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개정판 2 판
박영스토리 · 2024년 10월 10일 (1쇄 2017년 03월 24일)
가장 최근에 출시된 개정판입니다. 구판보기
10.0
10점 중 10점
(1개의 리뷰)
집중돼요 (100%의 구매자)
  •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대표 이미지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대표 이미지
  •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부가 이미지1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부가 이미지1
  •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부가 이미지2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부가 이미지2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사이즈 비교 154x225
    단위 : mm
01 / 04
무료배송 소득공제
23,000
적립/혜택
690P

기본적립

3% 적립 69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69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3(목)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상세 이미지
질적 연구를 할 때 활용 가능한 30가지의 핵심 기술을 제시하는 책이다. 제2판에서는 인용문과 참고문헌 리스트(2020년 APA 스타일 매뉴얼 포함)를 업데이트하였고, 질적 타당도 전략에 대한 표와 인터뷰 유형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였다. 메모 작성, 인용문 활용, 연구자 성찰, 심사위원과의 작업, 연구 질문과 하위 질문, 구체적인 타당도 검토, 질적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질적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항목 관련 내용을 업데이트하였고, 가독성과 명료함을 높이기 위한 부분적인 문구를 편집하였다.

작가정보

저자(글) John W. Creswell

John W. Creswell 박사는 가정의학과 교수이며 미시간 대학 혼합연구 프로그램의 수석 연구자다. 혼합연구방법, 질적 연구, 연구설계와 관련된 상당수의 아티클과 약 30권의 책을 출판하였다. 네브래스카 링컨 대학에 근무할 당시, 클리프톤 석좌교수직을 맡았고 SAGE 출판사의 Journal of Mixed Methods Research를 창간했으며, 미시간 대학 가정의학과 겸임교수, 미시간 앤아버의 재향군인 건강센터의 자문을 맡았다. 2008년 남아프리카와, 2012년 태국에서 풀브라이트 수석연구자로 활동했다. 2011년에는 건강과학 분야에서의 혼합연구 실행을 위한 국립 건강 재단의 위원회를 공동으로 이끌었다. 또한 하버드 공공건강 대학원의 방문 교수를 역임했고, 남아프리카 프레토리아 대학에서 명예박사를 수여받았다. 2014년에는 혼합방법 국제 연구위원회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2015년에는 미시간 혼합방법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이끌기 위해 미시간 대학의 가정의학 위원으로 합류하였다. 2017년에는 미국심리학회에서 주도하는 질적, 그리고 혼합연구 기준 논의에 공동 저자로 참여하였다. 2018년에는 그의 책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이 오랜 기간 기여해온 것을 인정받아 맥거피 장수 상(McGuffey longevity Award)을 수상하였다.

저자(글) Johanna Creswell Báez

Johanna Creswell Báez 박사는 강의 개발 매니저이자 콜롬비아 대학 사회복지대학원 온라인 캠퍼스의 겸임 부교수다. 그녀는 뉴욕에 있는 웨디코(Wediko) 어린이 시설 비영리 지사의 공동창시자이며 책임자로, 그리고 연구/보조금 담당자로 근무하였다. 웨디코 근무 시절, 그녀는 도심지역 아이들의 사회ㆍ정서적 학습, 그리고 트라우마와 관련한 여러 지역에 걸친 프로그램의 평가를 담당하였고, 수석 보조금 유치자였으며, 매주 임상 슈퍼비전을 제공하였고, 프로그램의 결정을 담당하는 시니어 행정 팀의 일원으로 활동하였다. 최근에는 로버트 우드 존슨 재단의 임상학자로서 텍사스 지역에 있는 취약한 이민자 청소년과 가족들을 위한, 트라우마와 문화적 민감성에 초점을 둔 정신건강 서비스 프로그램을 연구해오고 있다. 그녀는 2006년, 콜롬비아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15년에는 스미스 칼리지에서 임상사회복지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지난 20년 넘게 뉴욕 시내의 공립학교와 사립 센터 내에 있는 시설에서 감정적으로 취약한 청소년과 가족을 대상으로 임상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지난 10년간은 연구, 행정, 그리고 임상 슈퍼바이저로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일을 해오고 있다. 그녀의 전문분야는 프로그램 개발, 온라인 강의, 권리 옹호, 직원 훈련, 연구비 작성, 재정지원, 그리고 질적 방법과 혼합방법을 활용한 프로그램 평가다.

번역 한유리

이화여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조지아 대학(The university of Georgia)에서 성인교육 및 인적자원개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더 많은 사람들이 질적 연구를 쉽게 접하고 즐겁게 연구할 수 있도록 배우고 전달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질적 연구 입문」, 「초보연구자를 위한 질적 자료 분석 가이드」, 「차근차근 자문화기술지」, 「소프트웨어로 해보는 문헌고찰: MAXQDA 활용하기」를 썼고,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문헌리뷰 작성 가이드」, 「사회구성주의로의 초대」를 번역하였다.

목차

  • PART
    01
    질적 연구 조망하기
    01│질적 연구자처럼 생각하기 3
    첫 번째 노하우_3
    왜 중요한가?_3
    연구 과정_4
    이러한 연구 과정을 따르는 여러 접근들_4
    질적 연구자는 어떻게 생각하나_5
    보트 사진_6
    질적 연구의 특성_8
    질적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잘못된 오해들_12

    02│양적 연구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질적 연구 이해하기 15
    두 번째 노하우_15
    왜 중요한가?_15
    양적 학술지에 실린 양적 연구의 특성_16
    질적 학술지에 실린 질적 연구의 특성_17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특성을 연장선상에서 비교하기_20
    쉽게 보이는, 또는 보기 어려운 요소들_21

    03│자신의 질적 연구를 탄탄하면서도 개념적으로 흥미롭게 만들기 25
    세 번째 노하우_25
    왜 중요한가?_25
    연구 주제 정하기_26
    자신의 주변을 연구하는 것을 주의하기_27
    연구 주제를 개념적으로 흥미롭게 만들기_28
    연구 제목에 흥미로운 요소 추가하기_30

    04│연구기간 발생하는 어려운 감정 다루기 34
    네 번째 노하우_34
    왜 중요한가?_34
    질적 연구에서의 감정적 여정_34
    감정적 여정의 단계들_35
    질적 연구의 긍정적인 면_38
    질적 연구의 어려운 면_38

    05│지도교수, 논문 심사위원과 함께 작업하기 44
    다섯 번째 노하우_44
    왜 중요한가?_44
    논문 심사위원에게 질적 연구 알리기_45
    가장 잘 쓴 글 제출하기_46
    피드백 받기_46
    논문 심사위원과의 미팅_47

    PART
    02
    예비적 요소 고려하기
    06│질적 연구에서 철학과 이론 사용하기 55
    여섯 번째 노하우_55
    왜 중요한가?_55
    질적 연구 배후에 있는 철학_56
    자신의 질적 연구에 철학에 대해 기술하기_62
    질적 연구에서 이론 사용하기_63

    07│윤리적 이슈 예측하기 71
    일곱 번째 노하우_71
    왜 중요한가?_71
    질적 연구에서 참여자 보호하기_72
    연구의 여러 단계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이슈들_74
    질적 연구자로서 저자들이 직면했던 윤리적 이슈들_77
    빌려온 자료 사용에 대한 허가_80
    윤리에 관한 체크리스트_81

    08│문헌지도 개발하기 85
    여덟 번째 노하우_85
    왜 중요한가?_85
    문헌을 검토할 때의 도전과제_86
    질적 연구에 문헌을 배치하는 여러 대안들_87
    문헌고찰 단계_89
    문헌을 검토할 때 우선순위_90
    문헌지도를 설계하는 방법_91
    문헌지도 설계와 관련된 추가 아이디어_94
    문헌지도 기술의 예_94

    09│질적 연구로 쓰인 박사나 석사논문의 구조 살펴보기 97
    아홉 번째 노하우_97
    왜 중요한가?_97
    질적 프로포절이나 계획서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내용들_98
    질적 논문 프로포절의 구조_99
    질적 학술지 아티클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_102


    PART
    03
    질적 연구 소개하기
    10│질적 연구 제목과 초록 작성하기 109
    열 번째 노하우_109
    왜 중요한가?_109
    좋은 질적 제목_110
    향상된 제목_113
    초록의 정의_114
    초록의 단어 수_114
    잘 쓴 초록의 구성요소_115
    초록의 예_116

    11│좋은 서론과 첫 문장 쓰기 120
    열한 번째 노하우_120
    왜 중요한가?_120
    질적 연구에서 서론의 위치_121
    좋은 서론을 위한 다섯 개의 주요 요소_122
    서론의 처음 문장_129

    12│목적 진술과 연구질문 작성하기 133
    열두 번째 노하우_133
    왜 중요한가?_133
    목적, 연구질문, 연구방법을 서로 연결하기_134
    목적 진술_135
    연구질문_139
    중심질문_139
    수정을 통해 중심질문의 향상을 보여주는 예시들_140
    중심현상_143


    PART
    04
    질적 자료수집하기
    13│질적 자료수집과정 이해하기 149
    열세 번째 노하우_149
    왜 중요한가?_149
    질적 자료수집의 부분들_150
    질적 자료수집 체크리스트_166
    14│관찰하기 168
    열네 번째 노하우_168
    왜 중요한가?_168
    개발된 기술로서의 관찰 _169
    관찰의 본질_170
    관찰 과정_170
    관찰 시 도움이 되는 추가 지침들_176
    관찰에서의 도전과제_177
    관찰 체크포인트_178

    15│인터뷰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실행하기 182
    열다섯 번째 노하우_182
    왜 중요한가?_182
    인터뷰의 종류_183
    인터뷰의 시행 단계_185
    인터뷰 프로토콜_188
    인터뷰 프로토콜의 예시_191
    추가적인 인터뷰 아이디어들_193
    인터뷰 체크리스트_195
    인터뷰 시의 도전들_195

    16│소외된 대상으로부터 자료수집하기 200
    열여섯 번째 노하우_200
    왜 중요한가?_200
    소외된 집단_201
    소외된 집단에게서 자료를 수집할 때의 우려들_202
    잠재적 우려들을 다루기_206


    17│글로벌 질적 연구를 위해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는 역량 키우기 211
    열일곱 번째 노하우_211
    왜 중요한가?_211
    글로벌 질적 연구와 관련된 핵심 개념_212
    문화적 역량_213
    국가적 수준의 전문성 키우기_213
    글로벌 연구 정책_215
    방법론적 경향과 자료수집방법_215
    질적 연구설계와 과정_216
    글로벌 질적 연구자를 위한 제안_217


    PART
    05
    자료분석과 타당화
    18│텍스트자료 코딩하기 221
    열여덟 번째 노하우_221
    왜 중요한가?_221
    질적 자료분석의 전반적 과정_222
    원 자료에서 코드로_224
    원 자료에서 테마로_225
    코딩이란?_227
    테마 글에서 시작해 코딩 과정을 거꾸로 유추해가기_227
    코딩 과정_229

    19│시각 자료 코딩하기 241
    열아홉 번째 노하우_241
    왜 중요한가?_241
    질적 시각 자료의 종류_242
    이미지를 사용할 때의 잠재적 우려사항_244
    이미지 분석하기_245

    20│테마 글 작성하기 254
    스무 번째 노하우_254
    왜 중요한가?_254
    질적 자료분석에서의 네 단계 증거_255
    테마 글의 요소_256
    테마, 코드, 그리고 인용문을 정리한 표_261

    21│자료분석을 위한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사용하기 264
    스물한 번째 노하우_264
    왜 중요한가?_264
    자료분석과 보고서 작성에 QDA 소프트웨어 활용하기_265
    QDA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만 하는가?_267
    사용 가능한 주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_269
    QDA 프로그램은 어떻게 고를까?_271
    QDA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의 단계들_271

    22│타당도 검토 실행하기 277
    스물두 번째 노하우_277
    왜 중요한가?_277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란 무엇인가?_278
    질적 연구에서 타당도의 종류_279
    어떤 타당도의 전략을 사용해야 할까?_284
    23│코더간 일치도 실시하기 289
    스물세 번째 노하우_289
    왜 중요한가?_289
    코더간 일치도란 무엇인가?_290
    코더간 일치도를 실시하는 과정_290
    코더간 일치도 검토의 예: 비공식적 방법부터 보다 체계적인 방법까지_294


    PART
    06
    질적 연구의 글쓰기와 출판하기
    24│학술적 글쓰기 303
    스물네 번째 노하우_303
    왜 중요한가?_303
    글쓰기 훈련_304
    주제에 관해 생각하기 위해 글쓰기_307
    글쓰기 습관 기르기_308
    생각을 단계별로 전개하기_309
    좋은 글의 원칙들을 사용하기_310
    글을 잘 쓰기 위한 다른 전략들_312
    25│질적 방식으로 글쓰기 315
    스물다섯 번째 노하우_315
    왜 중요한가?_315
    심층묘사를 사용해 글쓰기_316
    일관성 있는 글쓰기_321
    직유를 사용하여 글쓰기_324
    인용을 사용하여 글쓰기_325

    26│성찰적 글쓰기 329
    스물여섯 번째 노하우_329
    왜 중요한가?_329
    성찰이란 무엇인가?_331
    연구자를 위한 성찰_331
    참여자를 위한 성찰_333
    독자를 위한 성찰_333
    어떻게 성찰적 글쓰기를 촉진할까?_334
    연구의 어느 부분에 자신의 개인적 성찰을 적을까?_335

    27│“결론” 챕터 쓰기 342
    스물일곱 번째 노하우_342
    왜 중요한가?_342
    어떻게 질적 연구를 마무리하는가?_343
    “결론” 부분에 무엇이 들어가야 하는가에 관한 관점들_345
    질적 연구를 마무리하는 두 가지 접근_350

    28│학술지에 질적 아티클 게재하기 358
    스물여덟 번째 노하우_358
    왜 중요한가?_358
    학문적 커리어와 학술지 게재_359
    논문 투고 전에 학술지 살펴보기_362


    PART
    07
    연구 질 평가와 질적 설계 사용하기
    29│질적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 선택하기 373
    스물아홉 번째 노하우_373
    왜 중요한가?_373
    질적 연구에서 기준이 중요한가?_374
    기준과 관련된 몇 가지 관점들_375
    어떤 기준을 사용할 것인가?_382

    30│질적 설계 선택하기 385
    서른 번째 노하우_385
    왜 중요한가?_385
    일반적 유형의 질적 연구에서 특정 질적 설계로 이동하기_388
    다섯 개의 연구설계_389
    자신의 프로젝트에 적합한 연구설계를 어떻게 선택하는가?_397
    이야기 변경하기의 예_399

책 속으로

서문
목적
우리는 대학원에서 질적 연구 기본강의 교재로 활용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시중에 나온 방법론 책 중에 질적 연구를 실행하는 일반 원칙을 제대로 다룬 교재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어떤 책은 특정 연구 설계만을 과도하게 다루기도 하고, 다른 책은 너무 복잡해서 학생들에게 읽어보라고 추천하기가 어려웠다. 우리는 질적 연구를 진행할 때의 “실질적” 단계들을 다룬 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여기서 “실질적”이라는 말은 누구나 엄격하게 따라야 하는 고정된 단계가 아니라, 이 책의 저자 중 한 명인 조한나가 논문을 쓰면서 필요했던 것처럼, 질적 연구가 실제로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의미한다. 전사한 텍스트, 또는 참여자에게서 받은 사진 같은 질적 자료를 어떻게 코딩할까? 어떻게 질적 중심질문을 만들고, 인터뷰 자료는 어떠한 단계를 밟으며 분석할까? 다른 기초 책에서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이 빠져있다. 이에 대한 논의가 없으면 대학원생이나 초보 질적 연구자는 이러한 종류의 연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혼자서 힘들게 알아내야만 한다.
나아가, 존은 자신이 지난 30년간 질적 프로젝트를 실행하면서 배운 기술과 과정을 공유하고 싶었다. “이것이 유일한 방법이다”라고 말하려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에게 효과가 있었던 기술과 과정을 하나의 접근으로써 독자와 나누려는 것이다. 다른 책에서는 저자만의 노하우를 드러내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존이 직접 연구하면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그리고 질적 연구에 대한 글을 쓰면서 배운 많은 아이디어를 공유하려고 한다. 따라서 이전에 썼던 연구설계, 질적 탐구, 혼합방법의 교재 내용을 일부 예시로 사용하였다. 다른 저자의 글도 인용했는데, 이런 경우에는 그들의 구체적인 접근법을 공유하고 이어서 존의 아이디어를 대조적으로 제시하기 위해서다.
이 책에서 독자들은 기존 “질적 방법론” 책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뤄지지 않는 몇 개의 참신한 주제들을 찾을 수 있다. 그 예로는, 질적 연구자처럼 생각하는 방법, 질적 연구를 할 때의 감정 다루기, 코더간 일치도 검토 방법, 이미지 코딩, 결론 쓰기, 그리고 목적진술문 같이 연구의 중요한 부분들을 쓸 때 도움이 되는 대본들이 있다.
즉, 이 책의 목적은 여러분이 질적 연구를 할 때 활용 가능한 30가지의 핵심 기술을 제시하는 것이다. 물론 30가지로 정리하기는 했으나, 실제 연구를 하다 보면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30가지는 초보 연구자가 자신의 질적 연구를 시작할 때 필요한 핵심 내용을 잘 전달한다. 독자들에게는 모든 챕터에서 소개하는 기술이 동일하게 중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과 필요에 따라, 관련된 챕터를 참고할 수 있다.
우리는 또한 질적 연구의 기본 특징이 이해를 추구하는 것임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실용적인 접근을 추구하는 입장에서, 우리는 초보 연구자가 엄격하고 정교한 질적 연구를 완수하기 위해서 반드시 마스터해야 하는 몇 가지 확실한 기술이 있다고 본다. 기술이란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이나 일종의 전문성이며, 일단 획득하고 나면 탄탄한 질적 연구를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책의 각 챕터는 한 가지 기술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이후 자신만의 창의적인 연구를 하기 위해 선행될 중요한 부분이다. 작곡을 하려면 먼저 음악 이론을 제대로 알아야 하고, 획기적인 건축을 설계하려면 먼저 기본적인 건축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질적 연구를 강력히 지지하지만, 시작단계의 연구자는 기본적인 기술을 마스터해야 한다고 믿는다.
이 책은 Creswell과 Poth(Sage, 2018)의 〈질적 탐구와 연구설계: 다섯 가지 접근〉과 어떻게 다른가
우리는 이 책이 질적 연구의 기본서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질적 연구 기본과정이나 초보 연구자를 위한 지침서로 적합하다. 반면, Creswell과 Poth(2018)의 책은 중급 교재로 봐야 한다. 따라서 기본적인 질적 연구를 넘어서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 같은 구체적인 접근을 찾는 경험 있는 연구자에게 더 적합하다. 정리하면, 초보자는 이 책에서 시작하고 이후에 다섯 가지 접근을 배울 것을 제안한다.




2판에서 추가된 내용들
이번 2판에서는 Johanna Creswell Báez가 공동 저자로 합류했다. 질적 연구에 대한 그녀의 실제 경험들이 이 책에 포함되었으며, 사회학자인 조한나는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거나 억압당해온 개인과 가족, 공동체, 시스템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이들을 지지하는 데에 관심이 있다.
나아가, 2판에서는 다음의 내용이 추가되었다.

ㆍ 업데이트된 인용문과 참고문헌 리스트(2020년 APA 스타일 매뉴얼 포함)
ㆍ 질적 타당도 전략에 대한 표와 인터뷰 유형에 대한 내용 추가
ㆍ 메모 작성, 인용문 활용, 연구자 성찰, 심사위원과의 작업, 연구 질문과 하위 질문, 구체적인 타당도 검토, 질적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한 내용 추가
ㆍ 질적 자료분석 소프트웨어 항목 관련 내용 업데이트
ㆍ 가독성과 명료함을 높이기 위한 부분적인 문구 편집
독자
이 책은 사회과학, 행동과학, 그리고 보건과학분야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하려는 연구자를 위해 쓰였다. 특히 처음으로 질적 연구를 하는 초보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대학원생이나 교수, 또는 학계 밖에서 질적 연구를 하려는 연구자가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경험이 있는 연구자에게는 핵심 기술들을 검토하고, 질적 연구자로서 저자들의 작업을 공유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 책의 구성
존은 이해하기 쉽게 글을 쓰는 스타일이다.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일인칭 대명사를 쓰며, 최대한 독자를 고려한 대화적 글쓰기를 시도한다. 존이 따르고자 하는 글쓰기 멘토는 이야기하듯 글을 쓰면서도 질적 방법과 관련된 중요한 내용을 모두 전달하는, 지금은 고인이 된 해리 월코트(Harry Wolcott) 박사다(Wolcott, 2009, 2010 참고). 또한, 이 책에서는 배운 것을 활용해 볼 활동을 추가하였고, 글을 읽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참고문헌을 최소화하였다. 각 챕터는 가능한 짧게 구성해서, 독자들이 한 가지 기술에 집중하도록 노력하였다. 조한나도 책 전반에 걸쳐 자신의 연구 예시를 제공하였다.
Part 1에서는 질적 연구를 이해하는 데 시작이 되는 내용들을 다룬다. 독자들은 질적 연구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는 양적 연구에서 요구되는 사고와 어떻게 다른지, 질적 연구를 개념적으로, 그리고 방법론적으로 어떻게 더 흥미롭게 만들지, 질적 연구를 하면서 겪는 감정적 기복을 어떻게 다룰지, 연구 지도교수, 그리고 논문 심사위원들과 어떻게 작업할지를 배우게 된다.
Part 2에서는 질적 연구를 설계하기 전에 필요한 핵심 아이디어를 다룬다. 연구 전체에 걸쳐 영향을 미칠 철학적 아이디어와 이론을 알아본다. 또한 윤리적 이슈를 예상하고, 자신의 연구가 기존 지식에 어떻게 기여할지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지도를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논문을 잘 쓰기 위해 이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큰 구조를 살펴본다.
Part 3에서는 질적 연구의 시작부터 마무리를 다룬다. 제목을 적고, 초록을 명료하게 구성하고, 서론을 쓰고, 연구의 목적와 연구질문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이 과정에 도움이 되는 틀을 대본의 형식으로 제공한다.
Part 4에서는 자료수집에 대해 논의하는데, 우선 가능한 자료의 종류를 알아보고 관찰과 인터뷰를 잘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한다. 또한 소외된 집단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그리고 연구자와 문화나 젠더, 인종, 사회경제적 지위 등 사회적 정체성이 다른 참여자와 독자를 고려한 글로벌 질적 연구를 하는 방법을 다룬다.
Part 5에서는 자료의 분석과 결과의 타당화라는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우선 텍스트나 이미지 자료를 코딩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보다 추상화된 테마로 이동하는 과정을 알아본다. 이 과정에서 질적 자료분석을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활용방법을 논의하고, 이어서 타당도 검토와 여러 명의 코더간 일치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Part 6에서는 쌓인 질적 연구결과를 학술적인 글로 바꾸고 질적 글쓰기의 핵심 요소를 알아보는 중요한 단계로 이동한다. 또한 연구자의 성찰이란 개념이 무엇인지, 글 속에 어떻게 기술하는지, 질적 프로젝트의 결론을 위한 글쓰기는 어떠한지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질적 연구를 학술지에 게재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추가한다.
Part 7에서는 연구의 질을 평가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내러티브 연구, 현상학, 근거이론, 문화기술지, 사례연구처럼 보다 심화된 연구 설계를 언급하면서 책을 마무리한다.
글쓰기 요소들
우리는 이 책이 독자에게 보다 실용적이고 대화적으로 다가가기 위해 몇 가지 글쓰기 요소를 고려하였다. 각 챕터는 초점을 맞출 핵심 기술을 언급한 뒤, 왜 그 기술이 중요한지를 소개하며 시작한다. 챕터는 내용을 쉽게 소화할 수 있도록 중요항목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짧게 기술하였다. 반면, 이 책은 질적 연구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거나, 철학적 아이디어를 길게 논의하거나, “하나의 접근”만을 강조하거나, 또는 연구의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이슈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다. 대신, 고려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서 독자들이 질적 연구를 할 때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원서(번역서)명/저자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91165194222
발행(출시)일자 2024년 10월 10일 (1쇄 2017년 03월 24일)
쪽수 444쪽
크기
154 * 225 * 24 mm / 639 g
총권수 1권
원서(번역서)명/저자명 30 Essential Skill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er/Creswell, John W.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10점 중 10점
/집중돼요
질적연구를 공부하면서 다양한 교재들을 접했는데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그리고 가독성이 좋은 편이라서 집중이 잘 됩니다.

문장수집 (1)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처음 몇 분 동안은, 적지 말고 조용히 관찰한다.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공간 인간
이벤트
  • 4월 단말기 북꽃축제 패키지
  • 25년 4월 북드림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