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저자 강동완 (조선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교수)은 강동완을 아는 사람들은 그를 ‘르네상스인’이라 부른다.치의학박사이자 교수이면서 정부, 지자체와 치의학산업클러스터를 만들어낸 산업창조자이자, 병원장 등 다양한 대학경영의 경험을 가진 최고경영자(CEO)이다. 또 음악을 사랑하고 문화를 즐기는 예술애호가이자 인문학도이다. 그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치의학산업클러스터 아이디어를 내고, 산학연 협력사업을 진행하면서 우리나라 대학이 가진 폭발적 힘을 경험했다. 대학 안에 잠자고 있는 창조성과 아이디어가 지역사회 그리고 산업계와 소통하는 순간, 대학과 지역사회를 살리는 미래성장산업이 탄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양한 아시아지역 해외봉사와 교류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기술력을 아시아의 지역사회로 옮기면 거기에서 우리 대학과 대학생들의 미래가 열릴 수 있을 발견하였다. 이 비전을 ‘아시아 르네상스’로 정립하였다. 르네상스인으로 불리는 그가 가장 사랑하고 존경하는 사람은 바로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화룡점정이라 할 수 있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이다. 강동완은 1954년 순천에서 태어나 서중, 일고를 거쳐 1974년 조선대학교 치과대학을 1회로 입학하였다. 동대학 치과병원에서 보철학 및 턱관절교합학을 전공,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6년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교수가 되었고 1990년 이탈리아 토리노 대학에서 연구교수로 박사후과정 연구를 하였다. 이때 ‘아시아 르네상스’를 구상하였다. 일본 도쿠시마대학 방문교수, 미국 알라바마 치대 연구교수도 지냈다. 특히 의료정책과 사회전체의 건강을 보는 넓은 시야를 키우기위해 교수신분임에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정책학과정을 수료했다.최근 국무조정실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실무위원, 교육과학기술부 첨단치의공인력사업단장, 지식경제부 지정 조선대학교 지역혁신센터 소장, 광주광역시 치과산업벨트 기획위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산관학 협력을통한 의료산업 추진의 경험을 쌓았다. 대학턱관절기능교합학회 회장, 2011년 대한스포츠치의학회 회장을 지냈고, G10생명과학문화포럼을 창립,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뛰어난 연구성과와 의료산업 혁식으로 수많은 표창을 받았으나, 그가 가장 아끼는 상은 2010년에 받은 ‘자랑스런 조대인 상’이다.
목차
- 추천사 · 4
프롤로그 · 8
1부 사람과 대학을 살리는 르네상스 경영
1장 대학 르네상스 Let’s 朝人(join) · 19
지구촌의 화두 ‘Go East 시대’ 19 | 융합과 통섭은 지역의 성장동력 22 | 합리적 대학사회 만들기 23 | 대학, 어디에 있는가? 25 | 대학 관계망 형성의 기초는 학술 27 | 대학은 사회와 소통하는 광장 28 | 대학을 깨우는 인문학적 상상력 30 | 꿈을 심어주는 스승 31 | 지역과 함께 아시아 비전을 34
2장 지역 르네상스 Let’s 視(see) · 37
T자형 지식시대의 인재 육성 37 | 산학협동의 새로운 모델 40 | 대학사회가 지역발전 선도적 역할 해야 44 | 나비효과의 상상력과 재창조 46 | 지식사회에서의 문화경쟁력 방안 48 | 대학의 브랜드 가치 51 | 인문학의 위기에서 인문학 르네상스로 54
3장 아시아 르네상스 Let’s 高(go) to 亞 · 58
아시아 비전을 선도하는 조선대학교 58 | 아시아 문화의 메카, 광주 61 | 조선대학교의 역사와 비전 64 | 아시아 해외봉사와 학술교류 66 | 문화적 담론의 생활화 68 | 문화산업의 인큐베이터와 권리선언 70 | 아시아 중심 대학으로서 조선대학교 73 | 대학을 문화 갤러리로 74 | 스타급 문화인사 영입과 대학경쟁력 77 | 누구든 포용하는 광주 사람들 81 | 글로벌 핑크빛 오션을 만들자 83 | 차별화된 지역 의료산업 육성 88 | 아시아 비전을 위한 G10포럼 창립 91
2부 르네상스 인간을 꿈꾸다
1장 치열하게 배우다 · 97
치과대학 1기생의 주인의식 97 | 5·18과 나의 아이러니 99 | 미망에서 깨어 일어난 조선대학교 101
2장 이탈리아에서 아시아 르네상스를 품다 · 104
꿈을 이룬 이탈리아에서의 만남 104 | 아시아 르네상스를 생각하다 107 |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 110 | 몬지니 교수에게 배운 것 112
3장 인문학적 상상력과 실행의 힘을 펼치다 · 116
레오나르도 다빈치처럼 생각하기 116 | 대학에서도 르네상스를 일으켜야 119 | 1996년 KBS, MBC 9시 뉴스 122 | 치과병원 신축의 길을 트다 124 | 영호남 어린이들과 10년 우정 126 | 세상을 고치는 의사 128 | 실버치과 및 네트워크 봉사 131 | ‘효 진료’ 경영과 효의 사회화 134 | 아시아 생명문화 공동체를 꿈꾸다 137
3부 대학 르네상스로 가는 길
1장 대학은 꿈꾸고 싶다 · 161
열린 생각이 인생을 만든다 161 | 대학의 낭만 그리고 도전의 특권 164 | 책을 선물하는 사람들 165 | 다양한 동아리 활동 참여 필요 167 | 어디에나 스승은 있다 169 | 과거와 현재에 대한 역사 탐방 171 | 행동하는 아름다움 지녀야 173 | 긍정과 부정은 보는 사람의 차이 174 | 물질적 풍요와 행복지수 176 | 덤을 주던 시절이 그립다 178 | 멀티플레이어 전문가 사회 179 | 미래와 소통하는 최상의 방법 180
2장 배려와 봉사의 공동체 · 185
선순환과 악순환 185 | 부모의 생각이 교육을 좌우한다 187 | 헝그리 정신이 사라진 사회 190 | 톨스토이가 말한 ‘Now’ 191 | 사회공헌활동으로서의 봉사경영 195 | 노동은 전문 영역에서의 봉사활동 197 | 세상을 키우는 봉사하는 마음 200 | 적선성덕 그리고 무등심 201 | 대학의 가치, 인간의 가치 205
3장 통찰, 결단 그리고 추진의 리더십 · 208
평등하게 존중하는 리더십 208 | 생명의 가치를 존중하는 리더십 211 | 비전을 제시하는 리더십 213 | 비즈니스 창출 리더십 217 | 지속가능한 리더십 221
4부 삶의 르네상스는 어디에서 오는가
1장 변화는 나로부터 시작된다 · 227
산은 내려올 때가 더 아름답다 227 | ‘ 빨리빨리’보다는 여유로움을 229 | 자연은 인간 생명의 근원 233 | 신중심 사회에서 인간중심 사회로 237 | 우리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 239 | 의심의 칼끝은 자신을 향하라 242 | 누드숲에서 풍욕을 즐겨라 244 | 열 가지 선한 풍경 그리기 246
2장 상생,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지혜 · 250
진실은 늦게 온다 250 | 가장 손쉬운 배려가 가장 큰 보시 252 | 목사와 신부와 스님이 한 자리에 255 | 아름다운 미소와 사랑의 언어 258 | 가난한 부자가 많은 세상 260 | 자본의 폭력에 대응하는 사람들 263 | 지혜를 담는 그릇 266 | 아이들이 만나야 할 것 269 | 모든 사물이 생명이요 진리다 271 | 법정 스님과 마하트마 간디의 만남 272 | 콩, 너는 죽었다 275 | 슬픔도 아픔도 스쳐 지나간다 280 | 늘거나 줄어들지 않는 ‘소유’ 282 | ‘4분 33초’의 피아노공연은 침묵 284
출판사 서평
아시아 르네상스 시대에
대학은 어떻게 살아남고,
한국을 넘어 아시아를 이끄는 리더가 될 수 있는가
-아시아가 한국을 바라보고 있다.
아시아 르네상스는 우리 대학과 대학생들이 도약하는 기회다.
-대학경영자의 리더십이 대학의 생존을 좌우한다.
-지역발전의 중심을 대학으로 만들고
대학은 지역을 넘어 아시아로 나아가야 한다.
그래야 대학은 취업난, 학문의 정체 등 당면 위기를 풀어낼 수 있다.
<강동완, 아시아 르네상스를 말한다>는 어떤 책인가
이책은 대학의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대학의 구성원들을 위해 우리나라 대학이 당면한 현실, 특히 대학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위기를 진단하고 대학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특히 새로운 비전을 만들고 그것을 실행할 리더십, 대학사회에 맞는 리더십은 무엇인지 깊은 성찰을 보여준다.
그가 제시하는 비전은 ‘아시아 르네상스’이다.
다시 아시아가 세계의 중심적 지역으로 부상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과 창조성, 문화를 대학이 공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대학 자체를 살리고, 대학이 딛고 있는 지역사회를 살리고, 대학생들의 고질적인 취업난을 해결하고, 대학의 학문도 살리는 길이라는 주장이다.
대학의 위기, 무엇 때문인가?
대학의 위기는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이 대학에 요구하는 것을 따라 잡는 것은 고사하고 무엇을 요구하는지조차 깨닫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안정적인 직장으로 대학이 꼽히는 것 자체가 대학이 얼마나 변화에 둔감한지를 거꾸로 말해주는 것이다.
앨빈 토플러는 <부의 미래>에서 조직들이 외부변화의 속도에 민감한 정도에 따라 순서를 매겼다.
‘기업-> 시민단체-> 가족-> 노동조합-> 정부조직-> 학교-> 국제기구-> 정치조직 ->법’의 차례였다.
세상을 이끌어가는 사람들을 배출해야할 학교는 가족은 물론이고 정부조직보다도 더 둔감한 조직이 되어 있다고 보았다.
대학의 시야가 좁아져서 대학이 당면한 학문의 침체, 인문학의 위기, 대학생 취업난, 등록금 문제등을 자꾸 내부에서 해결하려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시야를 넓혀, 지역사회 나아가서 아시아 각국과의 교류와 실질적 협력이라는 데까지 생각의 폭을 넓혀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대학, 어디로 가야 하는가?
이제 대학은 새로운 역할과 비전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대학은 학문을 연구하고 발전시킨다는 본래적 역할에서 더 나아가 사회가 원하는 인재를 배출하며 지역사회의 생활 과학 문화 중심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
그런데 대학의 활동이 대학내나 지역사회에 머물러선 안된다. 아시아 전체를 우리나라 대학의 활동무대로 확대해야 한다. 그속에서 우리 대학생들의 취업기회가 나오고 미래의 삶도 개척할 수 있다.
아시아를 옛날의 가난하고 후진적인 곳으로 보는 시각은 버려야 한다. 세계에서 가장 성장속도가 빠른 아시아각국으로 우리 젊은이들이 파고 들어야 한다. 아시아 각국이 필요로 하는 기술과 문화를 한국의 대학들이 제시해야 한다.
이것이 아시아 르네상스 비전이다.
<추천사>
시인 고은
“먼 길 다하여 공부하는 사람
강동완교수는 노는 일 모르고 먼 길 다하여 공부하는 사람이다. 강교수는 그 공부가 한 골 안에 그치지 않고 애써 마루턱 넘어 펼쳐지는 들녘을 이룬다.
그가 현지에서 터득한 르네상스의 전인(全人) 다빈치에 깊이 다가드는 것도 이 사실을 말해준다. 강 교수는 끝내 경륜의 삶에 들고 있다. 치과 전공으로부터 인간과 학문, 인간과 사회 그리고 세계에의 인간 소통을 향한다.
그의 정성스런 글쓰기의 힘도 이런 진지한 자세에 부응한다.
격려의 뜻을 보낸다.“
윤장현 광주국제교류센터 이사장(전 한국YMCA총연맹 이사장)
“탁월한 리더십이 대학과 지역을 살린다. 강동완 교수가 쓴 <강동완, 아시아 르네상스를 말한다>는 대학과 지역의 현실을 염려하면서 위기상황에 대한 명확한 진단과 해결책을 제시하여 지역과 대학을 살리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기본정보
ISBN | 9788995974032 |
---|---|
발행(출시)일자 | 2011년 08월 10일 |
쪽수 | 289쪽 |
크기 |
148 * 210
mm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