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약초 약재 300 동의보감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저자(글) 엄용태
저자 엄용태는 호는 호담(豪潭), 인생의 대부분을 약재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약재 전문가다. 혜화당한의원과 대전대학교 한방병원을 거쳐 현재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약제팀에 재직 중이다.
저자는 이 책의 집필 동기에 대해 “기존에 있는 한약에 대한 책들은 한문으로 되어 있어 일반 사람들이 보기에는 좀 어렵다. 또 한약을 잘 알지 못하고 구전으로만 듣고 사용하는 예가 많아 부작용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며 “한약에 대한 것을 바로 알고,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한글과 사진으로 책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이 책은 산야초·광물·해조류의 생생한 사진과 수많은 약재 사진을 실었다. 따라서 한약학이나 한의학에 입문하는 학생들과 관련 분야 종사자 및 전공자는 물론 더욱 정밀한 한약학 정보를 원하는 일반인들에게도 실용적으로 많은 도움이 된다.
대표 저서로는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약초 약재 300 동의보감》 등이 있다.
사진 엄용태
감수자 정구영은 호는 약산(藥山), 세간에서는 기인(奇人)으로 불린다. 인생의 태반을 방외지사(方外之士)처럼 살면서 대학에서는 신문방송학을, 대학원에서는 기공운동의학을 전공하였다. 유(儒)·불(佛)·도(道)·고전(古典)을 비롯해 《동의보감》, 《황제내경》, 전통 의서, 약초와 대체요법을 두루 섭렵하고 오로지 수행자처럼 몸과 마음을 일깨우는 일에만 정진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는 《만병을 낫게 하는 산야초 효소 민간요법》, 《한국의 산야초 민간요법》, 《만병을 낫게 하는 기적의 꾸지뽕 건강법》, 《약초 대사전》, 《나물 대사전》, 《나무 동의보감》, 《효소 동의보감》, 《효소 수첩》, 《진안고원의 약용식물 이야기》, 《성경 속 식물 이야기》, 《산야초 도감》, 《몸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버섯 대사전》 외 다수가 있다.
목차
- 감수의 글
저자 서문
일러두기
1부 약초(약초, 산야초, 약용나무, 나물, 식물)
ㄱ
가지(가지)|갈근(칡)|감국(국화꽃)|감수(개감수)|감자(감자)|감저(돼지감자, 뚱딴지)|감초(감초)|강활(강호리)|강황(심황)|건강(마른 생강)|검실(가시연꽃씨)|견우자(나팔꽃씨, 흑축)|계심(계수나무 속껍질), 계지(계수나무 가지), 계피(계수나무 껍질)|고본(지신, 울향)|고삼(너삼)|골쇄보(곡궐, 넉줄고사리, 비늘고사리)|과루인(하눌타리씨)|곽향(방아잎, 배초향)|관동화(머위꽃)|괴화(회화나무꽃)|구기자(구기자)|구맥(패랭이꽃)|구자(부추씨), 구채(부추)|권백(부처손)|궐채(고사리)|금불초(하국, 선복화)|길경(도라지)
ㄴ
남과(호박)|남성(천남성)|내복자(단무씨)
ㄷ
단삼(단삼)|당귀(승검초 뿌리)|대계, 소계(엉겅퀴)|대두(흰콩), 대두황권(콩나물)|대산(마늘)|대조(대추)|대황(장군풀)|대회향(산미나리씨)|도인(복숭아씨)|독활(멧두릅)|동규자(아욱씨)|두충(두충나무 껍질)|등심(골속, 골풀)
ㅁ
마치현(쇠비름)|맥문동(맥문동 덩이뿌리)|맥아(엿기름보리)|모란피(모란 뿌리껍질)|목과(모과)|목적(속새풀)|목통(으름덩굴)|목향(밀향, 오향)|미후도(다래)
ㅂ
박하(영생이)|반하(끼무릇)|방기(댕댕이덩굴)|방풍(방풍나물 뿌리)|백개자(겨자씨)|백과(은행)|백급(대암풀, 자란)|백모근(띠 뿌리)|백미(백미 뿌리)|백부자(흰바꽃, 노랑돌쩌귀)|백선피(검화 뿌리)|백자인(측백나무씨)|백작약(함박꽃 뿌리)|백지(구릿대 뿌리)|백질려(남가새)|백출(삽주 뿌리)|백합(백합)|복령(소나무뿌리혹), 복신(백복신)|복분자(산딸기)|부자(바꽃, 초오)|부평초(개구리밥)|비파엽(비파나무 잎)
ㅅ
사간(범부채)|사삼(더덕)|사상자(배암도랏씨)|산두근(땅비싸리)|산사육(당구자, 산사나무 열매)|산수유(산수유나무 열매)|산약(마)|산자고(가채무릇)|산조인(묏대추씨)|삼릉(매자기 뿌리)|상엽(뽕잎), 상백피(뽕나무 뿌리껍질), 상지(뽕나무 가지), 상심자(오디)|생강(생강)|서과(수박)|서점자(우엉씨)|석곡(석곡)|석창포(쟁피 뿌리)|세신(족도리풀 뿌리)|소맥(밀)|소엽(차조기), 소자(차조기씨)|속단(검산풀 뿌리, 접골초)|수근(미나리)|숭채(배추)|승마(끼멸가리)|시체(고염꼭지, 감꼭지)|시호(멧미나리)|신이화(목련꽃망울)
ㅇ
애엽(약쑥)|여정실(광나무 열매)|연교(이어리나무 열매, 개나리 씨앗)|연자육(연꽃씨, 연밥)|오가피(오화, 목골)|오매(매화나무 열매, 매실)|오미자(오미자나무 열매)|오수유(작은키나무)|오약(녹나무)|옥촉서(옥수수)|와거(상추)|왕불류행(장구채씨)|용규(까마중)|용담초(파남풀, 초룡담)|우슬(쇠무릎지기)|우자(토란)|욱이인(앵두씨)|울금(울금)|원지(아기풀 뿌리)|원화(팥꽃나무)|위령선(으아리)|유근피(느릅나무 껍질)|유자(유자나무 열매)|율자(밤)|음양곽(삼지구엽초)|의이인(율무쌀)|익모초(암눈비앗, 육모초)|인동(인동덩굴)|인삼(인삼)|인진(더위지기, 인진쑥)|임금(사과)
ㅈ
자단향(자색향나무)|자원(탱알, 개미취)|자초(지치), 자초화(지치꽃)|저근(모시 뿌리)|저근백피(가죽나무 뿌리껍질)|저실자(닥나무씨)|적소두(붉은팥)|적작약(붉은 함박꽃 뿌리)|정공등(마가목)|정력자(다닥냉이씨)|정향(정향나무 꽃봉오리)|제니(게로기, 잔대)|조각자(조각자나무 가시)|죽력(대나무기름), 죽여(대나무 속껍질), 죽엽(대나무 잎)|지각(광귤나무 열매)|지골피(구기자나무 뿌리)|지구자(헛개나무 열매)|지모(지모)|지부자(댑싸리씨)|지실(애기탱자)|지유(오이풀)|진범(망초 뿌리)|진피(심피, 물푸레나무 껍질)|진피(황귤피, 동정귤), 청피(청귤피)
ㅊ
차전자(질경이씨)|창이자(도꼬마리)|천궁(궁궁이)|천문동(호라지좆, 홀아비좆)|천초(초피나무 열매)|천축황(대나무 응고된 수액)|첨과(참외)|청상자(맨드라미씨)|초결명(결명자)|총백(파 흰 밑동)|치자(치자나무 열매)
ㅌ
택사(쇠귀나물 뿌리)|토복령(상비해, 명아주 뿌리, 선유량)|토사자(새삼씨)
ㅍ
파극(호자나무 뿌리)|패모(패모 비늘줄기)|편축(마디풀)|포공영(민들레)|포황(부들꽃)
ㅎ
하고초(꿀방망이, 꿀풀)|하수오(은조롱, 새박덩굴 뿌리)|학슬(여우오줌, 여우오줌풀, 담배풀)|한련초(한련초)|해금사(실고사리씨)|해동피(음나무 속껍질)|해송자(잣)|행인(살구씨)|향부자(작두향)|향유(향여, 노야기)|현삼(귀장)|현호색(연호색)|형개(정가, 가소)|호도(호두나무 열매)|호마인(검은 참깨)|호장근(감제 뿌리)|홍화(잇꽃)|화피(벚나무 껍질)|황금(속서근풀)|황기(단너삼 뿌리)|황련(깽깽이풀)|황벽(황벽나무 껍질)|황정(죽대 뿌리, 둥굴레)|효선초근(갯메꽃)|후박(후박나무 껍질)
2부 산야초
ㄱ
가자(가자나무 열매)|고련근(멀구슬나무 뿌리), 고련피(멀구슬나무 껍질)|금모구척(고비 뿌리)|금앵자(쉬뽀브닉)
ㄷ
단향(향나무)|대복피(계수나무 열매껍질), 빈랑(계수나무 열매)
ㅁ
마황(마황)|만형자(승범실)|몰약(몰약나무 진)|밀몽화(밀몽나무 꽃봉오리)
ㅂ
백두구(백두구)|백렴(가회톱)|백부근(만생백부 뿌리)|백약전(오배자)|백편두(제비콩, 까치콩)|비해(멸앳뿌리)
ㅅ
사군자(사군자)|사인(축사씨)|삼칠근(삼칠 뿌리)|생건지황(건지황)|생지황(지황 뿌리)|선모(선모)|소목(소방목)|소회향(산미나리씨)|숙지황(건지황을 구증구포한 것)
ㅇ
아조(조협)|아출(봉출)|양강(고량강)|용안육(용안나무 열매)|유향(유향나무 수액)|육두구(육두구)|익지인(익지씨)
ㅈ
저령(잔나미걸상과의 버섯)|조구등(주엽나무 가시)
ㅊ
천련자(멀구슬나무 열매)|초과(초과)|초두구(초두구)|침향(향나무가 물속에서 오래되어 단단해진 것)
ㅍ
파두(파두나무씨)|필발(인도긴후추)
ㅎ
호초(후추)|호황련(호황련)|희첨(희선, 점호채, 진득찰)
3부 동물·광물·해조류
ㄱ
감태(청태)|계내금(닭똥집 속껍질)|구인(지렁이)
ㄴ
노봉방(말벌집)|녹각교(녹각 달인 물 + 아교), 녹용(사슴뿔)
ㄷ
대자석(수환, 혈사)
ㅁ
모려(굴조개 껍질)
ㅂ
백강잠(죽은 누에)|백반(백반)|백합(백합육, 백합조개)|별갑(자라등껍질), 별육(자라고기)|북어(명태)
ㅅ
사향(국노루 배꼽)|석결명(전복껍질 분말)|석고(석고)|석어(조기)|선퇴(매미 허물)|소팔초어(낙지)|수질(거머리)|식염(소금)|신곡(약누룩)
ㅇ
아교(갓풀)|오공(지네)|오령지(날다람쥐 똥)|오배자(붉나무 벌레집)|오적어(오징어)|용골(용의 뼈)|용뇌(빙편)|우육(소고기)|우황(소 담석)|유황(석유황)|육종용(오리나무더부살이)
ㅈ
저육(돼지고기)|적석지(적석토)|전갈(전충)|진창미(묵은쌀)
ㅊ
추어(미꾸라지)
ㅎ
해대(곤포, 다시마)|해마(수마)|해분(조개껍질 가루)|해삼(미)|해조(톳, 녹미채)|해채(미역)|해표초(오징어뼈)|호박(호박)|활석(곱돌)
부록
1. 한방 생약 용어|2. 식물 용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 속으로
* 갈근(칡)
ㆍ주요 효과 질환 : 소화기ㆍ신경계ㆍ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ㆍ한방 : 꽃(숙취, 구토, 발열, 번갈, 장출혈), 뿌리(숙취, 두통, 고혈압, 설사, 이질, 고열)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ㆍ약초 만들기 : 잎이 진 늦가을부터 새순이 나기 전 봄까지 뿌리를 캐어 하룻밤 소금물에 담근 후 겉껍질을 벗긴 다음 잘게 쪼개어 햇볕에 말린다.
ㆍ용법 : 알코올 의존증에는 칡꽃이나 씨, 또는 뿌리 10~12g을 달여서 하루 2~3회, 3~4일 복용한다. 소화불량에는 이른 봄에 싹이 나올 때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두었다가 달여 차로 마신다. - 18쪽
***
* 복분자(산딸기)
ㆍ주요 효과 질환 : 원기회복과 자양강장에 효험이 있고, 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ㆍ한방 : 신체허약, 양기부족, 음위, 유정, 빈뇨, 이뇨, 시력 회복, 스태미나 강화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ㆍ약초 만들기 : 초여름에 덜 익은 푸른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ㆍ용법 : 음위증에는 복분자를 술에 담갔다가 건져내어 약한 불에 말려 가루 낸 후 물에 타서 복용한다. 스태미나 강화ㆍ신체허약에는 말린 약재를 1회 2~4g씩 물에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복용한다. - 156쪽
***
* 초결명(결명자)
ㆍ주요 효과 질환 : 안과 질환에 효험이 있고, 순환계ㆍ소화기 질환을 다스린다.
ㆍ한방 : 시력회복, 야맹증, 소화불량, 위장병, 간열로 인한 두통, 눈물, 코피, 설사, 변비에 다른 약재와 처방한다.
ㆍ약초 만들기 : 가을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 말린 후 두드려서 씨를 털고 완전히 말린다.
ㆍ용법 : 변비에는 결명자 6~10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복용한다. 시력회복에는 결명자 + 감초를 배합하여 차로 마신다. - 342쪽
***
* 북어(명태)
ㆍ성미 : 성질은 따스하고 맛은 짜다.
ㆍ독성 및 금기 : 없다.
ㆍ효능 : 피로회복, 이명증, 충, 온열, 심신의 피로에서 일어나는 풍을 치료해주나, 많이 먹으면 회충이 생긴다.
ㆍ용법 : 북어 알은 내부를 따뜻하게 한다. 이명증에는 북어대가리 2~3개를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ㆍ1회 사용량 : 없다. - 471쪽
***
* 해삼(미)
ㆍ성미 : 성질은 평범하고 맛은 짜다.
ㆍ독성 및 금기 : 성질이 미끄러우니 설사나 이질에 걸린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
ㆍ효능 : 체내의 진액을 윤택하고 맑게 하며, 비장과 신장을 보할 수 있고, 부인에게 좋다.
ㆍ용법 : 지혈 작용이 있어 코피, 생리불순, 월경과다로 빈혈이 있을 때 섭취하면 좋다. 비장과 신장을 튼튼하게 해준다.
ㆍ1회 사용량 : 4~16g - 500쪽
출판사 서평
* 가정에서 손쉽게 보약 만드는 법, 효과 질환, 효능 소개!
* 약재 전문가가 쉽게 알려주는 약초 약재 백과사전!
* 약초 채취기간 및 이용 부위, 약리 작용, 용법, 1회 사용량 소개!
* 약초 사진으로 보는 300가지 약재 학습 도감!
* 암, 당뇨, 뇌졸중, 치매, 고혈압, 비만, 아토피, 탈모에 효과적인 약재!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초본식물, 덩굴식물, 목본식물 중에서 꼭 알아야 할 약초, 산야초, 약용나무, 나물, 식물 250여 종과 동물, 광물, 해조류 50여 종을 가나다순으로 배열하였고, 관련 사진과 수많은 약재 사진을 실었다.
따라서 한약학이나 한의학에 입문하는 학생들과 관련 분야 종사자 및 전공자는 물론 더욱 정밀한 한약학 정보를 원하는 일반인들에게도 실용적으로 많은 도움이 된다.
약재 전문가인 저자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동·식물을 한약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한약의 기본은 초근목피(草根木皮)이지만, 동물이나 사람에게서도 약재가 추출된다고 보았다. 또한 저자는 세상에는 음이 있으면 양이 있듯이 사람의 몸에 독이 깃들어 병이 생긴다면 상반되는 독이 있어 이독제독(以毒制毒)하여 병이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이 책의 집필 동기에 대해 “기존에 있는 한약에 대한 책들은 한문으로 되어 있어 일반 사람들이 보기에는 좀 어렵다. 또 한약을 잘 알지 못하고 구전으로만 듣고 사용하는 예가 많아 부작용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며 “한약에 대한 것을 바로 알고,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한글과 사진으로 책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 약초, 산야초, 약용나무, 나물, 식물, 동물, 광물, 해조류 건강상식!
* 한방 생약 용어, 식물 용어 수록!
몸은 세상에서 가장 귀한 존재이기 때문에 병을 치유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몸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병의 70%가 마음에서 기인한다고 정신신체의학에서는 주장하고 있다.
요즘 동서의학이 발달하였어도 고칠 수 없는 병이 너무나 많다. 현대인은 암, 정신신경증, 고혈압, 당뇨병, 신경성 위궤양, 과민성 대장증후군 등 각종 스트레스성 질병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현실에서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법을 다룬 이 책은 가정 상비서로 안성맞춤이다. 이 책은 가정에서 손쉽게 보약 만드는 법은 물론 효과 질환, 효능을 알기 쉽게 소개한다.
특히 보약이 되는 약초, 산야초, 약용나무, 나물, 식물, 동물, 광물, 해조류 300여 종에 대한 건강상식과 더불어 약재 만드는 법을 알려준다. 또한 한방 생약 용어와 식물 용어를 수록하여 이 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했다.
기본정보
ISBN | 9788961412070 |
---|---|
발행(출시)일자 | 2017년 10월 25일 |
쪽수 | 532쪽 |
크기 |
183 * 228
* 36
mm
/ 1252 g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4)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유용하다고 하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