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문화교육을 위한 한국문화의 이해
없습니다
해외주문/바로드림/제휴사주문/업체배송건의 경우 1+1 증정상품이 발송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북카드
키워드 Pick
키워드 Pick 안내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다른 연관 도서를 다양하게 찾아 볼 수 있는 서비스로, 클릭 시 관심 키워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책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는 최근 많이 찾는 순으로 정렬됩니다.
책 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한국인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목적은 고등 수준의 한국어 활동을 원활하게 할 뿐 아니라, 자명한 것처럼 보이는 한국 문화 현상을 자명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한국 문화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인이 어떤 사회 문화적 존재인지를 알고, 한국의 사회 문화적 현실을 인식함으로써 한국인과 한국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타문화 이해를 위한 발판으로 삼아 문화 간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류가 더불어 잘 살아가는 길을 모색하는 데에 2차적인 목적이 있다.
- 출판사 제공
작가정보

전북 김제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논두렁길을 걸으며 초, 중, 고등학교를 다녔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였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국어교육과와 동대학원 박사과정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교육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서울대 전임대우강사를 거쳐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4년과 2005년에는 한국학술진흥재단 선정 우수학술도서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주요 저서에는 문학의 해석과 문학교육(2003), 서사표현교육론연구(2003), 국어교육학과 서사교육론(2003), 문학의 이해(공저, 2001), 서사교육론(공저, 2001), 고등학교 문학 상,하(공저, 2003), 문학 독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2005), 디지털 시대 문학의 길(공저, 2007), 문학 논술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2008), 실용과 실천의 문학교육(공저, 2009) 등이 있다
목차
- 머리말 ⅲ
제 1 장 한국문화 이해의 시각 1
1. 한국문화 이해의 필요성과 목적 3
2. 문화의 개념과 관점 7
1) 문화인류학 8
2) 민속학 12
3) 문화연구 13
3. 한국문화의 개념과 유형 15
1) 한국문화의 개념 15
2) 한국문화의 유형 16
제 2 장 한국문화의 특징과 전개 25
1. 한국문화의 특징 27
1) 언어문화적 접근 27
2) 문학예술적 접근 29
3) 미 문화적 접근 30
4) 민속학적 접근 32
5) 종합적 접근 33
2. 한국문화의 전개 34
1) 고대 사회와 문화 34
2) 중세 사회와 문화 40
3) 근현대 사회와 문화 47
제 3 장 한국인의 정체성과 한국의 지리 문화 59
1. 한국인의 정체성 61
2. 한국의 지리 문화 72
1) 국토 72
2) 자연 환경 74
3) 인구 75
4) 도시 79
5) 교통 83
제 4 장 한국의 의식주 문화 97
1. 한국의 의식주 생활 문화의 특성 99
2. 한국의 의생활 문화 102
1) 한국 의복의 특징 102
2) 한국 의복의 종류 103
3. 한국의 식생활 문화 108
1) 한국 음식의 특징 108
2) 한국 음식의 종류 110
3) 한국의 식생활 114
4. 한국의 주생활 문화 115
1) 조선시대 이전의 주생활 115
2) 조선시대 이후의 주생활 115
3) 온돌 문화 118
제 5 장 한국의 여가와 관광(觀光) 문화 123
1. 한국의 여가 문화 125
1) 여가의 개념과 변천 125
2) 한국의 여가 현황 131
2. 한국의 관광 문화 133
1) 관광의 개념과 변천 133
2) 한국 관광의 변천과 현황 140
제 6 장 한국의 세시풍속과 의례 문화 153
1. 한국의 세시 풍속 문화 155
1) 세시 풍속의 개념 155
2) 세시 풍속의 성격 156
3) 계절에 따른 세시 풍속 158
2. 한국의 의례 문화 167
1) 의례의 개념 167
2) 일생에 따른 의례 168
제 7 장 한국의 공동체 문화 179
1. 한국의 가족 문화 181
1) 가족의 개념 181
2) 한국 가족의 특징 182
2. 한국의 친족 문화 184
1) 친족의 개념 184
2) 친족의 범위 184
3) 친족 간의 관계 185
3. 한국의 마을 문화 189
1) 마을의 개념 189
2) 마을의 종류와 조직 190
3) 마을의 공동체 문화 191
제 8 장 한국의 성과 결혼 문화 199
1. 성과 사랑에 대한 논의와 한국의 성 문화 201
1) 성?과 사랑에 대한 논의 201
2) 한국의 성 문화 변천 204
2. 한국의 결혼 문화 207
1) 결혼 형태 207
2) 한국의 결혼 문화 변천 208
3. 한국인의 성과 결혼 의식 211
제 9 장 한국의 정치와 교육 문화 219
1. 한국의 정치 문화 221
1) 한국의 정치 제도 변천 221
2) 한국 정치 문화의 특성 226
3) 한국인의 정치 의식 229
2. 한국의 교육 문화 230
1) 한국 교육 제도의 변천 230
2) 한국 교육 문화의 특성 237
3) 한국의 사교육 현황 239
제 10 장 한국의 경제와 과학기술 문화 245
1. 한국의 경제 문화 247
1) 한국 경제의 변천 247
2) 한국 경제 문화의 특성 247
3) 한국인의 경제 의식 257
2. 한국의 과학기술 문화 259
1) 한국 과학기술의 변천 259
2) 한국 과학기술 문화의 특성 261
3) 한국인의 과학기술 의식 263
제 11 장 한국의 정신 문화 259
1. 한국의 종교 문화 271
1) 한국의 종교 271
2) 한국 종교 문화의 특성 283
3) 한국 종교 문화 현황 285
2. 한국의 사상 문화 289
1) 음양오행사상 289
2) 풍수사상 291
3) 실학사상 294
4) 선도사상 296
제 12 장 한국의 대중 문화와 예술 문화 309
1. 한국의 대중 문화 311
1) 대중 문화의 개념 311
2) 한국 대중 문화의 특징 312
3) 한국 대중 문화의 전개 313
4) 한류 316
2. 한국의 예술 문화 318
1) 음악 318
2) 미술 324
3) 영화 333
제 13 장 한국의 언어 와 문학, 문화유산 345
1. 한국의 언어 347
1) 한국어의 개념과 특성 347
2) 한국어의 변천 350
3) 훈민정음 352
4) 한국어 어문 규범 357
2. 한국의 문학 369
1) 한국문학의 개념과 특징 369
2) 한국문학의 변천 370
3) 판소리 397
4) 탈춤 401
3. 한국의 문화 유산 406
1) 문화 유산의 개념 406
2) 한국의 문화 유산 현황 407
3) 한국의 문화재 현황 414
부록 419
1. 한국문화사 연표 420
2. 한국의 박물관 426
3. 한국의 미술관 447
4. 한국의 문화관광축제 452
찾아보기 456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외국인에게 한국문화를 제대로 이해시키기 위한 취지에서 집필되었다.
한국인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목적은 고등 수준의 한국어 활동을 원활하게 할 뿐 아니라, 자명한 것처럼 보이는 한국 문화 현상을 자명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한국 문화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인이 어떤 사회 문화적 존재인지를 알고, 한국의 사회 문화적 현실을 인식함으로써 한국인과 한국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타문화 이해를 위한 발판으로 삼아 문화 간 이해를 통해 궁극적으로 인류가 더불어 잘 살아가는 길을 모색하는 데에 2차적인 목적이 있다.
타문화권 사람이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목적은 자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국인과 한국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문화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고도 심도 있게 하는데 1차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문화 간 상호 이해 증진을 통해 궁극적으로 인류가 더불어 잘 살아가는 길을 모색하고 그것을 형성해 가는 데에 2차적인 목적이 있다.
*머리말
우리는 흔히‘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말을 한다. 이 말은 여러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터이지만, 적어도 문화적 국수주의나 가벼운 상업주의에 매몰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려면 한국적인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알아야 하고, 그것이 다른 문화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깨달아야 한다. 나아가 우리와는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공존하는 길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와는 다른 국적의 사람들에게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가르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일은 각별한 의미가 있다. 맹물로 자동차를 굴릴 수 없듯이 언어라는 것은 문화를 통하지 않고는 실현될 수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사이버 대학 강좌인‘한국문화의 이해’라는 과목을 맡게 되면서이다. 그렇게 된 데는 여러 가지 복잡한 사정이 있을 터이지만, 이 강좌가 실상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교과목 가운데 하나로 개설되었다는 것과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필자는 순수학문 차원에서 한국 문화에 대하여 전문적으로 연구해 오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이 강좌를 맡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필자가 대학과 대학원에 다니면서 한국문화와 문화론적 시각에 익숙해졌다는 경험이다. 한국 민속학의 대가로부터 한국민속과 문화에 눈을 떴으며, 국어교육 혹은 문학교육에서 문화론적 접근을 보이신 여러 선학들로부터 사회 문화론적인 시각을 강하게 영향받았다. 그리고 필자가 문학과 관련된 교육하는 일에 종사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문화 연구로 이어질 수 있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문학하는 일이 곧 문화 행위나 문화 연구와 직결되었던 것이다. 문학 교육이나 언어 교육도 마찬가지이다. 그것들이 인간 삶의 핵심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문학, 언어, 교육을 이야기할 때 문화를 논의하지 않고는 그 의미를 심도 있게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사실 문화가 무엇인지를 아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문화가 무엇인지를 알려고 할 때 그 구성 요소로 나누어보고 그 의미들을 따져보는 것은 그것을 알고자 하는 하나의 방편이다. 문화를 논의할 때 문학과 언어를 비롯하여, 역사, 정치, 경제, 사회, 과학 등 온갖 것들을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도 이런 까닭이다. 그것들은 모두가 사람이 살아가는 일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문화(교육)적인 접근은 보다 의미 있는 논의와 성과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문학이든 언어이든 교육이든 그것이 문화(교육)적 시각을 확보해야, 온전해질 수 있으며 인간이 풍요롭게 사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은 언어교육 차원에서 문화(교육)론적인 시각을 확보해야 할 뿐 아니라, 문화 일반과 한국문화 그리고 문화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교육을 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어느 학자가 이야기했듯이 자기 문화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 없이 타 문화를 깊이 있게 이해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일이다. 이런 점에서 척박한 이 분야에 이 책은 하나의 문제를 제기한 셈이다.
필자는 이 책을 쓰면서 한국 문화를 배운다는 자세로 임했다. 그러나 그 과정이 참으로 난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은 필자가 아둔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게으르기 때문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범접할 수 없는 그 무엇을 문화가 지니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몇 번이고 포기하고 싶었지만, 필자가 배운 바를 정리하여 세상에 내놓는다는 생각으로 이 책을 마무리 하게 되었다.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들도 이 책을 통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입문용 교양을 쌓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도움을 주신 분들께 감사드린다. 우선 영미연구소에 감사드린다. 연구소 연구 총서로 기꺼이 허락해주신 전 영미연구소 소장이신 성경준 교수님과 박시영 교수께 감사드린다. 또한 문화 연구와 문화교육에 앞장을 서 오신 분들께 감사드린다. 이 분들의 연구가 없었다면 이 책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그리고 흔쾌히 출판을 맡아 주신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사와 편집에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분들께 감사드린다.
2009년 5월
이문동 연구실에서 임 경 순
기본정보
ISBN | 9788974645441 |
---|---|
발행(출시)일자 | 2009년 06월 30일 |
쪽수 | 476쪽 |
크기 |
188 * 254
mm
|
총권수 | 1권 |
Klover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200원 적립
문장수집 (0)
e교환권은 적립 일로부터 180일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리워드는 작성 후 다음 날 제공되며, 발송 전 작성 시 발송 완료 후 익일 제공됩니다.
리워드는 한 상품에 최초 1회만 제공됩니다.
주문취소/반품/절판/품절 시 리워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판매가 5,000원 미만 상품의 경우 리워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024년 9월 30일부터 적용)
구매 후 리뷰 작성 시, e교환권 100원 적립