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목차
-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사회보장제도와 직업능력개발의 이론적 논의 및 실태 분석
제1절 사회보장제도와 직업능력개발의 이론적 논의
1. 기존 논으 ㅣ분석
2. 개념 정의
3. 사회보장제도와 직업능력개발의 연계
제2절 사회보장제도와 직업능력개발 실태 분석
1. 분석 필요성
2. 분석자료 및 방법
3. 분석 결과
제3절 시사점
제3장 산재보험과 직업능력개발
제1절 분석개요
제2절 선행연구 및 직업능력개발 필요성 검토
1. 선행연구 검토
2. 산재장애의 증가와 직업능력개발의 필요성
제3절 산재보험의 직업능력개발
1. 산재보험의 성격
2. 산재보험의 재활사업
제4절 산재장애인의 직업능력개발
1. 기초통계 분석
2. 실증분석 결과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제4절 국민연금과 직업능력개발
제1절 분석개요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 선행연구 검토
2. 고령화 현상과 노인 그로제고 필요성
제3절 법제도적 측면에서 근로유인 요소 검토
1. 소득기준 변화와 근로유인 제고노력
2. 조기노령연금제도 개선과 감액률 조정
3. 재직자노령연금 개선과 근로유인을 위한 연기연금도입
제4절 실증분석 : 근로유인 효과와 직업능력개발
1. 분석가정 및 분석방법
2. 실증분석 결과
제5절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국민 기초생활보장제도와 직업능력개발
제1절 분석개요
제2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요
1. 국민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의의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성격
3. 업무추진체계
4. 보건복지가족부 자활사업의 실태
5. 노동부 자활사업의 실태
6. 자활사업의 성과와 한계
제3절 직업능력개발의 효과
1. 근로연계복지 프로그램의 직업능력개발 효과
제4절 직업능력개발의 효과 분석
1. 인적속성
2. 자활훈련의 취업성과
3. 소득효과
4. 직업능력개발의 복지의존성 탈피 효과
5. 요약
제5절 시사점
제6장 결론 및 제언
제1절 결론
제2절 제언
1. 사회보장제도와 직업능력개발 관계 구명
2. 사회보장제도와 직업능력개발 분석 자료 구축
3. 취약계층에 대한 체계적 직업훈련 공급
4. 산재보험의 재활사업 영역확대 및 자원 강화
5. 국민연금의 취약계층에 대한 적극적 노동시장 기능 확대
6.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자활직업훈련 확대
SUMMARY
<부록1> 한국노동패널 분석표
참고문헌
기본정보
ISBN | 9788963550855 |
---|---|
발행(출시)일자 | 2009년 10월 31일 |
쪽수 | 213쪽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