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이 책의 총서 (86)
작가정보
초정 김상옥은 1920년 경상남도 통영에서 1남 6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1926년에 서당에서 한문을 공부했으며 1927년 통영공립보통학교를 입학했다. 소년기에 ‘인쇄소’ 등지를 전전하며 고학했고, 1933년에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7세 때부터 조연현과 더불어 시지 ≪아(芽)≫에서 동인 활동을 하기도 했는데, 미공개 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 최초 동인지인 ≪참새≫에도 참여했다고 한다. 1937년 일경(日警) 때문에 함북의 옹기 지역으로 가 유랑했고, 1938년 함북 청진의 서점에서 일하며 함윤수, 김용호, 김대봉 등과 시지 ≪맥(貊)≫에서 동인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 후엔 서정주, 임화, 박남수, 윤곤강 등과 함께 문학적 교유를 나눈다. 이후 ≪문장(文章)≫ 9호(1939년)에 그의 시 <봉선화>가 이병기의 추천으로 당선되었고, ≪동아일보≫의 시조 공모에서도 <낙엽>이 당선되면서 문단에 나오게 되었다. 누구보다 민족의식이 강했던 그는 해방 전까지 사상 문제로 수차례 피검했는데, 일례로 1941년과 1943년 통영경찰서 유치장에 수감된 경우가 그렇다. 1943년에 김정자 여사와 결혼했고, 1944년엔 다시 영어(囹圄) 생활을 했다. 그러던 중 폐결핵으로 출감해 마산결핵요양원에서 요양한 후 1946년 삼천포, 마산, 부산 등지에서 교원 일을 하며 창작에 몰두했다. 1947년에 첫 시조집 ≪초적(草笛)≫을 출간하고, 1949년 1월엔 ≪고원(故園)의 곡(曲)≫을 간행한다. 그해 6월에 시집 ≪이단(異端)의 시(詩)≫를, 1952년엔 동시집 ≪석류꽃≫을 냈다. 1956년에 ≪목석(木石)의 노래≫를 냈으며, 통영문인협회를 설립해 회장직을 맡기도 했다. 1969년엔 ‘아자방’이란 골동품과 표구 가게의 사업을 시작했다. 그 후 1973년엔 ≪삼행시육십오 편≫을, 1975년엔 산문집 ≪시와 도자≫를 그곳에서 펴냈다. 1980년엔 시집 ≪묵(墨)을 갈다가≫를 냈고, 1982년엔 제1회 중앙시조대상을 수상했다. 1989년엔 고희 기념 시집 ≪향기 남은 가을≫을 출간했으며, 1994년엔 제2회 충무시문화상을 수상했다. 1997년엔 제9회 삼양문화상(三羊文化賞)을 수상하고, 1998년엔 ≪느티나무의 말≫을 출간했다. 1999년엔 ‘우리 시를 사랑하는 모임’의 고문을 지냈다. 2001년에 시조 선집 ≪촉촉한 눈길≫을 냈고, 그해 6월 서화 개인전을 열었다. 다시 그해 12월에 가람시조문학상을 수상했다. 2002년엔 시조집 ≪초적(草笛)≫의 한정판(재판본)이 출간되었다. 금실이 좋기로 유명했던 시인은 2004년 부인이 사망하자 먹고 마시는 일을 중단했으며, 부인의 장례식 며칠 후 향년 85세에 생을 마감했다.
번역 최종환
목차
- ≪草笛≫
思鄕 ························3
春宵 ························4
愛情 ························5
비 오는 墳墓 ····················6
江 있는 마을 ····················7
立冬 ························8
어무님 ·······················9
家庭 ························10
病床 ························11
안해 ························12
누님의 죽음 ····················13
?屍 ························14
懷疑 ························15
落葉 ························16
囹圄 ························17
집오리 ·······················19
흰 돛 하나 ·····················20
路傍 ························21
煩惱 ························22
廻路 ························23
自戒銘 ·······················24
玉笛 ························25
矗石樓 ·······················26
≪故園의 曲≫
술레잡기 ① ····················29
저믄 들길 ·····················31
≪異端의 詩≫
바위 ························35
눈 ·························36
? ·························37
포풀라 ·······················39
不安 ························41
≪석류꽃≫
마눌각씨 ······················45
할만내 ·······················47
삐비 ························49
석류꽃 환한 길 ···················51
산울림 ·······················52
≪木石의 노래≫
돌 ·························57
果實 A ·······················58
果實 B ·······················60
小品 ························62
기러기 ·······················63
風景 ························65
≪三行詩 六十五篇≫
無緣 ························69
祝祭 ························70
撮影 ························71
따스롭기 말할 수 없는 無題 ·············72
항아리 ······················73
어느 날 ······················74
꽃의 自? ·····················75
不在 ························76
억새풀 ·······················77
銀杏잎 ·······················78
圖章 ························79
내가 네 房 안에 있는 줄 아는가 ············80
모란 ························81
꽃과 乞人 ·····················82
꿈의 蓮못 ·····················83
關係 ························84
≪墨을 갈다가≫
墨을 갈다가 ····················87
뜨락 ························89
變身의 꽃 ·····················91
回心曲 ·······················93
愁心歌 ·······················95
毒感 ························97
白梅 ························99
和暢한 날 ·····················100
新綠 ·······················101
不毛의 풀 ·····················103
代役의 풀 ·····················104
異敎의 풀 ·····················105
가슴 ·······················107
邂逅 ·······················108
깃을 떨어뜨린 새 ··················109
너는 온다 ·····················111
가을과 石手 ····················112
귓전에 남은 소리 ·················114
어느 가을 ·····················115
해설 ·······················117
지은이에 대해 ···················125
엮은이에 대해 ···················127
책 속으로
●늙으신 어무님은 나만 보고 언정하고
안해는 그 사정을 내게 와 속삭이다
어찌누 그는 남으로 나를 따라 살거니
외로신 어무님은 글안해도 서럽거늘
안해를 가진 맘이 금 갈까 삼가로워
이 밤을 어서 새우고 그를 가서 뵈리라
●외진 길바닥에 얼고 주려 죽은 사람
잦던 숨 끊어질 제 뼈 물은 검은 입술
살아서 분한 그 마음 버리지를 못했어라
이 모진 세상에도 그릴 일이 남았든지
살은 이미 굳었어도 두 눈을 희게 뜨고
저문 날 차운 바람에 들 데 없이 누었어라
●墨을 갈다가
문득 水沒된 무덤을 생각한다.
물 위에 꽃을 뿌리는 이의 마음을 생각한다.
꽃은 물에 떠서 흐르고
마음은 춧돌 춧돌: 닻줄 등을 물속에 가라앉히기 위해 다는 돌.
을 달고 물 밑으로 가라앉는다.
墨을 갈다가
제삿날 놋그릇 같은 달빛을 생각한다.
그 숲 속, 그 달빛 속 인기척을 생각한다.
엿듣지 마라 엿듣지 마라
용케도 살아남았으니
이제 들려줄 것은 벌레의 울음소리밖에 없다.
밤마다 밤이 이슥토록
墨을 갈다가
벼루에 흥건히 괴는 먹물
먹물은 갑자기 선지 빛으로 변한다.
사람은 해치지도 않았는데
지울 수 없는 선지 빛은 온 가슴을 번져 난다.
●여기는 먹고 마신 것이 五臟과 六腑를 거쳐
살과 피와 뼈가 되고 그 남저지 남저지: ‘나머지’의 방언.
를 排泄하는 곳-
다음 끼니 다시 먹고 땔 것을 求하여
내 어디론지 분주히 쏘대다
여기 잠시 들리면 마음 그지없이 편안히 쉬이도다
그 지독한 食慾에 走狗되어
날만 새면 거리에 나와
내 그들과 더부러 장돌림같이 떼재치고 떼재치고: ‘떼제치고’의 시적 허용. ‘떼제치다’는 ‘함부로 몰려다니면서 행동을 해치우다’라는 뜻이다.
義理를 눈감겨 온갖 거짓을 팔고
참아 말 못할 그 侮辱에도 다시 訶諛를 사고
날이 저물어 山 그림자
이 무거운 가슴 덮어 나리면
기다림과 주림에 겨운 파리한 家眷들이
窓을 내다 움크리고 앉았을
이 게딱지 같은 오두막을 向하여 돌아오다
이미 먹은 것은 흉측한 惡臭와 함께
이렇게도 수헐히 쏟아 버릴 수 있건만
눈에 헛것이 뵈는 주린 창자를 채우기에
또한 廉恥없이 떨리는 헐벗은 종아리를 두르기에
나날이 저질어 지은 이 끝없는 罪苦로
저 크나큰 어두움에 짙어 오는
無限한 밤을 휘두르는 한 점 반딧불처럼
아직 내 염통에 한 조각 남은 良心의 閃光에
때로 秋霜같이 峻烈한 審判을 받는 이 業報는
오오 糞尿처럼 어디매 터뜨릴 곳이 없도다
출판사 서평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 근현대시선’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초정(草汀) 김상옥 시 세계에 대한 평가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민족의 정서를 전아한 언어로 빚어냈다는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시조와 자유시 그리고 동시의 경계를 넘나드는 파격적 형식미를 보여 주었다는 시각이다. 전자가 시조 정감의 변형 문제라면, 후자는 장르의 창신(創新)과 관계된 사안이다. 김상옥은 ‘시조 시인’으로 불리는 것을 탐탁지 않아 했고 시조를 ‘3행시’라 즐겨 불렀다고 회자되기도 한다. 그것은 ‘시조’와 ‘시’의 경계를 거부하는 시관이다. 평자들은 후자의 맥락을 주목해 온 편이고, 본고 또한 그에 동의한다. 김상옥 시조는 고루한 고전 공간을 뛰어넘는 모더니티의 자리이기 때문이다. 말년까지 낸 시조집, 일반 시집, 동시집은 고전의 무의식이 현대시의 무의식과 ‘이접(離接)’됐던 텍스트라 보아야 한다. 제1시집 ≪초적(草笛)≫만 봐도 전아한 고전의 자리가 프로이트적 무의식과 손잡아 열린 ‘사건’임을 알게 된다.
김상옥은 인간이 감내하는 상처, 회탄, 죽음을 행간마다 담아냄으로써 시조가 현대시와 다른 자리가 아님을 드러낸다. 정신의 고결성을 기대하고 김상옥의 시에 들어온 독자들은, 그의 시편들이 지금 여기에 대한 이야기임을 알고 놀랄 것이다. 가령, ≪초적≫은 후반에 재래적 성향이 강한 ‘석굴암’(<십일면관음(十日面觀音)>), ‘다보탑’(<다보탑(多寶塔)>), ‘촉석루’(<촉석루(矗石樓)>), ‘선죽교’(<선죽교(善竹橋)>), ‘무열왕릉’(<무열왕릉(武烈王陵)>) 등을 노래한다. 이 고고학이 백의(白衣)의 혼을 고양하기 위한 의지와 연관된 것임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이 박물지들은 시조의 문법 안에서, 상실의 대상들을 껴안으려는 무의식으로부터 발원한 것이다. 그의 시는 아취 있는 고전 공간이 아닌, 여기 우리들의 비극을 껴안기 위해 생산된다. ‘측간’ 세계를 견디기 위한 페이지들인 것이다. 풍진에서 시인이 불었고 지금까지도 우리를 향해 불고 있는 풀피리. 중기 이후 시는 거기에 댄 입술이 오욕칠정을 쓰다듬는 세계로 열린다.
기본정보
ISBN | 9791130450261 |
---|---|
발행(출시)일자 | 2014년 06월 30일 |
쪽수 | 138쪽 |
크기 |
210 * 297
mm
|
총권수 | 1권 |
Klover 리뷰 (0)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
반품/교환방법
* 오픈마켓, 해외배송 주문, 기프트 주문시 [1:1 상담>반품/교환/환불] 또는 고객센터 (1544-1900) -
반품/교환가능 기간
상품의 결함 및 계약내용과 다를 경우 문제점 발견 후 30일 이내 -
반품/교환비용
-
반품/교환 불가 사유
(단지 확인을 위한 포장 훼손은 제외)
2) 소비자의 사용, 포장 개봉에 의해 상품 등의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예) 화장품, 식품, 가전제품(악세서리 포함) 등
3) 복제가 가능한 상품 등의 포장을 훼손한 경우
예) 음반/DVD/비디오, 소프트웨어, 만화책, 잡지, 영상 화보집
4) 소비자의 요청에 따라 개별적으로 주문 제작되는 상품의 경우 ((1)해외주문도서)
5) 디지털 컨텐츠인 ebook, 오디오북 등을 1회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거나 '바로보기'로 열람한 경우
6)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재판매가 곤란한 정도로 가치가 현저히 감소한 경우
7)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 정하는 소비자 청약철회 제한 내용에 해당되는 경우
8) 세트상품 일부만 반품 불가 (필요시 세트상품 반품 후 낱권 재구매)
9) 기타 반품 불가 품목 - 잡지, 테이프, 대학입시자료, 사진집, 방통대 교재, 교과서, 만화, 미디어전품목, 악보집, 정부간행물, 지도, 각종 수험서, 적성검사자료, 성경, 사전, 법령집, 지류, 필기구류, 시즌상품, 개봉한 상품 등 -
상품 품절
-
소비자 피해보상 환불 지연에 따른 배상
2) 대금 환불 및 환불지연에 따른 배상금 지급 조건, 절차 등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처리함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