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2025 국내외 2차전지/차세대전지 시장총람 및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전략(하)

산업경제리서치 · 2025년 02월 14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2025 국내외 2차전지/차세대전지 시장총람 및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전략(하) 대표 이미지
    2025 국내외 2차전지/차세대전지 시장총람 및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전략(하) 대표 이미지
  • 2025 국내외 2차전지/차세대전지 시장총람 및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전략(하) 부가 이미지1
    2025 국내외 2차전지/차세대전지 시장총람 및 해외진출과 비즈니스 전략(하) 부가 이미지1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414,000 460,000
적립/혜택
23,000P

기본적립

5% 적립 23,0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23,0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11(금)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 전세계 에너지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이차전지 산업은 전기차,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2025년 이차전지 시장은 더울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모든 생활기반에 전자기기 및 IoT가 적용되고 성장되고 있으며,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 이차전지의 주류인 리튬이온 배터리 산업은 고밀도 양극재 개발, 실리콘 음극재 등의 개발을 통해 용량과 효율성을 더욱 높이고 배터리 크기는 줄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폐배터리 처리와 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통해 친환경적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배터리 성능, 안전성, 원가 절감 기술이 세계 시장 경쟁의 핵심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 Straits research의 자료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3.8%로 증가하며, ’23년 약 1,215.4억 달러에서 ’28년 2,319.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은 전기차(EV)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확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중국(CATL, BYD)과 미국(Tesla, Albemarle) 등 주요 국가와 기업들이 대규모 생산 능력과 기술 개발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28.6%로 증가하며, ’23년 약 1,560만 달러에서 ’28년 5,487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가 이차전지 시장을 선도하며, 전기차와 ESS 배터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능력을 꾸준히 확대하며 국내 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의 이차전지 산업 육성 정책과 소재·부품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으로 산업생태계가 강화되고 있다.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국내 시장은 고성능, 고안전성, 친환경 배터리 개발에 중점을 두며 빠르게 성장하는 중이다.

☐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은 전기차와 ESS 수요 급증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 Tesla, CATL, 등 주요 기업이 생산능력 확대와 기술개발에 주력하며 경쟁 중이며, 국내에서는 LG화학, 삼성SDI, 에코프로BM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양극재·음극재 등 핵심소재와 재활용 기술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사용 후 배터리의 처리 문제가 중요해지면서, 배터리 재사용과 재활용 기술이 주목되고 있으며, 폐배터리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거나 잔존 용량이 있는 배터리를 수리 및 정비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식으로 에너지저장 장치(ESS) 등에서 활용방안 모색 중이다.

☐ 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이 뛰어나고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이다. 고체 배터리는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늘리고 충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뛰어나 대형 전기차와 ESS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으며, 고체 전해질로 분리막을 제거하여 배터리 부피를 줄이고 양·음극재 추가로 에너지 밀도를 높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화재 위험성이 낮은 전고체 배터리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 본 보고서는 2차전지 및 관련 소재.부품.장비 시장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또한 국가별로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 시장분석과 현지진출 전략을 자세히 다루었으니 해외시장 진출에 관심 있으신 기업과 관련 당사자의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이 책의 시리즈 (2)

목차

  • Ⅴ. 국내외 차세대전지 시장 및 기술 분석

    1. 국내외 전고체전지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3)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5)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1) 개요
    가. 전고체 전지의 특징과 고체 전해질에 따른 분류
    나. 전고체 전지 상용화의 걸림돌 : 계면(interfaces) 및 계면상(interphases)
    ① Void(공극)
    ② Chemical Reaction(화학 반응)
    ③ Electrochemical Reaction(전기화학 반응)
    ④ Grain Boundaries(결정립계)
    다. 전고체 전지 관련 정책 분석
    (2)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가. 전고체 전지 소재와 기술 역사
    나. 산화물계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① Garnet 기반 고체 전해질이 적용된 전고체 전지의 양극 전극 대비 음극 전극의
    최적 용량 비(N/P ratio) 연구
    ② Garnet의 3D 마이크로 패턴에 따른 리튬/고체 전해질 계면의 구조적 안정성 연구
    ③ 녹인 리튬(molten Li)의 인장 강도 조절을 통한 리튬/Garnet 계면 친화도 향상
    다.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① Si/C 복합 음극을 이용한 고에너지 밀도, 장수명 전고체 전지 연구
    ② 전고체 전지에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계면 화학 안정성 연구
    ③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에 적합한 전도성/접착형 계면 소재 적용연구(Sheet형
    전고체 전지)
    라. 고분자계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① 선택적 젖음성을 가지는 Rigid-Flexible 커플링 고분자 전해질 기반 고전압 전고체
    전지
    ② 초박형 Double Hydroxide 나노 쉬트를 이용한 전고체 전지
    ③ 전고체 전지에서 Polymer-in-salt 전해질을 통한 성능 향상 및 리튬음극과 안정적
    계면 형성
    (3) 전고체 전지 산업 및 시장 분석

    2. 차세대 바나듐 배터리 산업 및 시장분석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전고체 전지 발전 전망

    3. 국내외 마이크로 배터리 시장분석
    1) 시장의 개요
    2) 정책 및 규제 현황
    3) 국내외 시장분석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경쟁 현황
    4) 애널리스트 평가

    4. 소듐이온 배터리 분야
    1) 국내외 시장 및 기술 분석
    (1) 국내외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가. 기술개발 이슈
    나. 국내외 업체 동향
    ① 해외업체
    ② 국내업체
    2) 국내 연구기관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중기 기술개발 전략
    가. 소듐이온전지 셀 설계 및 제조 기술
    나. 고안정성 양극소재 제조 기술
    다. 고용량 탄소계 음극소재 제조 기술
    (3)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별첨] '소듐이온 배터리'의 전략적 이해
    (1) 산업 및 시장적 의미
    (2) 산업적 니즈
    (3) 산업적 밸류체인
    (4) 용도별 분류

    5. 국내외 차세대 2차전지 기술/산업/정책 및 경쟁력 분석
    1) 서론
    2) 국내외 기술/산업/정책 분석
    (1) 기술 개요
    (2) 기술 및 산업 분석
    가. 전고체전지(All Solid State Battery)
    ① 기술 개요
    ② 기술・산업동향
    나. 리튬금속전지(Lithium metal Battery)
    ① 기술 개요
    ② 기술・산업동향
    다. 리튬황전지(Lithium Sulfur Battery)
    ① 기술 개요
    ② 기술・산업동향
    라. 나트륨(소듐)이온전지(Sodium-Ion Battery)
    ① 기술 개요
    ② 기술・산업동향
    (3) 국내외 정책 분석
    3) 경쟁력 분석
    4) 정책적 제언

    Ⅵ. 해외 국가별 2차전지 시장분석과 현지 진출전략

    1. 해외 국가별 2차전지 시장분석과 주요 기업 및 정부정책 분석
    1) 국가별 2차전지 생산 주요기업 현황 및 시장 전망
    (1) 미국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에너델(Enerdel)
    ⓑ 파나소닉(Panasonic)
    ⓒ LG에너지솔루션
    ⓓ SK이노베이션
    ⓔ 삼성SDI
    (2) 캐나다
    가. 2차전지 전체 수출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3) 일본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 납축전지
    ⓑ 각형 리튬이온 전지
    ⓒ 실린더형 리튬이온 전지
    ⓓ 라미네이트형 리튬이온 전지
    ⓔ xEV용 리튬이온 전지
    (4) 중국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CATL
    ⓑ BYD
    ⓒ CALB
    ⓓ Gotion
    ⓔ EVE Energy
    ⓕ Farasis Energy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Application별)
    (5) 독일
    가. 바스프(BASF SE)
    나. BMW 그룹(BMW Group)
    다. CATL(최대 24GWh 규모)
    라. Daimler 그룹(Daimler Group)
    마. Microvast(최대 6GWh 규모)
    바. PSA와 Saft(최대 24GWh 규모)
    사. 포르쉐(Porsche AG)
    아. 테슬라(최대 250GWh 규모)
    자. 바르타(Varta AG)
    차. 폭스바겐 그룹(최대 16GWh 규모)
    (6) 프랑스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ACC(Automotive Cells Company)
    ⓑ Verkor
    ⓒ Blue Solutions
    ⓓ Olenenergie
    ⓔ IBS(Ion Battery systems)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7) 이탈리아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8) 폴란드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계획
    ⓐ LG Energy Solution(한국): 전기차 배터리, 모듈, 셀, 팩 등 다양한 솔루션 생산
    ⓑ Impact Clean Power Technology(폴란드) : 버스용 배터리, ESS
    ⓒ Mercedes-Benz(독일): 전기차 배터리
    ⓓ BMZ(벨기에): 전기차용 배터리, ESS
    ⓔ Northvolt(스웨덴) : 전기차용 배터리 모듈
    ⓕ Pzl Sedziszow S.A.(폴란드) : e-mobility용 리튬이온 전지
    ⓖ Bater : 리튬이온 전지, 트랙션 배터리(Traction Batteries), 스테이셔너리
    배터리(Stationary Batteries) 생산
    ⓗ Electreecity Sp. z o.o. : 리튬이온 전지(창고장비 및 지게차용), 니켈 및 납산
    전지, 브로츠와프 소재
    ⓘ 기타 전통방식 2차전지 제조사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Application별)
    (9) 헝가리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10) 스웨덴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11) 동남아시아
    가. 2차전지 전체 생산량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태국
    ⓑ 인도네시아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 태국
    ⓑ 인도네시아
    (12) 인도
    가. 2차전지 생산량
    ⓐ 전체 수출량(한국 포함 상위 10개국)
    ⓑ 전체 수입량(한국 포함 상위 10개국)
    나.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Application별)
    (13) 중남미
    가. 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멕시코
    ⓑ 브라질
    나. 2차전지 시장 발전 전망 (Application별)
    ⓐ 멕시코
    ⓑ 브라질
    2) 주요 이슈별 생산기업 동향
    (1)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연구개발 및 생산 현황
    가. 소재(음극재, 양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 연구개발(중국)
    나. 공정 (제조, 성능개선 등) 연구개발(중국)
    다. 안전 및 재활용 연구개발(중국)
    라. 생산동향(중국)
    (2)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 및 생산 현황
    3) 해외 국가별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 미국
    (2) 캐나다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3) 일본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 그린 이노베이션 기금 사업
    ⓑ 친환경 에너지 자동차ㆍ인프라 도입 촉진 보조금 제도
    ⓒ 축전지 국내 생산기반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도입 및 개발 촉진사업
    ⓓ 차세대 배터리 인재 육성 지원 정책
    다. (외국 기업 투자 인센티브)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투자촉진세제’
    (4) 중국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수입 관련 규제 동향
    다.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 신에너지차
    ⓑ ESS
    (5) 유럽
    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산업 분석
    ① 전세계 배터리 수요 및 생산 현황
    ② 유럽 전기차 배터리 산업 현황
    나. 유럽 전기차 배터리 산업 현황
    ① 유럽 배터리 산업 개황
    ② 유럽 전기차 배터리 산업 육성 정책
    Ⓐ 개요 : 전기차 배터리 정책
    Ⓑ 유럽 그린딜 관련 주요 정책
    Ⓒ 기타 배터리 관련 제도 및 정책
    ③ 국가별 산업육성 정책 및 최신 이슈
    Ⓐ 독일
    Ⓑ 프랑스
    Ⓒ 영국
    ④ 기타 유럽국가
    Ⓐ 이탈리아
    Ⓑ 스페인
    Ⓒ 스위스
    Ⓓ 포르투갈
    다. 유럽 전기차 배터리 산업 분야별 기술 트렌드
    ① 전기차 배터리 기술 현황
    Ⓐ 개관
    Ⓑ 전기차 배터리 종류
    ㉠ 리튬이온 배터리
    ㉡ 전고체 배터리
    ㉢ 황화물계 배터리
    ㉣ 산화물계 배터리
    ㉤ 폴리머계 배터리
    ② 리튬이온 배터리와 차세대 배터리 비교
    ③ 전기차 배터리 구성
    Ⓐ 셀(Cell)
    Ⓑ 모듈
    Ⓒ 팩
    ㉠ 하우징
    ㉡ 셀간부품
    ㉢ 배터리 관리 시스템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 열 관리 기술
    ④ 주요 부품별 기술개발 동향
    Ⓐ 양극재 및 음극재 트렌드
    Ⓑ 모듈 트렌드
    Ⓒ 팩 트렌드
    ⑤ 기업별 배터리 생산 및 기술동향
    Ⓐ VW
    Ⓑ Hyundai · Kia
    Ⓒ GM
    Ⓓ Volvo
    Ⓔ Tesla
    Ⓕ CATL
    Ⓖ Exzellenzcluster POLiS*
    Ⓗ Innolith
    ⑥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 배터리 재활용 공정
    Ⓑ 업체별 동향
    라. 유럽 전기차 배터리 시장 국가별 진출 현황 및 유의사항
    ① 주요 국가별 진출 현황
    ② 유럽 전기차 배터리 산업 국내기업 경쟁력 확보 방안
    Ⓐ 현지 동향 모니터링 및 네트워킹 구축을 위한 수출 역량 강화
    Ⓑ 현지화를 통한 유럽 밸류체인 진입 추진
    Ⓒ 배터리 재활용 기술 개발을 통한 유럽 진출
    [별첨1] 글로벌 전기차 판매 동향
    [별첨2] 유럽 내 베터리셀 생산 계획
    [별첨3] 유럽내 배터리 재활용 현황 및 계획
    (6) 독일
    (7) 프랑스
    (8) 이탈리아
    (9) 폴란드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외국기업의 투자 인센티브
    (10) 헝가리
    (11) 스웨덴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 탄소중립관련 스웨덴 에너지정책 및 로드맵
    ⓑ EU 그린딜 정책 연계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친환경·저탄소 전환 정책 가속화
    ⓒ 스웨덴 정부의 배터리 정책
    ⓓ 외국기업의 투자 인센티브
    (12) 영국
    (13) 태국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4) 인도네시아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5) 인도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 저탄소 정책
    ⓑ 신재생에너지 의무구매정책(Renewable Purchase Obligation, PRO)(’16년)
    ⓒ 대기오염 개선프로그램(National Clean Air Programme, NCAP) 시행(’19년)
    ⓓ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National Electric Mobility Mission Plan, NEMMP)
    ⓔ 중앙·주정부 전기차 인센티브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6) 멕시코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17) 브라질
    가. 2차전지 산업 관련 각종 규제 동향
    나. 2차전지 산업 주요 육성정책

    2. 해외 국가별 2차전지 주요 소재기업 및 정부정책 분석
    1) 2차전지 4대 소재(분리막,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생산기업 현황 및 시장 전망
    (1) 미국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 NEI Corporation
    ⓑ 하니웰(Honeywell)
    ⓒ Amprius Technologies
    ⓓ Targray
    ⓔ Lithium Werks
    ⓕ ENTEK
    ⓖ GM-포스코케미칼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2) 캐나다
    가.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나.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3) 일본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시장 수요 및 성장 전망
    (4) 중국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5) 독일
    가.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나.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 및 성장 전망
    (6) 프랑스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7) 이탈리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8) 폴란드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9) 헝가리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10) 스웨덴
    (11) 동남아시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12) 인도
    가. 소재 전체 생산량 및 밸류체인 현황
    나.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 계획
    다.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13) 멕시코
    가. 4대 소재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및 투자계획
    나. 4대 소재 및 2차전지 리사이클링 시장 수요와 성장 전망
    2) 권역별 4대 소재산업 주요 규제 및 육성 정책
    (1) 미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2) 중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3) 프랑스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4) 이탈리아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5) 태국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6) 인도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7) 멕시코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 해당사항 없음
    (8) 브라질
    가. 소재산업 관련 각종 규제(환경, 원산지기준 등) 현황
    나. 2차전지 소재산업 주요 육성정책

    3. 주요 국가별 2차전지 원자재(광물) 공급 현황
    1) 2차전지 주요 원자재(광물) 공급 동향
    (1) 리튬(수산화리튬, 탄산리튬)
    가. 호주
    나. 칠레
    다. 아르헨티나
    라. 카자흐스탄
    마. 러시아
    (2) 코발트 (수산화코발트, 황산코발트)
    가. 콩고민주공화국
    나. 러시아
    다. 호주
    라. 캐나다
    마. 핀란드
    (3) 니켈(수산화니켈, 황산니켈)
    가. 인도네시아
    나. 러시아
    다. 호주
    라. 브라질(페로니켈/820200)
    마. 핀란드
    (4) 망간(전해망간)
    가. 호주
    나. 남아공
    다. 브라질(페로망간/72021100)
    (5) 인조흑연
    가. 생산
    나. 가격
    다. 주요 생산기업
    라. 흑연 공정 다운스트림(①음극재)
    마. 흑연 공정 다운스트림(②리튬배터리 음극재)
    2) 2차전지 주요 원자재(광물) 주요 생산국별 정책
    (1) 호주
    (2) 캐나다
    가. 리튬
    나. 코발트
    (3) 브라질
    (4) 러시아
    가. 코발트
    나. 니켈
    (5) 칠레
    (6) 아르헨티나
    (7) 카자흐스탄
    (8) 인도네시아
    (9) 핀란드
    가. 코발트
    나. 니켈

    4. 국내기업 해외진출 현황 및 유망 프로젝트 분석
    1) 2차전지 분야 현지기관 및 컨설팅업체 인터뷰
    (1) 미국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2) 독일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3) 폴란드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4) 헝가리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다. 인터뷰 대상자 ②
    라. 인터뷰 내용 ②
    (5) 인도네시아
    가. 인터뷰 대상자
    나. 인터뷰 내용
    2) 2차전지 분야 국내기업 해외진출 현황
    (1) 개황
    가. 2차전지 완제품 생산기업(OEM 합작사 포함)
    나. 2차전지 소재 생산기업
    다. 2차전지 장비 관련 기업
    (2) 관련 기업
    가. 캐나다
    나. 미국
    다. 일본
    라. 중국
    마. 독일
    바. 영국
    사. 폴란드0
    아. 헝가리
    자. 스웨덴
    차. 러시아
    카. 베트남
    ⓐ 휴대전화 등 소형기기 관련
    ⓑ 전기오토바이 관련
    ⓒ 자동차 관련
    3) 2차전지 분야 해외진출 유망 프로젝트 분석

    5. 협력 가능한 중국 2차전지 기업과 현지 진출 전략
    1) 중국 배터리 시장 분석
    (1) 중국시장 규모와 전망
    (2) 배터리 종류별 출하 비중과 추이
    (3) 배터리 계열별 출하 비중과 추이
    (4) 중국 배터리 핵심소재 시장규모
    (5) 중국 배터리 제조설비 시장규모
    (6) 리튬이온 배터리셀 수입 현황
    (7) NCM 수입 현황
    (8) LFP 수입 현황
    (9) 음극재 수입 현황
    (10) 분리막 수입 현황
    (11) 전해액 수입 현황
    (12) 배터리 제조설비 수입 현황
    (13) 중국의 동력배터리 산업 발전 지수 주요 지표별 우수 지역
    (14) 중국의 배터리 산업 발달 지역
    (15) 화동지역
    (16) 화중 및 화북지역
    (17) 화남지역
    2) 중국 주요 배터리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
    (1) 전세계 10대 배터리셀 중국 기업
    (2) 중국 전기차 배터리셀 제조사의 생산계열과 주요 납품처
    (3) 중국 주요 배터리 기업이 한국기업과 협력하고 싶은 분야
    가. 배터리셀 기업
    나. 배터리 소재 기업
    다. 배터리 제조설비 기업
    라.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기업
    3) 중국 자동차 배터리 시장 진출 방안
    [별첨] 참고 자료
    (1) 중국 리튬이온 배터리셀 수입 현황
    (2) 중국 양극재별 수입 현황
    (3) 중국 음극재 수입 현황
    (4) 중국 분리막 수입 현황
    (5) 중국 전해액 수입 현황
    (6) 중국 배터리 제조설비 수입 현황
    4) 중국 2차전지 산업의 공급망 현황과 경쟁우위 분석
    5) 중국 2차전지 산업 공급망 전략의 주요 특징과 전략
    (1) 전략 1: R&D를 통한 기술 내재화
    (2) 전략 2: 중국 이차전지 공급망의글로벌 확장
    (3) 전략 3: 원자재 분야의 공급망 안보 강화
    6) 시사점2

    6. 독일 2차전지 시장분석과 현지 진출 전략4
    1) 독일 리튬이온 배터리 및 배터리 재활용 시장 분석
    2) 유럽 리튬이온 배터리 재활용 시장 분석
    3) 독일 2차전지 주요업체 동향
    4) 독일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수입 동향 및 유통 구조
    (1) 생산 동향
    (2) 수입 동향
    (3) 유통 구조
    (4) 시사점

    Ⅶ. 2차전지/차세대 전지 분야 정부 연구개발 과제(RFP)

    1.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블랙매스의 고효율 회수 및 공정부산물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재활용 전처리 공정/장비 구축
    1) (1세부) 사용 후 배터리로부터 고순도·고효율 블랙매스 회수를 위한 전처리 공정
    기술 개발
    2) (2세부) 블랙매스 고효율 회수 장비 개발
    3) (3세부) 전처리 공정부산물로부터 유가금속(Cu, Al 등) 회수 공정 및 장비 구축

    2. 사용후 배터리 재자원화율 향상을 위한 활용 기술 고도화
    1) (1세부) 사용후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양극소재 친환경 제련공정 및 고순도 소재
    제조 기술개발
    2) (2세부) 사용후 배터리의 음극소재 선별 및 고순도화를 통한 재자원화 기술개발
    3) (3세부)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공정의 전해액 분리·회수 및 원료화 기술개발

    3. 실리콘 슬러지 기반 고에너지밀도 복합 전극 제조 기술 개발
    1) (1세부) 실리콘 슬러지를 이용한 저비용 실리콘 원료화 기술 개발
    2) (2세부) 저비용 실리콘 원료를 활용한 복합 소재화 기술 개발
    3) (3세부) 고함량(20 wt%.이상) 실리콘-탄소 복합 전극 기술 개발

    4. 인산철배터리 고성능화를 위한 3.7V급 고전압 인산망간철 양극 전극기술 개발
    1) (1세부) 3.7V급 고전압 인산망간철 양극재 제조공정기술 개발
    2) (2세부) 고결착력의 표면코팅형 기능성 집전체 제조기술 개발
    3) (3세부) 기능성 도전재 적용을 통한 고밀도 후막형 인산망간철 전극 제조기술 개발

    5. 10% 이상 생산성 향상 가능한 디지털트윈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셀제조 공정기술 개발
    1) (1세부) 배터리 제조공정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수집·저장기술 개발
    2) (2세부) 정확도 90% 이상의 배터리 제조공정 디지털트윈 시스템 인프라 운영기술
    개발
    3) (3세부) 10% 이상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디지털트윈 시스템 연계형 고생산성
    배터리 제조 공정기술 개발

    6. 전고체 이차전지용 50kg/batch급 무기계 고체전해질 제조공정기술 및 장비개발
    1) (1세부) 복합전극용 50kg/batch급 고성능 고체전해질 제조공정기술 및 장비개발
    2) (2세부) 전해질막용 50kg/batch급 저비용 고체전해질 제조공정기술 및 장비개발
    3) (3세부) 50kg/batch급 무기계 고체전해질용 리튬계 핵심원료 제조공정 기술개발

    7. 전기차 고안전 배터리 시스템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
    1) (1세부) 급속충전 열관리시스템 능동제어 다면 냉각기술 개발
    2) (2세부) 직접냉각 기술적용 80kWh이상급 대용량 배터리 열관리기술 개발
    3) (3세부) 열전이 방지 기술 적용 구조개선 배터리 시스템 기술 개발
    4) (4세부) 배터리팩 시스템 안전성 검증을 위한 신뢰성 검증 및 실차적용 실증 개발

    8. 초격차형 차세대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재 제조공정기술 및 장비 개발
    1) (1세부) 55%이상 고함량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재 혁신 제조 공정 기술 개발
    2) (2세부) 20% 이상의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탄소 복합형 다공성 실리콘계 음극재
    제조 장비 개발

    9. (총괄) 급속충전이 가능한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 구현을 위한 실리콘 고함량
    음극 전해질 및 셀 기술 개발 총괄 지원
    1) (1세부) 급속충전이 가능한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용 고용량 고효율 실리콘
    음극 소재 개발
    2) (2세부) 실리콘 고함량 음극극판의 고접착력 및 고전도성 기능 강화를 위한 박막
    코팅 집전체 및 수계 바인더 기술 개발
    3) (3세부) 실리콘 고함량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온전지용 급속충전 전해액 개발
    4) (4세부) 고함량 실리콘 기반 전기차용 고에너지밀도/급속충전 가능 배터리 셀 개발
    및 검증

    10. (총괄) 전기자동차용 900Wh/L급 고안전성 황화물계 전고체배터리 개발
    1) (1세부) 전기자동차용 900Wh/L급 고안전성 황화물계 전고체배터리 개발
    2) (2세부) 전고체 배터리셀용 1mS/cm급 20cm폭 고체전해질막 및 음극 기술개발
    3) (3세부) 900Wh/L 10Ah급 고용량 적층형 전고체배터리 제조 공정 기술개발
    4) (4세부) 친환경 모빌리티용 고성능 차세대 배터리의 모듈화 기술개발

    11. (총괄) 전기차용 900Wh/L급 장수명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
    1) (1세부) 2.5g/Ah급 극소 전해질에서 구동가능한 고안정성 리튬메탈전지용 전해질
    및 리튬메탈 보호기술 개발
    2) (2세부) 두께 20μm/폭 30cm급 장수명 보호막 코팅형 리튬메탈 초박막 광폭 전극
    연속 제조 설비 및 공정 개발
    3) (3세부) 900Wh/L급 용량 20Ah 이상 전기차용 리튬 메탈 배터리 셀 제조 기술개발

    12. (총괄) 도심항공모빌리티(UAM)용 430Wh/kg급 초경량 리튬-황 배터리 개발
    1) (1세부) 탄소-황 복합소재와 공정소재 및 대량생산 기술개발
    2) (2세부) 리튬-황 배터리 전해질 및 보호층이 포함된 음극 연속생산 기술개발
    3) (3세부) 430Wh/kg급 용량 20Ah 이상 리튬-황 배터리 대면적 극판 제조 및
    셀 기술개발

    13. 친환경 모빌리티용 고성능 차세대 배터리 기술개발

    14. (총괄) 장수명, 고용량 이차전지를 위한 전극 소재 및 친환경 폐수처리 기술개발과
    신뢰성 평가 시스템 구축
    1) (1세부) 충방전 부피 변화가 작은 층상구조 양극 활물질 소재 개발
    2) (2세부) 고전도성 도전재 함량 극최소화 전극 기술 개발
    3) (3세부) 양극활물질 및 전극 제조공정에서의 폐수 처리 기술 개발

    Ⅷ. 해외 주요국 2차전지 주요 이슈 분석

    1. 독일 리튬 이온 배터리 시장 분석

    2. 중국

    3. 미국

    4. 인도

    Ⅸ. 〈참고 자료〉

    1. 리튬2차전지 주요 생산기업 리스트
    1) 캐나다
    2) 미국
    3) 일본
    4) 중국
    5) 독일
    6) 스페인
    7) 프랑스
    8) 이탈리아
    9) 폴란드
    10) 스웨덴
    11) 러시아
    12) 태국
    13) 베트남
    14) 인도
    15) 카자흐스탄
    16) 브라질
    17) 남아공

    2. 2차전지 주요 소재 생산기업 리스트
    1) 캐나다
    2) 미국
    3) 일본
    4) 중국
    5) 독일
    6) 스페인
    7) 프랑스
    8) 이탈리아
    9) 폴란드
    10) 헝가리
    11) 러시아
    12) 스웨덴
    13) 태국
    14) 인도네시아
    15) 베트남
    16) 인도
    17) 카자흐스탄
    18) 멕시코
    19) 브라질

    3. 2차전지 주요 원자재(광물) 공급기업 리스트
    1) 캐나다
    2) 미국
    3) 일본
    4) 중국
    5) 프랑스
    6) 핀란드
    7) 러시아
    8) 인도네시아
    9) 카자흐스탄
    10) 멕시코
    11) 칠레
    12) 브라질
    13) 남아공
    14) 콩고민주공화국

책 속으로

머리말

ㅁ 전세계 에너지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이차전지 산업은 전기차,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2025년 이차전지 시장은 더울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모든 생활기반에 전자기기 및 IoT가 적용되고 성장되고 있으며,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ㅁ 이차전지의 주류인 리튬이온 배터리 산업은 고밀도 양극재 개발, 실리콘 음극재 등의 개발을 통해 용량과 효율성을 더욱 높이고 배터리 크기는 줄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폐배터리 처리와 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통해 친환경적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배터리 성능, 안전성, 원가 절감 기술이 세계 시장 경쟁의 핵심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ㅁ Straits research의 자료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세계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13.8%로 증가하며, ’23년 약 1,215.4억 달러에서 ’28년 2,319.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은 전기차(EV)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확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중국(CATL, BYD)과 미국(Tesla, Albemarle) 등 주요 국가와 기업들이 대규모 생산 능력과 기술 개발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ㅁ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국내 시장 규모는 7년간 연평균 성장률 28.6%로 증가하며, ’23년 약 1,560만 달러에서 ’28년 5,487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가 이차전지 시장을 선도하며, 전기차와 ESS 배터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능력을 꾸준히 확대하며 국내 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의 이차전지 산업 육성 정책과 소재·부품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지원으로 산업생태계가 강화되고 있다.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국내 시장은 고성능, 고안전성, 친환경 배터리 개발에 중점을 두며 빠르게 성장하는 중이다.

☐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은 전기차와 ESS 수요 급증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 Tesla, CATL, 등 주요 기업이 생산능력 확대와 기술개발에 주력하며 경쟁 중이며, 국내에서는 LG화학, 삼성SDI, 에코프로BM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양극재·음극재 등 핵심소재와 재활용 기술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 사용 후 배터리의 처리 문제가 중요해지면서, 배터리 재사용과 재활용 기술이 주목되고 있으며, 폐배터리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거나 잔존 용량이 있는 배터리를 수리 및 정비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식으로 에너지저장 장치(ESS) 등에서 활용방안 모색 중이다.

☐ 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여,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이 뛰어나고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이다. 고체 배터리는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늘리고 충전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의 안정성이 뛰어나 대형 전기차와 ESS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으며, 고체 전해질로 분리막을 제거하여 배터리 부피를 줄이고 양·음극재 추가로 에너지 밀도를 높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화재 위험성이 낮은 전고체 배터리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 본 보고서는 2차전지 및 관련 소재.부품.장비 시장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또한 국가별로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 시장분석과 현지진출 전략을 자세히 다루었으니 해외시장 진출에 관심 있으신 기업과 관련 당사자의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94179313
발행(출시)일자 2025년 02월 14일
쪽수 820쪽
총권수 1권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삶의 실력, 장자
이벤트
  • [sam] 카카오톡 선물하기 1+1
  • JLPT 우측 윙배너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