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갑자복사빛
이 책의 총서 (320)
작가정보
목차
- 1
춘수
어떤 자리
주름을 엿보다
늦도록 꽃
가지에 가지가 걸릴 때
...
2
또 하나의 나무
가지에 걸린 공
사과 껍질을 보며
물을 뜨는 손
대추나무 한 그루
눈물의 힘
...
3
겨울바람은
가지가 담을 넘을 때
바람을 피우다
천생연분
한 속꽃
...
4
연리지
춘풍낙엽
서귀포 돌담
봄 꿈
봄 늦바람
봄 속 몸
...
출판사 서평
미끄러지는 차연(次緣)의 슬픔 이번 시집에서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역시 사랑 이야기다. 그렇지만 그것은 지나간,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기에 아름다웠던 만큼 더 가슴 아픈 사랑 이야기다. 시집의 첫 문을 여는 시 역시 봄에 관한 시다. 만물이 소생하는, 색색 가지 아름다운 꽃들이 피어나는 봄. 아무 이유 없이 사람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새로운 사랑이 시작될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기대를 갖게 하는 봄. 그러나 시인에게 봄은 사랑의 계절이 아니다. 바깥세상이 아름다울수록 나의 아픔 또한 더욱 커지는 것만 같고, “잠결에 잠시 돌아눕”기만 해도 꽃이 다 져버릴 것만 같고, 지는 꽃잎은 또 “제 그늘만큼 봄빛을 떼어 가”버리리라는 생각에 더욱 슬퍼지는, 그런 계절인 것이다. 내 것이라 생각했던 사랑은 어느 순간 눈앞에서 사라져버렸다. 그 후로 마음에선 “종일 공테이프가 돌아가고” 허리띠가 남아돌 정도로 봄이(몸이, 마음이) 말라간다. 시인은 “차마 무너지지 못한 마음과/ 차마 보내지 못한 마음이/ 얼마 동안은 그렇게 엉켜 있으리라/ 서로가 덫인 채/ 서로에게 걸려 있으리라”라고 말하며 미련으로 가득한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다시 사랑이란 “손바닥에 잠시 모였다/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물 같은 것, “어떤 간절한 손바닥도/ 지나고 나면 다 새어 나가는 것”이라며 집착을 버리고 초연해진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음의 줄기를 타고 오르는/ 눈물의 힘을 믿겠다”며 소극적이긴 하지만 슬픔을 딛고 다시 한번 일어서려는 의지를 살며시 보여준다. 목메인 밥이 쓰다 이번 시집에는 시인의 첫 번째 시집 제목과 같은 「자작나무 내 인생」이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 시에는 “명치끝에 누르스름한 멍이 배어 나왔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두 번째 시집의 주제였던 ‘농(膿)’이라는 주제가 이 시집에서도 반복되고 있음을 뜻한다. 이 ‘농’이란 것은 일상의 상처로부터 흘러나온 고름을 말한다. 그리고 그 상처는 「밥이 쓰다」라는 시에서 극대화된다. “독감에 걸려 먹는 밥이 쓰”고, “변해 가는 애인을 생각하며 먹는 밥이 쓰”고, “늘어나는 빚 걱정을 하며 먹는 밥이 쓰”기 때문이다. 이 ‘쓰다’라는 단어는 ‘쓰다(bitter)’와 ‘쓰다(use)’와 ‘쓰다(write)’라는 세 가지 의미로 변주되면서 점점 더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간다. 그리고 정끝별 특유의 숨 한번 안 쉬고 내달리는 듯한 시어들은 같은 어구의 반복을 통해 마치 노래의 후렴구와도 같은 일정한 운율을 만들어낸다. 돈을 쓰고 머리를 쓰고 손을 쓰고 말을 쓰고 수를 쓰고 몸을 쓰고 힘을 쓰고 억지를 쓰고 색을 쓰고 글을 쓰고 안경을 쓰고 모자를 쓰고 약을 쓰고 관을 쓰고 쓰고 싶어 별루무 짓을 다 쓰고 쓰다 그러나 시인은 끝까지, 끈질기게, 검은 타이어처럼 굴러 갈 것이다. “길바닥에/ 제 속의 바람을 굴리면서/ 제 몸 깊이/ 길의 상처를 받아내며 굴러” 갈 것이다. 왜냐하면 그에게는 “받아들이면서 나아가는 둥근 힘”이 있기 때문이다. 이불 속이 온통 둥그렇다 정끝별의 시에서 가족은 또 하나의 중요한 주제다. 가족은 애틋한 어린 시절의 추억 속에 옛집과 함께 사진처럼 박혀 있는 그리움의 대상이기도 하고(「동백 한 그루」), 나이를 먹고 자식을 둔 부모가 되고 보니 그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된 부모님이기도 하고(「헝큰머리엄마」), 어느새 아이처럼 투정 부리는 노인이 되어버린 아버지이기도 하다(「눈이 감길 때마다」). 하지만 마냥 따듯하기만 할 것 같은 이 가족이라는 단어는 한낮의 악몽과도 같은 수천의 개미 떼에 의해 습격을 당하기도 하고(「개미와 앨범」), 빈 낮 내내 엄마를 부둥켜안고 싶어 하던 딸애처럼 내 칫솔을 부둥켜안고 있는 딸애의 칫솔에 의해 ‘일하는 엄마’의 죄책감과 그로 인한 공포로 탈바꿈되기도 한다(「밤의 소독」). 한밤중에 칫솔을 끓는 물에 팔팔 삶는 소독은 일면 그로테스크해 보이기도 하지만, 어쨌든 “소독된 두 마음은 서로를 부둥켜안는다”. 가족이란 여성에게 굴레와 속박인 동시에 사랑의 근원이기도 한 것이다.
기본정보
ISBN | 9788937407321 | ||
---|---|---|---|
발행(출시)일자 | 2005년 04월 15일 | ||
쪽수 | 103쪽 | ||
크기 |
130 * 218
mm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민음의 시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