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한국과 중국 선사들의 유교 중화 담론

양장본 Hardcover
불광학술총서
문광 저자(글)
불광출판사 · 2020년 08월 31일
10.0
10점 중 10점
(3개의 리뷰)
쉬웠어요 (100%의 구매자)
  • 한국과 중국 선사들의 유교 중화 담론 대표 이미지
    한국과 중국 선사들의 유교 중화 담론 대표 이미지
  • A4
    사이즈 비교
    210x297
    한국과 중국 선사들의 유교 중화 담론 사이즈 비교 160x234
    단위 : mm
01 / 02
무료배송 소득공제
10% 20,700 23,000
적립/혜택
230P

기본적립

1% 적립 230P

추가적립

  • 5만원 이상 구매 시 추가 2,000P
  • 3만원 이상 구매 시, 등급별 2~4% 추가 최대 230P
  •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추가 최대 300원
배송안내
무료배송
배송비 안내
국내도서/외국도서
도서 포함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교보Only(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2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해외주문 서양도서/해외주문 일본도서(교보배송)
각각 구매하거나 함께 15,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업체배송 상품(전집, GIFT, 음반/DVD 등)
해당 상품 상세페이지 "배송비" 참고 (업체 별/판매자 별 무료배송 기준 다름)
바로드림 오늘배송
업체에서 별도 배송하여 1Box당 배송비 2,500원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그 외 무료배송 기준
바로드림, eBook 상품을 주문한 경우, 플래티넘/골드/실버회원 무료배송쿠폰 이용하여 주문한 경우, 무료배송 등록 상품을 주문한 경우
주문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기본배송지 기준
배송일자 기준 안내
로그인 : 회원정보에 등록된 기본배송지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로그인정확한 배송 안내를 받아보세요!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이 책은 유교(儒敎)의 핵심 경전인 『중용(中庸)』에 등장하는 ‘미발(未發, 희로애락이 일어나지 않은 본래의 상태)’과 관련, 한 ㆍ 중 불교계 대표 선승인 네 고승(高僧)-감산 덕청, 우익 지욱, 퇴옹 성철, 탄허 택성-들의 중화(中和) 담론을 살핀다. 중화의 중(中)은 희로애락의 미발 상태를 말하며, 화(和)는 이미 발하여[已發] 모두 절도에 들어맞는[中節] 상태를 말한다.
유가(儒家)의 ‘미발’은 불가(佛家)의 ‘대무심(大無心)’과 비슷한 개념으로서 마음의 심처(深處)와 관련된다. 중국과 조선사상사 ㆍ 논쟁사 전체를 관통했던 동양철학사의 핵심 주제인 이것은 인류의 영원한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용심(用心, 마음의 구체적 실천과 수행)’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 책의 연구는 먼저 ‘미발’과 관련된 기나긴 역사상의 논변들을 살피고, 이후 한 ㆍ 중 불교계의 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유 ㆍ 불 관계 논의에서 찾아보지 못했던 각 가(家)의 공통분모와 분화 지점을 보다 명징하게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법계연기(法界緣起)의 무애세계(無碍世界)가 현실화된 21세기의 상황에서 학제 간 벽을 허물고 동서고금을 회통하기 위한 새로운 안목이다. 나아가 향후 유(儒) ㆍ 불(佛) ㆍ 도(道) 삼교(三敎) 교섭(交涉) 논의에는 물론, 여기에 기독교까지 더한 사교(四敎) 교섭의 논의에 새로운 논점을 더할 수 있을 것이다.

작가정보

저자(글) 문광

2001년 해인사 원당암 출가, 통도사에서 보성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 직지사에서 성수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했다. 동국대학교 선학과·불교학과 학사, 연세대학교 중문학과 학사·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13년 통광 스님으로부터 전강을 받았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이며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외래교수이다.
저서로는 『탄허 선사의 사교 회통 사상』, 『탄허학 연구』, 『선문염송 요칙』 등이 있다. 유튜브 ‘문광 스님 TV’와 네이버 밴드 ‘문광 스님의 연공최귀(連功最貴)’를 운영하며 대중을 위한 경전 강의를 하고 있으며, 연공 수행을 함께하고 있다.

목차

  • 추천사
    머리말

    1장 서론
    1 연구의 연기(緣起) - 원통(圓通)이라는 화두
    2 연구의 대상과 범위

    2장 중용(中庸)을 보는 한 독법
    _ 즉(卽)과 이(而) 관계성 사유
    1 동양학의 핵심은 중(中)에 있다
    2 즉(卽)에 성불(成佛)이 있고 이(而)에 중용이 있다
    1) 이원 대대(二元 待對)와 즉(卽) 자 공능(功能)
    2) 중용일구(中庸一句)와 이(而) 자 연기(緣起)
    3 『중용』 수장에 체요(體要)가 있다

    3장 중국 선사의 중화 담론
    1 감산 덕청의 중화일관론(中和一貫論)
    1) 중화 중심의 『중용』 독법
    2) 치중화의 치(致)가 성(誠)
    3) 양명(陽明) 치양지(致良知)의 치(致)와의 만남
    2 우익 지욱의 유맥귀불론(儒脈歸佛論)
    1) 제6식의 중(中)과 제8식의 성(性)
    2) 수도 중심의 성수불이(性修不二)
    3) 미발논변(未發論辨)과 연비어약(鳶飛魚躍)

    4장 한국 선사의 중화 담론
    1 퇴옹 성철의 철(徹)적 가풍
    1) 중용과 중도의 분별
    2) 미발과 무심(無心)의 현격(懸隔)
    2 탄허 택성의 탄(呑)적 가풍
    1) 미발은 불성의 이명(異名)
    2) “천하무이도 성인무양심”의 유불회통

    5장 중화 담론의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추천사

  • “문광 스님의 논문은 아마도 연대 중문과가 생긴 이래 명실공히 최고의 학위논문이었을 것이다. (…) 세월이 흘러 이 논문이 다시 전달되었다. 급한 대로 학생들의 성적 처리를 마치고, 스님이 보내준 원고를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몇 시간 지나지 않아 한동안 망각해 온 ‘개권유익(開卷有益)’의 진면목을 여지없이 체감하였다.
    그 방대한 분량의 자료와 미묘한 개념들을 이리저리 연결해서 회통시키는 솜씨가 내심 탄성을 자아내게 만들었다. 아마도 문광 스님의 원고를 두 번 읽게 된 것은 내 전생의 선공덕(善功德)의 결과가 아니었을까 싶다.”

출판사 서평

한국과 중국, 네 선사들의 문헌과 언설 속 중화(中和) 담론을 살펴
마음에 관한 유 ㆍ 불의 공통분모와 분화 지점을 드러내다

한국과 중국의 고승, 네 선사의 ‘드러나지 않은’ 중화 담론
이 책은 유교의 핵심 경전인 『중용』 제1장에 등장하는 ‘미발(未發)’과 관련, 한 ㆍ 중 불교계를 대표하는 선승- 감산 덕청, 우익 지욱, 퇴옹 성철, 탄허 택성-들의 중화(中和) 담론을 살핀다 유가의 ‘미발’은 불가의 ‘대무심(大無心)’과 비슷한 개념으로서 마음의 심처(深處)와 관련된다. 저자의 말을 빌리면 “한량없는 백천삼매를 투과하여 마치 송장과도 같이 죽은 듯한 깊은 선정(禪定) 상태에서 듣는 찰나, 보는 찰나에 다시 되살아난 대사각활(大死却活)의 대각(大覺) 과정을 거쳐야 도달할 수 있는 세계”이다. 그 세계에 도달하기 위해 우리는 한 생각도, 한 마음도 일어나지 않는 멸진정(滅盡定)의 선정을 깊이 증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중국과 조선사상사 ㆍ 논쟁사 전체를 관통했던 동양철학사의 핵심 주제이기도 한 미발은 또한 인류의 영원한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용심(用心)’의 현실적 수행 문제이기도 하다.

이 책의 연구에서 가장 특징적인 부분은 기존의 유교와 불교의 관계 논의에서 찾아보지 못했던 불가의 네 선승들의 중화 담론을 고찰한다는 데 있다. 지금까지는 중화설과 미발 담론을 살피는 데 있어 중국이나 조선성리학 내부에서의 담론을 살피는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불가 선승들의 그간 잘 ‘드러나지 않았던’ 중화 담론을 고찰함으로써 불학(佛學)에서는 불학만을, 유학(儒學)에서는 유학만을 고수하던 고정된 시각에 활로를 개척한다.

그 방대한 분량의 자료와 미묘한 개념들을 이리저리 연결해서 회통시키는 솜씨가 내심 탄성을 자아내게 만들었다. - 정진배(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추천사 중에서

이렇듯 유가와 불가를 중심으로 도가(道家)의 문헌과 자료까지 살펴 회통해 학제 간의 경계를 허물고 있는 이 책의 논의는 그것만으로도 매우 독특하고 의미 있다.

중용을 보는 한 독법
이 책은 ‘미발’과 관련된 기나긴 역사상의 논변들을 먼저 살핀 뒤, 한 ㆍ 중 불교계의 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유 ㆍ 불 관계 논의에서 찾아보지 못했던 각 가(家)의 공통분모와 분화 지점을 보다 명징하게 드러낸다.
본격적인 논의는 중국 남송(南宋) 시대 인물인 주자(朱子)의 중화설 형성 과정을 고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주자의 선불교로부터의 영향과 길항의 관계를 ‘애증(愛憎)’의 차원에서 살피는 것으로 시작하는 이 장에서 주자 초기의 중화구설(中和舊說)과 그 이후 새롭게 각성하게 되면서 발전된 중화신설(中和新說)을 살펴봄으로써 ‘주자학’이라 불리는 사상적 기반이 ‘중화론’을 기본 토대로 하고 있음을 밝히고, 희로애락의 미발지중(未發之中, 감정이 일어나기 전)과 이발지화(已發之和, 순리대로 일어남)가 인간 심성의 근본을 파악할 수 있는 유 ㆍ 불의 공통된 코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한다.
다음으로 중국과 한국 선사들의 중화 담론을 비교하며 유교와 불교의 회통(會通)과 분수(分殊)를 확인한다. 첫 번째 고찰의 대상은 중국 ‘명말사대사(明末四大師)’로 일컬어지는 선사 가운데 두 분인 감산 덕청(?山德淸) 선사와 우익 지욱(藕益智旭) 선사이다. 비슷한 시기의 불교계 고승이었던 두 선사는 “중용직지(中庸直指)”라는 동일한 제목의 책을 저술했다. 하지만 두 선사가 바라보는 『중용』에 대한 시선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저자는 이들 시각을 각각 ‘중화일관론(中和一貫論)’, ‘유맥귀불론(濡脈歸佛論)’이라 명명한다.
다음 고찰의 대상은 우리나라 근현대의 대표 고승이며 지금도 종문(宗門)의 상징이 되는 퇴옹 성철(退翁 性徹) 선사와 탄허 택성(呑虛 宅成) 선사이다. 사실 이 두 선사가 유교 경전인 『중용』에 대해 전면적으로 기술한 독립된 저술은 없다. 다만 몇몇 저작 가운데 편재하고 있는 유교 중용 혹은 중화에 대한 언급들을 만날 수 있는데, 저자는 두 선사의 대표적 저술과 언설을 추출 ㆍ 검토하여 유교 중화론에 대한 각 선사의 견해를 명백히 밝힌다. 두 선사의 유교 중화 담론은 감산 선사와 지욱 선사의 그것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데, 저자는 각각 두 선사의 법명 혹은 법호에서 따와 ‘철(徹)적 가풍’, ‘탄(呑)적 가풍’이라 이름한다.

동서와 고금, 유 ㆍ 불 ㆍ 도가 만날 수밖에 없는 ‘한 지점’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유가와 불가의 심성론(心性論)의 다양한 논의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주장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으나 심성(心性)의 수련이라는 수도(修道)의 당위에 대해 모두 한 목소리를 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 책은 20대 10년 동안의 문제의식을 30대 10년 동안 참구하여 쓰고, 40대 10년 동안 묵히고 발효시켜, 50대가 되어 수정하여 출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속에는 내 삶의 많은 문제의식과 수행의 과정이 오롯이 녹아 있다고 할 수 있다. _ 머리말 중에서

저자는 20여 년 전 출가 당시, ‘죽거나[死] 미치거나[狂] 깨치거나[覺]’ 라는 다짐을 세웠다. 죽기를 각오한 그는 끊임없는 의심을 도반으로 삼아 진리를 좇았다. 저자의 지난한 공부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이 책의 배경은 동서와 고금, 그리고 유교와 도교, 불교가 예외 없이 만날 수밖에 없는 ‘한 지점’이 존재한다는 것에 있다. 유 ㆍ 불 ㆍ 도 3교의 진리는 어디에서 하나로 용해되는가. 저자는 말한다.

중국의 앙산 스님은 『열반경』 40권 가운데 얼마만큼이 부처님 설이고 얼마만큼이 마구니 설인가 하는 스승 위산 스님의 물음에 『열반경』 전체가 마구니 설이라 대답했다. 어찌 『열반경』 40권만 마구니 설이라 하겠는가? 팔만대장경 전체가 마구니의 설이며, 유교 경전 13경 전체가 이단(異端)의 설이며, 기독교 신약ㆍ구약성서 전체가 사탄의 설이다. 이 말의 낙처(落處)를 바로 짚어내지 못한다면 설산(雪山)에서 6년 고행한 부처님과, 천하를 주유했던 공자님과, 십자가에 못 박혔던 예수님의 은혜에 반 푼 어치도 보답할 수 없는 것이다. 미발의 극처(極處)에, 중(中)의 심처(深處)에, 성(性)의 묘처(妙處)에, 무극(無極)의 오처(奧處)에 그 밀지가 함장되어 있다. 만약 이번 생 안에 수행을 통해서 이것을 찾지 못한다면 내 살림은 한 번도 살아 보지 못하고 석가, 공자, 예수의 종노릇만 하다가 다음 생을 다시 기약해야 할 것이다. _ 본문 288쪽

이 책에 펼쳐지는 일련의 논의는 결국 ‘인간의 마음[心]’에 닿아 있다. 인간 마음의 본체[體]와 사용[用], 그리고 마음의 수련[修心]의 문제를 전면에 걸어 유가에서의 마음에 대한 파악과 수신(修身) 문제, 그리고 불가에서의 마음에 대한 인식과 수련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진리(眞理)’란 사전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승인할 수 있는 보편적 법칙 또는 사실’을 뜻한다. 저자가 이 책의 지면에서 펼치는 고찰의 저변에는 각 가(家)의 성인(聖人)들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공통적으로 전하려는 진리, 즉 ‘마음’에 관한 가르침이 숨어 있다. 결국 이 책은 그 ‘한 지점’을 향한 하나의 발로라 할 수 있다.
법계연기(法界緣起)의 무애세계(無碍世界)가 현실화된 작금의 상황 속에서 학제 간 벽을 허물고 동서고금을 회통해 보기 위한 새로운 안목이 절실한 시대이다. 이 연구서를 통해 향후 유 ㆍ 불 ㆍ 도 삼교(三敎) 교섭(交涉) 논의에는 물론, 여기에 기독교까지 더한 사교(四敎) 교섭의 논의에 새로운 논점을 더할 수도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기본정보

상품정보 테이블로 ISBN, 발행(출시)일자 , 쪽수, 크기, 총권수, 시리즈명을(를) 나타낸 표입니다.
ISBN 9788974798390
발행(출시)일자 2020년 08월 31일
쪽수 328쪽
크기
160 * 234 * 25 mm / 604 g
총권수 1권
시리즈명
불광학술총서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10점 중 10점
/쉬웠어요
한국과 중국 선사들의 유교 중화 담론이에요
10점 중 10점
/쉬웠어요
한국과 중국의 선사들의 좋은생각을 접하게 되어 좋았습니다.

문장수집 (2)

문장수집 안내
문장수집은 고객님들이 직접 선정한 책의 좋은 문장을 보여주는 교보문고의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마음을 두드린 문장들을 기록하고 좋은 글귀들은 "좋아요“ 하여 모아보세요. 도서 문장과 무관한 내용 등록 시 별도 통보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리워드 안내
구매 후 90일 이내에 문장수집 작성 시 e교환권 100원을 적립해드립니다.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

한국과 중국 선사들의 유교 중화 담론
한국과 중국 선사들의 유교 중화 담론
‘진리(眞理)’란 사전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지 승인할 수 있는 보편적 법칙 또는 사실’을 뜻한다.
한국과 중국 선사들의 유교 중화 담론

교환/반품/품절 안내

상품 설명에 반품/교환 관련한 안내가 있는 경우 그 내용을 우선으로 합니다. (업체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