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풍속과 세시를 담다
도서+사은품 또는 도서+사은품+교보Only(교보굿즈)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20,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5,000원 미만 시 2,500원 배송비 부과
1Box 기준 : 도서 10권
로그아웃 : '서울시 종로구 종로1' 주소 기준
이달의 꽃과 함께 책을 받아보세요!
1권 구매 시 결제 단계에서 적용 가능합니다.
알림 신청하시면 원하시는 정보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경도잡지(京都雜志)』는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이 서울의 풍속(風俗)과 세시(歲時)를 기록한 책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생활상을 세시풍속과 관련하여 집중적으로 서술한 텍스트이다. 『경도잡지』는 1819년 서울 지방의 세시에 대해 서술한 김매순(金邁淳, 1776~1840)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나 1849년 전국의 세시를 광범위하게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보다 이른 시기에 나왔을 뿐 아니 라, 다른 세시기(歲時記)들과 달리 세시(19항목)만이 아니라 당대 서울의 풍속(19항목)까지 두루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당시 서울의 생활상을 묘사한 기록들이 더러 남아있지만, 『경도잡지』처럼 그것을 집중적으로 다룬 예는 드물다. 이런 의미에서 『경도잡지』는 18~19세기 서울 양반의 생활상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텍스트가 아닐 수 없다. 지금의 시선에서가 아니라 당대인의 시선으로 포착한 생활상이라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세시풍속은 전통문화를 공부하는 학생들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사항이다. 『경도잡지』를 포함한 조선 후기의 세시기(歲時記)들은 어느 단계의 교육과정에서든 거의 필수적 인 텍스트로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번역과 주석의 실상을 들여다보면 간과하기 어려운 심각한 오역이나 모호한 주석들이 다수 발견된다. 그 영향력의 막중함에 비추어볼 때, 이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대부분의 학인들이 아무런 비판 없이 신뢰하고 인용하고 있는 텍스트에 잘못이 두루 들어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학생들의 과제나 논문작성에서 그리고 요즘 유행처럼 이야기되는 이른바 문화원형콘텐츠의 개발 같은 데서 그러한 잘못들이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은 좀 더 예각적인 시각으로 인식하고, 철저히 비판해야 하며, 시급히 바로잡아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경도잡지』를 위시한 조선 후기 세시기들에 대한 정확한 번역과 충실한 주석은 시급하고도 절실히 요청된다.
이 책의 총서 (251)
작가정보
柳得恭, 1748~1807
본관은 문화(文化)이고, 서얼 출신이다. 자는 혜보(惠甫) 혹은 혜풍(惠風), 호는 영재(泠齋), 영암(泠庵), 고운당(古芸堂)이다. 1774년(영조 50)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고, 시문에 뛰어난 재질이 인정되어 1779년(정조 3)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로 들어가 활약이 컸다. 그 뒤 제천, 포천, 양근 등의 군수를 거쳐 말년에는 풍천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는 『경도잡지(京都雜志)』, 『영재집(泠齋集)』, 『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 『앙엽기(盎葉記)』, 『사군지(四郡志)』, 『발해고(渤海考)』,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등이 있다.
秦京煥, Jin Kyoung Hwan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고전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양기초학부 교수이다. 지은 책으로 『고전문학이야기주머니』(공저), 『고전의 타작:소설과 문학사의 몇 국면』, 『이야기의 세계 1』, 『집 잃은 개를 찾아서:리링, 다산, 오규 소라이, 난화이진과 함께 떠나는 진경환의 논어 여행』(1.2권), 『전통, 근대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권력』(공저) 등이 있고, 옮기고 주해한 책으로 『서울·세시·한시』, 『백마강, 한시로 읊다』, 『구운몽:누가 꿈이며 꿈이 아니냐』, 『사씨남정기』, 『예로부터 이른 말이 농업이 근본이라:농가월령가』 등이 있다.
목차
- 책을 펴내며
해제
일러두기
풍속風俗
건복巾服
주식酒食
다연茶煙
과과果瓜
제택第宅
마려馬驪
기집器什
문방文房
화훼花卉
발합??
유상遊賞
성기聲伎
도희賭戱
시포市鋪
시문詩文
서화書?
혼의婚儀
유가遊街
가도呵導
세시歲時
원일元日
해일, 자일, 사일亥日 子日 巳日
인일人日
입춘立春
상원上元
이월 초하루二月 初一日
한식寒食
중삼重三
파일八日
단오端午
6월 15일六月十五日
복伏
중원中元
중추中秋
중구重九
시월 오일十月 午日
동지冬至
납평臘平
제석除夕
참고문헌
찾아보기
영인본(조선광문회본)
영인본(가람본)
기본정보
ISBN | 9788928516704 | ||
---|---|---|---|
발행(출시)일자 | 2021년 11월 30일 | ||
쪽수 | 312쪽 | ||
크기 |
182 * 232
* 29
mm
/ 769 g
|
||
총권수 | 1권 | ||
시리즈명 |
민속원 아르케북스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1)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