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이 책은 리듬 패턴을 주루룩 나열하여 가르치는 단순한 방법이 아니라 곡의 구조에 맞게 기본 리듬을 유기적으로 확장하고 축소하면서 다양하게 변주되는 노래에 잘 적용할 수 있도록 리듬을 연습합니다. 이렇게 연주하면 곡의 느낌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으면서도 수준 높은 스트럼 연주로 발돋움하게 됩니다. 다양한 리듬의 전개 과정을 학습하고 몸으로 체득하면서 자신만의 새로운 해석으로 연주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이 과정을 하기 위해서는 노래를 잘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이유로 곡마다 어떤 과정으로 리듬을 사용하게 되는지 과정을 설명하고 이것을 통해 학습자는 노래에 대한 이해와 분석 능력을 갖게됩니다. 이것을 통해 음악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리듬을 연주하기 전 곡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없이 바로 악보에 제시된 코드와 리듬으로 연주하는 것은 지도에 대한 이해 없이 지도를 보고 길을 찾아가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리듬은 단순히 '주법'이라고 생각할 것이 아닙니다. 음악의 흐름을 리듬의 강약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 교재는 기본기에 머물러있는 많은 중급 유저들의 리듬 스트럼을 보다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줄 것입니다. 전공자들은 너무 익숙해서 가르치기에 애매했던 그 음악적 루틴을 체계적으로 잘 추스렸습니다. 이 과정의 연습을 통해 평범한 통기타 연주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어줄 것입니다.
작가정보
윤현민은 2008년부터 온라인 기타 커뮤니티이자 쇼핑몰인 통기타이야기를 운영했으며 현재는 일일기타라는 통기타 독학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켄지라는 닉네임으로 유튜브와 오프라인에서 통기타 강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통기타 코드14 』, 『통기타 리듬6 』, 『통타 아르페지오 패턴5』, 『워십기타 리빌딩』, 『워십기타 송북 셀라』, 『켄지의 코드북』등 통기타 독학 교재를 제작했으며 독학 커리큘럼을 바탕으로한 동영상 강좌를 일일기타에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목차
- 고급 리듬 스트럼은 _ 2
순서 _ 4
필독. 이 책에서 배울 내용 _ 9
리듬 표기법
[1] 박자를 세는 방법 _ 14
[2] 리듬 표기가 복잡할 때 _ 15
[3] 붙임줄이 있을 때 _ 16
좋은 소리를 만들기 위한 준비 작업
[1] 왼손 코드 운지 _ 17
[2] 왼손 코드 뮤트 _ 19
[3] 왼손 코드 전환 _ 22
[4] 오른손 스트럼 _ 24
[5] 커트 _ 26
[6] 팜 뮤트 _ 27
1. 6가지 기본 리듬 패턴 점검
[1] 8비트 1번 리듬 패턴 _ 30
[2] 8비트 2번 리듬 패턴 _ 31
[3] 16비트 1번 리듬 패턴 _ 32
[4] 16비트 2번 리듬 패턴 _ 33
[5] 16비트 3번 리듬 패턴 _ 35
[6] 16비트 4번 리듬 패턴 _ 37
[7] 기본 리듬이 손에 익숙해지는 과정 _ 38
2. 송폼, 노래의 형식
[1] 곡의 구조 _ 42
[2] 송폼을 알아야 하는 이유 _ 44
[3] 송폼 파악하기 - 음악을 제대로 듣는 방법 _ 45
3. 볼륨 빌드업
[1] 피크 정확하게 잡기 _ 52
[2] 피크 잡는 방법으로 볼륨 조절하기 _ 54
[3] 스트럼 세기로 볼륨 조절하기 _ 55
손디아 - 어른 _ 58
버스커 버스커 - 정류장 _ 64
혁오 - Tomboy _ 72
볼 빨간 사춘기 - 좋다고 말해 _ 78
4. 리듬 빌드업
[1] 8비트 1번 리듬 패턴과 변형 _ 86
[2] 8비트 2번 리듬 패턴과 변형 _ 87
[3] 16비트 1번 리듬 패턴과 변형 _ 88
[4] 16비트 2번 리듬 패턴과 변형 _ 91
[5] 16비트 3번 리듬 패턴과 변형 _ 93
[6] 16비트 4번 리듬 패턴과 변형 _ 95
장범준 - 당신과는 천천히 _ 98
방탄소년단 - 봄날 _ 106
방탄소년단 - Answer : love myself _ 112
5. 테크닉 빌드업
[1] 커트와 팜 뮤트, 뮤트의 차이 _ 122
[2] 팜 뮤트의 강약 변화 _ 122
[3] 커트의 강약변화 _ 124
[4] 8비트 1번 리듬의 커트 변화 _ 125
[5] 8비트 2번 리듬의 팜 뮤트 변화 _ 127
[6] 16비트 1번 리듬의 테크닉 변화 _ 128
[7] 16비트 2번 리듬의 테크닉 변화 _ 129
[8] 16비트 3번 리듬의 테크닉 변화 _ 131
[9] 16비트 4번 리듬의 테크닉 변화 _ 132
[10] 커트와 팜 뮤트의 일상화 _ 134
태연 - Fine _ 136
악동 뮤지션 - 200% _ 142
6. 8비트, 16비트 바운스
[1] 8비트 바운스 _ 152
[2] 16비트 바운스 _ 153
[3] 바운스 리듬 연습 _ 155
헤이즈 - 비도 오고 그래서 _ 156
백예린 - Bye bye my blue _ 162
백예린 - 그건 아마 우리의 잘못은 아닐 거야 _ 168
7. 기본을 벗어나는 리듬
[1] 아이유의 팔레트를 들어보자 _ 176
[2] 드럼 킥 위치와 코드 전환 위치 _ 179
아이유 - 팔레트 _ 180
볼 빨간 사춘기 - 여행 _ 188
출판사 서평
“나의 리듬 스트럼이 나아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중급을 넘어 고급 스트럼으로 나아가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
오랫동안 통기타를 배우는데도 실력이 나아지지 않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연습만 오래한다고 실력이 나아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스트럼은 템포를 빨리 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며 업, 다운 패턴을 익혔다고 완성되는 것도 아닙니다. 커트와 팜뮤트 같은 테크닉을 잘 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것도 아닙니다. 다양한 요소들이 총체적으로 결합되어 '사운드'로 표출되는 만큼 어느 하나만 안다고 해서 되는 것도 아닙니다. 나의 리듬 스트럼이 나아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요.
1. 소리가 좋지 않기 때문
첫 번째로 연주하는 자신의 소리가 듣기에 그리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지만 초보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현상은 코드가 정확히 운지 되지 않는 것입니다. 스트럼이 아무리 완벽해도 운지가 정확하지 않으면 사운드는 엉망이 됩니다. 코드를 잡는 것은 단순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코드를 누르는 것은 디테일이 많습니다. 소리를 끊어지지 않게 길게 유지하는 것, 코드를 빠르게 전환하는 것, 손가락을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것, 다른 줄을 건드리지 않는 것, 필요 없는 음을 정확하게 뮤트를 하는 것, 잡음을 내지 않는 것,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코드 운지 때마다 컨트롤하는 것입니다. 느린 스트럼에서 좋은 소리가 날 때 템포가 빨라져도 좋은 사운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사운드가 좋지 않은 분들은 절대 템포를 올리지 말고 천천히 하나씩 운지를 점검하면서 연주를 완성해 보셔야 합니다. 이 사운드를 바탕으로 리듬을 연주하면 느낌이 훨씬 좋아집니다.
2. 곡의 구조를 파악하지 않기 때문
두 번째로 곡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불과 90년대 음악만 하더라도 리듬 하나로 처음부터 끝까지 연주가 가능했는데 지금은 그런 노래가 거의 없습니다. 곡의 구조에 맞게 리듬이 조금씩 변하는데 이제는 그것을 캐치해서 곡의 구조에 맞게 리듬을 조금씩 변형하여 연주를 해야 합니다. 이것을 '송폼'이라고 부르는데 구조에 맞춰 리듬을 조금씩 바꿔서 연주하면 원곡 완성도에 버금가는 높은 수준의 리듬 스트럼 연주가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이것은 음악적 구조에 관한 것이고요 이것을 연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빌드업 요소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3. 빌드업을 활용하지 않기 때문
곡의 구조를 확인하여 곡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파악하고 나면 이것을 세 가지 빌드업 요소를 통해 표현하게 됩니다. 볼륨 빌드업, 리듬 빌드업, 테크닉 빌드업이 그것입니다. 이 세가지 빌드업은 평범한 스트럼에 표현력을 불어넣어 똑같은 리듬도 월등히 수준 높은 연주로 만들어줍니다. 이 구성 요소가 모두 사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다양한 연습곡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과정을 익혀야 합니다.
리듬 하나로 스트럼 하는 시대는 이제 지났습니다. 앞에 설명에서 소개한 이러한 음악적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리듬 스트럼이 나아지지 않았던 것입니다. 대부분의 연주는 철저한 구조 속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이것을 누가 더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연주할 수 있는지가 연습의 목표가 됩니다. 한 곡을 마무리 하려면 5-6개의 리듬을 유기적으로 사용하는데 예전에는 이걸 하나하나 다른 리듬으로 생각하고 배웠습니다. (패턴 자체도 너무 적었고요.) 하지만 리듬은 강세의 위치를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움직입니다. 이 책에서 설명하는 과정을 연습하다 보면 강세 위치를 찾아내고 적용하는 개념을 익혀 스스로 연주를 개척해 나가는 곡 해석 능력을 갖게 될 것입니다. 리듬을 연습하는 것 이상의 길로 나아갈 수 있게 됩니다.
기본정보
ISBN | 9791195557066 |
---|---|
발행(출시)일자 | 2020년 02월 03일 |
쪽수 | 196쪽 |
크기 |
210 * 297
mm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2)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