주 사용되는 문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거기에 알맞은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예컨대 다음 두 문장을 보자.

Jaewon gave his brother a good gift. (← What did Jaewon give his brother?)
Jaewon gave a good gift to his brother. (← To whom did Jaewon give a good gift?)

이 두 개의 문장에서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의 어순의 차이는 ( ) 안에 제시된 것과 같이 질문 내용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쓰인다는 점을 뜻하며, 이에 따른 설명을 하려면 문미 초점(文尾焦點: end-focus)과 문미 중점(文尾重點: end-weight)의 원칙이라고 하는 두 가지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4.5.5 참조).
또한 선행사를 수식하는 관계사절이 본래의 위치에 놓이지 않고 문장의 맨 마지막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관련하여 외치(外置: extraposition)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다(→ 17.1.4.2 참조).

Constructions that are arguably exceptions are encountered. →
Constructions are encountered that are arguably exceptions.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예외적인 구문들이 있다.]

한 가지 예를 더 들어 보고자 한다.

The President is just a figurehead; it’s the party leader who has the real power. - Longman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and Culture.
[대통령은 명목상의 국가 원수일 뿐이고, 실권을 가진 사람은 바로 당수(黨首)이다.]

이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을 국내 문법서에서 소위 강조구문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어느 부분을 무엇 때문에 강조한다는 말인가? 밑줄 친 두 번째 문장은 The party leader has the real power.라는 한 개의 문장이 It is ......라는 문장 구조를 이용하여 ‘둘로 쪼개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문장 구조를 분열문(分裂文: cleft sentence)이라고 한다. cleft는 cleave(쪼개다)의 과거분사형이며, ‘쪼개진’이라는 뜻의 분사 형용사적인 뜻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분열문’이란 하나의 문장이 둘로 쪼개진 문장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문장에서 It is와 that/who 사이에 놓인 the party leader는 상대방에게 새로운 정보를 전달해 주는 요소로서 이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서 이 부분은 초점을 받는다고 한다. 그리고 that/who 이하는 상대방도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 별로 중요한 것이 아니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분열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20.8 참조).
이처럼 종래의 어떤 문법서에서도 볼 수 없었던 문법 용어들이 등장하는 것은 언어 현상을 보다 간편하게 설명하기 위한 방편이다. 이러한 문법 용어를 동원하지 않고서 설명하려면 이러한 문장 구조를 만날 때마다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문법적인 사항들을 올바르게 설명하려면 새로운 용어들을 과감하게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에서는 많은 영영사전을 비롯하여 각종 자료에서 취사선택한 살아 있는 언어를 중심으로 하여 풍부한 예문들을 많이 제시하였으며, 필요한 곳에서는 각 예문에 따른 문법적인 설명을 덧붙였다. 그리고 제시된 예문들 중에는 다음과 같은 예에서 보듯이 우리의 삶에서 자신을 한번 되돌아볼만한 것들이 상당수 들어 있다.

Lying late in the morning is a great shortener of life. ??(→ 9.3.2.1 참조)
[아침에 늦잠 자는 것은 생명을 크게 단축시키는 일이다.]
Men must not allow themselves to be swayed by their moods.?? (→ 3.6.1 참조)
- Yogananda Paramhansa, How to be Happy All the Time.
[인간은 기분에 흔들려서는 안 된다.]
True happiness is never to be found outside the Self. Those who seek it there are as if chasing rainbows among the clouds!?? (→ 11.12 참조)
- Yogananda Paramhansa, How to be Happy All the Time.
[진정한 행복은 결코 자아 밖에서 찾을 수 없다. 자아 밖에서 행복을 찾는 사람은 구름 사이에서 무지개를 ?는 것과 같다.]
Your joints age over time. Like the brakes in your car, they need regular maintenance to function best.?? (→ 19.4.3.2 참조)
[관절은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노화된다. 자동차의 브레이크처럼 관절의 기능을 가장 좋게 하려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Never get angry. Never allow yourself to become the victim of another’s anger.??(→ 20.5.1 참조)
- Paramhansa Yogananda, How to be Happy All the Time.
[절대 화내지 마라. 다른 사람이 화를 낸다고 해서 그에 따라 자신도 화를 내는 일이 없도록 하라.]

5. 맺음말

이 책은 필자의 대학원 시절 은사님이셨던 故 조성식 교수님(1922-2009: 前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前 학술원 회원)의 가르침을 철저히 따르고, 은사님께서 집필하신 영문법 연구 1-V 권에 다소 미치지 못하겠지만 그래도 은사님께서 문법을 기술하신 내용의 방향을 다소 바꿔 보완하고 있다. 은사님께서 세상을 떠나시기 바로 1년 전에 전화 통화에서 “이젠 눈이 침침해서 교정도 못 보겠어!” 하시기에 “제가 가까이 있으면 대신 보아 드릴 텐데요.” 하고 대화를 나누던 것이 마지막이었다. 아직도 더 오래 사시면서 가르침을 주시고, 미완의 영문법 이론을 더 손질하실 수 있었을 텐데. 은사님께서 다하지 못하신 올바른 영문법 체계를 독자들에게 바르게 전달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자 한다.
이 책은 필자의 실용영문법해설 1-3권을 수차례에 걸쳐 다듬고 다듬어서 일반 영어 학습자들이 바르게 영어의 참모습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영어를 전공하는 학부와 대학원 학생들이 현대 영문법 연구로 옮아가는 앞 단계에서 읽어볼만한 참고서라고 생각한다.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 참고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세히 주석(footnotes)을 달아 원전의 출처를 밝혔다. 영어를 가르치시는 선생님들에게도 참으로 유익한 지침서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이 책을 집필하는 사이에 필자는 1975년부터 시작된 영문법 연구 생활 40여년이란 세월을 훌쩍 넘겼다. Noam Chomsky 교수가 1957년에 Syntactic Structures를 세상에 내놓아 문법 이론의 대혁명을 일으켰고, 그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 문법 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언어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금도 흔들림 없이 40여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외국어로서의 영어 학습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영문법 연구에 매진하여 왔다. 물론 지금까지 걸어온 이 길은 힘이 쇠잔하여 더 이상 갈 수 없다고 생각되는 그날까지 뚜벅뚜벅 걸어갈 것이다, 이 땅에 올바른 영문법의 확고한 토대가 정착되기를 갈망하면서. 설령 내가 쓰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많지 않다고 할지라도 그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영어 구조와 관련된 제반 언어 현상들을 끊임없이 찾아내고, 또 이들을 올바르게 해설하여 독자들의 궁금증을 시원하게 해소시켜 줄 수만 있다면 필자로서 그 이상 바랄 것이 더 무엇이 있겠는가! 물론 이 과정에서 잘못 기술된 내용이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필자의 책임이며, 앞으로 잘못된 부분이나 미흡한 부분들은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갈 것이다. 독자 여러분들의 질책과 꾸준한 지도 편달을 기대하는 바이다.
끝으로 이 방대한 분량의 책의 출판을 쾌히 승낙해 주신 한국문화사 김진수 사장님과 출판 관계자 여러분들이 기울인 그간의 노고에 대하여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하루 종일 봄을 찾아 다녀도 봄을 보지 못하고
짚신이 다 닳도록 언덕 위의 구름 따라다녔네.
허탕치고 돌아와 우연히 매화나무 밑을 지나는데
봄은 이미 매화가지 위에 한껏 와 있었네. - 중국 송나라 시대의 어느 비구 스님

2020년 4월
한라산 기슭 서재에서
고경환 씀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68178740
발행(출시)일자 2020년 04월 30일
쪽수 520쪽
크기
175 * 250 * 32 mm / 979 g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10점 중 10점
10점 중 10점
100%
10점 중 7.5점
0%
10점 중 5점
0%
10점 중 2.5점
0%

100%의 구매자가
집중돼요 라고 응답했어요

100%

집중돼요

0%

도움돼요

0%

쉬웠어요

0%

최고예요

0%

추천해요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얻는 새로운 정보가 많습니다 훌륭한 책이에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용선생 추론독해 초등 국어 3단계
이벤트
  • 당문전 세트 오픈
  • 완결의 미학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