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천황가의 기원은 백제 부여씨

날조된 천황 37명과 일본고대사
이원희 저자(글)
주류성 · 2019년 08월 26일
7.5 (3개의 리뷰)
도움돼요 (50%의 구매자)
  • 천황가의 기원은 백제 부여씨 대표 이미지
    천황가의 기원은 백제 부여씨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152x225
    단위 : mm
MD의 선택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6,100 29,000
적립/혜택
1,450P

기본적립

5% 적립 1,45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45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만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교보Only(교보배송)을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주문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서울시 종로구 종로 1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무려 2,679년이라는 전무후무한 역사를 이어온 일본 천황가(天皇家)는
어디서 기원하였는가?
일본 사람들은 일본을 통치한 천황가(天皇家)의 역사가 아주 오래된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고 있다.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의하면, 초대 천황이라는 신무(神武)가 기원전 660년에 즉위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본서기』는 이때부터 서기 687년에 즉위한 40대 지통(持通)에 이르기까지 단 한번의 왕조교체도 없이 계속하여 이어져 내려왔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697년 즉위한 문무(文武)천황부터 현재의 영화(令和)천황에 이르기까지, 천황가의 왕통이 계속된 것은 의심할 바 없는 역사적 사실이다. 그렇다면 일본 천황가는 기원전 660년 즉위하였다는 신무 이래 2019년 현재 시점까지, 무려 2,679년이라는 길고도 긴 세월 동안 단 한 번도 끊이지 않고 계속되고 있단 말인가? 전 세계에서도 전무후무한 이 기적 같은 일이 과연 사실일까
그것이 사실이라면, 천황가는 어디서 기원하였는가? 섬나라 일본에서 자생하였을까? 아니면 바다를 건너간 사람들이 정복왕조를 세운 것인가?

작가정보

저자(글) 이원희

1955년 경북 영천 출생
고려대 법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
사법연수원 13기 수료, 검사와 변호사를 역임
경남지방변호사회 회장으로 재임하던 2003년, 일본 구마모토(熊本) 변호사회와 교류를 시작하면서, 일본어 회화를 공부
그러다 「일본어는 고대에 한국에서 건너간 것이 아닌가?」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점점 이 연구에 몰입
2006년 공증인으로 전업하면서, 이 연구에 전념. 일본어는 기원전 4~5세기 한국의 남해안 지방 사람들이 가져간 말이 뿌리가 되었고, 그후 가야인과 백제인들이 집단으로 도왜하여 일본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사실을 두 권의 저서로 밝힌 바 있다.

저서
『일본 천황과 귀족의 백제어』(2015)
『일본 열도의 백제어』(2018)

목차

  • 머리말

    서장 『일본서기』는 왜 천황가의 기원을 은폐하였나?
    1. 일본의 천황은 어디 출신인가?
    1) 천황가의 시조는 신무神武인가?
    2) 신무 이후 9대까지 가공의 왜왕
    2. 천황가의 진실을 은폐한 이유
    1) 역사의 창작과 연장
    2) 『일본서기』에 보이지 않는 토착왜인
    3) 토착왜인의 민족분규에 대한 대비
    3. 왜국 지배층 백제인들의 왜인화 정책
    1) 소수 민족에 의한 다수 민족 지배의 사례
    2) 돌아갈 곳이 없었던 재왜 백제인
    3) 『일본서기』는 구백제계 귀족의 관점에서 서술한 역사서

    1장 허구의 왜왕과 창조된 왜왕릉
    1. 왜 왜왕릉인가?
    1) 방치되어 온 왜왕릉
    2) 무수하게 많은 고분과 왜왕릉
    2. 『해동제국기』로 본 『일본서기』의 변작
    3. 허구의 왜왕과 창작된 왜왕릉
    1) 시조 신무(神武)
    (1) 고고학으로 본 신무의 시대
    (2) 『해동제국기』의 옥의희玉依姬
    (3) 시조릉
    (4) 수릉修陵작업
    (5) 신무릉은 총산塚山고분에서 신무전神武田고분으로
    (6) 신무전고분의 타당성
    (7) 『일본서기』의 신무릉
    2) 2대 왜왕 수정綏靖
    (1) 결사8대 왜왕과 무덤
    (2) 수정의 실존 여부
    (3) 수정의 무덤
    3) 3대 왜왕 안녕安寧
    4) 4대 왜왕 의덕懿德
    5) 5대 왜왕 효소孝昭
    6) 6대 왜왕 효안孝安
    7) 7대 왜왕 효령孝靈
    8) 8대 왜왕 효원孝元
    (1) 무내숙내武內宿?, ta?ke?u?ti?no?su?ku?ne
    (2) 효원의 여러 아들과 오포피코大毘古
    9) 9대 왜왕 개화開化
    (1) 개화의 손녀 갈성지고액비매葛城之高額比買
    (2) 새로운 도읍지 카스카春日, ka?su?ka
    10) 10대 왜왕 숭신崇神
    (1) 임나의 조공
    (2) 칼과 거울의 제작
    (3) 근강주近江州의 호수와 서복徐福
    (4) 숭신의 무덤 72
    (5) 저묘箸墓
    11) 11대 왜왕 수인垂仁
    (1) 인간세상에 내려온 천조대신天照大神과 이세신궁伊勢神宮
    (2) 수인과 왕후의 무덤
    12) 12대 왜왕 경행景行
    (1) 경행의 후비 가구루비매迦具漏比買, ka?gu?ro?pi?me
    (2) 83세에 즉위한 경행의 여성편력
    (3) 경행의 규슈九州 정벌
    (4) 경행의 아들 일본무존日本武尊과 경행릉
    13) 13대 왜왕 성무成務
    14) 14대 왜왕 중애仲哀
    (1) 부친 일본무존과 모 양도입희兩道入姬
    (2) 금은金銀의 나라 신라
    (3) 신공왕후神功王后
    (4) 한漢에 대한 사신 파견과 신공의 무덤
    15) 15대 왜왕 응신應神
    (1) 출산을 억제하기 위한 돌 ‘진회석鎭懷石’
    (2) 응신의 왕후와 여성편력
    (3) 백제인의 도왜 1
    (4) 백제인의 도왜 2
    (5) 목만치木萬致
    (6) 백제 태자의 도왜
    (7) 일본은 삼한三韓과 동종同種인가?
    (8) 응신의 무덤
    16) 16대 왜왕 인덕仁德
    (1) 인덕의 모후
    (2) 무내숙내武內宿?의 죽음
    (3) 인덕의 무덤
    (4) 인덕은 무사武士였나?
    17) 17대 왜왕 이중履中
    (1) 이중의 수명
    (2) 반란 전승에 관련된 인물들의 실존 여부
    (3) 태자책봉
    (4) 이중의 무덤
    18) 18대 왜왕 반정反正
    19) 19대 왜왕 윤공允恭
    20) 20대 왜왕 안강安康
    (1) 안강의 실재 여부와 태자 목리경木梨輕의 반란 전승
    (2) 안강 암살 설화의 진위 여부 121 (3) 안강의 무덤
    21) 21대 왜왕 웅략
    (1) 웅략의 부모와 출생
    (2) 웅략의 사망과 유조遺詔
    (3) 웅략 이름의 유래
    (4) 웅략 이름의 모순점
    (5) 즉위 무렵 웅략이 소년이었나?
    (6) 웅략의 후비 치원稚媛
    (7) 개로왕과 미녀
    (8) 임나국사任那國司
    (9)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
    (10) 웅략의 신라 정벌
    (11) 웅략의 무덤
    22) 22대 왜왕 청녕靑寧
    (1) 성천星川왕자의 반란 설화
    (2) 반풍飯豊천황
    23) 23대 왜왕 현종顯宗
    (1) 시변압반市邊押磐, i?ti?no?be?no?o?si?i?pa왕자
    (2) 이원荑媛, pa?ye?pi?me
    (3) 현종 형제가 소년이었을까?
    (4) 현종의 왕후 난파소야
    24) 24대 왜왕 인현仁賢
    (1) 동생보다 나이가 적은 형 인현 149 (2) 인현의 왕비 춘일대랑
    25) 25대 왜왕 무열武烈
    26) 26대 왜왕 계체繼體
    (1) 계체는 응신의 5세손인가?
    (2) 계체의 부모 153
    (3) 계체의 왕후 수백향手白香과 후비 이원荑媛
    (4) 계체의 즉위식
    (5) 임나 4현의 백제 할양
    (6) 반정磐井의 반란
    (7) 반정의 행적 1
    (8) 반정의 행적 2
    (9) 계체의 죽음에 관한 백제본기百濟本記의 기록
    (10) 계체의 연호
    (11) 계체의 무덤
    27) 27대 왜왕 안한安閑
    28) 28대 왜왕 선화宣和
    29) 29대 왜왕 흠명欽明
    (1) 소아도목蘇我稻目과 그의 딸
    (2) 중복되는 왕비 강자糠子
    (3) 『일본서기』의 변명
    (4) 임나부흥회의
    (5) 임나부흥회의 관련 왜인들의 실존 여부
    (6) 신라정벌
    (7) 고구려 정벌
    (8) 성왕의 불교 전파
    (9) 왜국 불교전래의 진실
    (10) 흠명의 연호
    (11) 흠명의 수명
    (12) 흠명의 무덤
    30) 30대 왜왕 민달敏達
    (1) 민달의 왕후
    (2) 민달의 역어전譯語田, wo?sa?ta 궁전
    (3) 연호
    (4) 태자 언인대형彦人大兄의 죽음
    (5) 신라의 왜국 침공 1
    (6) 신라의 왜국침공 2
    (7) 물부수옥物部守屋의 배불排佛과 민달의 수명
    31) 31대 왜왕 용명用明
    32) 32대 왜왕 숭준崇峻
    (1) 『해동제국기』에 나오는 숭준과 용명의 나이
    (2) 숭준의 무덤
    33) 33대 왜왕 추고推古
    (1) 성덕태자聖德太子의 섭정
    (2) 성덕태자의 헌법 17조憲法十七條
    (3) 『해동제국기』와의 차이
    (4) 추고의 연호
    (5) 연호 법흥法興
    (6) 연호 법흥원法興元
    (7) 연호 대화大化
    (8) 신라新羅 공격
    34) 34대 왜왕 서명敍明
    (1) 『만엽집萬葉集』과의 모순
    (2) 『해동제국기』와의 차이
    35) 35대 왜왕 황극皇極
    (1) 황극의 계보
    (2) 황극의 이름
    36) 36대 왜왕 효덕孝德
    37) 37대 왜왕 제명齊明과 실존 왜왕 부여풍夫餘豊
    (1) 백제 구원군을 지휘한 제명의 행적
    (2) 제명 행적의 진실
    (3) 부여풍은 인질이었나 1
    (4) 부여풍은 인질이었나 2
    (5) 부여풍의 백제 귀환
    (6) 백제의 왕자 선광禪光의 도왜와 입시入侍
    (7) 가족을 거느리고 도왜한 백제의 왕자들
    (8) 부여풍은 왜왕의 관모를 썼다
    (9) 부여풍의 진군가進軍歌
    (10) 『해동제국기』와의 차이 242 (11) 제명의 무덤
    38) 38대 왜왕 천지天智
    (1) 천지가 동생 천무를 태자로 책봉하였을까?
    (2) 아들 천무를 태자로 책봉한 것은 왜왕 부여풍
    (3) 『해동제국기』에 나오는 제명의 연호 백봉白鳳
    (4) 천지릉天智陵
    39) 39대 왜왕 천무天武
    (1) 천무의 연호 백봉白鳳
    (2) 가공의 연호로 인한 혼란상
    (3) 백제 조정과 구별되는 아조我朝
    (4) 연호 주조朱鳥
    (5) 천무와 지통持統의 합장릉
    40) 40대 왜왕 지통持統
    41) 『해동제국기』와 『일본서기』
    4. 왜왕 계보의 이중구조
    1) 신무神武그룹의 왜왕들
    (1) 기나긴 재위연수와 수명
    (2) 부자상속
    2) 이중履中그룹의 왜왕들
    (1) 짧은 재위기간과 수명
    (2) 형제상속
    5. 왜 천황릉을 공개하지 않을까?
    1) 천황릉의 비공개
    2) 비공개의 이유
    3) 천황릉 공개를 거부하는 궁내청의 진정한 의도
    4) 천황릉의 한정공개

    2장 왜국 귀족들의 창작된 시조
    1. 가공인물을 시조로 둔 귀족들
    1) 소아蘇我씨
    (1) 백제에서 건너간 소아씨
    (2) 목협만치의 후손 한자韓子, 고려高麗, 마자馬子
    (3) 소아씨의 시조는 소하석하숙내蘇賀石河宿?인가?
    2) 물부物部, mo?no?no?be씨
    (1) 물부物部의 의미
    (2) 물부씨의 조상 우마시마지宇麻志麻遲
    (3) 물부나솔 物部奈率
    3) 중신中臣, na?ka?to?mi씨
    4) 대반大伴, o?po?to?mo씨
    5) 내목來目, ku?me씨
    6) 갈성葛城, ka?tu?ra?gi씨
    7) 평군平群, pe?gu?ri씨
    8) 기紀, ki씨
    9) 거세居勢, ko?se씨
    10) 아배阿倍, a?be씨
    11) 와니和珥, wa?ni씨
    12) 식장息長, o?ki?na?ga씨
    13) 지명을 성으로 삼은 것은 백제의 풍습
    (1) 흑치상지黑齒常之
    (2) 기주기루己州己婁와 동성도천東城道天
    (3) 곡나진수谷那晋首 291
    (4) 사비복부四比福夫
    14) 수많은 후손을 둔 가공의 시조들
    (1) 19 씨족의 시조인 신팔정이명神八井耳命
    (2) 수십 씨족의 시조인 건내숙내建內宿?의 아들들
    (3) 7 씨족의 시조인 대언명大彦命과 대랑자大郞子
    (4) 6 씨족의 시조인 타캐토요파두라와캐建豊波豆羅和氣
    2. 귀족들의 원적 295
    1) 선왕후船王後의 묘지명
    (1) 묘지명의 작성시기
    (2) 왕지인王智仁
    (3) 상표문의 진실성 여부
    (4) 왕진이와 왕인王仁
    (5) 중조中祖
    (6) 신神 조상 ? 허구의 조상
    (7) 백제풍의 이름
    2) 위나대촌威奈大村의 묘지명
    (1) 위나대촌은 선화의 5세손일까?
    (2) 부친의 이름 위나경威奈卿
    3) 도락道樂 스님의 묘지명
    4) 석천연족石川年足의 묘지명
    (1) 석천연족은 소아석하숙내의 10세손일까?
    (2) 석천연족의 원적
    5) 행기行基 스님의 묘지명
    (1) 부친은 백제의 왕자
    (2) 모친 고이비매古爾比賣
    6) 우치숙내宇治宿?의 묘지명
    7) 등원겸족藤原鎌足 일대기 『가전家傳』
    (1) 부친의 대에 도왜한 등원겸족
    (2) 천지天智가 중신겸족을 중용한 이유
    8) 환무桓武천황의 생모 고야신립高野新笠의 일대기
    3. 재왜 백제인들의 터전 이마키(今來)
    1) 이마키 ? 새로 건너온 사람들의 터전
    2) 여러 곳에 있던 이마키
    (1) 소아하이蘇我遐夷 쌍묘의 이마키
    (2) 제명齊明의 손자 건建의 무덤이 있는
    (3) 교토京都의 이마키
    (4) 산전사山田寺 부근의 이마키
    (5) 아라가야 사람들의 이마키
    3) 이마키今來의 재기才伎
    (1) 『일본서기』의 금래재기今來才伎
    (2) 금래재기今來才伎의 원래 의미
    4) 이마키가 변한 타캐티高市
    (1) 하늘의 타캐티高市
    (2) 왜국의 수도는 준백제
    5) 이마키今來와 타캐티高市 인구의 대부분은 한국인
    (1) 상표문이 전하는 진실
    (2) 백제인들의 세상 피노쿠마檜前, 檜?
    6) 아스카飛鳥의 원류 부여와 부여신궁扶餘神宮
    (1) 일본인들은 아스카 문화의 원류가 부여라고 생각하였다
    (2) 부여신궁夫餘神 宮과 신도神都
    4. 아푸미(近江) 천도와 임신(壬申)의 난(亂)
    1) 아푸미近江 천도 349
    (1) 아푸미의 카라사키韓岐
    (2) 천도의 이유
    (3) 『일본서기』에는 천도의 이유가 나오지 않는다
    5. 토착왜인
    1) 『일본서기』 천손강림조의 토착왜인
    2) 수사노素?嗚와 토착왜인
    3) 신무기神武紀의 토착왜인
    4) 응신기의 토착왜인
    (1) 미개인으로 묘사된 토착왜인
    (2) 국소國巢, ku?ni?su의 의미
    6. 천손강림(天孫降臨) 설화와 고천원(高天原)
    1) 천손강림 설화
    2) 천손강림 설화 창작의 진정한 의도
    3) 백제를 의미하는 고천원高天原
    (1) 고천원高天原
    (2) 여왕 지통持統의 시호 고천원高天原
    (3) 문무文武 시호의 ‘천天’
    (4) 원명元明 시호의 ‘천天’
    (5) 광인천황 시호의 ‘천天’
    4) 「고천원=백제」라는 증명
    (1) 천손天孫은 해북海北에서 배로 왜국으로 건너갔다
    (2) 세 여신과 무나가타대사宗像大社
    (3) 오키노시마의 제사유적
    (4) 바닷길로 왜국을 오가던 백제인들의 염원
    (5) 고천원은 하늘이 아닌 지상의 장소
    (6) 고천원을 한국으로 본 일본 연구자들의 견해
    5) 천손강림 설화와 백제, 고구려의 건국설화
    (1) 천조대신天照大神과 소서노召西奴와 유화부인柳花夫人
    (2) 백제, 고구려의 건국신화와 신무神武의 동정설화東征說話
    6) 천손강림 설화의 백제적 요소
    (1) 하늘의 바위자리天磐座와 자온대自溫臺
    (2) 천안하天安河 회의와 정사암政事巖
    (3) 천강天降 장소인 한국악韓國岳
    (4) 쿠지푸루타캐久士布流多氣와 구지봉龜旨峰
    7) 천손天孫 니니기
    (1) ‘니니기’의 의미
    (2) 고목신高木神
    (3) 니니기의 모친 ‘바다’
    (4) 사루타피코猿田毗古
    8) 왜국의 미칭
    9) 천손강림 설화의 백제어
    (1) 단 구름
    (2) 치헤치고
    (3) 5부의 신五部神
    (4) 다섯 부족장의 ‘키’
    (5) 일본 목간에 보이는 조사 ‘의’
    (6) 사나이
    (7) 들이
    (8) ~시리
    (9) 광인光仁천황의 모후 고야신립高野新笠 시호의 ‘시리’
    10) 하늘의 피 잇기天津日繼, a?ma?tu?pi?tu?gi
    (1) pi?tu?gi 日繼 일계
    (2) 피 잇기 416 (3) 제황일계帝皇日繼
    11) 『고사기』의 서문에서 공표한 역사 창조의 방침

    3장 고대 왜국의 원풍경
    1. 금석문에서 나타난 고대 왜국의 원풍경
    1) 왕연손王延孫
    2) 대고신大古臣
    (1) 신해년辛亥年
    (2) 붕거朋去
    (3) 평評
    (4) 포나태리고신布奈太利古臣과 건고신建古臣
    (5) 고을
    3) 고옥대부高屋大夫와 한부부인韓婦夫人
    (1) 고옥대부高屋大夫와 병인년
    (2) 한부韓婦 부인夫人
    (3) 아마고阿麻古
    4) 이지사고伊之沙古와 처 우마미고汗麻尾古
    5) 둘째 아들 무투코六子
    (1) 중지中知
    (2) 무투코六子
    (3) 분分
    6) 서림사의 한국인들
    (1) 보원寶元 5년 기미년
    (2) 서직 대아사고군書直 大阿斯高君
    (3) 서림사를 창건한 지미고수支彌高首
    (4) 전단고수?檀高首와 토사장형土師長兄
    (5) 고연양고수高連羊古首와 한회고수韓會古首
    7) 나니파연공那?波連公
    8) 백제 대왕이 하사한 파적검破敵劍과 호신검護身劍
    9) 물부순勿部珣의 백제식 이름
    10) 백제 왕세자가 왜왕 지旨에게 하사한 칠지도
    (1) 칠지도의 명문
    (2) 칠지도는 상위자가 하위자에게 하사下賜한 것이다
    11) 무령왕의 남동생인 왜왕男弟王
    12) 왁가다기로獲加多支鹵대왕과 장도인杖刀人의 수首
    (1) ‘왁가다기로’가 웅략이 아닌 이유
    (2) 웅략의 궁宮과 사귀궁斯鬼宮
    13) 무리저无利?와 이태화伊太和, 장안張安
    2. 무령왕릉으로 보는 백제와 왜국의 원풍경
    1) 무령왕은 곤지昆支의 아들일까?
    (1)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의 기록
    (2) 군사 5백명의 대규모 호위대
    2) 무령왕릉에 왜풍의 유물이 있을까?
    (1) 왜국산 금송으로 만든 무령왕의 관
    (2) 목관 이외의 왜국산 목재
    (3) 무령왕릉의 유물이 왜국에 미친 영향
    3. 왜왕의 왕호와 궁호(宮號)에 드러난 왜국사의 원풍경
    (1) 대군大君
    (2) 미코 御子 어자
    (3) 태자太子
    (4) 미매 妃 비
    (5) 미야 宮 궁와 미야코 都 도
    (6) 왜군倭君의 선조가 된 법사군法斯君
    (7) 백제의 골족骨族
    (8) 수매라미코토天皇 천황
    (9) 금석문의 대왕大王
    (10) 일대일궁一代一宮은 사실인가?
    (11) 제명齊明의 비조판개궁飛鳥板蓋宮과 궁전 이전의 실태
    (12) 천무의 아스카飛鳥 키요미파라淨御原궁
    (13) 지명에 기인한 궁호의 유래는 고대 한국

    4장 천황가의 제사와 천손강림
    1. 고대 왜왕가의 조상에 대한 관념과 제사
    1) 왜왕가의 조상에 대한 관념
    (1) 근릉近陵과 원릉遠陵
    (2) 천황가에서는 어떤 조상을 위패로 모셨을까?
    2) 『속일본기』에 보이는 왕릉에 대한 제사의 실태
    (1) 왕릉 제사의 구체적인 실례
    (2) 10릉4묘十陵四墓와 시조 천지天智
    3) 왕릉급 고분에 대한 파괴
    (1) 부서지고 평탄화된 왜왕릉
    (2) 고분 파괴에 대한 왜 조정의 조치
    2. 신상제(新嘗祭)와 대상제(大嘗祭)
    1) 진혼제鎭魂祭 ? 혼을 부르는 제사
    2) 신악神樂
    (1) 불
    (2) 아지매阿知女
    (3) 오게
    (4) 하늘 궁전에 진좌하신 풍강희豊岡姬
    (5) 한신韓神
    (6) 티
    (7) 때때
    (8) ~디
    (9) 길이길이
    3) 중신수사中神壽詞와 고천원高天原
    (1) 황친皇親과 황손존皇孫尊
    (2) 대상제의 제신祭神은 누구인가?
    (3) 백제의 신성한 벼를 왜국으로
    4) 삼종신기인 칼과 거울을 바치는 의식
    (1) 삼종신기三種神器
    (2) 외부의 권위에 의지하여 성립한 왜왕권
    (3) 왜왕 즉위식의 천신수사와 삼종신기
    (4) 성무聖武천황 시호의 삼종신기
    (5) 흠명欽明 시호의 백제와 왜국
    (6) 천지와 천무 왜풍시호의 하늘
    (7) 문무文武천황 즉위사의 고천원高天原

    5장 실존 왜왕, 천황 노래의 백제어
    1) 왜왕 천지天智
    (1) 바다
    (2) 천지 왕후 노래의 ‘바다’
    (3) 운내비雲根火 ? ‘ㄴ’ 첨가현상
    (4) 닫다
    2) 왜왕 천무天武
    3) 왜왕 지통持統
    (1) 지다
    (2) 시부리다
    (3) 세우다
    (4) ~이
    (5) ‘ㄴ’ 첨가
    4) 문무文武천황
    5) 성무聖武천황
    (1) 벼 들
    (2) 치쓰다듬다
    6) 고시高市왕자

    6장 천황가의 기원
    1) 백제의 왕이었던 대원박사大原博士
    2) 대원大原이라는 성
    3) 대원씨는 일본 땅에서 왕성王姓
    (1) 세 스님과 동족인 대원씨는 천황의 일족
    (2) 절 이름과 관련된 의문에 관하여
    4) 대원진인은 민달의 손자 백제왕에서 나왔다
    5) 이 왕성王姓은 백제왕百濟王이라는 성을 의미할까?
    6) 결론

    덧붙이는 글 1. 백제는 왜와 교류하였을까?
    덧붙이는 글 2. 일본의 새 연호 ‘영화(令和 레이와)’와 한국의 인연

    참고문헌

책 속으로

[머리말 중에서]
1. 2015년 가을의 어느 날, 일본의 고고학 서적을 읽다가, 대략 다음과 같은 취지의 문장을 읽고는 눈이 번쩍 뜨이는 느낌이 들었다.
「『일본서기』에 나오는 수많은 천황 중, 그 무덤을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은 38대 천지(天智)릉과 그 뒤를 이은 천무(天武)와 지통(持統)의 합장릉 둘 뿐이다」
일본 고고학의 확립된 통설이다. 필자는 이 대목에서 큰 충격을 받았다. 바로 필자가 졸저 『일본 천황과 귀족의 백제어』에서 「『일본서기』에 기록된 역대 왜왕 중, 시조 신무(神武)부터 37대 제명(齊明)까지는 창작된 허구의 인물이고, 38대 천지(天智)부터 실존인물이다」라고 주장한 것과 결론에서 완벽하게 일치하였기 때문이었다. 그때부터 필자는 일본의 왕릉(천황릉)에 관하여 알아보아야 하겠다는 생각에, 이에 관한 책을 구할 수 있는 한 수집하여 읽어 보았다.
그리하여 얻은 결론은 37명의 왜왕이 날조된 가공인물이기에, 그 무덤이 있을 리가 없고, 따라서 왜왕릉에 관한 일본 고고학의 통설은 지극히 당연한 사실을 지적한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면 창작된 왜왕들의 신하인 귀족, 호족들은 어떠한가? 『일본서기』나 『고사기』에 등장하는 귀족들은 왜왕과 마찬가지로, 거의 대부분 창작된 가공인물이었다.
즉 기원전 667년에 즉위하였다는 시조 신무(神武)부터, 661년에 사망하였다는 37대 제명(齊明)에 이르기까지, 1,328년간의 왜국 고대사에 등장하는 왜왕 전부와 귀족들 대부분은 날조된 가공인물이었다. 이 두 사서는 허구의 왜왕과 왕후, 왕자, 귀족, 그들이 연출하는 가공의 사건들로 이루어진, 꾸며낸 창작소설인 왜국의 역사를 기록하였던 것이다.
2. 진실된 왜국 고대사를 밝히면 절대 안되는 이유가 있었기에 이렇듯 역사를 날조하였을 것이다. 진실은 무엇인가.
왜국을 지배한 것은 토착왜인이 아니라 백제인이었다. 왜왕은 백제의 왕자였고, 백제에서 파견한 귀족들이 왜국을 통치하였던 것이다.
『고사기』와 『일본서기』가 발간된 8세기 초, 천황을 비롯한 일본 지배층에서는 그러한 사실을 완벽하게 감추면서, 자신들의 선조가 태곳적부터 왜국에서 토착왜인들을 지배하여 온 양, 창작소설을 만들어 낸 것이다.
인구수에서 압도적으로 다수인 토착왜인들을 민족분규 없이 안정적으로 지배하기 위하여, 백제인이라는 정체성을 버리고 스스로 왜인이 되는 길을 선택하였는데, 이러한 「왜인화 정책」의 핵심적인 포인트가 바로 이 역사창조였다고 생각된다.
소수민족으로서 중국을 지배한 몽골인이나 만주족은 정체성을 잃지 않으려고 노력하였으나, 백제인들은 정반대의 노선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3. 이렇듯 창작된 역사를 기록한 『일본서기』이지만, 중세의 일본 지식층에서는 「조국 대일본의 위대한 역사」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것도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던 모양이다. 그래서 원본 『일본서기』의 곳곳에 가필하여 새로운 변작을 감행하였다.
지금은 일본 사학계에서 폐기된 담론인 「임나일본부」에 관한 엄청난 분량의 기사가 대표적 사례이다. 서문이 사라진 것, 무수하게 등장하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조공 기사 역시 후세 변작자의 소행인 것이 분명하다. 『일본서기』는 태생부터가 창작된 허구의 역사를 기록하였는데, 거기에다 수차에 걸쳐 후세 사람의 혹심한 변작까지 보태어졌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4. 두 사서는 37대나 되는 가공의 왜왕과, 그에 따른 수많은 왕후, 왕자, 귀족, 사건들을 날조하였으므로, 수많은 창작상의 실수가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빠짐없이 기록된 왜왕릉 역시 진실과는 거리가 멀 수밖에 없다.
제 1장 「허구의 왜왕과 창작된 왜왕릉」에서는 이러한 날조된 왜왕과 왕릉, 무수하게 등장하는 창작상의 실수, 그리고 후세인의 수많은 가필과 변작에 관한 여러 가지를 규명하였다.
제 2장 「왜국 귀족들의 창작된 시조」에서는 귀족들의 뿌리와 그 원적, 그리고 천황가와 지배층의 기원에 관한 창작설화인 고천원(高天原) 설화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8세기 초 일본의 지배층인 백제인들이, 스스로가 토착왜인인 양 역사를 날조하였지만, 자신들의 뿌리가 완벽하게 잊혀지는 사태는 결코 원치 않았던 모양이다. 고천원 설화는 뿌리를 후대에 전하기 위한 일종의 암호문에 다름 아니다.
제 3장 「고대 왜국의 원풍경」에서는 고대 금석문 등을 통하여, 두 사서의 기록과는 전혀 다른 왜국의 원풍경을 들여다보았다. 보이는 것은 왜국의 맑은 공기를 숨쉬며 활동하던 백제인들의 발자취뿐이었다.
8세기 이후의 천황가에서는 가공의 선조 왜왕들에게 제사를 올렸을까? 신무(神武)를 시조로서 특별하게 존숭하고 받들었을까? 허구의 왜왕들에게 어떠한 관념을 가지고 있었을까? 천황가의 뿌리와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문제인데, 이러한 의문을 제 4장 「천황가의 제사」에서 풀어보았다.
제 5장 「실존 왜왕, 천황 노래의 백제어」에서는 천지(天智)를 비롯하여 실존하였던 왜왕과 천황들이 지은 만엽가에 등장하는 백제어를 규명하였다. 이들은 예외 없이 백제어에 능통하였을 뿐만 아니라, 백제식 일본어를 구사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제 6장 「천황가의 기원」에서는 금석문에 나오는 기록을 단서로 하여, 천황가의 원래 성이 백제 부여씨라는 사실을 증명하여 보았다.

출판사 서평

이렇게 오래된 천황가의 역대 천황들은 하나같이 이름만 있고 성은 없다.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의하면, 초대 신무는 현대의 규슈(九州) 가고시마(鹿兒島)현 휴우가(日向)라는 곳에서 대군을 이끌고 동쪽으로 진군하여, 나라(奈良)현 아스카(明日香)에 있던 적을 무찌르고는, 그곳에 정착하여 왜국을 통치하였다 한다. 그렇다면 초대 신무는 바다 너머에서 건너간 것이 아니라 토착왜인인 셈이다. 위 두 책에는 토착왜인인 역대 천황들이 아득한 옛날부터 단 한 번의 왕조 교체도 없이 왜국을 통치하였다고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오래된 천황가의 역대 천황들은 하나같이 이름만 있고 성은 없다. 이러한 현상은 초대 신무부터 현대의 영화(令和)천황에 이르기까지 전혀 변함이 없다. 현대의 문명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 중에서 성은 없고, 이름만 가진 사람은 아마도 일본의 천황가 사람들 외에는 단 한 명도 없을 것이다. 고대의 왜국(한국도 마찬가지)에도 일반 평민은 성이 없고, 이름만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귀족들은 당연히 성이 있었다. 성이 없는 귀족은 단 한명도 없었다. 오직 천황가의 사람들만 예외였던 것이다. 천황가는 성이 없으니 그 뿌리를 추적할 단서마저 존재하지 아니한 셈이다.

『일본서기』에서 밝힌 시조 신무조차 실존 인물이 아니라 저자가 창안해 낸
가공의 인물인 것이다.

신무의 뒤를 이은 수정(綏靖)으로부터 9대 개화(開化)까지의 8대 왕을 일본의 사학자들은 ‘결사8대(缺史八代)’라는 용어로 일컫고 있다. 역사가 빠진 8대라는 의미이다.
왜냐하면 『일본서기』나 『고사기』에 이 왕들의 행적이나 나라에 있었던 일이 전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보이는 것은 궁의 위치, 왕비와 자녀들의 이름, 사망한 해와 나이, 묘지의 위치 등이다. 그렇지만 왕에 관한 역사를 쓴다면 당연히 기록하여야 마땅한 여러 치적, 나라에 있었던 일, 여러 신하에 관한 기록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
그리하여 일본의 사학계에서는 근래에 들어 이 신무를 포함한 9대 왕들은 실존 인물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려놓았다. 이 점에 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는 거의 없다.
『일본서기』는 이렇듯 철저하게 왜왕가의 기원을 감추고 있다. 시조인 신무조차 실존 인물이 아니라 저자가 창안해 낸 가공의 인물인 것이다. 『삼국사기』와는 전혀 차원이 다르다. 왜왕가의 출자를 철저하게 은폐하겠다는 확고한 의지의 표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과연 천황가 즉 왜왕가는 어디에서 기원하였단 말인가?

백제가 멸망하고 돌아갈 터전이 사라진 백제인들은 정체성을 버리고
왜인과 동화되는 길을 선택한다.

7세기 말의 일본열도에는 참으로 다양한 원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살고 있었으나, 그중에서 주도권을 가진 것은 백제 멸망 이전부터 도왜하여 살고 있던 구백제계 귀족들이었다. 백제의 개로왕 무렵에 도왜하였던 목만치(木滿致)의 후손인 소아(蘇我)씨, 소아 가문에 의하여 멸망한 물부(物部)씨, 백제 멸망으로부터 불과 얼마 전에 도왜하였던 중신(中臣)씨 등이 대표적인 구백제계이다.
『일본서기』는 이러한 구백제계는 토착왜인인 것처럼 처리하여, 백제계라는 사실을 철저하게 은폐하였다. 마치 천황가의 가계가 아득한 옛날, 천지창조 무렵부터 왜국에 붙박아 살고 있었다고 서술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백제계 사람들은 왜 자신들의 정체성을 포기하고 스스로 토착왜인으로 신분세탁을 하고 동화하려 했을까. 그만큼 백제계 귀족들에게는 절박한 사정이 있었다. 백제가 멸망하고 신라의 영토가 되어 버렸으니, 한반도에는 그들이 돌아갈 곳이 어디에도 없었다. 돌아갈 터전이 사라진 백제인들은 정체성을 버리고 왜인과 동화되는 길을 선택한 것이다.
그러한 「왜인화 정책」을 뒷받침하는 선전광고 책자로 등장한 것이 『고사기』와 『일본서기』라는 두 역사서이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ISBN 9788962464016 ( 8962464012 )
발행(출시)일자 2019년 08월 26일
쪽수 640쪽
크기
152 * 225 * 31 mm / 937 g
총권수 1권

Klover

Klover 리뷰 안내
교보를 애용해 주시는 고객님들이 남겨주신 평점과 감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보문고의 리뷰 서비스입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평점과 10자 이상의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을 적립해 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리뷰 종류별로 구매한 아이디당 한 상품에 최초 1회 작성 건들에 대해서만 제공됩니다.
판매가 1,000원 미만 도서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한달 후 리뷰
구매 후 30일~ 120일 이내에 작성된 두 번째 구매리뷰에 대해 한 달 후 리뷰로 인지하고 e교환권 100원을 추가 제공합니다.
운영 원칙 안내
Klover 리뷰를 통한 리뷰를 작성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유로운 의사 표현의 공간인 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를 부탁합니다.
일부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불편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래에 해당하는 Klover 리뷰는 별도의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도서나 타인에 대해 근거 없이 비방을 하거나 타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리뷰
  • 도서와 무관한 내용의 리뷰
  • 인신공격이나 욕설, 비속어, 혐오발언이 개재된 리뷰
  • 의성어나 의태어 등 내용의 의미가 없는 리뷰

리뷰는 1인이 중복으로 작성하실 수는 있지만, 평점계산은 가장 최근에 남긴 1건의 리뷰만 반영됩니다.
신고하기
다른 고객이 작성리뷰에 대해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신고 자가 일정수준 이상 누적되면 작성하신 리뷰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벤트
TOP

저자 모두보기

저자(글)

매장별 재고 및 위치

할인쿠폰 다운로드

  • 쿠폰은 주문결제화면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다운로드한 쿠폰은 마이 > 혜택/포인트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 상품에 대해서는 정가의 10%까지 쿠폰 할인이 가능합니다.
  •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 상품에 10% 할인이 되었다면, 해당 상품에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적립예정포인트 안내

  • 통합포인트 안내

    • 통합포인트는 교보문고(인터넷, 매장), 핫트랙스(인터넷, 매장), 모바일 교보문고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상품 주문 시, 해당 상품의 적립률에 따라 적립 예정 포인트가 자동 합산되고 주문하신 상품이 발송완료 된 후에 자동으로 적립됩니다.
    • 단, 쿠폰 및 마일리지, 통합포인트, e교환권 사용 시 적립 예정 통합포인트가 변동될 수 있으며 주문취소나 반품시에는 적립된 통합포인트가 다시 차감됩니다.
  • 통합포인트 적립 안내

    • 통합포인트는 도서정가제 범위 내에서 적용됩니다.
    • 추가적립 및 회원 혜택은 도서정가제 대상상품(국내도서, eBook등)으로만 주문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 기본적립) 상품별 적립금액

    • 온라인교보문고에서 상품 구매시 상품의 적립률에 따라 적립됩니다.
    • 단 도서정가제 적용 대상인 국내도서,eBook은 15%내에서 할인율을 제외한 금액내로 적립됩니다.
  • 추가적립) 5만원 이상 구매시 통합포인트 2천원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시 통합포인트 2천원 적립됩니다.
    • 도서정가제 예외상품(외서,음반,DVD,잡지(일부),기프트) 2천원 이상 포함시 적립 가능합니다.
    • 주문하신 상품이 전체 품절인 경우 적립되지 않습니다.
  • 회원혜택) 3만원이상 구매시 회원등급별 2~4% 추가적립

    • 회원등급이 플래티넘, 골드, 실버 등급의 경우 추가적립 됩니다.
    • 추가적립은 실결제액 기준(쿠폰 및 마일리지, 통합포인트, e교환권 사용액 제외) 3만원 이상일 경우 적립됩니다.
    • 주문 후 취소,반품분의 통합포인트는 단품별로 회수되며, 반품으로 인해 결제잔액이 3만원 미만으로 변경될 경우 추가 통합포인트는 전액 회수될 수 있습니다.

제휴 포인트 안내

제휴 포인트 사용

  • OK CASHBAG 10원 단위사용 (사용금액 제한없음)
  • GS&POINT 최대 10만 원 사용
더보기

구매방법 별 배송안내

배송 일정 안내

  • 출고 예정일은 주문상품의 결제(입금)가 확인되는 날 기준으로 상품을 준비하여 상품 포장 후 교보문고 물류센터에서 택배사로 전달하게 되는 예상 일자입니다.
  • 도착 예정일은 출고 예정일에서 택배사의 배송일 (약1~2일)이 더해진 날이며 연휴 및 토, 일, 공휴일을 제외한 근무일 기준입니다.
배송 일정 안내
출고예정일 도착예정일
1일이내 상품주문 후 2~3일 이내
2일이내 상품주문 후 3~4일 이내
3일이내 상품주문 후 4~5일 이내
4일이내 상품주문 후 5~6일 이내

연휴 및 토, 일, 공휴일은 제외됩니다.

당일배송 유의사항

  • 수도권 외 지역에서 선물포장하기 또는 사은품을 포함하여 주문할 경우 당일배송 불가
  • 회사에서 수령할 경우 당일배송 불가 (퇴근시간 이후 도착 또는 익일 배송 될 수 있음)
  • 무통장입금 주문 후 당일 배송 가능 시간 이후 입금된 경우 당일 배송 불가
  • 주문 후 배송지 변경 시 변경된 배송지에 따라 익일 배송될 수 있습니다.
  • 수도권 외 지역의 경우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 각 지역 매장에서 택배를 발송하므로, 주문 시의 부록과 상이할 수 있습니다.
  • 각 지역 매장에서 재고 부족 시 재고 확보를 위해 당일 배송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일반배송 시 유의사항

  • 날씨나 택배사의 사정에 따라 배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 수도권 외 지역 바로배송 서비스의 경우 경품 수령 선택 여부에 따라 도착 예정일이 변경됩니다.
  • 출고 예정일이 5일 이상인 상품의 경우(결제일로부터 7일 동안 미입고), 출판사 / 유통사 사정으로 품/절판 되어 구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SMS, 메일로 알려드립니다.
  • 선물포장 주문 시 합배송 처리되며, 일부상품 품절 시 도착 예정일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 분철상품 주문 시 분철 작업으로 인해 기존 도착 예정일에 2일 정도 추가되며, 당일 배송, 해외 배송이 불가합니다.

해외주문 시 유의사항

  • 해외주문도서는 해외 거래처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습니다.

Special order 주문 시 유의사항

  • 스페셜오더 도서나 일서 해외 주문 도서와 함께 주문 시 배송일이 이에 맞추어 지연되오니, 이점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1. STEP 01
    매장 선택 후 바로드림 주문
  2. STEP 02
    준비완료 알림 시 매장 방문하기
  3. STEP 03
    바로드림존에서 주문상품 받기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 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 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 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 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 선물 받는 분의 휴대폰번호만 입력하신 후 결제하시면 받는 분 휴대폰으로 선물번호가 전달됩니다.
  • 문자를 받은 분께서는 마이 > 주문관리 > 모바일 선물내역 화면에서 선물번호와 배송지 정보를 입력하시면 선물주문이 완료되어 상품준비 및 배송이 진행됩니다.
  • 선물하기 결제하신 후 14일까지 받는 분이 선물번호를 등록하지 않으실 경우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 또한 배송 전 상품이 품절 / 절판 될 경우 주문은 자동취소 됩니다.

바로드림 서비스 안내

  1. STEP 01
    매장 선택 후 바로드림 주문
  2. STEP 02
    준비완료 알림 시 매장 방문하기
  3. STEP 03
    바로드림존에서 주문상품 받기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1. STEP 01
    픽업박스에서 찾기 주문
  2. STEP 02
    도서준비완료 후 휴대폰으로 인증번호 전송
  3. STEP 03
    매장 방문하여 픽업박스에서 인증번호 입력 후 도서 픽업
  • 바로드림은 전국 교보문고 매장 및 교내서점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잡지 및 일부 도서는 바로드림 이용이 불가합니다.
  • 각 매장 운영시간에 따라 바로드림 이용 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수령 안내

  • 안내되는 재고수량은 서비스 운영 목적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매장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바로드림 주문 후 재고가 실시간 변동되어, 수령 예상시간에 수령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취소/교환/반품 안내

  • 주문 후 7일간 찾아가지 않으시면, 자동으로 결제가 취소됩니다.
  • 취소된 금액은 결제수단의 승인취소 및 예치금으로 전환됩니다.
  • 교환/반품은 수령하신 매장에서만 가능합니다.

사은품 관련 안내

  • 바로드림 서비스는 일부 1+1 도서, 경품, 사은품 등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음반/DVD 바로드림시 유의사항

  • 음반/DVD 상품은 바로드림 주문 후 수령점 변경이 불가합니다. 주문 전 수령점을 꼭 확인해주세요.
  • 사은품(포스터,엽서 등)은 증정되지 않습니다.
  • 커버이미지 랜덤발매 음반은 버전 선택이 불가합니다.
  • 광화문점,강남점,대구점,영등포점,잠실점은 [직접 찾아 바로드림존 가기], [바로드림존에서 받기] 로 주문시 음반코너에서 수령확인이 가능합니다.

도서 소득공제 안내

  • 도서 소득공제란?

    • 2018년 7월 1일 부터 근로소득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도서구입 및 공연을 관람하기 위해 사용한 금액이 추가 공제됩니다. (추가 공제한도 100만원까지 인정)
      • 총 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중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사용액이 총급여의 25%가 넘는 사람에게 적용
      • 현재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의 소득 공제한도는 300만 원이고 신용카드사용액의 공제율은 15%이지만, 도서·공연 사용분은 추가로 100만 원의 소득 공제한도가 인정되고 공제율은 30%로 적용
      • 시행시기 이후 도서·공연 사용액에 대해서는 “2018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 정산”시기(19.1.15~)에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 제공
  • 도서 소득공제 대상

    • 도서(내서,외서,해외주문도서), eBook(구매)
    • 도서 소득공제 대상 상품에 수반되는 국내 배송비 (해외 배송비 제외)
      • 제외상품 : 잡지 등 정기 간행물, 음반, DVD, 기프트, eBook(대여,학술논문), 사은품, 선물포장, 책 그리고 꽃
      • 상품정보의 “소득공제” 표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도서 소득공제 가능 결제수단

    • 카드결제 : 신용카드(개인카드에 한함)
    • 현금결제 : 예치금, 교보e캐시(충전에한함), 해피머니상품권, 컬쳐캐쉬, 기프트 카드, 실시간계좌이체, 온라인입금
    • 간편결제 : 교보페이,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PAYCO, 토스, CHAI
      • 현금결제는 현금영수증을 개인소득공제용으로 신청 시에만 도서 소득공제 됩니다.
      • 교보e캐시 도서 소득공제 금액은 교보eBook > e캐시 > 충전/사용내역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SKpay, 휴대폰 결제, 교보캐시는 도서 소득공제 불가
  • 부분 취소 안내

    • 대상상품+제외상품을 주문하여 신용카드 "2회 결제하기"를 선택 한 경우, 부분취소/반품 시 예치금으로 환원됩니다.

      신용카드 결제 후 예치금으로 환원 된 경우 승인취소 되지 않습니다.

  • 도서 소득공제 불가 안내

    • 법인카드로 결제 한 경우
    • 현금영수증을 사업자증빙용으로 신청 한 경우
    • 분철신청시 발생되는 분철비용

알림 신청

아래의 알림 신청 시 원하시는 소식을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알림신청 취소는 마이룸 > 알림신청내역에서 가능합니다.

천황가의 기원은 백제 부여씨
날조된 천황 37명과 일본고대사
한달 후 리뷰
/ 좋았어요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올해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 아무것도 모르고 초심자의 행운으로 분유값 정도를 벌고 나니, 조금 더 공부해보고 싶어져서 『초격차 투자법』을 구매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기대가됩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기대가됩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기대가됩니다~
기대가됩니다~
기대가됩니다~
기대가됩니다~
이 구매자의 첫 리뷰 보기
/ 좋았어요
하루밤 사이 책한권을 읽은게 처음이듯 하다. 저녁나절 책을 집어든게 잘못이다. 마치 게임에 빠진 아이처럼 잠을 잘수없게 만든다. 결말이 어쩌면 당연해보이는 듯 하여도 헤어나올수 없는 긴박함이 있다. 조만간 영화화되어지지 않을까 예견해 본다. 책한권으로 등의 근육들이 오그라진 느낌에 아직도 느껴진다. 하루밤 사이 책한권을 읽은게 처음이듯 하다. 저녁나절 책을 집어든게 잘못이다. 마치 게임에 빠진 아이 처럼 잠을 잘수없게 만든다. 결말이 어쩌면 당연해보이는 듯 하여도 헤어나올수 없는 긴박함이 있다. 조만간 영화화되어지지 않을까..
작년까지만 해도 주식은 커녕 재테크에 관해 아무것도 모르다가 구매했어요! 저도 공부하고 싶어서 구매했어요~ 다같이 완독 도전해봐요! :)
기대가됩니다~
신고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신고 내용은 이용약관 및 정책에 의해 처리됩니다.

허위 신고일 경우, 신고자의 서비스 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어
신중하게 신고해주세요.

판형알림

  • A3 [297×420mm]
  • A4 [210×297mm]
  • A5 [148×210mm]
  • A6 [105×148mm]
  • B4 [257×364mm]
  • B5 [182×257mm]
  • B6 [128×182mm]
  • 8C [8절]
  • 기타 [가로×세로]
EBS X 교보문고 고객님을 위한 5,000원 열공 혜택!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