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정보
저자 류미정(松峴 柳美禎 / 송현 류미정)은 한학자이신 외조부 댁의 한옥 대청마루에 감돌던 한자의 향기가 기억에 가물가물. 김제평야의 하늘과 땅이 일망무제로 그려준 지평선에서 생애 첫 한자인 ‘한일자’를 배우다. 대학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하고, 졸업 후 타이완으로 중국어 연수를 다녀와 학원 강사로 일했다. 1999년 처음 붓을 잡았고, 2000년 관촌 박태평 선생님께 사사하였다. 2001~2003년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에서 서예문화학 석사 취득. 2002년 행원 윤경혁 선생님의 ‘만시당’(현,국어고전문화원)에서 사서삼경을 배우며 《설문해자》를 처음 만나 운명처럼 빠져들다. 같은 해부터 인사동의 성재 황방연 선생님 서실에 13년째 발자국을 찍고 있다. 2010년부터 《전설의 한자》 집필, 동영상 강의 사이트 제작. 2012년 서울 종로구 서촌에 ‘갤러리 글’을 열다.
수상
《대한민국 미술대전》 서예부문 특선(2015)
《월간서예》 주최 《대한민국 서예대전》 우수상
《전라북도 서예대전》 대상
목차
- 제1편-1 첫 번째 마을('一'에 관한 이야기)....17
제1편-2 두 번째 마을(식물에 관한 이야기 1)....24
제2편-1 세 번째 마을(‘八’에 관한 이야기)....29
제2편-2 네 번째 마을(동물에 관한 이야기 1)....33
제2편-3 다섯 번째 마을(입에 관한 이야기 1)....36
제2편-4 여섯 번째 마을(발의 형태에 관한 이야기 1)....39
제2편-5 일곱 번째 마을(발의 형태에 관한 이야기 2)....44
제2편-6 여덟 번째 마을(발의 형태에 관한 이야기 3)....48
제3편-1 아홉 번째 마을(입에 관한 이야기 2)....52
제3편-2 열 번째 마을(입에 관한 이야기 3)....58
제3편-3 열한 번째 마을(손에 관한 이야기 1)....64
제3편-4 열두 번째 마을(손에 관한 이야기 2)....69
제3편-5 열세 번째 마을(손에 관한 이야기 3)....73
제3편-6 열네 번째 마을(손에 관한 이야기 4)....78
제3편-7 열다섯 번째 마을(점에 관한 이야기)....86
제4편-1 열여섯 번째 마을(눈과 코에 관한 이야기)....90
제4편-2 열일곱 번째 마을(새에 관한 이야기 1)....97
제4편-3 열여덟 번째 마을(새에 관한 이야기 2)....102
제4편-4 열아홉 번째 마을(몸의 구성에 관한 이야기 1)....107
제4편-5 스무 번째 마을(몸의 구성에 관한 이야기 2)....111
제4편-6 스물한 번째 마을(도구에 관한 이야기 1)....118
제5편-1 스물두 번째 마을(도구에 관한 이야기 2)....123
제5편-2 스물세 번째 마을(입에 관한 이야기 4)....128
제5편-3 스물네 번째 마을(입에 관한 이야기 5)....131
제5편-4 스물다섯 번째 마을(도구에 관한 이야기 3)....135
제5편-5 스물여섯 번째 마을(도구에 관한 이야기 4)....139
제5편-6 스물일곱 번째 마을(丹靑(단청)에 관한 이야기)....144
제5편-7 스물여덟 번째 마을(건물에 관한 이야기 1)....147
제5편-8 스물아홉 번째 마을(건물에 관한 이야기 2)....152
제5편-9 서른 번째 마을(곡식에 관한 이야기 1)....160
제5편-10 서른한 번째 마을(발의 형태에 관한 이야기 4)....162
제6편-1 서른두 번째 마을(나무에 관한 이야기 1)....167
제6편-2 서른세 번째 마을(나무에 관한 이야기 2)....170
제6편-3 서른네 번째 마을(나무에 관한 이야기 3)....174
제6편-4 서른다섯 번째 마을(나무에 관한 이야기 4)....176
제6편-5 서른여섯 번째 마을(‘에워싸는 것’에 관한 이야기)....178
제7편-1 서른일곱 번째 마을(천문에 관한 이야기 1)....183
제7편-2 서른여덟 번째 마을(천문에 관한 이야기 2)....188
제7편-3 서른아홉 번째 마을(나무에 관한 이야기 5)....191
제7편-4 마흔 번째 마을(나무에 관한 이야기 6)....195
제7편-5 마흔한 번째 마을(곡식에 관한 이야기 2)....198
제7편-6 마흔두 번째 마을(식물에 관한 이야기 2)....204
제7편-7 마흔세 번째 마을(집에 관한 이야기)....207
제7편-8 마흔네 번째 마을(‘덮는 것’에 관한 이야기)....213
제7편-9 마흔다섯 번째 마을(천에 관한 이야기)....218
제8편-1 마흔여섯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1)....222
제8편-2 마흔일곱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2)....227
제8편-3 마흔여덟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3)....231
제8편-4 마흔아홉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4)....235
제8편-5 쉰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5)....241
제8편-6 쉰한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6)....247
제9편-1 쉰두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7)....250
제9편-2 쉰세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8)....253
제9편-3 쉰네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9)....257
제9편-4 쉰다섯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10)....261
제9편-5 쉰여섯 번째 마을(자연에 관한 이야기)....267
제9편-6 쉰일곱 번째 마을(‘늘어진 것’에 관한 이야기)....275
제9편-7 쉰여덟 번째 마을(동물에 관한 이야기 2)....277
제10편-1 쉰아홉 번째 마을(동물에 관한 이야기 3)....282
제10편-2 예순 번째 마을(동물에 관한 이야기 4)....288
제10편-3 예순한 번째 마을(불에 관한 이야기)....291
제10편-4 예순두 번째 마을(사람의 동작에 관한 이야기 1)....296
제10편-5 예순세 번째 마을(사람의 동작에 관한 이야기 2)....301
제10편-6 예순네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11)....307
제11편-1 예순다섯 번째 마을(물에 관한 이야기 1)....311
제11편-2 예순여섯 번째 마을(물에 관한 이야기 2)....315
제11편-3 예순일곱 번째 마을(새에 관한 이야기 1)....320
제12편-1 예순여덟 번째 마을(새에 관한 이야기 2)....324
제12편-2 예순아홉 번째 마을(사람에 관한 이야기 12)....328
제12편-3 일흔 번째 마을(‘흘러내리는 것’에 관한 이야기)....337
제12편-4 일흔한 번째 마을(무기에 관한 이야기)....340
제12편-5 일흔두 번째 마을(‘??(은) 과 ?(혜)’에 관한 이야기)....344
제12편-6 일흔세 번째 마을(활에 관한 이야기)....349
제13편-1 일흔네 번째 마을(‘실과 누에’에 관한 이야기)....352
제13편-2 일흔다섯 번째 마을(땅에 관한 이야기 1)....358
제13편-3 일흔여섯 번째 마을(땅에 관한 이야기 2)....364
제14편-1 일흔일곱 번째 마을(금속에 관한 이야기)....369
제14편-2 일흔여덟 번째 마을(‘도량형’과 ‘언덕’에 관한 이야기)....373
제14편-3 일흔아홉 번째 마을(숫자에 관한 이야기)....381
제14편-4 여든 번째 마을(‘10天干(천간)’에 관한 이야기)....386
제14편-5 여든한 번째 마을(‘12地支(지지)’에 관한 이야기)....391
출판사 서평
전설의 한자를 만들다.
중어중문학을 전공하고도 한자는 여전히 막막하고 어려웠다.
외우다 잊어버리면 지칠 때까지 다시 외우는 반복학습만이 왕도라고 생각했다.
보다 쉽고 재미있는 학습법은 없을까. 좀 더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학습법은 없을까. 한자에 담긴 원리와 원칙을 그림처럼 생생하게 느껴보는 학습법은 없을까?
저자는 이천년 전 인류 최초의 자전인 설문해자를 현대에 맞도록 쉽게 이야기로 풀어내었으며, 글자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가장 올바른 한자공부라고 말하고 있다.
《說文解字(설문해자)》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한자 학습서가 출간되었다.
《설문해자》는 A.D. 100년 東漢(동한)시대의 대학자 許愼(허신)이 당시 1만여 자의 한자를 하나하나 분석·정리하여 한자의 기틀을 종합적으로 바로 세운 인류 최초의 字典(자전)이다. 《설문해자》의 위대함은 《玉篇(옥편)》(543년),《字彙(자휘)》(1615),《康熙字典(강희자전)》(1716) 등 이후 2000년 동안 중국·한국·일본에서 만들어진 모든 한자 사전들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설문해자》를 기본 구조로 인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명백하게 입증되고 있다.
《설문해자》가 수립한 또 하나의 업적은 수록한 한자를 小篆(소전)과 楷書(해서)의 형상을 함께 비교하여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소전은 중국을 통일한 奏(진)의 始皇帝(시황제)가 춘추전국시대의 여러 列國(열국)들이 제각기 산만하게 사용하던 한자들을 추려내어 일종의 표준 서체로 정리한 것이다.
小篆(소전)으로부터 한자는 ?書(예서) 楷書(해서) 草書(초서) 行書(행서) 등으로 글자체의 변천이 시작된다. 결국 楷書(해서)는 글자체가 단정하고 법도에 맞아 眞書(진서)라 불리며 표준체가 되었고 우리가 쓰는 인쇄체 기본형이 바로 이 해서이다.
그런데 이 변천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자는 본디 사물의 象形(상형)을 문자화한 상형문자, 즉 그림에 의미를 부여한 문자이다. 상형문자의 가장 뛰어난 매력은 척 보면 바로 의미가 전해진다는 점인데 한자의 변천 도중 획을 줄이고, 부수를 통일하는 과정에서 ‘그림의 장점’을 상실하게 된다. 글자 자형 자체가 왜곡·변형된 글자들도 많이 생겨나면서 한자 공부가 어려워진 첫 번째 원인이 된다.
小篆(소전)과 楷書(해서)를 비교해서 보면, 이 문제가 단박에 눈에 들어온다. 소전은 아직 ‘그림의 장점’이 살아 있는 서체이다. 저자는 《설문해자》가 너무 방대하여 그냥 교재로 쓰기 어려우며, 너무 오래전의 용례들도 오늘날과는 편차가 많아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한다. 《설문해자》의 장점을 살리면서 오늘날의 현실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 바로 《전설의 한자》가장 큰 특징이다.
《전설의 한자》는
첫째, 《설문해자》의 기본인 14편의 틀을 깨트리지 않고, 각 편을 세분하여 총 81개의 소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소전과 해서를 비교하여 자형의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셋째, 해서의 자형이 변한 부분은 고문을 수록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넷째, 책으로 다 설명하지 못한 부분은 동영상 사이트를 만들어 부가적인 설명하였다.
www.storyhanja.co.kr에서 동영상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전설의 한자 웹사이트 개설 및 출판기념 행사로 7일간 무료체험을 진행중에 있다.
저자의 말
한자는 마치 바다 같았다.
묘한 신비감으로 손짓해 부르고는, 정작 깊숙이 들어가 보려 하면 좀체 곁을 주지 않는 바다처럼 궁금하면서도 답답한 존재. 그저 바닷가 헤엄으로 물장구나 철벅거리듯, 변죽만 지분거리는 한자공부가 꼭 그러하였다.
중어중문학을 전공하고도 한자는 여전히 막막하고 어려웠다. 외우다 잊어버리면 지칠 때까지 다시 외우는 반복학습만이 왕도라고 생각했다. 아들과 딸에게 한자를 가르치려다가 알게 되었다. 아이들은 솔직하였다. 외우다 지치는 암기학습을 아이들은 지루해했고, 그 지루함을 강하게 거부하였다. 그랬다. 단순 반복암기법은 별다른 학습법이 발달하지 못하였던 시대의 오래고 오랜 ‘뚝심천리’ 방법론이었다.
보다 쉽고 재미있는 학습법은 없을까. 좀 더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학습법은 없을까. 한자에 담긴 원리와 원칙을 그림처럼 생생하게 느껴보는 학습법은 없을까. 막연한 갈증만으로 ‘세상에 없는 공부’를 꿈꾸는 방랑에 빠져들었다.
어찌어찌 인연을 따라 붓도 잡아보았다. 官邨 朴泰坪(관촌 박태평) 선생님께 처음 사사를 하고, 이후에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에서 ‘서예문화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내친걸음 인사동의 醒齋 黃邦衍(성재 황방연) 선생님 서실에 13년째 발자국을 찍고 있다. 그러나 글씨를 쓰면서 갈증은 더욱 심해졌다. 한 획 한 획 한자의 생김새를 따라 선을 베껴 그리면서 문자 본연에 대한 궁금증에 더욱 목이 말랐다.
2002년 지인의 소개로 당시 종로에 있던 서당을 찾았다. 杏園 尹庚爀(행원 윤경혁) 선생님이 가르치시는 晩始堂(만시당, 지금은 국어고전문화원)이었다. 주로 사서삼경을 공부하였는데, 강의법이 이전까지 겪어본 방식과 조금 달랐다. 일방적인 강의가 아니라, 字典(자전)을 직접 넘기며 일일이 小篆(소전, 진시황이 통일한 한자 서체)을 찾아 글자의 뿌리를 좇아보게 하는 방식이었다. 덕분에 堂僚(당료)들과 함께 ≪康熙字典≫(강희자전) ≪形音意綜合大字典≫(형음의종합대자전) ≪漢韓大辭典≫(한한대사전) 등을 보면서 한자의 뿌리를 유추해가는 기초체력이 생기게 되었다.
許愼(허신)의 ≪說文解字≫(설문해자)를 만나다.
흔히 ‘漢文(한문)’ 혹은 ‘漢字(한자)’라 부르는 표현은 이 문자가 ‘漢나라 때 완성’되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설문해자≫는 제목 그대로 ‘文을 설명하고 字를 해석한’ 책으로, 무려 1만 자에 달하는 한자를 하나하나 풀어서 본래의 글자 모양과 뜻과 발음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인류 최초의 한자풀이사전이다. 東漢(동한)시대의 대학자 허신은 ≪설문해자≫ 집필에 평생을 바쳤다. 허신이 초고를 완성한 것은 A.D. 100년(동한 和帝 때) 정월이었고, 아들 許沖(허충)으로 하여금 책을 조정에 바치게 한 것은 A.D. 121년(동한 安帝 때) 9월이었으니, ≪설문해자≫의 수정과 보완에만 22년을 추가로 바친 셈이었다.
아직 한국에는 널리 알려지지 못하였지만 ≪설문해자≫는 한자의 혼란을 바로잡고 표준을 확립한 중국 문자학 연구의 집대성으로 불리며, 오늘날까지 중국의 文字學(문자학)·聲韻學(성운학)·訓?學(훈고학) 분야의 필독서로 꼽히고 있다. 무엇보다 허신의 ≪설문해자≫가 이룩한 가장 돌올한 업적은 部首(부수)를 창안한 것이었다. 허신의 부수분류법은 2천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한자 자전이나 중국어사전 편찬의 기본 편제로 활용되고 있다.
여기서 묘한 오차가 생긴다. 현행 자전은 ‘214부수’를 기본으로 한다. 그런데 허신은 ‘540부수’를 14편으로 나누어 9,353자를 설명하였다. 그렇다면 사라진 ‘326부수’는 어찌된 것인가. 그건 이렇다. 부수는 한자의 뜻을 나타내는 근본 요소로 한글의 자모음, 영어의 알파벳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허신은 자형을 중심으로 ‘540부수’라는 틀을 세웠고, 그 틀은 1500년 동안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1615년 梅膺祚(매응조)가 ≪字彙≫(자휘)를 편찬할 때 ‘劃數(획수)’ 개념을 만들었고, 획수를 줄이기 위해 540부수를 214부수로 줄였는데, 이후 ≪正字通≫(정자통, 1627년)과 ≪康熙字典≫(강희자전, 1716년) 등이 연이어 214부수를 택하면서 오늘에 이른 것이다.
그런데 부수 공부를 해보신 분들은 익히 아시겠지만, 획수의 효율을 위해 214부수로 무리하게 줄이는 과정에서 한자의 자형에 변형이 생기게 되었다. 시중에 부수를 통해 학습하는 한자 교재가 많이 나와 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한자 공부는 어렵다. 214부수는 자전 체계로서는 대단한 발전이었지만, 그로 인한 변형이 한자의 이해를 어렵게 만드는 고질이 되어버린 것이었다. 문제 속에 답이 있었다. ≪설문해자≫의 540부수가 보여주는 小篆(소전)의 자형과 근원적 구조가 그림처럼 한자의 비밀을 풀어서 보여주었다.
어렵사리 ‘세상에 없는 공부’의 방법을 발견했는데, 아직도 넘어야 할 고개가 첩첩이었다. 540개의 부수와 1만 자의 한자, 이걸 어떻게 추리고 정리해야 ‘쉽고 재미있는 공부’로 바꿀 수 있을까. 도움이 될 책을 찾아보았으나 연구서나 학술서가 몇 권, 역시 초보자가 접근하기에는 난망한 상황이었다. 방법은 하나.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파는 법. 그래서 우물을 파기 시작했다.
2010년 ≪설문해자≫의 전체 체계를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최소한의 글자들을 추려서 압축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런데 그게 아니었다. 글머리에 비유한 것처럼, 한자는 바다와 같았다. 아무리 추리고 압축해도, 바다는 바다였다. 시간이 흐를수록 버겁고 후회막급이었다. 그러나 천신만고 끝에 찾은 ‘세상에 없는 공부’의 방법을 포기할 수는 없었다. 내가 보았던 학습법 중 이처럼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은 없었다. 애써 만든 초고를 지워버리고 맨땅에서 다시 시작하기를 몇 차례, (비유컨대) 손톱이 다 빠져나갈 듯한 피로감에 마음이 먹먹해질 즈음 우물 바닥에 물이 고이기 시작했다.
그렇게 이 책의 기틀이 탄생하였다. 첫째, ≪설문해자≫의 기본인 14편의 틀을 깨트리지 않고, 각 편을 세분하여 총 81개의 소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소전과 해서를 비교하여 자형의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셋째, 해서의 자형이 변한 부분은 고문을 수록하여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넷째, 책으로 다하지 못한 부분은 동영상 사이트를 만들어 부가적인 설명을 하기로 하였다.
2012년에는 살고 있던 서촌의 집을 개조하여 ‘갤러리 글’을 열었다. 한자와 관련한 기획 전시 및 한자 강의 전용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2013년 《원정규방 회원전 - 손바느질과 어우러진 한자》와 2014년 《불의 지배자 두룬 - 책과 ‘火’》 전시회를 개최하였고, ‘인문학 책읽기 모임’과 ‘한자공부 모임’도 열었다. 아둔한 황소걸음에 작은 성취도 있었다. 2015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서예부문 ‘특선’과 《월간서예》 주최 《대한민국 서예대전》 ‘우수상’, 그리고 《전라북도 서예대전》 ‘대상’의 영광이 선물처럼 찾아왔다. 서예와 한자 공부는 정말 좋은 짝이 아닌가 생각한다.
와중에 정작 중요한 교재가 난항이었다. 강의 공간을 개설해놓고도 교재를 완성하지 못하는 답답함. 마침내 간신히 숙제를 마친다. 이 책이 ≪설문해자≫의 가장 쉬운 입문서가 될 수만 있다면 이보다 더 기쁜 일이 있을까? 허신을 꿈에서 만나 책을 건네는 상상을 해본다. 오래도록 격려해준 가족과 여러 선생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기본정보
ISBN | 9791195700707 |
---|---|
발행(출시)일자 | 2016년 01월 15일 |
쪽수 | 409쪽 |
크기 |
188 * 251
mm
/ 878 g
|
총권수 | 1권 |
Klover 리뷰 (1)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사용자 총점
100%의 구매자가
집중돼요 라고 응답했어요
집중돼요
도움돼요
쉬웠어요
최고예요
추천해요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분 좋은 발견
이 분야의 베스트
이 분야의 신간
-
립스틱 짙게 바르고 한국어를 가르칩니다: 한국어 강사로 거듭나는 30가지 꿀팁!10% 13,500 원
-
2025 한자능력검정시험 6급 210% 17,100 원
-
2025 한자능력검정시험 7급 210% 16,200 원
-
21세기 차별 언어의 새로운 이해10% 22,500 원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어 구성 대조 연구10% 22,5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