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무의 나라, 일본

신의 나라에서 무의 나라로, 자의식의 변천사를 돌아본다
사에키 신이치 저자(글) · 김현경 번역
마르코폴로 · 2024년 12월 20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무의 나라, 일본 대표 이미지
    무의 나라, 일본 대표 이미지
  • 무의 나라, 일본 부가 이미지1
    무의 나라, 일본 부가 이미지1
  • 무의 나라, 일본 부가 이미지2
    무의 나라, 일본 부가 이미지2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무의 나라, 일본 사이즈 비교 138x216
    단위 : mm
01 / 04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18,000 20,000
적립/혜택
1,000P

기본적립

5% 적립 1,0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1,0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주문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수상내역/미디어추천

다카하시 마사아키의 『무사의 일본사』가 일본사 연구자의 입장에서 역사 서술을 통해 무사의 나라라는 허상을 벗기고 무사의 실상을 드러내려 한 책이었다면, 공교롭게도 같은 해인 2018년 10월에 출간된 사에키 신이치의 『‘무의 나라’ 일본 -자국의식과 그 함정(「武國」 日本-自國意 識とその罠)』은 일본 중세문학을 전공한 문학 연구자의 시각으로 일본인들의 의식 속에 일본을 강한 나라, 무력이 센 나라로 보는 생각이 언제 어떻게 자리잡게 되는지를 살펴보는 책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사에키 신이치

佐伯眞一
1953년, 지바현(千葉縣) 출생. 도쿄대학(東京大學) 대학원 문학 박사학위를 취득 했으며 아오야마 가쿠인대학 문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전공은 일본중세문학. 주요 저서로 『전장의 정신사: 무사도라는 환영(戰場の精神史-武士道という幻影)』(NHK북스), 『겐레이몬인이라는 비극(建禮門院という悲劇)』(가도카와 선서), 『사부합전장본 헤이케 모노가타리 전석(四部合戰狀本平家物語全釋)』(공저, 이즈미쇼인), 『헤이케 모노가타리 대사전(平家物語大事典)』(공편, 도쿄서적) 등이 있다.

번역 김현경

金玄耿
1984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와 일본 교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각각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교토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전공은 일본고중세사이며, 서울대학교 역사학부와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에서 강사로 활동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 「일본 헤이안시대 중후기 家格의 형성」(『동양사학연구』 158, 2022), 공저로 『일본사 시민강좌』(연립서가, 2024) 등이 있다.

목차

  • 한국어판 서문 ㆍ 11
    머리말 ㆍ 14
    일본인의 자의식 ............................... 14
    평화와 사무라이 ............................... 16
    ‘신국’ 의식과 ‘무국’ 의식...................... 18

    제1장
    ‘신국’ 일본
    제1절
    ‘신국’이란 무엇인가 ㆍ 21
    좋은 나라, 강한 나라 .......................... 21
    진구 황후 설화 ................................. 24
    진구 황후 설화의 변용 ........................ 26
    진구 황후 설화의 영향 ........................ 29
    제2절
    헤이안·가마쿠라시대의 신국 의식 ㆍ 31
    신이 지켜주는 나라 ........................... 31
    신을 모시는 나라 .............................. 32
    신들이 충만한 나라 ........................... 34
    야만스럽고 미개한 ‘신국’ ..................... 36
    신국과 변토의 균형 ........................... 38
    『헤이케 모노가타리』의 「교훈장」 .............. 41
    황실 옹호, 자국 우월의식과의 연관 ......... 42
    신에게 의지하기 ............................... 46
    신의 힘과 ‘무인의 공적’ ....................... 48
    제3절
    몽골의 일본 침략과 자국관 ㆍ 51
    ‘뭇 나라들보다 뛰어난 나라’ ................. 51
    일본의 무구와 무사의 우월함 ................ 53
    도간 에안의 자의식과 망상................... 55
    ‘무’는 국가를 어지럽힌다 ..................... 58
    ‘신풍’으로 총괄되는 몽골의 침략 ............ 60
    분에이 전쟁과 무사의 활약................... 63
    가마쿠라 무사들의 관심과 시점 ............. 64
    신국 사상과 몽골의 침략 ..................... 66

    제2장
    ‘활과 화살’에 대한
    자부심과 ‘무’의 가치
    제1절
    활과 화살에 대한 자부심 ㆍ 71
    『마쓰라노미야 모노가타리』 ................... 71
    일본은 무사의 나라 ........................... 74
    ‘무’의 자의식이 싹트다 ........................ 76
    활과 화살에 대한 자부심 ..................... 78
    중국과 비교한 활과 화살의 자랑 ............ 81
    일본의 전쟁 .................................... 84
    큰 화살을 쏘는 무사들 ........................ 86
    활·화살 자랑과 ‘동이’ 의식의 극복 ........ 88
    자국의식의 성장 ............................... 91
    제2절
    ‘무’의 가치와 군기 모노가타리 ㆍ 93
    군기 모노가타리와 ‘무’ ........................ 93
    『헤이케 모노가타리』와 전쟁 피해 ............ 97
    『헤이케 모노가타리』에 나오는 요시쓰네 .... 99
    무사=오랑캐에 대한 멸시 ................... 102
    ‘문무이도’ ...................................... 105
    하강사관과 ‘무’ ................................ 107
    동아시아의 ‘문’ 중시 ......................... 109
    ‘무위’의 용법 .................................. 111
    시대의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 ............... 114
    제3절
    무사의 자의식 발달과 그 표현 ㆍ 117
    ‘무사의 도’ ..................................... 117
    『헤이케 모노가타리』에 나오는
    ‘활과 화살의 도’ ............................... 120
    『태평기』에 나오는 ‘활과 화살의 도’ ......... 123
    『태평기』와 무사 ............................... 126
    『요시사다 군기』라는 작품 .................... 128
    『요시사다 군기』의 ‘도’ ........................ 131
    『갑양군감』의 ‘무사도’ ......................... 134
    무사와 와카 ................................... 138
    ‘문’과 대척점에 있는 ‘무’ ..................... 140

    제3장
    ‘무국’ 의식의
    성립과 전개
    제1절
    히데요시의 ‘무국’ 의식과 조선 출병 ㆍ 145
    일본은 활과 화살이 엄청난 나라 ........... 145
    히데요시의 무국 인식 ........................ 148
    ‘무’의 일본, ‘문’의 중국 ...................... 150
    요시노 진고자에몬의 자국 인식 ............ 152
    요시노 진고자에몬과 분로쿠 전쟁 ......... 154
    게이초 전쟁과 『조선일일기』 ................. 158
    조선 출병의 끝과 이야기의 시작 ........... 161
    조선 출병의 미화 ............................ 164
    비판과 반비판 ................................. 166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본조삼국지」 ......... 168
    민중에게 남은 기억 .......................... 171
    제2절
    ‘무국’ 의식의 이론화 ㆍ 173
    ‘무국’ 이론의 등장 ............................ 173
    요시카와 고레타리의 ‘무국’론 .............. 174
    ‘무국’ 사관 ..................................... 176
    요시카와 고레타리의 위치 .................. 178
    야마가 소코의 ‘무덕’론 ....................... 180
    『중조사실』의 배경 ............................. 184
    야마가 소코의 역사관 ........................ 186
    ‘아메노누보코’와 이자와 나가히데 ......... 188
    ‘무국’론의 정착................................ 190
    명·청 교체와 ‘무’의 하강사관 .............. 192
    자타가 공인하는 ‘무국’ ....................... 193
    ‘무’의 하강사관의 변질 ....................... 196
    아이자와 세이시사이 『신론』의 역사관 ..... 199
    요즘 무사는 해이해져 있다................. 202
    제3절
    내셔널리즘과 ‘문무’ ㆍ 205
    막부 말기의 위기와 『상무론』 ............... 205
    『상무론』의 역사관 ............................ 207
    『상무론』의 반‘문’과 ‘무사도’ ................ 209
    ‘무국’론과 유학................................212
    내셔널리즘과 유학·국학 ...................213
    겉과 속, 이상과 현실 .........................215
    ‘무국’론과 반지성주의 .......................217

    제4장
    ‘무국’에서 ‘군국’으로
    제1절
    ‘무국’ 의식의 확산 ㆍ 223
    ‘무국’ 의식과 서민 ........................... 223
    『표류기담』 ..................................... 225
    표류자 오토키치의 ‘무국’ 의식 ............. 226
    미국은 일본의 무위를 두려워했는가 ...... 229
    무국 의식과 요시쓰네 이야기 ...............231
    에조치에 대한 높아지는 관심 .............. 233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문제 ................. 235
    영웅 도항 전설 ............................... 238
    요시쓰네 도만설 ............................. 242
    요시쓰네 칭기스 칸설의 등장 .............. 245
    요시쓰네 칭기스 칸설과
    오야베 젠이치로 ............................. 248
    제2절
    막말유신기의 ‘무국’론 ㆍ 253
    요시다 쇼인의 ‘무국’ 의식 .................. 253
    「급무책일칙」의 위기의식 .................... 255
    『유수록』의 역사관 ............................ 257
    『유수록』과 근대 일본 ........................ 258
    존황 지사 히라노 구니오미................. 260
    ‘무국’론과 메이지 유신 ...................... 262
    제3절
    ‘무국’론과 ‘군국’ 일본 ㆍ 265
    군제 개혁과 『군인칙유』...................... 265
    『군인칙유』의 역사관 ......................... 267
    『칙유연의』와 ‘무국’ 신화 .................... 268
    근대 ‘무사도’론과 ‘무국’론 ...................271
    아다치 리쓰엔의 『무사도 발달사』 .......... 273
    『무사도 발달사』와 ‘무국’ 신화 .............. 275
    이노우에 데쓰지로의 『무사도』 ............. 277
    시게노 야스쓰구의 ‘무사도’론 ..............281
    쇼와의 역사학과 ‘무사도’론 ................ 285
    전시 하의 ‘무국’론 ........................... 287
    ‘군국’의 국민 도덕 ........................... 289

출판사 서평

아마존 저팬 베스트셀러
마이니치 신문, 올해의 책
요미우리 신문, 추천도서
산케이 신문, 추천도서



일본 하면 ‘사무라이’를 떠올리고 일본을 ‘무사의 나라’로 여기는 인식을 단순히 외국인이 갖는 선입견이나 고정관념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사실은 일본이라는 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무력이 뛰어나며, 무사의 존재가 특히 두드러진다고 일본 사람들 스스로 인지하는 경향도 확인되기 때문이다. 야구 일본대표팀의 이름이 사무라이 저팬(Samurai Japan)인 것은 그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무(武)의 나라, 무사의 나라라는 일본의 이미지는 어쩌면 일본인과 외국인이 공유하고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확산되고 양산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일본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일본이 처음부터 무의 나라, 무사의 나라였다고 보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무라이’라는 말도 원래는 귀인을 곁에서 모시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였고, 나중에는 지배층으로서의 무사를 대상으로 이 말이 사용되면서 무사와 동의어로 간주되기에 이른 것이다. 또 무사에게 요구되는 덕목이나 무사도 정신 역시 후대에 형성된 요소였고, 무사는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변천을 거듭한 존재였다. 이처럼 무사도 정신에 입각하여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용맹한 무사의 이미지가 역사적 사실과는 동떨어져 있다.

다카하시 마사아키의 『무사의 일본사』가 일본사 연구자의 입장에서 역사 서술을 통해 무사의 나라라는 허상을 벗기고 무사의 실상을 드러내려 한 책이었다면, 공교롭게도 같은 해인 2018년 10월에 출간된 사에키 신이치의 『‘무의 나라’ 일본 -자국의식과 그 함정(「武國」 日本-自國意 識とその罠)』은 일본 중세문학을 전공한 문학 연구자의 시각으로 일본인들의 의식 속에 일본을 강한 나라, 무력이 센 나라로 보는 생각이 언제 어떻게 자리잡게 되는지를 살펴보는 책이다.

사에키 신이치는 『헤이케 모노가타리』를 비롯한 군기(軍記) 문학작품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그 작품들 속에 등장하는 무사들과 그들이 벌이는 전투의 묘사와 서술이야말로 연구의 핵심 소재였다. 그러한 연구의 성과들을 바탕으로 중세 무사들의 행동과 정신이 오늘날 ‘무사도’의 이름으로 이야기되는 이상적인 무사의 이미지와는 사뭇 달랐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무와 무사에 대한 일본 사람들의 인식이 고대에는 결코 두드러지지 않았고, 무는 일본이라는 국가에서 처음부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가 아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원서(번역서)명/저자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92667744
발행(출시)일자 2024년 12월 20일
쪽수 316쪽
크기
138 * 216 * 25 mm / 593 g
총권수 1권
원서(번역서)명/저자명 「武國」日本 自國意識とそのわな/佐伯眞一/著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중학 영문법, 문법이 쓰기다: 1학년
이벤트
  • sam x 한샘 [똑똑한sam]
  • 2025 1학기 대학교재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