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령운 사혜련 시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을 지내며 조선조 왕세자관련 관청일기류를 번역하였으며, 현재 서울대?동국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육유시가연구≫, ≪육유시선≫, ≪잠삼시선≫, ≪역주 숙종춘방일기≫, ≪역주 소현심양일기≫(공역), ≪역주 소현동궁일기≫(공역),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 [중국 도망시의 서술방식과 상징체계], [남송 강호시파의 시파적 성격 고찰], [중국 만가시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일고찰] 등이 있다.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대 중문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지내며 이백시 전역에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서울대?중앙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이백의 고풍 59수≫, ≪이백시선≫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는 [≪(협주)명현십초시≫의 간행목적과 유전양상], [이백의 다원적 이상 추구와 그 좌절로 인한 비애], [이백의 간알시에 나타난 관직 진출 열망] 등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성균관대학교 전임연구원을 지내며 ≪사고전서총목제요≫를 번역하였으며, 현재 서울대, 이화여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전통시기 중국문인의 애정표현연구≫, ≪이청조사선≫, ≪온정균사선≫, ≪세계의 고전을 읽는다-동양문학편≫(공저), ≪당시삼백수≫(공역), ≪송시화고≫(공역) 등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 [이상은 영물시 시론], [당대 여성시인의 글쓰기-이야, 설도, 어현기를 중심으로], [심의수의 도녀시 연구]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경희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사시전원잡흥≫이 있으며, 주요논문으로 [이백시의 화자에 대한 연구], [문심조룡?송찬 편의 분석을 통한 유협의 讚과 贊에 대한 인식 고찰], [이백의 아내와 자식에 대한 기존 연구의 비교 및 李白詩를 통한 아내와 자식에 대한 고찰], [이백 악부시 <오서곡> 연구-시의 화자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전임연구원을 지내며 명대 여성 작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서울대?이화여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역서로 ≪풍연사사선≫, ≪명대여성작가총서-이인시선≫, ≪명대여성작가총서-명대여성산곡선≫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남당사의 아속공존 양상 연구], [명대 기녀사에 나타난 기녀 모습과 그 의미], ['동귀기사'로 본 명대 여성여행과 여행의식] 등이 있다.
성신여자대학교 중국어문·문화학과 교수. 경북과학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고전시가(북송) 전공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중국의 전통식문화, 한반도와 일본에서의 중국고전시가 수용 양상 등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南宋代 食譜 『山家淸供』에 대한 기초적 탐색」(2021), 「14-16세기 일본 五山禪僧의 對中國 집단학습활동을 통한 관련 지식 축적 및 인식 전파에 관한 연구(1)--오산선승의 詩會를 중심으로」(2020), 「蘇軾의 茶觀에 대한 고찰--‘分別心의 忘棄’라는 측면에서」(2019), 「14-16세기 조선과 일본의 蘇軾 관련 詩會와 그들이 공유한 蘇仙의 의미」(2016) 등이 있고, 다른 연구자들과의 공동 번역 결과물로서 『협주명현십초시』(2014), 『謝靈運·謝惠連 시』(2016) 등이 있다.
목차
- 역자서문
작가 소개 및 작품 세계
사령운 시
1. 선재행善哉行 2
2. 농서행?西行 6
3. 비재행悲哉行 9
4. 장가행長歌行 12
5. 군자유소사행君子有所思行 17
6. 회음행會吟行 21
7. 절양류행折楊柳行 28
8. 절양류행折楊柳行 30
9. 완가행緩歌行 32
10. 일출동남우행日出東南隅行 35
11. 고한행苦寒行 38
12. 예장행豫章行 40
13. 연가행燕歌行 42
14. 상류전행上留田行 45
15. 국가행鞠歌行 48
16. 순동서문행順東西門行 52
17. 태산음泰山吟 55
18. 할아버지의 덕을 서술하며 2수述祖德詩二首 58
19. 중양절에 송공을 따라 희마대에 모여 상서령 공정을 보내다九日從宋公?馬臺集送孔令 67
20. 팽성궁에서 모시며 세밑에 감회가 있어彭城宮中直感歲暮 72
21. 삼짇날 서지에서 시연하며三月三日侍宴西池 75
22. 영초 3년 7월 16일 영가군으로 가려고 막 도성을 떠나며永初三年七月十六日之郡初發都 78
23. 이웃이 나를 전송하며 방산까지 오다?里相送至方山 83
24. 시녕의 별장에 들러過始寧墅 86
25. 부춘강가富春渚 90
26. 저녁에 서쪽 사당을 나와晩出西射堂 94
27. 연못가 누대에 오르다登池上樓 97
28. 남정에서 노닐며遊南亭 103
29. 백석암 아래 길에서 농사일을 순시하며白石巖下徑行田 106
30. 구계산에 들러 스님에게 공양드리다過瞿溪山飯僧110
31. 백안정에 들러?白岸亭 113
32. 밭을 순시하고 바닷가 입구 반서산에 올라行田登海口盤嶼山 117
33. 상수의 석고산에 올라登上戍石鼓山 120
34. 동양계에서의 증답시 2수東陽溪中贈答二首 124
35. 적석산을 노닐다가 범해산으로 나아가다遊赤石進帆海 126
36. 영가강 고서산에 올라登江中孤嶼 131
37. 영가군 녹장산에 올라登永嘉綠?山 134
38. 영가군의 동산에서 바다를 바라보며郡東山望溟海 139
39. 영문산에서 노닐며遊嶺門山 142
40. 학사에게 경서를 강론할 것을 명하며命學士講書 146
41. 뽕나무를 심다種桑 150
42. 막 영가군을 떠나며初去郡 154
43. 밭 남쪽 나무 동산에 물길을 대고 울타리를 심다田南樹園激流植援 160
44. 석문산에 새로 거처를 마련하였는데, 사방이 높은 산, 굽이치는 계곡, 여울물, 빽빽한 숲과 키 큰 대나무로 둘러싸여 있어石門新營所住四面高山?溪 石?茂林修竹 164
45. 석벽산에 초리와 정사를 세우고石壁立招提精舍 168
46. 석벽정사에서 무호로 돌아와서 짓다石壁精舍還湖中作 173
47. 남루 안에서 고대하던 손님을 바라며南樓中望所遲客 176
48. 여릉왕의 무덤가에서 쓰다廬陵王墓下作 180
49. 동쪽 길로 들어서다入東道路詩 186
50. 옛 동산으로 돌아와 안연지와 범태 두 중서시랑에게 써 보이다還舊園作見顔范二中書 190
51. 석문산 정상에 올라登石門最高頂 197
52. 석문산의 바위 위에서 머물며石門巖上宿 201
53. 남산에서 북산으로 가며 호수를 지나는 중에 보니於南山往北山經湖中瞻眺 203
54. 근죽간을 따라 산을 넘고 물길로 가다從斤竹澗越嶺溪行 207
55. 석실산石室山詩 211
56. 종제 사혜련에게 화답하여酬從弟惠蓮 215
57. 혜련에게 답하다答惠連 221
58. 임해의 산을 오르려 막 강중을 떠나며 종제 혜련에게 써 주면서 양선지와 하장유를 만나 함께 화답함登臨海嶠初發疆中作與從弟惠連 見羊何共和之 223
59. 막 석수성을 출발하며初發石首城 229
60. 길에서 산 속을 그리며道路憶山中 233
61. 팽려호의 입구로 들어서며入彭?湖口 237
62. 여산 꼭대기에 올라 뭇 산을 바라보며登廬山絶頂望諸嶠 242
63. 막 출발하여 남성에 들어가며初發入南城244
64. 화자강에 들어갔는데 이곳에 마산의 세 번째 골짜기가 있었다入華子崗是麻源第三谷2 46
65. 대림봉大林峰 250
66. 막 신안의 동려구로 가서初往新安桐廬口 252
67. 칠리뢰七里? 255
68. 밤에 석관정을 출발하며夜發石關亭 259
69. 귀뢰의 세 폭포를 출발하여 두 물줄기를 바라보며發歸瀨三瀑布望兩溪 261
70. 위 태자 조비의 《업중집》을 모의하여 지은 시 여덟 수와 서문擬魏太子?中集詩八首幷序 265
70-1. 위 태자 조비魏太子 268
70-2. 왕찬王粲 272
70-3. 진림陳琳 277
70-4. 서간徐幹 281
70-5. 유정劉楨 285
70-6. 응창應? 289
70-7. 완우阮瑀 293
70-8. 평원후 조식平原侯植 297
71. 정토를 읊다淨土? 302
72. 겨울을 읊다?冬 305
73. 세밑歲暮 308
74. 칠석날 견우와 직녀를 읊다七夕?牛女 310
75. 떼었다 합치는 시離合詩 313
76. 임천에서 체포되어臨川被收 315
77. 임종시臨終詩 317
78. 독서재 안에서 책을 읽으며齋中讀書 321
79. 경구 북고산에서 천자를 모시고 노닐다 명을 받들어 쓰다從遊京口北固應詔 324
80. 중서에게 답하여答中書 329
81. 안성태수에게 주다 및 서문 7장贈安成幷序 七章 338
82. 종제 사홍원에게 주다 및 서문 6장贈從弟弘元幷序 六章 348
83. 종제 사홍원에게 주다. 이때 중군공조가 되어 경성에 머물렀다 5장贈從弟弘元 時爲中軍功曹住京 五章 357
84. 자의 사씨에게 답하다 8장答謝咨議 八章 363
85. 독서재讀書齋 372
86. 배를 타고 선암산으로 가 삼황정의 신선 자취를 찾다舟向仙巖尋三皇井仙迹 374
87. 북정에서 관리와 백성들과 헤어지며北亭與吏民別 377
88. 막 도성에 이르러서初至都 383
89. 왕수에게 주다贈王琇 385
90. 산 속의 집山家 387
91. 잔구殘句 388
92. 뇌차종을 보내며送雷次宗 389
93. 고개 바깥嶺表 391
94. 호산에 올라登狐山 393
95. 송계에 들어와서入?溪 395
96. 동도행董逃行 397
97. 상봉행相逢行 398
98. 형산衡山 404
사혜련 시
1. 추호행 2수秋胡行二首 408
2. 농서행 2수?西行二首 411
3. 예장행豫章行 416
4. 못가의 노래塘上行 419
5. 각동서문행却東西門行 422
6. 장안유협사행長安有狹邪行 424
7. 종군행從軍行 427
8. 연가행燕歌行 429
9. 맹호행 2수猛虎行二首 432
10. 국가행鞠歌行 435
11. 전완성가前緩聲歌 438
12. 순동서문행順東西門行 441
13. 3월 3일 《곡수집》三月三日曲水集詩 443
14. 남쪽 호수에 배를 띄워 석범산에 이르다泛南湖至石帆詩 446
15. 서릉에서 바람을 만나 사령운께 드리다 5수西陵遇風獻康樂 449
16. 고시를 본뜨다代古詩 454
17. 가을의 감회秋懷詩 457
18. 옷을 다듬이질하며?衣詩 461
19. 호수에 배를 띄우고 돌아와서 누대에 나와 달을 바라보며泛湖歸出樓中望月詩 466
20. 칠석날 밤에 견우와 직녀를 읊다七月七日夜詠牛女詩 469
21. 비를 기뻐하다喜雨詩 474
22. 겨울을 읊는 시詠冬詩 476
23. 독서讀書詩 477
24. 밤에 모여 어그러짐을 탄식하며夜集歎乖詩 479
25. 공곡아와 이별하며與孔曲阿別詩 481
26. 소라조개를 읊다詠螺蚌詩 483
27. 떼었다 합치는 시離合詩 485
28. 떼었다 합치는 시離合詩 486
29. 밤에 모여 떼었다 합치는 시를 짓다夜集作離合詩 488
30. 삼짇날三日詩 490
31. 제목 미상 시 - 有客被褐前 491
32. 제목 미상 시 - 夕坐苦多慮 494
33. 제목 미상 시 - ?鞍長林側 495
부록 1 : 사령운 전기496
부록 2 : 사혜련 전기509
출판사 서평
사령운과 사혜련의 시는 완정한 문집의 형태로 남아있지 않으며, 전하는 판본에 따라 수록된 시의 종류와 수가 많은 차이가 있다. 본 역해서에서는 각 판본을 비교 검토하고 선본을 뽑아 하나로 취합하여 사령운의 시를 총107수, 사혜련의 시를 잔구를 포함하여 총40수를 수록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전집의 형식을 갖추었다. 이 책에 수록된 사령운의 시는 황절黃節의 《사강락시주謝康樂詩注》(중화서국, 2008)를 1차 저본으로 하였는데, 이는 명明 만력萬曆 연간에 초횡焦?이 교감 편찬한 《사강락집謝康樂集》 4권본에서 시부분만을 따로 떼어 편년으로 다시 편차하고 주를 단 것이다. 비록 편년으로 편차하여 사령운의 시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볼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본래 《사강락집謝康樂集》에 사령운의 시가 많이 누락되어 있었던 까닭에 황절 본은 사령운 시의 전집본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사령운과 사혜련의 시는 산수시, 은일시, 악부시 등 개별 장르에 있어 문학사적인 높은 평가와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번에 이들 시에 대한 완역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들의 전체 시세계 속에서의 개별 장르적 특성과 이들 상호간의 유사성과 차이성 및 그 분포 비율 등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들의 시는 후대의 많은 시인들이 모방하고 학습하였으며 그들의 시 속에 의도적이면서 또한 적극적으로 활용되곤 하였으니, 후대 작품에의 영향과 그 연원관계를 파악함에 있어서도 이들 시의 완역이 가지는 의의는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사령운과 사혜련의 시가 여러 전적들을 통해 다양하게 전하며 하나로 종합 정리되어 있지 못했는데 이번의 이러한 완역의 성과가 다만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뿐 아니라 관심이 있는 일반 독자들에게도 중국 고전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기본정보
ISBN | 9788960715776 |
---|---|
발행(출시)일자 | 2016년 04월 30일 |
쪽수 | 538쪽 |
크기 |
172 * 245
* 35
mm
/ 898 g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
오늘날 중국의 문화연구10% 41,400 원
-
융합의 중국문학28,000 원
-
한문 공부의 시작, 고전의 명문장10% 16,200 원
-
예술을 읽는 새로운 눈 남전화발10% 25,200 원
-
같음과 다름10% 21,6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