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작가정보
저자(글) 범대진
저자 범대진은 전남나주에서 태어나 나주고를 졸업하고 육군3사관학교를 졸업했다. 군 시절 태권도 선수로 국군사령관기 감독을 하며 17년간 군 생활을 하다 의가사 전역을 한 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6년간 근무했다. 이후 태권도장을 개관하며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생활체육과에 진학해 석사학위를 수료하며, 대만과 태권도를 교류하며 한국 대표 태권도 시범단 교류단장으로 활동했다. 이어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과에 진학했다. 전통무예무술인 ‘수박’으로 TV방송(TV특종, 느티나무, VJ특공대, 아리랑 방송 등)에 출연했으며, 한라대학교에서 태권도와 특수체육지도론 외래교수로 강의를 하고 군부대, 교회 등 각지에서 손자병법에 대해 특별초빙으로 특강을 하고 있다.
목차
- 1. 큰일은 하늘이 이루어준다
가/ 하늘의 명을 두려워하라
나/ 남의 충고와 조언을 달게 받아라(馬耳東風)
다/ 마음의 거리 좁히기 힘들다
라/ 착한 일을 하여 명성이
마/ 각자의 운명(職業)
바/ 수화도 언어다
사/ 모든 것은 자업자득이다
아/ 선과 악에는 응보가 있다
2. 예쁜 말, 언어구사로 성공을
가/ 입술에 열매 맺어라
나/ 많이 듣고 적게 말하라
다/ 명예는 감출수록 드러난다
라/ 공로(功勞)를 자랑하지 말라
마/ 잘난 척 간언(諫言)이 부른 망신
바/ 인간의 책임 있는 처신으로
사/ 인생길에는 늘 시련과 고난이
아/ 아로새긴 말들
3. 처세의 달인도 혀 속에서
가/ 풍도의 자작시요 방책시(防策詩)
나/ 칭찬과 격려의 말
다/ 상대방의 말 받아줌
라/ 말을 아끼고 아껴라
마/ 겉모습에 홀리지 마라
바/ 매사에 처신을 잘하라
사/ 비판하지 마라
4. 자신을 낮출 줄 아는 인격
가/ 귀이와 천인
나/ 멀리하고 두려워할 것들
다/ 굴기자 능처중(屈己者 能處重) 호승자 필우적(好勝者 必遇敵)
라/ 몸을 낮추고 말소리(음악)를 많이 들어라
마/ 함께 일하며 즐길 수 있는 여유
바/ 기다려 줄 줄 아는 자
사/ 어제처럼 다투지 말고 물처럼 유연하라
아/ 역지사지(易地思之)
자/ 높은 지위에 오를 수록 겸손해라
5. 한마디에 인생이 바뀐다
가/ 진정한 충신 보이지 않는다
나/ 혀의 이중성
다/ 밝은 말투로 세상을 온유하게
라/ 군자(君子)는 담여수(淡如水) 소자(小子)는 감악례(甘若醴)
마/ 태워도 없어지지 않는 말
6. 분수를 알고 탐욕을 자제하라
가/ 모든 것이 지나치면 죽음 뿐이다
나/ 재산이 아무리 많아도
다/ 탐욕을 부리면 근심걱정이 많은 법
라/ 분수를 알고 탐욕이 없으면 욕됨이 없다.
마/ 자신에 대한 지나친 생각
바/ 눈서리를 견디는 소나무
사/ 분노를 다스리고 삼켜라
아/ 큰 이익 뒤에는 반드시 적수와 대가가 따른다
7. 손자병법 인생 13계
1계/ 초윤장산(礎潤張傘)
2계/ 난득호도(難得糊塗)
3계/ 화광동진(和光同塵)
4계/ 교도삼굴(狡兎三窟)
5계/ 이이제이(以夷制夷)
6계/ 주위상책(走爲上策)
7계/ 공성신퇴(攻成身退)
8계/ 위위구조(圍魏救趙)
9계/ 득어망전(得魚忘筌)
10계/ 비위부전(非危不戰)
11계/ 차도살인(借刀殺人)
12계/ 장수선무(長袖善舞)
13계/ 쾌도난마(快刀亂麻)
책 속으로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이 있다. 세상에서 가장 선한 것은 물과 같다는 뜻이다. 물은 만물에 베푼다. 존재가치도 없으며 공평하고, 절대 다투지 않는다. 인간은 높은 곳에서 흐르지만 물은 항상 낮은 곳으로 흐른다. 낮은 곳으로 흘러가는 강물은 상선이다. 또 물은 흐를 때와 멈출 때를 알고 웅덩이에서 쉰다. 즉 판단력을 배워야 한다. 물은 강자의 여유와 같고, 포옹력도 있다. 그 이치를 알면서도 우리는 행하지 못하고 있다.
노자가 말하기를, 선(善)이란 마치 물처럼 가두어 놓으면 떠내려 오는 산을 멈추게 할 수도 있고, 퍼내면 마르게 할 수도 있다. 또 둥근 그릇에 담으면 둥글게 되고, 모난 그릇에 담으면 모가 나서 일정한 형체가 없다. 이는 세상에 물보다 더 부드러운 것이 없고, 이보다 강한 것이 없다는 말이다. 즉 유약함이 강함을 이긴다는 뜻이다. 너무 세거나 빳빳하면 꺾어지기 쉽다는 태강즉절(太剛則折)이 있다. 부드럽고 유연한 자가 이긴다는 것을 잊지 말기를.
-102~103쪽, '어제처럼 다투지 말고 물처럼 유연하라' 중에서
한 부자가 하인을 시켜 심부름을 하기에 시장에서 가장 비싸고 맛있는 것을 사오라고 하니, 하인이 ‘혀’를 사왔다. 며칠 후 다시 가장 값싼 것을 사오라고 하니, 또 ‘혀’를 사왔다. 부자가 의아해서 도대체 어찌 된 것이냐고 묻자 하인이 대답하기를, “비싸고 좋기로 치자면 그 이상 가는 것이 없습니다. 하지만 값싸고 나쁘기로 치자면 이보다 더한 것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바로 이것이 ‘혀’인 것이다. 이처럼 사람의 ‘혀’는 이중적인 것이다.
무서운 것이 사람이다. 사람의 ‘혀’는 성공과 실패의 두 열쇠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어떤 화제를 말하는가에 대한 판단이 곧 인간관계의 형성에도 깊은 관계가 있으니 늘 조심해야 할 것이다.
-113~113쪽, '혀의 이중성' 중에서
부질없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탐욕과 부를 축척하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결국 욕심을 다스려야 하는 법, 그래야 근심걱정이 찾아오지 않는다. 인생을 만족할 줄 알면 늘 즐겁지만, 탐욕을 부리면 늘 근심걱정을 안게 된다. 만족을 아는 자는 행복하지만, 만족을 모르는 자는 아무리 넉넉해도 근심하게 된다. 만족을 모르고 불평을 일삼는 자는 아무리 부귀해도 근심걱정을 떨쳐내지 못한다. (…)
지족상족 종신불욕(知足常足 終身不辱)하고, 지지상지 종신무치(知止常止 終身無恥)라. 넉넉할 줄 알고 항상 만족하면 종신토록 욕되지 아니하고 근심이 없고, 자신의 능력을 알고 멈출 줄 알면 일생동안 부끄러움이 없다. 작은 배는 무겁게 싣는 것을 싫어한다. 깊고 으슥한 길을 혼자 다니면 힘든 것처럼 말이다.
-128~129쪽, '탐욕을 부리면 근심걱정이 많은 법' 중에서
출판사 서평
어제처럼 다투지 말고 물처럼 유연하라
처세의 달인도 혀 속에서
사람의 일은 한 치 앞을 내다 볼 수 없다고 했다. 그것이 인생이요, 삶이다. 한순간의 실수와 허황된 욕심과 탐욕으로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어 사라지기도 하고, 자기를 아름답게 다스려 호사를 누리기도 한다. 모든 것은 자신의 마음먹기와 행동에 달려 있다. 한 치 앞을 내다 볼 수 없는 인생도, 자신을 다스리고 준비한다면 문제없다. <난세를 살아가는 지략>은 손자병법, 명심보감 등 익히 들어보았을 법한 내용과 옛 고전이야기들을 함께 엮어 치열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략들을 하나하나 들려준다. 이미 깨닫고 있는 사실이지만 미처 행하지 못했던 진리와 이제껏 자신이 부렸던 화와 욕심을 돌아보게 한다. 자신의 인생의 승리자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다스릴 줄 알아야 한다.
추천의 글
옛날부터 전해 내려오는 명심보감과 손자병법의 말들은 공공연하게 들어 보았지만, 쉽게 읽어 보지는 못했다. 그래서 인지 누군가와 대화를 나누더라도 눈치만 보기 일쑤다. 이제껏 제대로 접하지 못한 것은 어쩌면 명심보감이나 손자병법이라고 하면, 난해하고 어렵다는 편견에서 비롯된 듯하다. 하지만 <난세를 살아가는 지략>은 명심보감과 손자병법의 이야기를 고스란히 담고 있으면서도, 쉽게 읽히고 소재의 본질을 꿰뚫는 사고의 현실이 깔려 있다. 또한 인간으로서 지니고 갖추어야 할 소양과 격식이 가득 차 있다. (…) 이 글들을 통해 우리는 세상의 눈을 갖게 되고, 지극히 당연하면서도 지나치기 쉬웠던 사랑과 배려, 관용과 겸손 등의 미덕을 깨닫게 된다. 치열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지략을 정성스럽게 들려주는 글들은, 마치 인생 드라마 한 편을 보듯 기쁘기까지 하다.
- 동국대학교 생사문화연구소 객원 연구원, 박귀종
기본정보
ISBN | 9788990926531 |
---|---|
발행(출시)일자 | 2012년 03월 30일 |
쪽수 | 176쪽 |
크기 |
148 * 210
* 20
mm
/ 302 g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