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정보
목차
- 이 책의 싣는 순서
제1편 | 행정학의 기초이론
제1장 행정과 행정학의 발달
제1절 행정학의 체계와 변수
01 행정학의 체계 24
02 행정의 변수 34
03 행정의 과정 37
제2절 행정의 의의
01 행정법학적 행정 개념 38
02 행정학적 행정 개념:미국 행정학의 발달과정 39
03 행정의 제 특징 46
제3절 행정의 위상:행정, 정치, 경영
01 정치와 행정 49
02 공행정과 사행정:행정과 경영 53
제4절 행정학의 발달
01 관방학과 슈타인 행정학 56
02 미국 행정학의 발달 57
제5절 행정학의 성격
01 행정학의 과학성과 기술성 63
02 행정학의 패러다임의 변화(N. Henry) 65
03 행정학의 성격 66
문제 해결력 기르기 67
제2장 현대행정의 이해
제1절 현대행정의 특징과 과제
01 서론 82
02 행정국가:현대행정의 특징 82
03 신행정국가:최근 행정의 특징 86
제2절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01 시장실패와 정부실패의 개념체계 89
02 시장실패:큰 정부론의 주장 논거 91
03 정부실패:작은 정부론의 주장 논거 97
04 공공재의 과소공급설과 과다공급설 100
제3절 정부규제와 규제개혁
01 정부규제 104
02 규제개혁 111
03 행정지도 114
제4절 작은 정부론:감축관리와 민영화
01 작은 정부론과 감축관리 117
02 공공서비스와 민영화 121
제5절 제3섹터(준정부조직과 비정부조직)
01 제3섹터(The Third Sector) 129
02 준정부조직(QUANGO) 131
03 비정부조직(NGO) 133
문제 해결력 기르기 139
제3장 행정학의 접근방법
제1절 행정학 접근방법의 개요
01 접근방법의 의의 168
02 행정학 접근방법의 구별 168
제2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01 전통적 접근방법 173
02 관리기술적 접근방법 174
03 행태론적 접근(behavioral approach) 179
04 생태론적 접근(ecological approach) 183
05 체제론적 접근방법과 상황적응적 접근방법 187
06 비교행정론과 발전행정론 192
07 후기행태론적 접근방법 197
08 신행정론 202
09 공공선택론 206
10 신제도주의적 접근방법 212
11 신공공관리론과 뉴거버넌스 225
12 혼돈이론(chaos theory) 243
13 포스트모더니티 행정이론 245
14 담론이론과 심의민주주의 248
문제 해결력 기르기 251
제4장 행정가치
제1절 행정철학
01 행정철학의 기초 298
02 가치유형론 299
제2절 행정이념
01 행정이념의 의의 303
02 공익(public interest) 305
03 정의(justice)-Rawls의 정의론 308
04 사회적 형평(social equity) 311
05 자유(freedom)와 평등(equality) 314
06 적합성(appropriateness)과 적정성 315
(adequacy)
07 능률성, 효과성, 효율성 316
08 가외성 321
09 합법성(법치행정) 323
10 민주성 325
11 신뢰성과 투명성 327
12 합리성(rationality) 329
13 행정이념 간의 관계 332
14 사회지표 334
문제 해결력 기르기 336
제2편 | 정책학
제5장 정책학의 개관
제1절 정책학의 의의
01 정책학의 의의 357
02 정책의 의의 360
03 정책과정 363
제2절정책의 유형론
01 정책유형론의 의의 364
02 정책유형의 분류 364
문제 해결력 기르기 368
제6장 정책의제채택론
제1절 정책의제채택의 의의 및 과정
01 의 의 376
02 정책의제채택의 과정 377
03 주도집단에 따른 정책의제설정과정 378
:Cobb & Ross
제2절 정책의제설정이론 : 권력속성
01 정책의제채택의 의의 및 과정 381
02 의사결정론과 체제이론 381
03 엘리트론과 다원론 382
04 정책네트워크 이론 386
05 최근의 이론:신베버주의, 389
신마르크스주의, 후진국적 이론
06 정책의제설정(채택)에 영향을 391
미치는 요인
문제 해결력 기르기 393
제7장 정책결정론
제1절 정책결정과 참여
01 정책결정의 의의 410
02 정책결정과정의 참여자 411
제2절 정책결정의 과정
01 정책문제의 정의 414
02 정책목표의 설정 419
03 정책대안의 탐색 423
04 정책결과의 예측 424
05 정책대안의 비교·평가 및 선택 429
제3절 정책분석론
01 관리과학 436
02 체제분석 440
03 정책분석 441
04 관리과학, 체제분석, 정책분석의 비교 443
05 불확실성에의 대처방안 445
제4절 정책결정모형
01 정책결정모형의 구분 446
02 정책결정모형의 유형 447
문제 해결력 기르기 468
제8장 정책집행론
제1절 정책집행연구의 의의
01 정책집행의 의의와 단계 506
02 정책집행연구의 대두 507
제2절 정책집행연구의 방법과 유형
01 정책집행연구의 방법 509
02 정책집행연구의 유형 513
제3절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1 성공적인 정책집행의 판단기준 518
02 정책집행의 순응과 불응 521
문제 해결력 기르기 523
제9장 정책평가론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01 정책평가의 의의 537
02 인과관계 및 변수의 종류 539
03 타당도(D. T. Cook & T. D. Campbell) 541
04 신뢰도 545
05 정책평가의 방법 546
제2절 정책평가의 유형
01 평가성 사정 549
02 사전평가와 사후평가 550
03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550
04 과정평가와 영향평가 552
05 메타평가(상위평가):평가에 대한 평가 553
06 정부업무평가 554
제3절 정책변동론 및 정책결정요인론
01 정책변동론 558
02 정책결정요인론 560
문제 해결력 기르기 562
제10장 기획론
제1절 기획의 의의와 과정
01 기획의 의의 577
02 기획의 특성과 원칙 579
03 기획의 과정 580
제2절 기획의 유형론
01 적용범위별 유형 582
02 이용빈도별 유형 583
03 강제성 정도별 유형 583
04 연동계획(rolling, moving, 584
sliding, revolving plan)
05 Hudson의 분류(SITAR) 584
06 Ackoff의 기획의 정향 585
07 기획의 제약성 586
문제 해결력 기르기 587
제3편 | 조직이론
제11장 조직이론의 기초
제1절 조직의 의의와 유형
01 조직의 의의 613
02 조직의 유형 614
제2절 조직이론의 유형
01 조직이론의 의의 627
02 폐쇄-합리적 조직이론 630
03 폐쇄-자연적 조직이론 631
04 개방-합리적 조직이론 633
05 개방-자연적 조직이론 635
06 전략적 선택이론과 자원의존이론 637
07 조직군 생태학이론과 공동체 생태학이론 640
제3절 조직의 효과성
01 전통적 접근방법 643
02 현대적 접근방법 644
문제 해결력 기르기 648
제12장 조직구조론
제1절 고전적 조직구조
01 조직구조의 개념 및 구성요소 667
02 고전적 조직구조 형성 668
제2절 상황론적 조직구조
01 구조의 특성지표 678
02 상황변수와 구조변수 683
문제 해결력 기르기 689
제13장 관료제와 탈관료제
제1절 관료제론
01 관료제의 의의 702
02 Weber의 관료제모형 702
03 Weber의 근대적 관료제에 대한 비판 704
04 관료제와 민주주의 707
05 우리나라 관료제의 특징 709
제2절 탈관료제
01 탈관료제의 의의, 특징, 한계 710
02 탈관료제 조직의 유형 713
제3절 공기업과 책임운영기관
01 공기업론 728
02 책임운영기관(agency) 738
문제 해결력 기르기 744
제14장 조직행태론
제1절 인간관과 관리전략
01 합리적·경제적 인간관 770
02 사회적 인간관 770
03 자기실현적 인간관 771
04 복잡한 인간관(E. Schein) 772
제2절 동기이론
01 직무수행동기의 의의 773
02 내용이론 775
03 과정이론 781
제3절 성격형론
01 R. Presthus의 이론 785
02 Downs의 성격유형론 786
02 C. Cotton의 권력균등화 유형 787
문제 해결력 기르기 788
제15장 조직관리론
제1절 의사전달과 행정PR
01 의사전달 803
02 행정PR(공공관계) 807
제2절 리더십(leadership)
01 의의 810
02 속성이론 811
03 행태이론 812
04 상황이론 814
05 리더십의 유형 818
제3절 조직관리
01 행정관리의 본질 822
02 목표관리(MBO) 823
03 총체적 품질관리(TQM) 827
04 전략적 관리 831
05 조직갈등(conflict) 832
06 집단 간의 경쟁 836
07 조직과 권력 838
08 조직과 권위 842
문제 해결력 기르기 845
제16장 조직혁신론
제1절 조직문화론
01 조직문화의 의의 862
02 조직문화의 유형 864
03 우리나라의 행정문화 865
제2절 조직혁신론
01 조직혁신 867
02 조직발전 868
03 기타 조직혁신이론 873
문제 해결력 기르기 874
제4편 | 인사행정론
제17장 인사행정의 기초 및 인사제도
제1절 인사행정론의 기초이론
01 인사행정의 체제 883
02 중앙인사기관 885
제2절 인사제도
01 엽관주의(spoils system) 893
02 실적주의(merit system) 895
03 적극적 인사행정과 관리융통성 모형 898
04 직업공무원제 901
05 대표관료제(representative bureaucracy) 905
문제 해결력 기르기 908
제18장 공직의 분류
제1절 경력직과 특수경력직
01 경력직:일반직, 특정직, 기능직 924
02 특수경력직:정무직, 별정직, 계약직, 고용직 925
제2절 개방형과 폐쇄형
01 개방형과 폐쇄형 927
02 우리나라 개방형직위와 공모직위제도 929
03 고위공무원단제도 932
제3절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01 계급제 939
02 직위분류제 941
제4절 우리나라 공직구조
01 우리나라 공직분류체제의 연혁 948
02 우리나라 공직구조의 문제점 948
문제 해결력 기르기 949
제19장 임용, 능력발전, 사기
제1절 임용
01 인력계획 967
02 임용의 의의 및 유형 968
03 신규채용 969
04 배치전환 974
05 승진 976
06 해직 및 징계 980
제2절 능력발전
01 교육훈련 982
02 근무성적평정(performance 986
evaluation or appraisal)
03 경력개발 및 경력평정 997
제3절 사기앙양
01 공무원의 사기 1002
02 보수 1004
03 연금 1011
04 제안제도와 고충처리제도 1012
05 신분 보장 1013
문제 해결력 기르기 1016
제20장 근무규율 및 인사행정개혁
제1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01 정치적 중립의 의의 1038
02 정치적 중립의 효용과 한계 1039
03 우리나라에서의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1039
제2절 공무원단체
01 공무원단체의 의의 1040
02 공무원단체의 효용 및 비판 1040
03 우리나라 공무원단체의 활동 1041
제3절 공무원의 윤리
01 국가공무원법의 복무상 의무 1045
02 공직자윤리법 1046
제4절 인사행정개혁
01 과거 인사행정의 문제점 1047
02 공무원 인사관리제도의 개편방향 1048
문제 해결력 기르기 1049
제5편 | 재무행정론
제21장 예산의 기초이론
제1절 예산의 개념과 기능
01 예산의 개념 1060
02 예산의 기능 1065
제2절 예산회계의 법적 기초 및 회계
01 헌법과 국회법 및 국가재정법 등 1067
02 정부회계 1075
제3절 재무행정조직
01 재무행정 관련 기관 1084
02 중앙예산기관의 유형 1086
제4절 예산의 원칙
01 정부관의 차이에 따른 변화 1087
02 전통적 예산원칙(Neumark):통제 지향 1087
03 현대적 예산원칙(H. Smith):관리 지향 1090
04 예산운영의 새로운 규범 1092
제5절 예산의 종류
01 예산, 기금, 공적자금 1094
02 예산의 종류 1101
03 조세지출예산제도 1103
04 남녀평등예산(성인지 예산) 1105
제6절 예산의 분류
01 예산 분류의 의의 1106
02 예산 분류의 방법 1106
문제 해결력 기르기 1112
제22장 예산결정이론
제1절 합리주의와 점증주의
01 총체주의(합리주의):합리적 분석 1132
02 점증주의:정치적 과정 1134
제2절 기타 예산결정이론
01 공공선택론 1137
02 다중 합리성모형 1137
03 조직과정모형 1138
제3절 자원의 희소성과 예산결정
01 자원의 희소성 1140
02 경제원리와 정치원리 1141
03 예산문화론 1141
04 기획과 예산 1142
문제 해결력 기르기 1145
제23장 예산과정론
제1절 예산편성론
01 예산편성의 의의 1155
02 예산편성 절차 1155
03 예산의 형식적 내용 1160
04 예산편성과정에서의 관료의 행태 1162
05 우리나라 예산편성의 문제점 1164
제2절 예산심의론
01 예산심의의 의의 1166
02 예산심의의 변수 및 각국 예산심의의 비교 1166
03 우리나라의 예산심의 1169
제3절 예산집행론
01 예산집행의 의의 1171
02 예산집행의 과정 1171
03 예산집행에서의 통제 1176
04 예산집행의 신축성 1177
제4절 결산 및 회계검사
01 결산 1182
02 회계검사 1185
문제 해결력 기르기 1189
제24장 예산제도의 발달과 개혁
제1절 예산제도의 발달
01 예산기능의 변화와 예산개혁 1207
02 품목별 예산제도 1207
03 성과주의 예산(실적예산) 1210
04 계획예산제도 1213
05 영기준 예산제도 1215
06 정치관리형 예산 1219
07 결과지향적(신성과주의) 예산 1221
08 프로그램 예산 1226
09 자본예산 1229
제2절 재정의 개혁
01 선진국 재정개혁 1232
02 우리나라 재정개혁의 내용 1237
문제 해결력 기르기 1240
제25장 조달행정과 정부계약
제1절 조달(구매)행정
01 조달행정의 의의 1261
02 조달의 방식 1262
03 중앙조달기관과 수요기관 1263
04 조달행정의 절차 1264
제2절 정부계약
01 정부계약의 의의 1265
02 정부계약의 종류 1265
문제 해결력 기르기 1268
제6편 | 지방자치론
제26장 지방자치의 기초이론
제1절 지방자치의 이념과 가치
01 지방행정 1274
02 지방자치 1276
제2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01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1288
02 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 1290
제3절 광역행정
01 광역행정의 의의 1292
02 광역행정의 방식 1294
03 우리나라의 광역행정 1298
제4절 지방자치에서의 주민참여
01 주민참여의 본질 1301
02 주민투표제도 1304
03 주민발안제도 1307
04 기타 주민참여제도 1307
05 지방자치에 대한 정당개입 1312
문제 해결력 기르기 1314
제27장 지방자치의 구조와 기능
제1절 지방자치의 구조와 구역
01 일반지방자치단체 1329
02 우리나라의 특별지방자치단체: 1333
지방자치단체조합
03 특별지방행정기관 1335
04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1337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기능배분
01 기능배분 1340
02 우리나라 기능배분의 기준 1343
03 기능배분의 현황 1344
문제 해결력 기르기 1350
제28장 정부 간 관계론
제1절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 관계
01 국가와 지방의 관계 1361
02 미국의 도시헌장제도 1363
제2절 정부 간 관계의 관리
01 정부 간 분쟁 1365
02 중앙통제 1369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01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형태 1374
02 집행기관 1376
03 지방의회 1379
문제 해결력 기르기 1384
제29장 지방행정론과 도시행정론
제1절 지방재정
01 지방재정의 의의 1394
02 지방정부의 세입 1397
03 지방재정자립도 1399
04 지방재정진단제도 1400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
01 지방세 1402
02 세외수입 1406
03 지방채(자주재원에서 제외) 1408
제3절 지방재정조정제도
01 지방재정조정제도의 의의 1410
02 지방교부세 1412
03 국고보조금 1415
제4절 도시행정론 1417
문제 해결력 기르기 1419
제7편 | 행정의 환류
제30장 행정책임과 통제
제1절 행정윤리와 관료부패
01 행정윤리 1439
02 관료부패 1444
제2절 행정책임과 통제
01 행정책임 1448
02 행정통제 1451
문제 해결력 기르기 1465
제31장 행정개혁론
제1절 행정개혁
01 행정개혁의 의의 1489
02 개혁의 접근방법 1492
03 개혁에 대한 저항 1494
04 개혁의 실패 1496
제2절 각국의 행정개혁의 내용
01 각국의 정부개혁의 주요 내용 1497
02 영국의 정부개혁의 주요 내용 1498
03 미국의 정부개혁의 주요 내용 1500
04 뉴질랜드의 정부개혁의 주요 내용 1502
05 캐나다의 정부개혁의 주요 내용 1503
제3절 우리나라의 행정개혁
01 역대 정부의 개혁 내용 1504
02 이명박 정부의 개혁 및 현행 제도 1512
03 우리나라 행정의 과제 1517
문제 해결력 기르기 1519
제32장 지식정보사회와 전자정부
제1절 정보사회와 행정
01 정보사회와 행정 1537
02 지식관리(지식행정) 1544
제2절 전자정부론
01 전자정부 1548
02 행정정보체계 1557
제3절 정보공개와 개인정보보호
01 정보공동활용 1562
02 정보공개제도 1563
03 정보사회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1566
문제 해결력 기르기 1568
찾아보기 1582
기본정보
ISBN | 9788956086620 |
---|---|
발행(출시)일자 | 2008년 09월 16일 |
쪽수 | 1600쪽 |
총권수 | 2권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