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죽음학교본

죽음교육상담전문가를 위한 죽음학교과서
가리온 · 2023년 03월 01일
0.0
10점 중 0점
(0개의 리뷰)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 죽음학교본 대표 이미지
    죽음학교본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죽음학교본 사이즈 비교 197x272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72,000 80,000
적립/혜택
4,000P

기본적립

5% 적립 4,00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4,00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4/1(화) 출고예정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인간학을 중심으로, 문화인류사회학 · 종교영성학 · 심리상담학 · 생물생리의학 ·정신분석 및 현상학 · 기호언어학 · 생명윤리철학 등 다양한 학문을 융·통섭하여 한계상황 앞에 선 인간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아갈 수 있는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 책은 ‘죽음학 고유의 방법론에 내재하는 이론 전개의 필연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필연성이 ’상실과 죽음으로 인한 고통이 어떻게 해서 수동적 객체에서 능동적 주체로의 전환에 이르게 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죽음학 고유의 방법론적 특성인 융·통섭적 사유로 고통받는 인간을 이해하고 고통을 통해 인간다움의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그 실천에 이르는 길로 우리를 안내한다.

작가정보

저자(글) 한국싸나톨로지협회

저자(글) 임병식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OMD, ND
한국싸나톨로지협회 이사장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장

저자(글) 신경원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ND
한국싸나톨로지협회 협회장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센터장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박미연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심흥식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백미화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김경숙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전효선

전효선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이석주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영락중학교 교장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이대준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한신대 휴먼케어융합대학원 죽음교육상담전공 교수

저자(글) 이예종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김천대학교 교수

저자(글) 손주완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정연희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저자(글) 박재연

국제공인 죽음교육전문가·CT, Ph.D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리플러스연구소장

저자(글) 홍성만

국제공인 죽음교육수련감독·FT, Ph.D, MD, ND
고려대 죽음교육연구센터 연구원
한국죽음교육학회 이사
오케이재활병원원장

목차

  • 목차 :
    발간 인사말
    죽음학(Thanatology) 시대를 열며
    ⏉죽음학 교본⏊, 삶과 교육 실천의 마중물
    내 삶의 나침반, 죽음학
    서문
    『죽음학 교본』을 집필하며
    죽음학 지식체계의 내적 구성
    죽음학 지식체계의 내적 구성 연구 범주에 대한 기술적 관점 고통의 지형도
    죽음학(Thanatology) 서설
    우리 시대의 죽음학 죽음과 언어 대중매체 문화속에서의 죽음 죽음을 지각하고 사
    는 삶 죽음에 대한 염려와 두려움 공포관리 죽음에 대한 교육 죽음에 대한 이해를
    돕는 요소들 자기 상실과 정신적 태도 0
    제1부 : 죽음과 죽음을 맞이함(Death and Dying)
    기본1
    죽음과 죽음을 맞이함
    Ⅰ. 죽음학의 근본 개념
    Ⅱ.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맞이함’, ‘명(命)’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맞이함
    Ⅲ. 죽음학에서 바라본 죽음의 의미
    신체-생물학적 죽음 심리-사회-관계적 죽음
    Ⅳ. 삶은 상실의 연속과정
    기본 2
    동·서철학에서 바라본 죽음과 죽음을 맞이함
    Ⅰ. 한계상황
    Ⅱ. 서양철학에서의 죽음관 이해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의 관심 소크라테스의 죽음관
    Ⅲ. 동양철학에서의 죽음관 이해
    선진 유학의 생사관 개괄 1 유학의 관점에서 보는 두 가지 죽음관
    공자의 죽음관
    Ⅳ. 삶의 완성
    심화 1
    죽음학의 역사와 이론
    Ⅰ. 죽음학의 시작
    호스피스: 죽어감에 대한 돌봄의 한 방식 Kübler-Ross의 죽음과 죽어감 예측적
    비탄(Anticipatory Grief)의 개념 진화
    Ⅱ. 죽어감에 대처하는 과업(Task) 모델과 단계(Phase) 모델
    Ⅲ. 죽어감의 대처
    심화 2
    생애발달 단계별 죽음과 죽어감
    Ⅰ. 생애발달 단계별 죽음
    유아(Infancy)와 유년(Childhood) 청소년기 성인기
    Ⅱ. 규범적인 발달
    실천1
    죽음과 선(禪)
    Ⅰ. 우리 시대의 죽음학
    Ⅱ. ‘나’라는 자아의 동일성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Ⅲ. 인지과학과 유식학
    Ⅳ. 자아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Ⅴ. 자아의 특성 : 언어 집착
    Ⅵ. 정신분석과 선 치료
    Ⅶ. 죽음학과 선불교의 공통 핵심어 : 없음(죽음)과 무(공·허)
    실천2
    『예기』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문제와 해결
    Ⅰ. 의례 ; 삶과 죽음의 시간
    Ⅱ. 선진 유학의 예(禮)의 시각에서 본 생사
    공자의 사생관 순자의 사생관
    Ⅲ. 『예기』 사생관의 특성
    사후 세계와 귀신의 실체화 경향 ‘보본반시(報本反始)’의 제도화로서 상례와 제례
    사생관의 인륜적 함의
    Ⅳ. 일상화된 애도
    실천 3
    주자 사생관에 나타난 인륜성
    Ⅰ. 우연성과 인문정신
    Ⅱ. 주희의 사생관과 인륜성
    생사의 이치를 자각하는 길 생사의 공공성 생사의 초월과 완성으로서 인륜성
    Ⅲ. 웰리빙과 인문정신
    2부 : 존엄한 임종결정(End-of-Life Decision Making)
    기본 1
    평온하고 품위 있는 임종
    Ⅰ. 죽음에 대한 다섯 가지 결정 유형
    Ⅱ. 평온하고 품위 있는 임종을 위한 준비
    Ⅲ. 임종에서 놓치기 쉬운 것들
    Ⅳ. 임종 환자가 진정으로 바라는 것들
    Ⅴ. 면역 치유력이 생기게 하는 관심과 사랑
    기본 2
    종교와 영성
    Ⅰ. 종교의 탄생 ; 떨림과 전율
    Ⅱ. 종교성과 영성
    Ⅲ. 종교성과 영성으로의 전회(轉回)
    Ⅳ. 통증과 고통, 고뇌
    대면의 지혜 통증과 고통, 고뇌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통증-고통-고뇌의 단

    Ⅴ. 이제는 말해야 한다
    심화 1
    임종 결정에 대한 역사적, 현대적 관점
    Ⅰ. 임종결정
    죽음의 인구 통계 죽어감의 원인과 패턴 돌봄의 장애
    Ⅱ. 임종 결정에 있어 다양성의 문제
    치료의 선택 전인적인 접근 죽음 불안
    Ⅲ. 획기적인 법적 소송 사건
    Ⅳ. 존엄한 임종
    심화 2
    조력자살과 안락사
    Ⅰ. 인간의 품위
    생명을 끝내는 결정: 누가 행위 하는가? 조력자살: 누가 행위 하는가? 안락사: 누
    가 행위 하는가?
    Ⅱ. 조력자살: 무엇이 의도되고 있는가?
    안락사: 무엇이 의도되고 있는가? 능동적 대 수동적 안락사 일상적 vs 비일상적
    수단
    Ⅲ. 견해와 논증
    교황 존 폴2세의 영구적인 식물상태에 있는 사람의 인공적 공급에 관한 견해 인
    간 생명을 끝내는 결정:도덕적 논증 인간 생명을 의도적으로 끝내는 것을 지지하
    는 논증들 인간 생명을 의도적으로 끝내는 것에 반대하는 논증들
    Ⅳ. 안락사, 조력자살, 그리고 사회 정책
    네덜란드에서의 안락사 관행과 법률 오리건주에서의 조력자살 법률과 관행 오리건
    주 “존엄사법‘에 대한 법적 어려움은 무엇이었나? 미래를 위한 전망
    Ⅴ. 주체의 결단
    실천 1
    ‘임종 결정’의 윤리적. 법적 문제
    Ⅰ. 무의미한 연명 처치와 대리 의사결정
    Ⅱ. 무의미한 연명치료와 이해 관계자들
    Ⅲ. 사전 의료 계획(Advance Care Planning)
    Ⅳ. 죽음의 요청과 의사 조력자살
    Ⅴ.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PAS)에 대한 권리를 둘러싼 논쟁
    실천 2
    죽어감과 돌봄의 윤리적·법적 문제
    Ⅰ. 돌봄의 윤리
    Ⅱ. 현대 생명윤리의 기초
    Ⅲ. 환자의 자기결정(Patient Self-Determination)
    Ⅳ. 1991년 환자의 자기 결정권 법안
    Ⅴ. 돌봄의 목적 재정의하기
    실천 3
    ‘영적 돌봄’에 대하여
    Ⅰ. 영적 안녕
    ‘영적(靈的)’ 단어에서 ‘적(的)’ 분석 돌봄의 의미
    Ⅱ. 돌봄의 수단
    파레시아(Parresia) 퀘렌시아(Querencia)를 통해 얻어지는 마음의 상태
    Ⅲ. 죽음교육상담전문가(Thanatologist)의 자세
    Ⅳ. 영적돌봄전문가
    제3부 : 상실·비탄·애도(Loss, Grief, and Mourning)
    기본 1
    우리가 죽음과 함께 산다는 것은
    Ⅰ. 인간다움의 가능성
    Ⅱ. ’인간다움의 회복‘을 위한 죽음학의 요청
    Ⅲ. 우리가 죽음과 함께 산다는 것은
    복괘(復卦)와 박괘(剝卦) 향벽설위(向壁設位)에서 향아설위(向我設位)로의 이행
    Ⅳ. 한계 속에서 피어나는 삶의 기술
    기본 2
    상실·비탄·애도의 이해
    Ⅰ. 한계상황의 인간 -우연히 만나는 사건
    Ⅱ. 감정과 인지 도식
    Ⅲ. 바라봄과 이해
    Ⅳ. 애도의 완성 - 상흔의 의미화
    심화 1
    상실-비탄-애도 이론의 역사
    Ⅰ. 애도론
    용어 설명 분리로서의 애도(Mourning as Detachment) 격렬한 비탄(Acute
    Grief)
    Ⅱ. 애착 이론과 비탄의 단계
    애도에서의 과업들 애도의 6개의 ‘R’ 과정 이중과정모델(Dual Process Model)
    Ⅲ. 의미화(Meaning Making)
    지속적인 유대(Continuing Bonds) 회복력(회복 탄력성, Resilience) 예측적 비탄
    (Anticipatory Grief)과 애도
    Ⅳ. 권리박탈적(Disfranchised) 비탄과 애도
    Ⅴ. 비탄 방식(Grieving Styles)
    Ⅵ. 지속적 비탄 장애(Prolonged Grief Disorder)
    Ⅶ. 새로운 변화
    심화 2
    생애 발달 단계와 상실, 비탄, 애도 - 아동기·청소년기
    Ⅰ. 아동기·청소년기 비탄과 애도
    비탄의 공통적인 표현 죽음의 개념에 대한 이해
    Ⅱ. 사별에 따른 아동기 청소년기 발달 과업 수행
    대처 전략과 지원의 필요성 재비탄(Regrief) 현상
    Ⅲ. 발달적 렌즈
    심화 3
    생애발달 단계와 상실, 비탄, 애도 - 성인기
    Ⅰ. 성인기 비탄과 애도
    틀(Schema) 1 : 사별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 틀(Schema) 2 : 성인들이 보고하는
    사별 궤적의 리듬 사별 궤적(Bereavement Trajectories) 사별 단계(Bereavement
    Phases) 틀(Schema) 3 : 생애 발달 단계 개념 틀(Schema) 4 : 인지 기반적 대처
    모델(Cognitive-Based Coping Models)
    Ⅱ. 성인들이 슬퍼하는 죽음의 영향
    나이 든 부모(Elderly Parent)의 죽음 자녀의 죽음 배우자의 죽음
    Ⅲ. 새로운 변화
    실천 1
    우연성과 불확실성이 ‘의미화된 삶’으로
    Ⅰ. 유한성과 한계상황
    Ⅱ. 우연성과 불확실성이 필연적이고 의미적 삶으로
    Ⅲ. 상흔에서 성흔으로
    Ⅳ. 치유 : 이해와 의미화
    Ⅴ. 상실이 있는 곳이 성지이다
    실천 2
    고통의 의미화 실천
    Ⅰ. 세상의 중심-고통
    Ⅱ. 고통은 언어처럼 구조화되어 있다
    Ⅲ. 고통의 심적 기제
    Ⅳ. 고통의 의미화와 지향성
    Ⅴ. 고통의 의미화 실천
    재귀적 (轉回) ‘무의식의 의식화’ 실천
    Ⅵ. 실존적 만남 ; 현존
    제4부 : 외상적 죽음과 대처(Traumatic Death and Coping)
    기본 1
    상처를 받는다는 것이 왜 인간다움의 가능성인가
    Ⅰ. 상처에 대처하는 우리의 태도
    Ⅱ. 상처와 대면하는 힘
    Ⅲ. 죄책감과 수치심
    Ⅳ. 타자의 언어가 중지된 곳
    Ⅴ. 정신분석의 지향성
    Ⅵ. 주체의 탄생
    기본 2
    감정과 외상
    Ⅰ. 외상 메커니즘의 작동방식
    Ⅱ. 억압과 언어 표상
    Ⅲ. 말을 한다는 것
    Ⅳ. 외상치료의 메커니즘
    Ⅴ. 인지와 의미치료
    심화 1
    자살 담론
    Ⅰ. 자살은 증상이다
    Ⅱ. 자살의 정의와 해석
    Ⅲ. 자살자는 자살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Ⅳ. 자극과 반응의 사이
    Ⅴ. 자살론의 새로운 해석과 관점 : 이해심리학
    Ⅵ. 본래적 ‘자기’로 돌아감
    심화 2
    가족, 사회 시스템과 외상적 죽음
    Ⅰ. 외상적 죽음에 대한 가족 시스템의 영향
    외상적 상실과 화해하기 위한 가족 시스템의 접근 아이들과 가족들을 위한 외상에
    초점을 맞춘 치료
    Ⅱ. 대규모 외상과 죽음 - 상상할 수조차 없는 일이 일어났을 때
    생존자들이 직면하는 문제 구조대원들이 직면하는 문제 상담자가 직면하는 문제
    실천 1
    외상적 죽음에 대한 윤리적, 법적 문제들
    Ⅰ. 외상과 비탄
    Ⅱ. 정의들
    상실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기준 ㆍ 427 병리적 비탄
    Ⅲ. 법적 문제들
    Ⅳ. 진단 문제
    Ⅴ. 윤리적 개입의 문제
    Ⅵ. 어린이들에 대한 개입
    Ⅶ. 다른 윤리적 고찰
    희생자/생존자의 권리 ㆍ 435 연구에 관련된 문제
    Ⅷ. 다시 쓰는 윤리
    실천 2
    인지 체계 개선을 통한 외상치료
    Ⅰ. 외상과 기질·성품
    Ⅱ. ‘기질’은 변화될 수 있는가?
    자기상(自己像)의 확립 자기 자각의 증진 자기통제와 의지력의 강화 인지 체계의
    개선 신체 훈련을 통한 발산과 배출
    Ⅲ. 훈련과 반복
    제5부 : 평가와 개입(Assessment and Intervention)
    기본 1
    비탄의 종류 및 평가와 개입
    Ⅰ. 평가와 개입
    Ⅱ. 비탄의 해석
    Ⅲ. 비탄의 종류
    예측적 비탄 격렬한 비탄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비탄·복합 비탄 박탈적 비탄
    Ⅳ. 평가와 개입
    성찰과 점검 평가와 개입’의 목적 분석가의 평가: 죽음학의 지식 체계적 관찰
    Ⅴ. 죽음교육상담전문가의 개입 실천
    기본 2
    상흔에 깃든 기억 관찰해보기 : 애도 작업
    Ⅰ. 상실에서 비롯되는 상처
    Ⅱ. 상흔과 상처
    Ⅲ. 상흔 : 자신을 돌아 볼 수 있는 힘
    반복 ㆍ 466 시각 충동
    Ⅳ. 도대체 나의 마음은 어떻게 작동되는 것인가?
    Ⅴ. 상처받은 마음, 어떻게 별의 문자로 만들 수 있는가?
    Ⅵ. 상처-기억흔적의 능력
    심화 1
    평가와 개입에 대한 역사적, 현대적 관점
    Ⅰ. 평가와 개입 이론의 역사
    Ⅱ. 정상적 그리고 복합적 비탄의 근본 개념들
    Ⅲ. 전통적인 비탄 작업 모델에 대한 최근의 도전
    Ⅳ. 비탄의 평가에 대한 현대적 관점
    복합비탄: 증상과 진단 ㆍ 복합비탄의 위험 요인 비탄 증상의 자기 보고식 측정법
    (Self-Report Measures)
    Ⅴ. 사별 반응의 임상적 평가
    Ⅵ. 사별을 위한 개입: 개입의 유형들
    Ⅶ. 비탄치료 기법(Techniques of Grief Therapy)
    Ⅷ. 비탄 치료에 있어서 증거 기반의 실천(Evidence-Based Practice)
    복합비탄 치료(Complicated Grief Therapy, CGT) 인지 행동 치료(Cogntive
    Behavior Therapy, CBT) 의미 형성 접근법(Meaning-Making Approaches) 가
    족 중심의 비탄 치료(Family-Focused Grief Therapy, FFGT) ㆍ 494 가족사별
    프로그램(Family Berea vement Program, FBP)
    심화 2
    생애 단계별 평가와 개입의 기술
    Ⅰ. 평가와 개입의 기술
    Ⅱ. 평가
    아동기의 문제들 소년기의 문제들 기와 중기 성인기의 문제들 년기의 문제들
    Ⅲ. 개입
    죽음 교육 사별 지원 개인, 그룹 또는 가족 사별 상담
    Ⅳ. 전문 돌봄 제공자(Professional Caregiver)의 문제
    실천 1
    가족과 사회구조의 평가와 개입
    Ⅰ. 가족과 사회구조의 평가와 개입
    Ⅱ. 가족과 사회구조에 대한 평가와 치료에 있어 일반적 고려사항
    Ⅲ. 가족과 사회구조의 비탄 평가와 치료를 인도하는 이론들
    Ⅳ. 필요에 대한 평가
    Ⅴ. 가족 개입
    효과적으로 판명된 프로그램들 사회구조의 개입
    Ⅵ. 효과적인 평가와 개입
    실천 2
    평가와 개입의 기술
    Ⅰ. 감정치료의 직접성 ; 눈물은 눈물로
    Ⅱ. 상흔을 치유하는 문법
    Ⅲ. 사건의 이해
    우연성과 불확실성 감정의 균형
    Ⅳ. 개입의 목표
    자기 관찰 자기 이해 자신을 드러냄
    Ⅴ. 직면과 대면의 기술
    합리적 이해 자각과 알아차림
    Ⅵ. 실존 분석
    임상 실천 분석을 위한 질문 ㆍ 524 표현하기
    실천 3
    문화사회화의 평가와 개입의 실천
    Ⅰ. 문화사회화 관점의 접근
    죽음교육상담전문가 자신에 대한 한계와 점검 화, 사회, 생애발달별 비탄과 애도
    생태계(현상적 문화·사회·종교·복지학적 상황)적 이해
    Ⅱ. 죽음학 실천의 문화적 복합성
    실천을 위한 생태계적 접근법 죽음교육상담전문가의 임상-실천
    Ⅲ. 문화, 사회화 그리고 인간의 발달
    Ⅳ. 문화적으로 역량 있는 실천 모델들
    Ⅴ. 죽음학에서 문화적으로 유의미한 치료: 문헌 검토
    Ⅵ. 죽음학 실천의 어려움
    제6부 : 죽음교육(Death Education)
    기본 1
    죽음학과 죽음교육
    Ⅰ. 교육은 치료이다
    Ⅱ. 죽음학과 죽음교육
    Ⅲ. 죽음학의 체계와 죽음교육의 구성
    Ⅳ. 생애발달단계
    생애발달단계 발달단계별 특성 단계별 교육
    Ⅴ. 죽음교육상담전문가의 기본지침
    Ⅵ. 죽음교육상담전문가의 다른 이들에 대한 책임
    Ⅶ. 죽음교육 담당교사로서의 전문역량 강화에 대한 의무
    기본 2
    올바른 죽음교육을 위한 죽음교육상담전문가의 역할
    Ⅰ. 왜 죽음교육인가?
    Ⅱ. 죽음교육은 우리 사회에 무엇을 제공하는가?
    Ⅲ. 죽음교육은 한 개인의 가치관과 주체성을 정립시킬 수 있는가?
    Ⅳ.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Ⅴ. 왜 교사가 죽음교육상담전문가가 되어야 하나?
    심화 1
    죽음교육에 대한 역사적, 현재적 관점
    Ⅰ. 죽음교육의 역사와 현재
    Ⅱ. 죽음교육의 정의와 명료화
    Ⅲ. 교육학과 죽음교육
    융·통섭 학문으로서의 죽음교육 죽음교육의 ‘새로운’ 교수법 죽음교육에 관한 현재
    의 문제와 미래의 관심 영역
    Ⅳ. 보편적 지식체계로서의 죽음교육
    심화 2
    생애발달단계별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교육
    Ⅰ. 생애발달단계별 죽음교육
    Ⅱ. 발달심리학적 인간 발달 단계
    전 생애발달 관점이란? 인간 발달 단계와 주요 발달 내용
    Ⅲ. 생애 발달 주기별 죽음 이해와 특징
    아동 발달 단계의 죽음 이해와 특징 청년 발달 단계의 죽음 이해와 특징 성인 발
    달 단계의 죽음 이해와 특징
    Ⅳ. 생애 발달 주기별 죽음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
    죽음교육의 필요성 및 목표 아동 발달 단계의 죽음교육 목적과 환경 조성 청년 발
    달 단계의 죽음교육 필요성 및 목표 성인 발달 단계의 죽음교육 필요성 및 목표
    Ⅴ. 가치관과 세계관의 변화
    심화 3
    죽음교육지침 및 윤리강령
    Ⅰ. ‘죽음학에 대한 교육’과 ‘죽음에 대한 교육’의 지향성
    Ⅱ. ‘죽음교육’과 ‘죽음교육교과서’의 정의와 범주, 의미에 대해 숙고
    Ⅲ. 죽음에 대한 교육
    Ⅳ. 죽음교육의 구성과 내용
    죽음교육의 구성 ㆍ 598 죽음교육의 내용
    Ⅴ. 죽음교육의 방향과 보완해야 할 부분
    심화 4
    말하기와 글쓰기 훈련
    Ⅰ. 상처난 마음, 자기만의 인지문법으로 표현해보기
    Ⅱ. 감정과 인지
    Ⅲ. 인지도식
    Ⅳ. 말을 한다는 것
    Ⅴ. 실존정신언어분석
    실천 1
    죽음교육 방법론 및 교안 작성에 대하여
    Ⅰ. 죽음교육 방법론
    Ⅱ. 살펴보기 ㆍ 619
    Ⅲ. 죽음교육 교안 작성 시 유의할 점
    교안 작성의 지향성 기술의 공통 관점과 필수 요목 명사 용법을 형용사나 동사로
    기술 죽음을 주어로 사용하는 것을 지양
    Ⅳ. 교안 작성의 관점
    관찰자 시점으로 객관화하고 대상화한다 : 죽음학의 지식 체계적 관찰 교안 작성
    및 강의 방향 내담자 중심의 기술 : 상실과 죽음을 맞이한 ‘실존적 주체’의 입장이
    되어 교과 내용 구성 교안 작성 및 강의 내용
    실천 2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Ⅰ. 개발 프로그램명
    II. 프로그램 개발 배경 및 필요성
    개발배경 필요성 싸나톨로지 주체에서 다루는 영역 프로그램 목표 실천방법 역량
    강화의 개념과 의의 프로그램 구성 강의 진행방식(코칭 교수법)
    Ⅲ. 주체성 회복
    실천 3
    하브루타 학습법을 이용한 생명 존중 교육지도안 짜기
    Ⅰ. 21세기 학습자의 글로벌 역량
    Ⅱ. 하브루타 학습법과 죽음교육
    Ⅲ. 단계별 지도안 작성하기
    실천 4
    인지·공감 능력 배양론
    Ⅰ. 감정능력
    Ⅱ. 감정에서의 인지(思)
    Ⅲ. 출척지심(怵惕之心)과 시비지심(是非之心)
    Ⅳ. 인지와 감정의 관계
    Ⅴ. 중절(中節)을 위한 자각(知)과 사유(思)의 작용
    Ⅵ. 자각(知)과 사려(思)의 공사(公私)
    Ⅶ. 공감 능력 배양
    Ⅷ. 인지능력 배양
    제 7부 : 죽음학-임상-실천
    (Thanatology-Experiential-Praxis)
    기본 1
    자연감정과 인지감정
    Ⅰ. 감정의 기능
    Ⅱ. 자연감정과 인지감정
    Ⅲ. 자연감정에서 인지감정으로의 이행
    Ⅳ. 감정치료의 방향
    Ⅴ. 인지도식의 변화 : 자연감정에서 인지감정으로
    Ⅵ. 감정치료의 목표 : 실존적 승화
    기본 2
    의미화 작업
    Ⅰ. 의미화 작업의 목표
    Ⅱ. 우리의 상흔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Ⅲ. 자신을 돌아 볼 수 있는 힘 : 기억과 반복
    Ⅳ. 고통의 의미화
    인지 : 생각함과 사유의 패턴 감각과 인지 자극과 반응 심리 장치의 작동방식(쾌·
    불쾌) 고통의 형성 반복과 재현
    Ⅴ. 고통의 의미화 실천
    실존정신언어분석 관점의 변화 말하기와 글쓰기
    심화 1
    자기평가의 감정: 수치와 죄책감
    Ⅰ. 내 안의 타자
    Ⅱ. 셸러의 수치론
    수치와 수치 감정 수치심의 기능들
    Ⅲ. 윌리엄스의 수치 이론
    문화인류학에서의 수치 윌리엄스의 작업 아이도스와 네메시스의 대립 쌍을 통해
    살펴본 고대 그리스인의 수치 정서 ‘자기중심적’이라는 문제 ‘타율’의 문제 수치와
    죄 정서의 내적 작동 ‘자력전개’(Bootstrappping) 과정을 실제 경험적 차원에서
    입증하는 문제
    Ⅳ. 테일러의 수치론 : 자기평가의 감정(Emotions of Self-assessment)으로서의
    수치
    Ⅴ. 수치와 죄 감정의 관계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죄책감(죄의식) 무의식적 죄책감과 초자아 에로스와 죽음충
    동 자유의 가능성: 죄책감
    심화 2
    인지 도식과 감정발현
    Ⅰ. 인지도식과 지향성
    Ⅱ. 인지도식과 시간 의식
    Ⅲ. 인지도식의 구조 : 억압과 방어
    Ⅳ. 감정발현의 실재
    Ⅴ. 분석과 해석
    Ⅵ. 다양한 심리적 국면
    심화 3
    분석기법 : 차이와 다름
    Ⅰ. 내담자의 ‘존재 강화’의 문제
    Ⅱ. 차이와 다름
    Ⅲ. 자기-동일성 : ‘범주 계열화’ 착오의 오류
    Ⅳ. 분석의 기술 : 내담자 입장의 평가
    실천 1
    비탄의 직면과 대면
    Ⅰ. 관찰
    Ⅱ. 고통의 구조
    Ⅲ. 직면의 기술
    Ⅳ. 대면의 기술
    Ⅴ. 대처의 기술
    Ⅵ. 주체의 탄생
    실천 2
    자각과 알아차림
    Ⅰ. 두 가지 심리작용
    Ⅱ. 전경과 배경의 두 요소 : 이완과 긴장
    Ⅲ. 게슈탈트 심적 전환
    Ⅳ. 왜 우리의 마음은 증상을 만들까?
    Ⅴ. 심적 기제 작동 살펴보기
    자기 욕구 충족으로서의 심리 주기(circle) 심리 주기에서 나타나는 역기능
    Ⅵ. 자각과 알아차림의 연습
    실천 3
    화해와 용서의 실천
    Ⅰ. ‘인간다움’의 가능성
    Ⅱ. 화해와 용서
    화해와 용서 화해와 용서의 관계 상흔의 의미화
    Ⅲ. 공백과 실천
    공백 ㆍ 816 공백이 지닌 의미의 실천
    Ⅳ. 비움의 기술 ; 죽음
    제 8부 :죽음학 지식체계를 위한 정보
    (The Information for Fundamental Knowledge of Thanatology)
    벨몬트 보고서(The Belmont Report)
    참고문헌
    색인

출판사 서평

국내·외 처음으로 출간한 『죽음학 교본』 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그 내용을 구성
기술하였다.
- 죽음학을 중심에 두고 그 전사(前史)와 영향 관계를 포함하여 죽음학 및 죽음교
육 운동을 폭넓게 해석하고 바라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한다.
- 죽음학을 어떤 특정 학문에 국한하지 않고 인간학을 중심으로 문화인류·사회학,
종교·영성학, 심리·상담학, 생물·생리·의학, 정신분석 및 현상학, 기호-언어학, 생명
윤리·철학 등 다양한 학문과 융·통섭시킴으로써, 한계상황 앞에 선 인간이 자신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제시한다.
- 죽음학과 죽음교육 연구자에게 죽음학의 기본 개념들과 텍스트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편람이 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초학자에게는 죽음학의 전모를 살펴 그
범위 전체를 알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죽음학의 내적 깊이에 발을 들여놓을 수 있
는 실마리가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주요 저작 이론과 참고자료, 목록 외
에 각주에서 그 이론을 부연 설명한다.
- 집필진은 ‘죽음학 고유의 방법론에 내재하는 필연성’이 무엇인가? 그리고 그 필
연성이 “죽음학의 다양한 내적 연관 이론과 일치하는가” 그 일치가 “상실과 죽음
으로 인한 고통이 수동적 객체에서 능동적 주체로의 전환에 이르게 하는가”에 대
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죽음학 고유의 특성인 융 · 통섭적 사유로, 고
통받는 인간을 이해하고 고통을 통해 인간의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이론이 무
엇인지를 탐색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
『죽음학 교본』은 인간학을 중심으로, 문화인류사회학 · 종교영성학 · 심리상담학 ·
생물생리의학 · 정신분석 및 현상학 · 기호언어학 · 생명윤리철학 등 다양한 학문
을 융·통섭하여 한계상황 앞에 선 인간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아갈 수 있는
다양한 관점과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이 책은 ‘죽음학 고유의 방법론에 내재하는
이론 전개의 필연성은 무엇인가?’ 그리고 그 필연성이 ’상실과 죽음으로 인한 고
통이 어떻게 해서 수동적 객체에서 능동적 주체로의 전환에 이르게 하는가?’에 대
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죽음학 고유의 방법론적 특성인 융·통섭적
사유로 고통받는 인간을 이해하고 고통을 통해 인간다움의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
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그 실천에 이르는 길로 우리를 안내한다.
이 책은 전체 8부로 구성되어 있다. 지금까지 죽음학 또는 죽음교육, 웰다잉, 호
스피스학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책이 국내에 출판되었지만, 죽음학(Thanatology)
이라는 학문에 근거를 두고 융·통섭적으로 회통해서 죽음학을 전공으로 한 학자에
의해 기술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본 교본은 국제공인 죽음학자에 의해 죽음학
이 지닌 본래의 중심개념과 지향성에 구심성을 두고 이론과 실천영역을 모두 아울
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또 죽음학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죽음학 지식체계〉 내에 녹임으로써 본격적으로 보편적 학문으로서의 죽음학 시대
가 국내에서 현시하게 되었다.
이후 이들 집필진으로부터 발간하게 될 『죽음학 사전』과 생애발달 단계별 『죽음교
육교과서』는 공교육체계에서 죽음학 이론과 실천이 접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
게 되었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80120888
발행(출시)일자 2023년 03월 01일
쪽수 864쪽
크기
197 * 272 mm
총권수 1권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10점 중 0점
10점 중 10점
0%
10점 중 7.5점
0%
10점 중 5점
0%
10점 중 2.5점
0%

평가된 감성태그가
없습니다

0%

집중돼요

0%

도움돼요

0%

쉬웠어요

0%

최고예요

0%

추천해요

Klover리뷰를 작성해 보세요.

문장수집 (0)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이 책의 첫 기록을 남겨주세요.

교환/반품/품절 안내

  • 반품/교환방법

    마이룸 > 주문관리 > 주문/배송내역 > 주문조회 > 반품/교환 신청, [1:1 상담 > 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변심반품의 경우 수령 후 7일 이내,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변심 혹은 구매착오로 인한 반품/교환은 반송료 고객 부담
  • 반품/교환 불가 사유

    1)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로 상품 등이 손실 또는 훼손된 경우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공급사(출판사) 재고 사정에 의해 품절/지연될 수 있으며, 품절 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이메일과 문자로 안내드리겠습니다.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1) 상품의 불량에 의한 교환, A/S, 환불, 품질보증 및 피해보상 등에 관한 사항은 소비자분쟁 해결 기준 (공정거래위원회 고시)에 준하여 처리됨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