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은희, 한국춤의 긴 여정
없습니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패키지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40여 년의 무용 여정을 담다
작가정보
한국 창작춤의 텃밭을 일군 대표적 춤꾼인 최은희는 1955년 인천 출생으로 이화여대와 동 교육대학원에서 한국무용을 전공하였다. 이어 국립국악원(1978)과 정신문화연구원(1980~1982)에서 궁중무용과 무속무용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실기를 겸비하여 왔고, 이 기간 동안 고 김천흥, 고 한영숙, 고 이매방, 고 김병섭(농악), 김매자님께 사사했다. 그 후 부산으로 이주하여 부산과 경남의 무속과 민속춤에 많은 연구를 했으며, 이러한 경력은 여러 작품에서 나타나듯 한국의 토속적인 제 의식들이 작품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경성대학교 교수로 재임한 이후에는 후진 양성에 힘쓰는 한편 지역문화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부산여름무용축제’를 개최하여 20년 동안 무용전문 축제를 운영하였다. 아울러 1985년에는 부산 최초의 민간단체인 ‘춤패 배김새’를 창단하여 지역에 있는 우리춤 언어를 찾고자, 새로운 창작 기법을 모색하는 과정 속에서 36여 년 동안 한국창작무용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목차
- Ⅰ. 머리글 Foreword
최은희 약력 Profile of Eun-Hee Choi
Ⅱ. 공연 활동 화보 Pictorial Record of Performance Activities
1 . 창작 작품 Creative Works
1978 ~ 80년대 1980s
1990년대 1990s
2000~2020년대 2000s
2 . 춤패 배김새 Baegimsae Dance Troupe
3 . 전통춤 Traditional Korean Dance
4 . 야외공연 Outdoor Performance
Ⅲ. 최은희 춤의 흐름과 예술세계 The Tendency and World of Dance of Eun-Hee Choi
1 . 작품 분석과 해석을 위한 평론가 채희완과 안무자 최은희의 대담
A Talk fo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Works by Aesthetic Critic Hee Wan Chae and Choreographer Eun-Hee Choi
2 . 부산춤의 새 창작 작업과 확산에 기여 -춤 비평 김태원
Great Contributions to the New Creative Work and Diffusion of Dance in Busan -Dance Critic Tae Won Kim
3 . 대표작품 목록, 연보 List of Representative Works
연보 세부사항 (초연을 중심으로) Chronology of Premiere Showing
4 . 작품 공연평 Performance Reviews
Ⅳ. 최은희의 글, 평, 대담, 세미나, 인터뷰, 신문기사
Writings, Reviews, Talks, Seminars, Interviews, and Articles by Eun-Hee Choi
Ⅴ. 공연 연보 Chronology of Performance
1 . 전체공연 연보 Chronology of All Performances
2 . 개인공연 Special Dance Concert of Eun-Hee Choi
3 . 시립무용단 City Dance Company
부산시립무용단 Dance Concert of Busan Metro Dance Company
울산시립무용단 Dance Concert of Ulsan Metro Dance Company
4 . 기획초청공연 Dance Concert Festival
한국무용제전 Korean Dance Festival
부산여름무용축제 Busan Summer Dance Festival
대학무용제 University Dance Festival
5 . 국내 기타 Others in Korea
6 . 춤패 배김새 Baegimsae Dance Troupe
7 . 해외공연 Overseas Performances
국외 Abroad
대마도, 시모노세키 Anrang Festival of Tsushima,Shimonoseki
Ⅵ. 최은희 연보 Chronology of Eun-Hee Choi
기념사진(무용협회장, 문화상수상및 심포지엄, 공연후 여러모습들, 제자들과 함께)
Ⅶ. 부록 (공연포스터 및 팸플릿모음) Appendix: Poster and Pamphlet
책 속으로
p.6 나는 무엇으로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하는 질문, 즉 삶의 불확실성을 춤을 통하여 밝히기 위해 우리 고유의 몸짓인 굿판, 탈판, 마당놀이판과 전통춤을 전수받아 춤 세계를 넘나들었습니다. 삶에 대한 철저한 해석을 바탕으로, 인간과 사물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갖고, 그리고 순간순간의 느낌에 충실한 인간의 순수한 감성을 춤을 통해 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것이 내가 추구한 춤의 목표였습니다. 콘서트장과 전시장, 서점과 음악상점을 자주 방문하여 고유한 나의 춤 세계와 만나기를 바라면서 항상 탐색하였습니다.
p.272 현대인의 방황, 번민, 좌절 등을 무속의례의 형식을 빌려와 풀어내면서 존재와 삶의 의미를 되묻고, 새로운 삶의 활력을 추구했는가 하면 생존 경쟁과 대립적 관계에서 끝없는 외로움과 소외감을 느끼는 현대인의 고뇌를 표현주의적 경향으로 풀어낸 작품들, 표현수단으로서 현대적 시각을 강조하거나 전통춤 기법을 바탕으로 재창조한 작품들이 내 창작춤의 골격을 이뤘다.
p. 278 춤꾼들은 자신의 신체를 수련하듯 꾸준히 반복되는 고행으로 춤을 무대에 울린다. 춤꾼들의 환상에 세계가 무대에서 봄날의 꽃봉오리처럼 피어나는 것이다. 현대인이여! 몸의 언어로 전해지는 춤꾼들의 몸짓을 보라. 무언에서 감동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서평
춤은 온몸으로 하는 언어
동작에 인간과 사회에 대한 시선을 녹이다
음악이나 미술 같은 여타의 예술과 달리 동작으로 표현되는 춤은 그 기록을 남기는 것이 쉽지 않다. 최은희 무용가는 그간의 춤과 관련한 자신의 기록을 한데 모아 아카이빙하였다. 부산 창작춤의 기틀을 닦아온 최은희 무용가의 자료는 한국춤을 계승하는 무용가 한 사람의 자료를 넘어 한국, 그리고 부산이라는 지역의 춤에 관한 역사적 자료라 할 수 있다.
나는 무엇으로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하는 질문, 즉 삶의 불확실성을 춤을 통하여 밝히기 위해 우리 고유의 몸짓인 굿판, 탈판, 마당놀이판과 전통춤을 전수받아 춤 세계를 넘나들었습니다. 삶에 대한 철저한 해석을 바탕으로, 인간과 사물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갖고, 그리고 순간순간의 느낌에 충실한 인간의 순수한 감성을 춤을 통해 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이것이 내가 추구한 춤의 목표였습니다. 콘서트장과 전시장, 서점과 음악상점을 자주 방문하여 고유한 나의 춤 세계와 만나기를 바라면서 항상 탐색하였습니다. _〈머리말〉 중에서
최은희 무용가는 춤을 ‘온몸으로 하는 언어’라고 말하며, 춤을 통해 자기 내면으로 파고든다. 그는 고 김천흥, 고 한영숙, 고 이매방, 고 김병섭(농악), 김매자 등의 무용가에게 여러 무용을 사사하였다. 이후 최은희는 자신이 익힌 전통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춤을 만들어나간다. 그에게 춤은 삶에 대한 감정의 표현이었기에 언제나 인간과 세계에 대한 해석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또한 춤 속에 당대 사회의 인식을 드러내고, 역사의식을 역동적으로 표현하며 현실 참여 예술에 임한다.
최은희, 부산의 지역 무용을 계승하고 전하다
문화의 응집력을 구축하기에는 어느 도시보다도 배타적이지 않는 부산, 춤꾼들 역시 건강한 문화적 자긍심을 갖고 정열과 끼(?)가 충만되어 있어 구체적 전략의 문화예술행정과 토양만 형성된다면 부산 춤계의 위상과 전망은 무한대로 열려 있음을 확인한다. _267쪽
부산으로 이주하여 경성대학교 교수로 재임한 이후 최은희는 부산무용의 중요성과 우수성을 인지하고 그 가능성을 엿본다. 이에 학생들에게 부산의 무용을 전하고 이어가기 위해 학생들과 함께 부대끼며 함께 부산무용을 알아간다. 계속해서 새로운 부산무용의 장을 열어가며 후임 양성에 힘쓴 그는 경성대학교 퇴임과 함께 자신의 지난 춤 인생의 1부를 정리한다. 지금부터 다시 쌓아갈 2부는 또다시 그 자료를 더해가며 한국 창작춤의 역사를 다져갈 것이다.
기본정보
ISBN | 9791168611320 |
---|---|
발행(출시)일자 | 2023년 03월 07일 |
쪽수 | 504쪽 |
크기 |
271 * 311
* 52
mm
/ 3483 g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